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츠코아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츠코아틀은 아즈텍 제국의 기초를 다진 테노치티틀란의 4대 통치자(틀라토아니)였다. 아카마피치틀리의 사생아로 태어난 그는 삼촌인 치말포포카가 살해당한 후 왕위에 올랐다. 이츠코아틀은 테스코코의 네사우알코요틀, 틀라코판의 토토킬후아스트리와 동맹을 맺어 아스카포찰코를 물리치고 아즈텍 삼국 동맹을 결성했다. 그는 멕시코 계곡 남부의 영토를 확장하고, 기존의 역사적 기록을 불태우고 새로운 공식 역사를 만들었으며, 테노치티틀란 건설을 지속했다. 이츠코아틀은 1440년 사망했으며, 모테쿠소마 1세가 그의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테노치티틀란의 우에이 틀라토아니 - 아카마피치틀리
    아카마피치틀리는 14세기 후반 테노치티틀란의 첫 번째 통치자로서, 도시 발전에 기여하고 아즈텍 최초의 법률 제정에 관여했으며, 동맹과 조공 정책으로 테노치티틀란의 안정적인 성장을 이끌었다.
  • 테노치티틀란의 우에이 틀라토아니 - 아위소틀
    아위소틀은 아스테카 제국을 재건하고 영토를 확장했으며, 템플로 마요르 확장과 인신 공희 증가에 기여한 틀라토아니였다.
  • 1380년 출생 - 윤회 (조선)
    윤회는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태종과 세종의 신임을 받으며 이조정랑, 예문관제학, 집현전제학 등을 역임했고 훈민정음 창제와 《자치통감훈의》 편찬에 기여했으며 청백리이자 문장가로 이름을 떨쳐 사후 문도라는 시호를 받았다.
  • 1380년 출생 - 주고후
    주고후는 명나라 영락제의 아들로, 정난의 변에서 공을 세우고 한왕에 봉해졌으나 황위 찬탈을 시도하다 실패하여 처형되었다.
  • 1440년 사망 - 혜령군
    혜령군은 조선 태종의 서자이자 홍녕군에 봉해졌다가 혜령군으로 개봉된 인물로, 광패한 행동으로 세종의 근심을 샀으나 계품사로 북경에 다녀오는 공을 세워 사후 양회라는 시호를 받았다.
  • 1440년 사망 - 이숙번
    이숙번은 조선 초기의 공신이자 문신으로, 두 차례의 왕자의 난에서 이방원을 도와 태종 즉위 후 좌명공신 1등에 책록되었고 병조판서 등의 요직을 거쳤으나 오만한 성격으로 유배 후 세종 때 용비어천가 편찬에 참여했으며 사후 영의정으로 추증되었다.
이츠코아틀
기본 정보
이츠코아틀, 멘도사 그림문서
칭호테노치티틀란의 제4대 트라토아니
통치 기간1427년–1440년
선임시우이틀 테목
후임모크테수마 1세
배우자와칼친틀리
자녀테소소모크
부친아카마피치틀리
모친아스카포찰코 출신의 테파넥 여성
출생1380년경
사망1440년
로마자 표기Itzcōhuātl
IPA(나와틀어)it͡sˈkoːwaːt͡ɬ

2. 생애

이츠코아틀은 아즈텍 제국의 기틀을 다진 군주로,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중요한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이츠코아틀은 아카마피치틀리의 아들이자 테노치티틀란의 초대 틀라토아니이며, 위칠리위틀의 이부 동생이다. 치말포포카가 아스카포찰코의 막스틀라에게 살해당한 후, 47세의 나이로 새로운 트라토아니로 선출되었다.
주요 업적:


  • 아즈텍 삼국 동맹 결성: 테스코코의 네사우알코요틀, 틀라코판의 토토킬후아스트리와 함께 아즈텍 삼국 동맹을 결성하여 아즈텍 제국의 기초를 다졌다.
  • 영토 확장: 소치밀코, 믹스퀴크, 쿠이틀라와크, 테줌파 등을 정복하여 테노치티틀란의 농업 자원을 확보하고 멕시코 계곡 남부 지역을 장악했다.
  • 역사 재정립: 코덱스를 불태우고 공식 역사를 재정립하여 우이칠로포치틀리 숭배를 강화하고, 테노치티틀란의 기원을 톨텍 문명과 연결시켰다.
  • 도시 건설: 테노치티틀란에 사원, 도로, 제방 등을 건설하여 도시 발전에 기여했다.


