이인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인범은 대한민국의 테너 가수이자,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학장을 역임했으며, 한국 오페라 발전에 기여한 인물이다. 일제강점기 말 친일 음악 단체에서 활동하여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될 예정이었으나, 광복 후에는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학장을 지내고 한국오페라연구회를 창설, 국립오페라단 초대 단장을 맡는 등 대한민국 서양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53년 한국 전쟁 중 사고로 얼굴에 화상을 입었으나 재기하여 활동을 이어갔으며, 1970년 국민훈장 동백장을 수여받았다. 1978년 6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피아니스트 이방숙이 그의 딸이며, 소설가 김은국은 그의 고종사촌 동생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성악가 - 현제명
현제명은 일제강점기 및 대한민국의 음악가로, 서양음악계에 영향을 끼치고 대한민국 음악 발전에 기여했으나, 친일 행적으로 논란이 있으며, 대표작으로 〈고향생각〉, 오페라 〈춘향전〉 등이 있다. - 일제강점기의 성악가 - 윤심덕
윤심덕은 일제강점기 한국 최초의 소프라노 가수이자 배우로, 극작가 김우진과의 비극적인 동반 자살과 함께 발매된 '사의 찬미'로 유명하며, 그녀의 삶은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룡천군 출신 - 장도영
장도영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장교 출신으로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5.16 군사정변 이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내각수반, 국방부 장관을 지냈으며, 반혁명 혐의로 기소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으나 석방 후 미국으로 망명하여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대학교수로 활동하다가 사망했다. - 룡천군 출신 - 장경근
장경근은 일제강점기 판사와 광복 후 이승만 정부의 요직을 역임한 법조인 겸 정치인으로, 반민특위 해체 관여, 3·15 부정선거 개입, 친일인명사전 수록 등으로 비판받았다. - 대한민국의 오페라 가수 - 홍혜경
홍혜경은 1957년 서울 출생으로, 미국 줄리아드 음악학교에서 유학하고 메트로폴리탄 콩쿠르에서 우승한 후,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다양한 배역을 소화하며 활동한 한국 3대 소프라노 중 한 명이다. - 대한민국의 오페라 가수 - 길병민
길병민은 서울대학교 성악과 수석 졸업 후 국내외 주요 콩쿠르를 석권하고 유럽 무대에서 활동한 베이스 바리톤 성악가이자 뮤지컬 배우로서, 팬텀싱어 3 출연 후 크로스오버 그룹 레떼아모르 리더로 활동하며 대중적 인지도를 얻고 뮤지컬 배우로도 데뷔하여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이인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인범 |
원어 이름 | 李仁範 |
출생일 | 1914년 |
출생지 | 평안북도 용천군 |
사망일 | 1978년 9월 14일 (65세) |
사망지 | 서울특별시 |
장르 | 서양 고전 음악 |
종교 | 개신교 |
활동 시기 | 1939년 ~ 1973년 |
악기 | 테너 |
배우자 | 이정자 |
가족 관계 | |
딸 | 이방숙 |
누나 | 이옥현 |
남동생 | 이인근 |
고모부 | 김찬도 |
고종사촌 남동생 | 김은국 |
직업 | |
직업 | 테너 성악가, 대학 교수 |
2. 생애
이인범은 전주를 본관으로 하며 호(號)는 선당(仙堂)· 국촌(菊村)이다. 평안북도 용천에서 태어나 함경남도 원산에서 유아기를 보냈고, 평안남도 평양 숭실학교와 경성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일본 유학을 통해 성악을 공부하여 테너 가수가 되었다. 일제강점기 말기에는 친일 음악단체 경성후생실내악단에서 활동한 경력이 있으며,[1] 이로 인해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음악 부문에 선정되기도 했다.
광복 후에는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학장을 역임하고 고려교향악단, 서울교향악단 등에서 활동하며 한국 서양음악계에 영향을 주었다. 한국오페라연구회를 창설하고 국립오페라단 초대 단장을 맡아[1] 한국 오페라 발전에 기여했다. 1953년 사고로 얼굴에 큰 화상을 입었지만, 수술 후 재기하여 1950년대를 대표하는 성악가로 활동했다. 1970년 국민훈장 동백장을 받았으며, 1973년 대장암 발병 후 투병하다 1978년 65세로 사망했다.
