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항 관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항 관계는 두 집합 간의 원소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수학적 개념이다. 집합 R이 이항 관계이면, R의 모든 원소는 순서쌍으로 구성된다. 집합 X와 Y의 데카르트 곱의 부분 집합으로 정의되며, 순서쌍 (x, y)가 R에 속할 경우 x와 y 사이에 관계 R이 성립한다고 표현한다. 이항 관계는 연산, 종류, 성질 등을 가지며, 함수, 동차 관계, 이종 관계 등 다양한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관계 (수학) - 동치 관계
    동치 관계는 집합의 원소들 사이에서 반사성, 대칭성, 추이성을 만족하는 이항 관계로서, 집합을 겹치지 않는 부분집합인 동치류로 분할하여 몫집합 개념으로 이어지며 수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관계 (수학) - 교환법칙
    교환법칙은 집합 S에 정의된 이항연산 *에 대해 S의 임의의 두 원소 a, b에 대해 a * b = b * a가 성립하는 성질로, 덧셈, 곱셈, 집합의 교집합과 합집합 등이 그 예시이다.
이항 관계
개요
정의두 집합의 원소 간의 관계
다른 이름이항 관계 (二項關係)
2항 관계
다이애딕 관계 (dyadic relation)
상세 정보
예시'보다 큼' (>)
'와 같다' (=)
'의 약수이다'
표현집합의 데카르트 곱의 부분집합
형식적 정의임의의 두 집합 A와 B의 데카르트 곱 A × B의 부분집합 R ⊆ A × B
n항 관계'n'개의 집합 A1, ..., An의 데카르트 곱 A1 × ... × An의 부분집합 R ⊆ A1 × ... × An
성질
종류대칭적
반대칭적
연결적
정초적
합류를 가짐
교차를 가짐
반사적
비반사적
비대칭적
관련 개념동치 관계
준순서
부분 순서
전순서
엄격한 부분 순서
약한 순서
엄격한 전순서
격자
합류 반격자
교차 반격자

2. 정의

이항 관계는 집합(또는 클래스) XY의 데카르트 곱 X \times Y의 부분집합으로 정의된다.[56][57] (x, y) \in Rxy와 관계 R을 가짐을 의미하며, xRy로 표기하기도 한다.[4][5][6]

XY가 같은 집합일 때, 이항 관계는 동차 관계(또는 내부 관계)라고 불린다.[12][13] XY가 다른 집합일 때, 이항 관계는 '''이종 관계'''라고도 불린다.[12][13][14]

이항 관계에서 원소의 순서는 중요하며, 만약 x \neq y이면, yRxxRy와 독립적으로 참 또는 거짓일 수 있다. 예를 들어, 3은 9를 나누지만, 9는 3을 나누지 않는다.

3. 연산

이항 관계는 집합 연산(합집합, 교집합)과 합성, 역관계 등의 연산을 할 수 있다.

만약 RS가 집합 XY에 대한 이항 관계라면, R \cup S = \{ (x, y) \mid xRy \text{ 또는 } xSy \}XY에 대한 RS의 합 관계이다. 항등원은 공집합 관계이다. 예를 들어, \leq는 <와 =의 합이고, \geq는 >와 =의 합이다.

만약 RS가 집합 XY에 대한 이항 관계라면, R \cap S = \{ (x, y) \mid xRy \text{ 이고 } xSy \}XY에 대한 RS의 교집합 관계이다. 항등원은 전체 관계이다. 예를 들어, "6으로 나누어떨어진다"라는 관계는 "3으로 나누어떨어진다"와 "2로 나누어떨어진다"라는 관계의 교집합이다.

3. 1. 합성

이항 관계 RS의 '''합성''' S\circ R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S\circ R=\{(x,z)|\exists y\colon(x,y)\in R\land(y,z)\in S\}

즉, S \circ RxRz이고 ySzy가 존재할 때 (x, z)를 원소로 갖는 관계이다.

