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 (작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현은 대한민국의 작가로, 1970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2004년 단편소설 《기차, 언제나 경적을 울리며 빛을 향해 달린다》로 전태일문학상을 수상하며 등단했고, 동화 《짜장면 불어요!》로 동화 작가로 활동을 시작했다. SF, 역사, 스포츠 등 다양한 소재를 넘나들며 작품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로봇별》로 창원아동문학상을 수상하고, 《푸른 사자 와니니》가 IBBY 명예의 전당 작가 부문에 선정되는 등 여러 상을 받았다. 주요 작품으로는 동화 《짜장면 불어요!》, 《푸른 사자 와니니》, 청소년 소설 《1945, 철원》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아동문학 작가 - 이원수 (작가)
이원수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로서 1926년 동시 〈고향의 봄〉으로 등단하여 동요, 동시, 동화, 소년소설 등 다양한 작품을 발표하고 한국아동문학가협회 초대 회장을 역임하며 아동문학 발전에 기여했으나, 친일 작품으로 논란이 있다. - 대한민국의 아동문학 작가 - 마해송
마해송은 일제강점기 및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이자 언론인으로, 방정환 등과 색동회를 조직하여 아동문학 운동을 전개했으며, 광복 후에는 작품을 통해 사회상을 비판하는 등 대한민국 아동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 1970년 출생 - 김웅 (정치인)
법조인 출신 김웅은 검사로 활동하다 검경 수사권 조정에 반대하며 사직 후 새로운보수당에 입당하여 정계에 입문, 제21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 현재는 법무법인 남당 변호사로 활동하고 《검사내전》을 저술했다. - 1970년 출생 - 제이슨 리
제이슨 리는 1980년대 후반부터 프로 스케이트보더로 활동하다 1990년대 초 배우로 전향하여 케빈 스미스 감독 영화에 다수 출연하고 NBC 드라마 《마이 네임 이즈 얼》에서 주연을 맡은 미국의 배우이다. - 살아있는 사람 - 릴 테르셀리우스
릴 테르셀리우스는 위키백과 문서에서 관련 문서와 추가 자료를 제시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 요소이다. - 살아있는 사람 - 마그달레나 툴
폴란드의 가수 마그달레나 툴은 2007년 데뷔 앨범 발매 후 2011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폴란드 대표로 참가했으며, 이후에도 앨범 발매와 유로비전 관련 활동, 방송 출연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하고 있다.
이현 (작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현 |
출생일 | 1970년 10월 8일 |
출생지 | 대한민국 부산 |
직업 | 동화 작가, 소설가 |
국적 | 대한민국 |
장르 | 아동 문학 |
주요 작품 | 짜장면 불어요 1945 철원 푸른 사자 와니니 로봇의 별 플레이볼 |
2. 생애
1970년 10월 8일 부산에서 태어났다. 중고등학교 시절부터 책 읽기와 글쓰기를 좋아했으며, 숙명여자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하여 학사 학위를 받았다. 대학 졸업 후 광고회사 근무, 교육방송 구성작가, 학원 강사, 서점 운영, 이주노동자 상담소 상근활동가 등 다양한 사회 경험을 쌓았다.[3] 이러한 경험 속에서도 글쓰기에 대한 열망을 간직하며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4]
부산에서 태어나 숙명여자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3] 과거 서점을 운영한 경험이 있으며, 여러 직업을 거치며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3][4]
이현 작가는 특정 장르나 소재에 얽매이지 않고 설화, 역사, 스포츠, 과학 등 다채로운 분야에 도전하는 폭넓은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특히, SF 3부작 «로봇의 별»을 발표하며 “한국 최초 본격 SF 창작 동화의 탄생”이라는 평가와 함께 대중적인 주목을 받았다.
2004년, 단편소설 《기차, 언제나 경적을 울리며 빛을 향해 달린다》로 제13회 전태일문학상 소설 부문에 당선되며 문학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우연히 만난 어린이책 편집자의 권유로 동화 창작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단편 동화집 《짜장면 불어요!》를 출간하며 동화작가로 등단했다.
2012년에는 소녀형 로봇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SF 장편 동화 『로봇별』로 제2회 창원아동문학상을 수상했다. 2022년에는 대표작 중 하나인 『초록 사자 와니니』[5]가 국제아동청소년도서협의회(IBBY) 아너 리스트(Honour List) 작가 부문에 선정되었고,[1] 같은 해 『1945, 철원』은 국제 안데르센상 아웃스탠딩 북스(Outstanding Books) 20선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2]
이현 작가의 작품 세계는 역사적 사건과 사회 문제에 대한 깊은 관심을 반영한다. 2012년에 출간된 『1945, 철원』[2]은 일제강점기 말기부터 해방 직후까지의 혼란스러운 시기를 청소년의 시선으로 그려냈으며, 2013년작 『그해 여름 서울』은 한국 전쟁을 배경으로 한다. 또한 『장수 만세!』와 같은 작품에서는 아동 및 청소년의 삶에서 간과되기 쉬운 폭력의 문제를 다루었다. 특히 『나는 실크로드로 간다』, 『연동동의 비밀』, 『초록 사자 와니니』 등 다수의 작품에서 여성 주인공이 서사를 이끌어가는 특징을 보인다.[6]
3. 커리어
2006년, 단편 동화집 《짜장면 불어요!》로 제10회 창비 ‘좋은어린이책’ 공모 대상을 수상하며 동화작가로 등단했다.[10] 이후 픽션과 논픽션을 아우르며 약 50여 권의 작품을 발표했다.