이츠코아틀은 1440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뒤를 이어 조카인 모크테수마 1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이츠코아틀에게는 테소소모크라는 아들이 있었고, 모크테수마 1세의 딸인 아토토스트리와 결혼했다. 이 두 사람의 아들인 아샤야카틀, 티소크, 아우이초틀 3명은 모두 트라토아니로 즉위했다.[8]

2. 1. 초기 생애와 즉위

이츠코아틀은 아카마피치틀리의 아들이자 테노치티틀란의 초대 틀라토아니(tlàtoāni)이며, 위칠리위틀의 이부 동생이다. 어머니는 아스카포찰코 출신의 알려지지 않은 테파네크 여성이었다.[3] 연대기 XCrónica X영어에 따르면, 어머니는 아스카포찰코의 노예 또는 채소 장수였다[8]

위칠리위틀과 치말포포카의 치세 동안, 이츠코아틀은 트라코치칼카틀Tlacochcalcatlnah(장군)의 지위에 있었다. 치말포포카가 아스카포찰코의 막스틀라에게 살해당하자, 이츠코아틀은 이 어려운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경험자로서 47세의 나이로 새로운 트라토아니로 선출되었다.[7]

이츠코아틀은 아스카포찰코의 신왕인 막스틀라에 대한 테파네카 내부의 반대 세력인 틀라코판의 토토킬후아스트리, 그리고 아콜후아의 도시 국가 테스코코의 네사우알코요틀과 동맹을 맺었다. 또한, 내정 면에서는 조카인 트라카엘렐을 시와코아틀(재상에 상당)이라는 새로운 직책에 임명했다.[7]

1428년, 테노치티틀란·테스코코·트라코판의 삼국 동맹은 114일간의 전투를 통해 아스카포찰코를 무너뜨렸다.[7] 이로써 테노치티틀란은 오랜 기간 아스카포찰코에 종속되었던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이 승리 이후 이츠코아틀, 네사우알코요틀, 그리고 틀라코판의 왕 토토킬후아스트리는 아즈텍 삼국 동맹으로 알려지게 될 동맹을 맺었고, 이는 궁극적인 아즈텍 제국의 기초가 되었다.

2. 2. 아즈텍 삼국 동맹 결성

테스코코의 네사우알코요틀과 동맹을 맺은 이츠코아틀은 아스카포찰코의 막스틀라를 물리치고 멕시코 중부의 테파네크 지배를 종식시켰다.[3]

이후 이츠코아틀, 네사우알코요틀, 틀라코판의 왕 토토킬후아스트리는 아즈텍 삼국 동맹을 결성하였고, 이는 아즈텍 제국의 기초가 되었다.

1428년, 테노치티틀란·테스코코·트라코판의 삼국 동맹은 114일간의 전투를 통해 아스카포찰코를 무너뜨렸다.[7] 테노치티틀란은 오랫동안 아스카포찰코에 종속되었던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삼국 동맹은 이후에도 지속되었고, 정복지로부터의 공물은 테노치티틀란:2, 테스코코:2, 트라코판:1의 비율로 나누기로 결정했다.[9]

삼국 동맹은 테파네카가 지배했던 멕시코 분지의 다른 도시들도 공격했다.[7]

2. 3. 영토 확장

아카마피치틀리 통치 시기, 아스카포찰코의 막스틀라에게 조카 치말포포카가 살해당하자 이츠코아틀이 왕으로 선출되었다. 이츠코아틀은 테스코코의 네사우알코요틀과 동맹을 맺고[3] 막스틀라를 물리쳐 멕시코 중부 테파네크 지배를 종식시켰다.