이항 관계의 합성은 결합 법칙을 만족시킨다.

:(T\circ S)\circ R=T\circ(S\circ R)

이에 따라, 범주 \operatorname{Rel}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 대상은 집합이다.
  • 두 집합 사이의 사상 f\colon X\to Y은 이항 관계 f\subseteq X\times Y이다.
  • 사상의 합성은 이항 관계의 합성이다.
  • 집합 X의 항등 사상은 대각선 \operatorname{id}_X=\{(x,x)\colon x\in X\}\subseteq X\times X이다.


집합과 이항 관계의 범주 \operatorname{Rel}은 모든 작은 쌍대곱을 가지며, 둘 모두 분리합집합으로 주어진다.

또한, 이항 관계 R의 거듭제곱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R^{\circ n}=\underbrace{R\circ\cdots\circ R}_n

이에 대하여 다음 항등식들이 성립한다.

:R^{\circ m} \circ R^{\circ n} =R^{\circ(m+n)}

:(R^{\circ m})^{\circ n} =R^{\circ mn}

그 밖에도, 다음 항등식들이 성립한다.

:\bigcup \mathcal{S} \circ R=\bigcup _{S\in \mathcal{S}}(S\circ R)

:S\circ \bigcup \mathcal{R} =\bigcup _{R\in \mathcal{R}}(S\circ R)

만약 R이 집합 XY에 대한 이항 관계이고, S가 집합 YZ에 대한 이항 관계라면, S \circ R = \{ (x, z) | \text{ 존재 } y \in Y \text{ 가 있어서 } xRy \text{ 이고 } ySz \} (또한 R; S로 표기)는 XZ에 대한 RS의 합성 관계이다.

여기서 사용된 S \circ R 표기에서 RS의 순서는 함수의 합성에 대한 표준 표기 순서와 일치한다. 예를 들어, 합성 (부모이다)\circ(어머니이다)는 (외조부모이다)를 생성하며, 반면 합성 (어머니이다)\circ(부모이다)는 (할머니이다)를 생성한다. 전자의 경우, 만약 xy의 부모이고 yz의 어머니라면, xz의 외조부모이다.

3. 2. 역관계

이항 관계 R의 '''역관계''' R^{-1}R 속 순서쌍의 두 성분을 뒤바꾼 이항 관계이다.

:R^{-1}=\{(y,x)|(x,y)\in R\}

역관계는 자명하게 대합을 이룬다.

:(R^{-1})^{-1}=R

역관계와 합성은 다음과 같이 호환된다.

:(S\circ R)^{-1}=R^{-1}\circ S^{-1}

특히,

:(R^{\circ n})^{-1}=(R^{-1})^{\circ n}

이다.

만약 R이 집합 XY에 대한 이항 관계라면, R^\textsf{T} = \{ (y, x) \mid xRy \}R의 역관계이며, 이는 YX에 대한 관계이다.

예를 들어, =는 자기 자신의 역관계이며, \neq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는 서로의 역관계이며, \leq\geq도 마찬가지이다. 이항 관계는 만약 대칭 관계일 때에만 역관계와 같다.

RXY 위의 이항 관계라면, 다음과 같은 YX 위의 이항 관계가 정해진다.

; 역관계 inverse|인버스영어, converse|컨버스영어

: 어떤 집합 위의 이항 관계가 그 역관계와 일치하는 것은, 그 관계가 대칭적인 것과 동치이다.

3. 3. 정의역과 치역

이항 관계 R의 정의역(dom R)은 R에 속하는 순서쌍의 첫 번째 원소들의 집합이다.[57] 이항 관계 R의 치역(ran R)은 R에 속하는 순서쌍의 두 번째 원소들의 집합이다.[57]

정의역과 치역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정의역:
  • :math>\operatorname{dom}R=R^{-1}(V)=\{x|\exists y\colon(x,y)\in R\}
  • 치역:
  • :math>\operatorname{ran}R=R(V)=\{y|\exists x\colon(x,y)\in R\}


여기서,

  • R^{-1}(V)는 모든 집합의 고유 모임의 원상이다.
  • R(V)는 모든 집합의 고유 모임의 상이다.