2012년에는 장편동화 《로봇의 별》로 제2회 창원아동문학상을 수상했다.[11] 같은 해, 대한민국의 일제강점기 말기부터 독립까지의 시기를 청소년의 시선으로 그린 《1945, 철원》[2]을 출간했다. 이 작품은 2022년 국제 안데르센상 심사위원단이 선정한 '뛰어난 작품 20선' 중 하나로 뽑혔다.[12][2] 2013년에는 한국 전쟁을 배경으로 한 소설 《그해 여름 서울》을 펴냈다. 또한 《장수 만세!》에서는 아동과 청소년의 삶에서 간과되기 쉬운 폭력의 문제를 다루었다.
그의 작품 다수에서는 여성 주인공이 모험과 서사를 이끌어가는 특징을 보인다.[6] 《나는 실크로드로 간다》, 《연동동의 비밀》, 《푸른 사자 와니니》 등이 대표적이며, SF 장편 《로봇의 별》 역시 소녀형 로봇을 주인공으로 내세웠다.
2022년에는 《푸른 사자 와니니》가 국제아동청소년도서협의회(IBBY) 어너리스트(Honour List) 작가 부문에 선정되었고,[8] 《초록 사자 와니니》[5]는 같은 해 IBBY 명예의 전당 작가 부문에 이름을 올렸다.[1]
작품들은 해외 독자들과도 만나고 있다. 《짜장면 불어요!》, 《1945, 철원》, 《그 여름의 서울》은 일본으로, 《우리들의 스캔들》은 중국 및 프랑스 등으로 번역 수출되었다.
현재 춘천교육대학교 아동문학교육전공 대학원에서 강의하고 있다.
4. 스타일
그의 작품 세계는 몇 가지 주요한 특징으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한국 근현대사의 중요한 사건들을 청소년의 시각으로 재조명하며 역사를 다루는 새로운 방식을 제시한다.[2] 둘째, 등단 초기부터 폭력 문제와 이에 대한 저항이라는 주제를 꾸준히 탐구해왔다.[13] 셋째, 2010년대 이후 작품에서는 남성 중심 서사에서 벗어나 주체적인 여성 주인공을 내세우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난다.[6] 이는 한국 아동청소년문학의 성 편향에 대한 비판적 인식에서 비롯된 의식적인 선택으로 보인다.
4. 1. 역사 인식
이현 작가는 청소년 문학에서 한국 근현대사의 중요한 사건들을 다루며 주목받았다. 2012년에 발표한 «1945, 철원»은 8.15 해방을 맞이하던 시기의 대한민국 철원을 배경으로, 격동의 역사를 청소년의 시각으로 섬세하게 그려냈다.[2] 이 작품은 일제강점기로부터의 독립 과정을 청소년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풀어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듬해인 2013년에는 한국전쟁 발발 직후의 서울을 배경으로 한 소설 «그 여름의 서울»을 출간했다. 이 작품을 통해 이현은 청소년 문학에서 한국전쟁과 같은 무겁고 민감한 역사적 사건을 어떻게 깊이 있게 다룰 수 있는지 보여주었다. 그녀의 역사 소설은 단순한 사건 나열을 넘어, 역사적 격변기 속 개인의 삶과 고뇌를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춰 조명하는 특징을 지닌다.
4. 2. 폭력에 대한 저항
이현은 등단 초기인 2006년부터 작품을 통해 폭력과 그에 대한 저항이라는 주제를 꾸준히 다루어 왔다. 예를 들어, '우리들의 스캔들'에서는 교실 안팎에서 벌어지는 물리적 폭력과 언어폭력, 그리고 이에 맞서는 저항의 가능성을 탐구했다.[13] 또한 '장수 만세!'에서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평범한 일상 속에 숨어 있는 폭력의 위험성을 드러내며 경각심을 일깨웠다.
4. 3. 여성 서사
2010년대 이후 이현의 작품에서는 주체적인 여성 주인공이 이야기를 밀고 나가는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현은 그간 한국 아동청소년문학 서사가 남성 편향적이었음을 비판하면서 의식적으로 여성을 주인공의 모습으로 설정하였다. 《나는 비단길로 간다》, 《연동동의 비밀》, 《푸른 사자 와니니》 등 많은 작품에서 모험의 주인공은 여성이다.[6] SF 장편 《로봇의 별》에서도 여자아이형 로봇들을 주인공으로 설정했다.
