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충 (낭야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충은 당나라 황족으로, 당 태종의 아들인 월왕 이정의 장남이다. 그는 여러 주의 자사를 역임하며 유능함을 인정받았으나, 측천무후가 섭정하며 황실을 위협하자 이에 반발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무수성을 공격했으나 실패하고 부하의 배신으로 군대가 붕괴되어 688년 9월 22일 박주성에서 사망했다. 반란은 7일 만에 실패로 돌아갔으며, 그의 시신은 효수되었다. 이후 아버지 이정 또한 반란에 가담했으나 실패하여 부자는 훼씨로 개성되고 황족 지위가 박탈되었다. 당 중종 복위 후 성씨와 지위가 회복되었으나, 관작은 복권되지 못하다가 당 현종 때에 이르러 관작이 회복되고 재장례가 치러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88년 사망 - 귀실집사
    귀실집사는 백제 왕족 출신으로 백제 멸망 후 일본으로 망명하여 소금하의 관위를 받고 학직두를 역임하며 교육에 기여했고, 그의 후손은 백제공의 성을 하사받았으며 현재 일본 시가현 히노정에는 그의 묘소가 있는 귀실신사가 위치해 있다.
  • 688년 사망 - 이정 (월경왕)
    이정은 당나라 태종의 아들이자 월왕으로, 무측천의 통치에 반대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며, 실패 후 자결하고 명예가 회복되었다.
  • 당나라의 황족 - 이중준
    당 중종의 아들 이중준은 706년 황태자에 책봉되었으나 위황후 등의 견제로 707년 쿠데타를 일으켰다가 실패하여 피살되었고, 후에 당 예종에 의해 절민태자로 추증되었다.
  • 당나라의 황족 - 이사훈
    당나라 화가 이사훈은 당 고조의 종실이자 금벽산수화풍을 발전시켜 '대 이장군'이라 불렸으며 그의 화풍은 아들 이소도에게 전해져 북종화의 시조로 여겨진다.
  • 살해된 왕족 - 오굴 카미시 카툰
    오굴 카이미시는 13세기 몽골 제국 귀유크 칸의 황후이자 섭정이었으나, 정치적 능력 부족과 몽케 칸과의 대립으로 암살 음모 혐의를 받아 처형당하며 오고타이 가문과 툴루이 가문의 권력 다툼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 살해된 왕족 - 압둘 일라
    압둘 일라는 헤자즈 왕 알리 이븐 후세인의 아들이자 왕위 계승자였으며, 이라크 국왕 파이살 2세의 섭정으로서 친미 외교 정책을 추구하다 1958년 이라크 혁명으로 왕족들과 함께 살해당한 인물이다.
이충 (낭야왕)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이충
원어 이름李沖
작위당나라낭야
출생일미상
사망일688년 9월 22일
사망 장소박주
관직밀주자사제주자사 → 박주자사
왕조당나라
가문농서 이씨
아버지이정
어머니미상
형제자매남동생 이흡(李洽), 이온(李溫), 이천(李蒨), 이진자(李珍子), 이규(李規)
배우자미상
자녀장남 이급(李汲)

2. 생애

2. 1. 배경

이충의 출생 연도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당 태종의 8남인 이정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낭야군왕(琅琊郡王)에 봉해진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밀주(密州, 대략 지금의 산동성 유방시 일대에 해당한다)·제주(濟州, 지금의 산동성 요성시 치평구 서남쪽)·박주(博州, 역시 지금의 산동성 요성시에 있었다) 같은 각 자사를 잇달아 역임하였는데, 모든 임지에서마다 유능하기로 유명했다. 또한 그는 문학을 좋아하였으며, 기마술에도 뛰어났고 활쏘기도 잘하였다고 한다.