(image)과 원상(preimage)은 정의역과 치역 개념의 확장이다.

  • 집합 또는 모임 A의 상은 A의 원소와 관계를 이루는 원소들의 집합이다.
  • :R(A)=\{y|\exists x\in A\colon(x,y)\in R\}
  • 집합 또는 모임 B의 원상은 역관계에 대한 상이다.
  • :R^{-1}(B)=\{x|\exists y\in B\colon (x,y)\in R\}


임의의 이항 관계 R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operatorname{dom}R^{-1}=\operatorname{ran}R

:\operatorname{ran}R^{-1}=\operatorname{dom}R

:\operatorname{dom}R\cup\operatorname{ran}R=\bigcup\bigcup R

:\operatorname{dom}(S\circ R)\subseteq\operatorname{dom}R

:\operatorname{ran}(S\circ R)\subseteq\operatorname{ran}S

4. 종류

이항 관계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크게 동차 관계와 이종 관계로 나눌 수 있다.


  • 동차 관계: 반사 관계, 비반사 관계, 대칭 관계, 반대칭 관계, 비대칭 관계, 추이 관계, 연결 관계, 강한 연결 관계, 조밀 관계 등이 있다.
  • 이종 관계: 단사, 함수 관계, 일대일, 일대다, 다대일, 다대다, 전체 관계, 전사 함수 등이 있다.


함수는 이항 관계의 중요한 유형 중 하나이지만, 모든 이항 관계가 함수는 아니다. 예를 들어, 약수 관계에서 5로 나누어지는 정수는 유일하지 않다.[23]

실수에 대한 네 가지 유형의 이항 관계: 일대일(녹색), 일대다(파란색), 다대일(빨간색), 다대다(검은색).

4. 1. 함수

함수는 이항 관계의 중요한 유형이다. 이항 관계 F\subseteq X\times Y가 함수 F\colon X\to Y일 필요충분조건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다.

  • \forall x\in X\exists y\in Y\colon xFy
  • \forall x\in X\forall y,z\in Y\colon xFy\land xFz\implies y=z


이항 관계는 일반적으로 함수가 아니다. 예를 들어 약수 관계에서, 5로 나누어지는 정수는 유일하지 않다.[23]

집합 XY에 대한 몇 가지 중요한 유형의 이항 관계 R은 다음과 같다.
고유성 속성:

  • '''함수 관계'''[23][25][26] ('''오른쪽 고유'''[24] 또는 '''단가'''[27]): 모든 x \in X와 모든 y, z \in Y에 대해, xRy이고 xRz이면 y = z이다. 즉, 정의역의 모든 요소는 ''최대'' 하나의 상 요소를 갖는다. 이러한 이항 관계를 부분 함수 또는 부분 매핑이라고 한다.[28] 이러한 관계에 대해 \{ X \}R의 기본 키라고 한다.[2] 예를 들어, 그림의 빨간색과 녹색 이항 관계는 함수 관계이지만, 파란색 관계는 (11-1에 모두 연결하므로) 그렇지 않으며, 검은색 관계도 (0-11에 모두 연결하므로) 그렇지 않다.

전체성 속성 (정의역 X와 공역 Y가 지정된 경우에만 정의 가능):

  • '''전체'''[23] ('''왼쪽 전체'''[24]): 모든 x \in X에 대해, xRyy \in Y가 존재한다. 즉, 정의역의 모든 요소는 ''최소'' 하나의 상 요소를 갖는다. 즉, R의 정의역은 X와 같다. 이 속성은 연결 관계의 정의와는 다르다(일부 저자는 전체라고도 함).[29] 이러한 이항 관계를 다중 값 함수라고 한다. 예를 들어, 그림의 빨간색과 녹색 이항 관계는 전체이지만, 파란색 관계는 (-1을 어떤 실수에도 연결하지 않으므로) 그렇지 않으며, 검은색 관계도 (2를 어떤 실수에도 연결하지 않으므로) 그렇지 않다. 또 다른 예로, >정수에 대한 전체 관계이다. 그러나 양의 정수에는 1 > yy가 없으므로, 양의 정수에 대한 전체 관계는 아니다.

