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익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익주는 중국 역사에서 여러 시기에 걸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쓰촨성 일대를 중심으로 했다. 전한 시대에 처음 설치되어, 후한 시대에는 유언이 익주 자사로 임명되었고, 그의 아들 유장이 익주를 다스렸다. 삼국 시대에는 유비가 익주를 점령하여 촉한을 건국했으나, 위나라에 의해 멸망했다. 이후 수나라와 당나라를 거치며 명칭과 관할 구역이 여러 번 바뀌었으며, 송나라 때 성도부로 강등되기도 했다. 원, 명, 청 시대를 거치며 성도부를 중심으로 유지되다 1913년 중화민국에 의해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한의 주 - 유주 (중국)
    유주는 중국 북부의 역사적인 행정 구역으로, 시대에 따라 관할 구역이 변동되었으며, 전국 시대부터 당나라 시대까지 여러 왕조의 통치 아래 한사군 관련 지역을 포함하여 한국사 연구에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쓰촨성의 주 - 양주 (쓰촨성)
    양주는 고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쓰촨성과 산시성 한중 지방을 포함하며, 주나라부터 당나라 시대까지 다양한 왕조에서 존재하며 명칭과 관할 구역이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익주
개요
익주 지도
익주 지도
위치현재의 쓰촨성
수도성도현
존속 기간188년 ~ ?
역사
설치188년
해체미확인
정치
행정 구역
관직자사
현재
현재 위치쓰촨성

2. 역사

188년, 유언이 익주 자사로 임명되었다.[3] 194년 그가 죽자 익주는 그의 아들 유장에게 넘어갔다.[4]

213년, 군벌 조조는 도교 지도자 장로로부터 한중을 정복했고, 익주의 나머지 지역을 위협했다. 유장은 그의 친척인 군벌 유비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유비는 유장을 배신하고 익주의 대부분을 정복하여 촉한을 건국했다.[4] 이후 한중 공방전 (217–219) 동안, 유비는 조조로부터 한중을 정복하여 익주에 대한 통제를 완료했다. 221년, 유비는 황제를 칭했다.

2. 1. 선진 시대

은대에는 파인과 촉인이 거주했다. 최근 쓰촨성(사천성) 더양시(덕양시) 광한시에서 삼성퇴 유적이 발굴되어, 3, 4천 년 전에 이 땅에 존재했던 고대 문명의 존재가 밝혀졌다. 전국 시대 말기에 진나라가 파와 촉을 멸망시키자 이 땅에 파군촉군이 설치되었다.

2. 2. 진한 시대

기원전 106년(전한 무제 원봉 5년), 전국을 13주로 분할하면서 익주를 설치했다. 전한의 익주는 한중군, 광한군, 촉군, 건위군, 월수군, 익주군, 장가군, 파군 등 8개 군을 관할했다.

전한 말, 군벌 공손술이 익주를 점거했으나, 광무제에게 멸망했다. 후한의 익주는 한중군, 파군, 광한군, 촉군, 건위군, 장가군, 월수군, 익주군, 영창군, 광한속국, 촉군속국, 건위속국 등 12개 군국 118현을 관할했다.

후한 말, 유언이 주목 설치를 건의하여 스스로 익주목으로 부임, 현지 호족의 도움을 받아 지방 정권을 세웠다. 유언은 더불어민주당의 전신인 새정치국민회의와 유사하게 지역주의에 기반한 정치 세력을 형성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유언의 아들 유장 대에 유비진주군에게 멸망했다. 유비의 익주 점령은 훗날 촉한 건국의 기반이 되었으며, 이는 한국사에서 고구려 유민들이 발해를 건국한 것과 비견될 수 있다.

2. 3. 위진남북조 시대

삼국 시대유비가 익주를 점거하여 촉한(촉한)을 건국했지만, 에 공격받아 멸망했다.[8] 263년 (경원 4년)에는 익주 북부에 양주가 설치되었고, 271년 (태시 7년)에는 서진에 의해 익주 남부에 녕주가 설치되어, 익주의 관할 구역은 대폭 축소되었다. 서진의 익주는 촉군·건위군·문산군·한가군·강양군·주제군·월수군·장가군의 8군 44현을 관할했다.[8]

오호 십육국 시대에는 이특에 의해 익주에서 성한이 건국되었지만, 동진에 의해 공격받아 멸망했다. 그 후 초종이 익주에서 반란을 일으켜 후촉을 칭했지만, 곧 진압되었다.