이츠코아틀, 네사우알코요틀, 틀라코판의 왕 토토킬후아스트리는 아즈텍 삼국 동맹을 맺어 아즈텍 제국의 기초를 세웠다.

이츠코아틀은 소치밀코 호수와 찰코 호수 남쪽 해안의 ''치남파'' 지역에 주목했다. 담수 샘물은 얕은 호수 바닥에 설치된 ''치남파'' 개발을 가능하게 했다. 소치밀코(1430), 믹스퀴크(1432), 쿠이틀라와크(1433), 테줌파 원정으로 테노치티틀란의 농업 자원을 확보하고, 쿨후아칸과 코요아칸 정복으로 멕시코 계곡 남부 절반을 장악했다.

이러한 승리로 이츠코아틀은 "쿨후아의 군주"라는 ''쿨후아 테우클리'' 칭호를, 토토킬후아스트리는 "테파네크의 군주"라는 ''테파네카 테우클리'' 칭호를 얻었다.

1439년, 이츠코아틀은 멕시코 계곡 밖 쿠아우나후아크(쿠에르나바카)를 상대로 원정을 시작했다.

1428년, 테노치티틀란·테스코코·트라코판 삼국 동맹은 114일간의 전투로 아스카포찰코를 무너뜨렸다.[7] 테노치티틀란은 아스카포찰코 종속에서 벗어났다. 삼국 동맹은 정복지 공납품을 테노치티틀란:2, 테스코코:2, 트라코판:1 비율로 나누기로 했다.[9] 삼국 동맹은 테파네카가 지배했던 멕시코 분지의 다른 도시들도 공격했다.[7]

2. 4. 역사 재정립과 통치

이츠코아틀은 아카마피치틀리의 아들이자 테노치티틀란의 2대 통치자 우이칠리우이틀의 이부동생이다.[8] 그는 선임자이자 조카인 치말포포카가 아스카포찰코의 막스틀라에게 살해당하자 왕으로 선출되었다.[3]

우이칠리우이틀과 치말포포카의 통치 기간 동안, 이츠코아틀은 Tlacochcalcatl|장군nah 지위에 있었다. 아스카포찰코의 후계자 다툼과 관련하여 치말포포카가 살해되자, 이츠코아틀은 이 어려운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경험자로서 47세의 나이로 새로운 통치자로 선출되었다.[7]

이츠코아틀은 테스코코의 네사우알코요틀과 동맹을 맺고 막스틀라를 물리쳐 멕시코 중부의 테파네크 지배를 종식시켰다. 또한, 내정 면에서는 조카인 트라카엘렐을 시와코아틀(재상에 해당)이라는 새로운 직책에 임명했다.[7] 이 승리 이후 이츠코아틀, 네사우알코요틀, 그리고 틀라코판의 왕 토토킬후아스트리는 아즈텍 삼국 동맹을 맺었고, 이는 궁극적인 아즈텍 제국의 기초가 되었다. 1428년, 테노치티틀란·테스코코·트라코판의 삼국 동맹은 114일간의 전투를 통해 아스카포찰코를 무너뜨렸다.[7] 이로써 테노치티틀란은 오랜 기간 아스카포찰코에 종속되었던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삼국은 그 후에도 동맹을 지속했고, 정복지로부터의 공물은 테노치티틀란:2, 테스코코:2, 트라코판:1의 비율로 나누기로 결정했다.[9] 삼국 동맹은 테파네카가 한때 지배했던 멕시코 분지의 다른 도시들도 공격했다.[7]