고유성 및 전체성 속성 (정의역 X와 공역 Y가 지정된 경우에만 정의 가능):

  • '''함수''' ('''매핑'''[24]): 함수 관계이고 전체적인 이항 관계이다. 즉, 정의역의 모든 요소는 ''정확히'' 하나의 상 요소를 갖는다. 예를 들어, 그림의 빨간색과 녹색 이항 관계는 함수이지만, 파란색과 검은색 관계는 그렇지 않다.

4. 2. 동차 관계의 종류


  • '''반사적''' 관계: 모든 x \in X에 대해 xRx인 관계이다. 예를 들어, \geq는 반사 관계이지만, >는 그렇지 않다.
  • '''비반사적''' 관계: 모든 x \in X에 대해 xRx가 성립하지 않는 관계이다. 예를 들어, >는 비반사 관계이지만, \geq는 그렇지 않다.
  • '''대칭적''' 관계: 모든 x, y \in X에 대해, xRy이면 yRx인 관계이다. 예를 들어, "는 의 혈족이다"는 대칭 관계이다.
  • '''반대칭적''' 관계: 모든 x, y \in X에 대해, xRy이고 yRx이면 x = y인 관계이다. 예를 들어, \geq는 반대칭 관계이다.[34]
  • '''비대칭적''' 관계: 모든 x, y \in X에 대해, xRy이면 yRx가 성립하지 않는 관계이다. 관계가 비대칭적일 필요충분조건은 반대칭적이면서 비반사적이어야 한다.[35] 예를 들어, >는 비대칭 관계이지만, \geq는 그렇지 않다.
  • '''추이적''' 관계: 모든 x, y, z \in X에 대해, xRy이고 yRz이면 xRz인 관계이다. 추이 관계가 비반사적일 필요충분조건은 비대칭적이어야 한다.[36] 예를 들어, "는 의 조상이다"는 추이 관계인 반면, "는 의 부모이다"는 그렇지 않다.
  • '''연결적''' 관계: 모든 x, y \in X에 대해, x \neq y이면 xRy 또는 yRx인 관계이다.
  • '''강하게 연결적''' 관계: 모든 x, y \in X에 대해, xRy 또는 yRx인 관계이다.
  • '''조밀한''' 관계: 모든 x, y \in X에 대해, xRy이면, xRz이고 zRyz \in X가 존재하는 관계이다.

4. 3. 이종 관계의 종류

집합 XY에 대한 이항 관계 R은 다음과 같은 고유성 속성을 가질 수 있다.

  • '''단사'''(왼쪽 고유라고도 함): X의 임의의 원소 x, yY의 임의의 원소 z에 대해, xRz이고 yRz이면 x = y이다. 즉, 공역의 모든 요소는 ''최대'' 하나의 원상 요소를 갖는다.[23] 이러한 관계에 대해 YR의 ''기본 키''라고 한다.[2]
  • '''함수 관계'''(오른쪽 고유 또는 단가라고도 함): X의 임의의 원소 xY의 임의의 원소 y, z에 대해, xRy이고 xRz이면 y = z이다. 즉, 정의역의 모든 요소는 ''최대'' 하나의 상 요소를 갖는다. 이러한 이항 관계를 부분 함수라고도 한다.[23][25][26][27][28] 이러한 관계에 대해 \{ X \}R의 기본 키라고 한다.[2]
  • '''일대일''': 단사이고 함수 관계이다.
  • '''일대다''': 단사이지만 함수 관계는 아니다.
  • '''다대일''': 함수 관계이지만 단사는 아니다.
  • '''다대다''': 단사도 아니고 함수 관계도 아니다.