5. 주요 작품
이현 작가는 동화, 청소년 소설, 그림책 및 지식정보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작품을 발표하고 있다. 대표작으로는 《푸른 사자 와니니》, 《1945, 철원》, 《나는 화성 탐사 로봇 오퍼튜니티입니다》 등이 있으며, 자세한 작품 목록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동화
제목 | 글 작가 | 그림 작가 | 출간년도 | 출판사 |
---|---|---|---|---|
짜장면 불어요! | 이현 | 윤정주 | 2006 | 창비 |
장수 만세! | 이현 | 오승민 | 2007 | 우리교육 |
빨주노초파남보똥 | 이현 | 서영경 외 | 2008 | 사계절 |
오늘의 날씨는 | 이현 | 김홍모 | 2010 | 창비 |
로봇의 별 1 | 이현 | 오승민 | 2010 | 푸른숲주니어 |
로봇의 별 2 | 이현 | 오승민 | 2010 | 푸른숲주니어 |
로봇의 별 3 | 이현 | 오승민 | 2010 | 푸른숲주니어 |
로봇의 별 | 이현 | 오승민 | 2011 | 푸른숲주니어 |
나는 비단길로 간다 | 이현 | 백대승 | 2012 | 푸른숲주니어 |
우리들의 움직이는 성 | 이현 외 지음 | 주성희 | 2013 | 창비 |
장수 만세! | 이현 | 변영미 | 2013 | 창비 |
악당의 무게 | 이현 | 오윤화 | 2014 | 휴먼어린이 |
푸른 사자 와니니 | 이현 | 오윤화 | 2015 | 창비 |
임진년의 봄 | 이현 | 정승희 | 2015 | 푸른숲주니어 |
빙하기라도 괜찮아 | 이현 | 김령언 | 2016 | 비룡소 |
플레이볼 | 이현 | 최민호 | 2016 | 한겨레아이들 |
일곱 개의 화살 1 | 이현 | 이지혜 | 2017 | 문학동네 |
일곱 개의 화살 2 | 이현 | 이지혜 | 2017 | 문학동네 |
조막만 한 조막이 | 이현 | 권문희 | 2018 | 휴먼어린이 |
우리 함께 웃으며 | 이현 외 지음 | 교은 | 2019 | 창비 |
푸른 사자 와니니 2 | 이현 | 오윤화 | 2019 | 창비 |
전설의 고수 | 이현 | 김소희 | 2019 | 창비 |
연동동의 비밀 | 이현 | 오승민 | 2020 | 창비 |
오늘도 용맹이 1: 용맹해지는 날 | 이현 | 국민지 | 2022 | 비룡소 |
오늘도 용맹이 2: 기다려는 어려워! | 이현 | 국민지 | 2023 | 비룡소 |
5. 2. 청소년 소설
5. 3. 그림책 및 지식정보책
2019년 《나는 화성 탐사 로봇 오퍼튜니티입니다》 글 이현, 그림 최경식, 만만한책방6. 수상
- 2005년 제13회 전태일문학상 《기차, 언제나 경적을 울리며 빛을 향해 달린다》
- 2006년 제10회 창비 좋은어린이책 공모 대상 《짜장면 불어요!》[10]
- 2012년 제2회 창원아동문학상 《로봇의 별 1, 2, 3》[11]
- 2022년 Ibby 아너리스트 선정 《푸른 사자 와니니》[8]
- 2022년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상 심사위원 추천 도서 20’ 선정 《1945, 철원》[12]
- 2022년 IBBY가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상 후보로 지명 - ''1945, 철원''[2]
7. 활동
- 2019년 부평 ‘한 도시 한 책 읽기’ 선정 도서 푸른사자 와니니 북콘서트[14]
- 2020년 대한민국 독서대전 북콘서트[15]
참조
[1]
웹사이트
IBBY Honour List - Recommended books(KBBY)
http://kbbybooks.org[...]
2023-06-10
[2]
웹사이트
HCAA Nominees 2022
https://www.ibby.org[...]
2023-06-20
[3]
웹사이트
책 대여점 주인서 '사자 성장기' 써 80만부 작가로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23-09-05
[4]
간행물
Yi Hyeon: Author–Korea, Republic of
2021
[5]
웹사이트
"Wanini the Green Lioness" Overview
https://k-book.or.kr[...]
2023-06-20
[6]
웹사이트
Writer Yi Hyeon Interview
https://www.kbook-en[...]
2023-06-10
[7]
웹인용
k-book review
https://k-book.or.kr[...]
2023-07-28
[8]
웹인용
ibby-honour-list
http://kbbybooks.org[...]
2023-07-28
[9]
웹인용
한스 안데르센상
https://www.ibby.org[...]
2023-07-28
[10]
웹인용
창비 공모전
https://www.changbi.[...]
2023-07-28
[11]
웹인용
창원아동문학상
https://terms.naver.[...]
2023-07-28
[12]
웹인용
ibby
https://www.ibby.org[...]
2023-07-28
[13]
학술저널
발견되는 목소리와 가능성, 아동문학의 여성주의적 흐름
2017-06
[14]
웹인용
2019 책 읽는 인천 부평 대표도서, ‘푸른 사자 와니니’ 북콘서트 개최
http://www.m-i.kr/ne[...]
2023-07-28
[15]
웹인용
2023 대한민국 독서대전
https://korearf.kpip[...]
2023-07-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