이츠코아틀은 소치밀코 호수와 찰코 호수 남쪽 해안의 ''치남파'' 지역에 주목했다. 이 해안선을 따라 늘어선 담수 샘물은 얕은 호수 바닥에 설치된 광범위한 융기 정원, 즉 ''치남파''의 개발을 가능하게 했다. 소치밀코(1430), 믹스퀴크(1432), 쿠이틀라와크(1433), 테줌파에 대한 성공적인 원정은 테노치티틀란을 위한 농업 자원을 확보할 것이며, 쿨후아칸과 코요아칸 정복과 함께 삼국 동맹의 멕시코 계곡 남부 절반에 대한 통제력을 확고히 할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승리로 이츠코아틀은 "쿨후아의 군주"라는 의미의 ''쿨후아 테우클리''라는 칭호를 얻었고, 틀라코판의 왕 토토킬후아스트리는 "테파네크의 군주"라는 의미의 ''테파네카 테우클리''라는 칭호를 얻었다. 1439년, 이츠코아틀은 멕시코 계곡 밖의 쿠아우나후아크(쿠에르나바카)를 상대로 원정을 시작했다.

피렌체 문서에 따르면, 이츠코아틀은 "모든 사람들이 그림을 알아서는 현명하지 않다"는 이유로 모든 역사적인 코덱스를 불태우도록 명령했다.[4][5] 베르나르디노 데 사아군에 따르면, 이츠코아틀은 기존의 문서를 모두 분서했다고 한다. 이는 아즈텍 국가가 우이칠로포치틀리를 숭배하는 국가가 승인한 공식 역사와 신화를 개발하도록 허용했다. 공식 역사에서는, 테노치카(테노치티틀란 사람들이 틀라텔롤코와 구별하기 위해 당시 사용했던 자칭)는 아스틀란=테오티우아칸을 고향으로 삼아, 쿨와칸[10]에서 토지의 귀족과 혼인하여 초대 통치자인 아카마피치틀리가 태어났다고 전해진다. 이는 스스로가 톨텍 출신임을 강조하는 것이며(쿨와칸은 톨텍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여겨짐), 왕가가 치치메카에 기원한다는 흔적을 지우려는 의도였다. 메시카 민족은 테노치카라는 자칭을 버리고, 쿨와=메시카를 자칭하게 되었다.[11]

이츠코아틀은 또한 테노치티틀란 건설을 계속했으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사원, 도로, 제방이 건설되었다. 이츠코아틀은 1440년 그의 사후 조카인 모크테수마 1세가 인수한 종교적 및 정부적 위계를 확립했다.

3. 가족

아카마피치틀리의 아들이자 위칠리위틀의 이복 형제였다. 치말포포카와 모테쿠소마 1세의 삼촌이었다.[8]

우아칼친틀리 공주와 결혼하여 아들 테소소목을 두었다. 테소소목은 모테쿠소마 1세의 딸인 아토토스트리와 결혼했다. 이 두 사람의 아들인 아샤야카틀, 티소크, 아우이초틀 3명은 모두 트라토아니로 즉위했다.[8]

참조

[1] 서적 Fifth Sun: A New History of the Aztecs Oxford University Press
[2] 문서 The dominant ethno-political group within the later Aztec political sphere.
[3] 문서 Itzcoatl's mother is given as a Tepanec woman from [[Azcapotzalco]]; see for example Aguilar-Moreno (2007, p. 39).
[4] 문서 [[Florentine Codex|Madrid Codex]], VIII, 192v, as quoted in León-Portilla, p. 155. León-Portilla finds [[Tlacaelel]] to be the instigator of this burning, despite lack of specific historical evidence.
[5] 웹사이트 FRAY BERNARDINO DE S AHAGUN AND THE NAHUA: CONFLICTING INTERESTS INTERTWINED https://scholarworks[...] Montana State University 2019-05-05
[6] 문서 Based on the maps by Ross Hassig in "Aztec Warfare"
[7] 간행물 Los tlatoanis mexicas. La construcción de un imperio https://arqueologiam[...] Instituto Nacional de Antropología e Historia
[8] 간행물 Itzcóatl https://arqueologiam[...]
[9] 서적 The Aztecs Blackwell
[10] 문서 コルワカンとも。ナワトル語はuとoの区別がない。
[11] 서적 The Aztecs, the Conquistadors, and the Making of Mexican Culture McFarland & Company, I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