또한, 다음과 같은 전체성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정의역 X와 공역 Y가 지정된 경우에만 정의 가능)

  • '''전체'''(왼쪽 전체라고도 함): X의 모든 원소 x에 대해, xRyyY에 존재한다. 즉, 정의역의 모든 요소는 ''최소'' 하나의 상 요소를 갖는다. 이러한 이항 관계를 다중 값 함수라고 한다.[23]
  • '''전사'''(오른쪽 전체라고도 함): Y의 모든 원소 y에 대해, xRyxX에 존재한다. 즉, 공역의 모든 요소는 ''최소'' 하나의 원상 요소를 갖는다.[23][24]


고유성과 전체성 속성을 조합하여 다음과 같은 관계를 정의할 수 있다.

  • '''함수''': 함수 관계이고 전체인 이항 관계이다. 즉, 정의역의 모든 요소는 ''정확히'' 하나의 상 요소를 갖는다.
  • '''단사 함수''': 단사인 함수이다.
  • '''전사 함수''': 전사인 함수이다.
  • '''전단사 함수''': 단사이고 전사인 함수이다. 즉, 정의역의 모든 요소는 ''정확히'' 하나의 상 요소를 가지며, 공역의 모든 요소는 ''정확히'' 하나의 원상 요소를 갖는다.


5. 성질

집합론적 관점에서 특정 관계(같음, 부분집합, 원소)는 이항 관계로 정의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왜냐하면 그들의 정의역과 공역이 일반적인 공리적 집합론 체계에서 집합으로 간주될 수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같음"의 개념을 이항 관계 =로 모델링하려면, 정의역과 공역을 "모든 집합의 클래스"로 설정해야 하는데, 이것은 일반적인 집합론에서는 집합이 아니다.[31] 이 문제에 대한 일반적인 해결책은 "충분히 큰" 집합 A를 선택하고, = 대신 제한된 =_A를 사용하는 것이다.

동차 관계는 유향 그래프로 표현될 수 있다.

관계 미적분은 이항 관계의 연산을 다루는 수학 분야이다. 관계의 합성과 역관계의 사용으로 확장된다.

유도된 개념 격자는 이항 관계를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주어진 관계 R \subseteq X \times Y에 대해, 조인과 만남에 의해 확장된 개념 집합은 "유도된 개념 격자"를 형성하며, 포함 \sqsubseteq은 전순서를 형성한다.

디펑셔널 관계, 페레 타입 관계, 접촉 관계 등 특수한 관계들이 존재한다.


  • '''디펑셔널 관계''': 동치 관계의 일반화로서, 구별되는 속성으로 객체를 분할한다. 자크 리게는 이 관계들을 '''디펑셔널'''이라고 명명했다.[41]
  • '''페레 타입 관계''': 자크 리고는 일반적인 이진 관계로 순서를 확장하기 위해 페르 다이어그램이라고 하는 정수 분할의 순서를 채택했다.[47]
  • '''접촉 관계''': 게오르그 아우만에 의해 도입되었다.[49][50]


이항 관계의 종류와 그 성질은 다음 표와 같다.