2. 2. 측천무후 집권과 황실의 위기

고종이 683년에 사망한 후, 그의 아들 이철이 황위를 이었으나(중종), 실권은 고종의 황후 무후가 태후이자 섭정으로서 장악했다. 684년 봄, 중종이 독자적인 행보를 보이자 무측천은 그를 폐위하고 동생인 이단을 옹립하였으나(예종), 권력은 여전히 무측천의 수중에 있었다. 무측천은 자신과 무씨 일족의 지위를 높이며 황실 이씨 가문을 위협했고, 이에 황족들은 무측천이 자신들을 몰살하고 당나라를 찬탈할 것이라는 의심을 품게 되었다.

2. 3. 측천무후에 맞선 반란

측천무후는 좌금오위(左金吾衛) 장군 구신적(丘神勣)을 청평도(淸平道, 지금의 산동성 요성시의 임청시 일대) 행군대총관으로 삼아 이충을 공격하게 하였다. 한편, 모병을 통해 5,000여 명의 병력을 확보한 이충은 황하를 건너 제주를 공격할 준비를 하고 있었다. 이를 준비하면서, 그는 먼저 박주 관하의 가운데 하나인 무수(武水, 지금의 산동성 요성시 동창부구 서남)를 공격하였다. 무수 곽무제(郭務悌)는 위주로 가서 구원을 요청하였고, 위주 관하의 현령 가운데 한 사람인 신현(莘縣, 지금의 산동성 요성시 신현) 마현소(馬玄素)는 1,700명의 병력을 거느리고 중도에서 이충을 요격하고자 하였으나, 이충과 대적하기에는 병력이 부족하다고 판단하고, 먼저 무수으로 들어가서 성문을 걸어 잠그고 방어 태세에 들어갔다.

이충은 무수성 남쪽에 자리를 잡고 풀섶을 가득 실은 수레들을 남쪽 성문 근처에 세워놓았다. 그리고 바람 부는 방향을 따라 남쪽 성문에 불을 질러 성문을 불태워 버리고, 그 불길을 틈타 성문 안으로 돌입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불을 지르자마자, 방화 전에는 남쪽 방향으로 매우 급격하게 불어오던 바람이 방화 후 불길이 타올랐을 무렵, 갑자기 북쪽으로 방향을 틀어 버렸다. 결국 불길은 성문에 이르지 못했고, 수레에 실린 풀섶들은 전부 불에 타 버렸다. 이충의 군세는 더 이상 전진하지 못했고, 이로 인해 군의 사기가 저하되고 말았다.

한편, 이충의 부장들 중의 한 사람인 박주 당읍(堂邑, 지금의 산동성 요성시 동창부구 서북)승 동현적(董玄寂)은 그의 동료들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기 시작하였다.

: "낭야왕은 국가와 교전을 벌이고 있다. 이것은 곧 반역이다!"

이충은 동현적의 목을 베어 군중에 조리돌렸으나, 이를 더욱 두려워한 병사들은 각자 민간으로 뿔뿔이 흩어져 달아나기 시작했다. 그는 이들이 달아나는 것을 막을 수 없었다. 그의 주위에는 수십 명의 시종들과 하인들만이 남아 있었다. 그러자, 그는 하는 수 없이 도로 자신의 본부가 있던 박주성으로 도망쳤다. 하지만 688년 9월 22일, 그가 그곳의 성문에 도착했을 때, 그는 성문을 지키던 병사들의 손에 죽임을 당했다. 이렇게 해서, 이충은 반란을 일으킨 지 7일 만에 패망하였다.