피아니스트 이방숙이 그의 딸이며, 부인 이정자도 피아니스트였다. 이방숙은 이인범 기념 장학회를 설립하여 동아음악콩쿠르 성악 부문 남자 최우수 입상자에게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다.[2] 소설가 김은국은 이인범의 고종사촌 동생으로, 그의 소설 《순교자》는 이인범의 아버지를 모델로 했다.[3]
2. 1. 유년 시절과 학창 시절
전주를 본관으로 하며 호(號)는 선당(仙堂)· 국촌(菊村)이다. 평안북도 용천에서 태어났으며, 함경남도 원산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냈다. 평안남도 평양 숭실학교와 경성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에 유학하여 성악을 공부해 테너 가수가 되었다.2. 2. 성악가 활동과 친일 논란
일제강점기 말기 전국 순회 공연으로 시국 음악을 연주해 전쟁 지원을 부추긴 친일 음악단체 경성후생실내악단에 참가하여 활동한 경력이 있다.[1] 이로 인해 민족문제연구소가 2008년 발표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음악 부문에 선정되었다.2. 3. 광복 이후 활동과 오페라 발전 기여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학장을 지냈고 고려교향악단, 서울교향악단에서 활동하며 대한민국의 서양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한국오페라연구회를 창설하고 국립오페라단 초대 단장을 지내[1] 국내 오페라계의 초석을 닦았다.한국 전쟁 막바지이자 종전 직전 시기이던 1953년에는 사고로 얼굴에 큰 화상을 입었으나 수술 끝에 재기했다. 사고 당시 성악가로서의 활동이 어려울 것이라는 예측이 있었으나, 1년 후 재기 독창회를 열고 1950년대를 대표하는 성악가로 활동했다. 1970년 국민훈장 동백장을 수여받았다. 1973년 만성 대장암이 발병, 5년간 투병하다 1978년 9월 13일 향년 65세로 사망하였다.
2. 4. 사고와 재기, 그리고 사망
1953년 한국 전쟁 막바지이자 종전 직전 시기에 사고로 얼굴에 큰 화상을 입었으나, 수술 끝에 재기한 일화가 있다.[1] 사고 당시 성악가로서의 활동이 어려울 것이라는 예측이 있었으나, 1년 후 재기 독창회를 열고 1950년대를 대표하는 성악가로 활동했다. 1970년 국민훈장 동백장을 수여받았다. 1973년 만성 대장암이 발병, 5년간 투병하다 끝내 건강을 회복하지 못하고 1978년 9월 13일 향년 65세로 사망하였다.3. 가족 및 친척 관계
이인범의 가족으로는 누나 이옥현(개신교 권사, 사망), 아우 이인근(가수, 한국 전쟁 때 납북 후 피살), 아내 이정자(피아노 연주자, 사망), 딸 이방숙(1943년 10월 30일 ~ , 피아노 연주자)이 있다. 고모부는 독립운동가 김찬도이며, 고종사촌 동생은 김찬도의 차남이자 재미교포 소설가인 김은국이다.
3. 1. 가족
관계 | 이름 | 비고 |
---|---|---|
누나 | 이옥현(李玉賢) | 개신교 권사, 사망 |
아우 | 이인근(李仁根) | 가수, 한국 전쟁 때 납북 후 피살 |
아내 | 이정자(李貞子) | 피아노 연주자, 사망 |
딸 | 이방숙(李芳淑) | 1943년 10월 30일 ~, 피아노 연주자 |
고모부 | 김찬도(金燦道) | 1907년 4월 18일 ~ 1994년 9월 21일, 독립운동가. 재미교포 소설가 김은국의 아버지 |
고종사촌 동생 | 김은국(金恩國) | 1932년 3월 13일 ~ 2009년 6월 23일, 김찬도의 차남. 재미교포 소설가 |
3. 2. 친척
관계 | 이름 | 비고 |
---|---|---|
누나 | 이옥현(李玉賢) | 개신교 권사, 사망 |
아우 | 이인근(李仁根) | 가수, 한국 전쟁 때 납북 후 피살 |
아내 | 이정자(李貞子) | 피아노 연주자, 사망 |
딸 | 이방숙(李芳淑) | 1943년 10월 30일 ~, 피아노 연주자 |
고모부 | 김찬도(金燦道) | 1907년 4월 18일 ~ 1994년 9월 21일, 독립운동가, 김은국의 아버지 |
고종사촌 동생 | 김은국(金恩國) | 1932년 3월 13일 ~ 2009년 6월 23일, 김찬도의 차남, 재미교포 소설가 |
4. 학력
5. 소속
前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학장
참조
[1]
웹사이트
국립오페라단 소개
http://www.nationalo[...]
2007-09-29
[2]
뉴스
[새음반] 피아니스트 이방숙 교수 선친 이인범 30주기 독집음반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3-10-13
[3]
간행물
‘순교자’ 작가 김은국의 행적을 찾아서
http://www.donga.com[...]
신동아
2005-03-00 # 월 정보만 존재하므로 00으로 표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