이항 관계와 그 성질
이항 관계반사적대칭적추이적자주 사용되는 기호
유향 그래프
무향 그래프
토너먼트상하 관계 (찌르기 순서)
dependency relation|종속 관계영어
weak order|약한 순서영어
전순서선호 순서 (선호 관계의 일종)
반순서포함 관계
partial equivalence relation|반동치영어
동치 관계∼, ≅, ≈, ≡항등 관계
strict partial order|강한 반순서영어<진 부분 집합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MIT 6.042J Math for Computer Science, Lecture 3T, Slide 2 https://ocw.mit.edu/[...] 2021-11-17
[2] 논문 A Relational Model of Data for Large Shared Data Banks https://www.seas.upe[...] 2020-04-29
[3] 웹사이트 Relation definition – Math Insight https://mathinsight.[...] 2019-12-11
[4] 서적 Algebra und Logic der Relative https://archive.org/[...] Internet Archive 1895
[5] 서적 A Survey of Symbolic Logic https://archive.org/[...] internet Archive 1918
[6] 서적 Relational Mathema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7] 서적 1977
[8] 서적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Logic Springer
[9] 서적 Axiomatic Set Theory https://archive.org/[...] Dover
[10] 서적 Set Theory and the Continuum Problem Dover
[11] 서적 Basic Set Theory Dover
[12] 서적 Relations and Graphs: Discrete Mathematics for Computer Scientist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
[13] 서적 Encyclopedia of Optimiz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4] 서적 Goguen Categories: A Categorical Approach to L-fuzzy Relations Springer
[15] 서적 Heterogeneous relation algebra Springer books 1997
[16] 서적 Basic Algebra II (2nd ed.) https://books.google[...] 2009
[17] 서적 Modern Applied Algebra McGraw-Hill 1970
[18] 서적 Modern Algebra: Structure and Method Houghton Mifflin 1962
[19] 뉴스그룹 quantum mechanics over a commutative rig https://groups.googl[...] 2018-11-25
[20] 간행물 Semirings and Formal Power Series 2009
[21] 위키북스 Relative simultaneity https://en.wikibooks[...]
[22] 서적 Design The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 서적 1990
[24] 서적 2000
[25] 웹사이트 Functional relation - Encyclopedia of Mathematics https://encyclopedia[...] 2024-06-13
[26] 웹사이트 functional relation in nLab https://ncatlab.org/[...] 2024-06-13
[27] 서적 2010
[28] 서적 2000
[29] 논문 Generalization of rough sets using relationships between attribute values http://www2.cs.uregi[...]
[30] 서적 Set theory: an introduction to independence proofs https://archive.org/[...] North-Holland
[31] 서적 A formalization of set theory without variables https://archive.org/[...]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32] 서적 Relational Knowledge Discove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서적 Mathematical Foundations of Computational Engineering: A Handbook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34] 서적 A Transition to Advanced Mathematics Brooks/Cole
[35] 서적 Foundations of Logic and Mathematics: Applications to Computer Science and Cryptography https://books.google[...] Springer-Verlag
[36] 서적 Transitive Closures of Binary Relations I https://web.archive.[...] School of Mathematics – Physics Charles University
[37] 서적 Linear orderings Academic Press
[38] 간행물 Decomposition of relations on concept lattices
[39] 서적 Boolean Matrix Theory and Applications Marcel Dekker
[40] 서적 Data mining, reasoning and incremental information retrieval through non enlargeable rectangular relation coverage Springer
[41] 논문 Quelques proprietes des relations difonctionelles https://gallica.bnf.[...] 1950-01
[42] 서적 Finite Automata, Their Algebras and Grammars: Towards a Theory of Formal Expression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43] 논문 Ranks of ideals in inverse semigroups of difunctional binary relations 2018-02
[44] 서적 Relational Methods in Computer Scienc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45] 서적 Database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46] 서적 Coalgebraic Methods in Computer Science
[47] 논문 Les relations de Ferrers
[48] 서적 Relations and Graphs: Discrete Mathematics for Computer Scientist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49] 논문 Kontakt-Relationen https://www.zobodat.[...]
[50] 리뷰 Review: Kontakt-Relationen https://mathscinet.a[...]
[51] 문서
[52] 서적 Relational Mathema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3] 논문 The theory of generalised heaps and generalised groups
[54] 서적 Wagner's Theory of Generalised Heaps Springer books
[55] 서적 Mathematics across the Iron Curtain: a history of the algebraic theory of semigroups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56] 서적 Set theory https://archive.org/[...] Springer 2003
[57] 서적 Set theory College Publications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