2. 3. 1. 전투와 패배

무측천은 좌금오위(左金吾衛) 장군 구신적(丘神勣)을 청평도(淸平道, 지금의 산동성 요성시의 임청시 일대) 행군대총관으로 삼아 이충을 공격하게 하였다. 한편, 모병을 통해 5,000여명의 병력을 확보한 이충은 황하를 건너 제주를 공격할 준비를 하고 있었다. 이를 준비하면서, 그는 먼저 박주 관하의 가운데 하나인 무수(武水, 지금의 산동성 요성시 동창부구 서남)를 공격하였다. 무수 곽무제(郭務悌)는 위주로 가서 구원을 요청하였고, 위주 관하의 현령 가운데 한 사람인 신현(莘縣, 지금의 산동성 요성시 신현) 마현소(馬玄素)는 1,700명의 병력을 거느리고 중도에서 이충을 요격하고자 하였으나, 이충과 대적하기에는 병력이 부족하다고 판단하고, 먼저 무수으로 들어가서 성문을 걸어 잠그고 방어 태세에 들어갔다.

이충은 무수성 남쪽에 자리를 잡고 풀섶을 가득 실은 수레들을 남쪽 성문 근처에 세워놓았다. 그리고 바람 부는 방향을 따라 남쪽 성문에 불을 질러 성문을 불태워 버리고, 그 불길을 틈타 성문 안으로 돌입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불을 지르자마자, 방화 전에는 남쪽 방향으로 매우 급격하게 불어오던 바람이 방화 후 불길이 타올랐을 무렵, 갑자기 북쪽으로 방향을 틀어 버렸다. 결국 불길은 성문에 이르지 못했고, 수레에 실린 풀섶들은 전부 불에 타 버렸다. 이충의 군세는 더 이상 전진하지 못했고, 이로 인해 군의 사기가 저하되고 말았다.

한편, 이충의 부장들 중의 한 사람인 박주 당읍(堂邑, 지금의 산동성 요성시 동창부구 서북)승 동현적(董玄寂)은 그의 동료들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기 시작하였다.

이충은 동현적의 목을 베어 군중에 조리돌렸으나, 이를 더욱 두려워한 병사들은 각자 민간으로 뿔뿔이 흩어져 달아나기 시작했다. 그는 이들이 달아나는 것을 막을 수 없었다. 그의 주위에는 수십 명의 시종들과 하인들만이 남아 있었다. 그러자, 그는 하는 수 없이 도로 자신의 본부가 있던 박주성으로 도망쳤다. 하지만 688년 9월 22일, 그가 그곳의 성문에 도착했을 때, 그는 성문을 지키던 병사들의 손에 죽임을 당했다. 이충은 반란을 일으킨 지 7일 만에 패망하였다.

2. 4. 사후

이충의 시신은 낙양으로 보내져 내걸렸다. 이충의 뒤를 이어 반란을 일으킨 아버지 이정 역시 곧 패망하였고, 이정과 그의 막내아들 이규, 사위 배수덕은 모두 자살하였다. 이정과 이충 부자는 살무사를 의미하는 훼(虺)로 개성(改姓)을 당하였고, 당나라 황실의 호적에서 제명되었다. 무측천은 혹리(酷吏)인 주흥에게 수사를 맡겼고, 주흥은 이원가, 이령기, 이선 및 당 고조의 7녀 상락장공주·수주자사 조괴 부부를 낙양으로 압송하여 자결하게 협박하였다. 그들의 가족들은 대부분 몰살당하였고, 살아남은 사람들까지 당나라 황실의 호적에서 제명되고 훼씨로 개성을 당하였다.

690년, 무측천은 예종으로부터 제위를 찬탈하여 주나라를 건국했다. 705년, 중종이 복위하여 이정과 이충 부자의 성씨와 황족 지위를 회복시켰으나, 오삼사와 상관완아의 반대로 관작은 복권되지 못했다. 716년, 당 현종 때에 이르러서야 이정과 이충 부자의 관작이 회복되고 재장례가 치러졌다.

3. 평가 및 의의

4. 한국사와의 비교

참조

[1] 웹 兩千年中西曆轉換 http://www.sinica.ed[...]
[2] 서적 Buddhism in China: Collected Papers of Erik Zürcher https://books.google[...] BRILL 2013-12-02
[3] 웹 兩千年中西曆轉換 http://www.sinica.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