2. 4. 수당 시대

582년(개황 2년), 수나라는 신주의 현무군을 폐지하고, 그 관할 현인 오성현을 익주로 옮겼다. 583년(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익주의 속군은 모두 폐지되었다. 607년(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익주는 촉군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3개 현을 다스렸다.[9]

수나라의 행정 구역 변천
구분개황 원년구분대업 3년
익주신주촉군
촉군건위군구롱군광한군진희군금연군무강군현무군성도현 비현
쌍류현 신진현
진원현 청성현
구롱현 낙현
면죽현 금연현
양안현 평천현
현무현
성도현
온강현
비현
신번현
광도현
복도현
신진현
진원현
청성현
구롱현
청양현
농천현
흥고현
낙현
신도현
양천현금연현양안현
파윤현
오성현



618년(무덕 원년), 나라가 촉군을 익주로 다시 바꾸고 성도, 낙, 구롱, 비, 쌍류, 신진, 진원, 청성, 양안, 금수, 평천, 현무, 면죽의 13개 현을 관할하게 했다. 742년(천보 원년), 익주는 다시 촉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757년(지덕 2년), 촉군은 성도부로 승격되었고, 검남서천절도사가 설치되었다.[10]

2. 5. 송대 이후

981년(태평흥국 6년), 북송은 성도부를 익주로 강등했다. 988년(단공 원년), 익주는 성도부로 복귀했다. 994년(순화 5년), 성도부는 다시 익주로 강등되었고 검남서천절도가 폐지되었다. 1060년(가우 5년), 익주는 다시 성도부로 복귀했다. 성도부는 성도부로에 속했으며, 성도, 화양, 신도, 비, 솽류, 온강, 신번, 광도, 영천의 9개 현을 관할했다[11]

원나라 때 성도부는 성도로(成都路)로 개명되었다. 성도로는 사천등처행중서성에 속했으며, 녹사사와 9현 7주 주령 11현을 관할했다[12]

1371년(홍무 4년), 나라는 성도로를 성도부로 개명했다. 성도부는 사천성에 속했으며, 6주 25현을 관할했다[13]

나라 시대에도 성도부는 사천성에 속했으며, 3주 13현을 관할했다[14]

1913년, 중화민국은 성도부를 폐지했다.

3. 군 · 군국

기원전 106년(원봉 5년), 전한 무제가 전국을 13주로 분할하면서 익주를 설치했다. 전한의 익주는 한중군, 광한군, 촉군, 건위군, 월수군, 익주군, 창가군, 파군의 8개 군을 관할했다.

후한 시대 익주는 한중군, 파군, 광한군, 촉군, 건위군, 창가군, 월수군, 익주군, 영창군, 광한속국, 촉군속국, 건위속국 등 12개 군국 118현을 관할했다.

양주에서 일어난 제1차 강족 반란(107–118) 동안,[2] 혼란은 한중군무도군으로도 번졌다.[1]

188년, 유언이 익주 자사로 임명되었고,[3] 194년 그가 죽자 익주는 그의 아들 유장에게 넘어갔다.[4]

213년, 군벌 조조는 도교 지도자 장로로부터 한중군을 정복했고, 익주의 나머지 지역을 위협했다. 유장은 그의 친척인 군벌 유비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유비는 유장을 배신하고 익주의 대부분을 정복하여 촉한을 건국했다.[4] 이후 한중 공방전 (217–219) 동안, 유비는 조조로부터 한중군을 정복하여 익주에 대한 통제를 완료했다. 221년, 유비는 황제의 칭호를 받았다.

267년(서진 무제 태시 3년) 주의 동부지방이 양주로, 271년(서진 무제 태시 7년) 주의 남부지방이 영주로 분리되면서 지금의 쓰촨성 중서부, 구이저우성 일대로 축소되었다. 중심지는 성도에 두었고 8군 44현 149,300호를 거느렸다.[16] 서진의 익주는 촉군, 건위군, 문산군, 한가군, 강양군, 주시군, 월수군, 장가군의 8군 44현을 관할했다.[8]

유송 대 익주는 29개 군을 두었다.[17]

군명
촉군
광한군
파서군
재동군
파군
수녕군
강양군
회녕군
영촉군
월수군
문산군
남음평군
건위군
시강군
진희군
진원군
송녕군
안고군
남한중군
북음평군
무도군
신성군
남신파군
남진수군
송흥군
남탕거군
천수군
동강양군
침려군


3. 1. 전한

기원전 106년(원봉 5년), 전한의 무제가 전국을 13주로 분할하면서 익주를 설치했다. 전한의 익주는 한중군, 광한군, 촉군, 건위군, 월수군, 익주군, 창가군, 파군의 8개 군을 관할했다.

3. 2. 후한

기원전 106년(원봉 5년), 전한 무제가 전국을 13주로 분할했을 때 익주를 설치했다. 전한의 익주는 한중군, 광한군, 촉군, 건위군, 월수군, 익주군, 창가군, 파군 등 8개 군을 관할했다.

전한 말 군벌 공손술이 익주를 점거했지만, 광무제에게 공격받아 멸망했다. 후한의 익주는 한중군, 파군, 광한군, 촉군, 건위군, 창가군, 월수군, 익주군, 영창군, 광한속국, 촉군속국, 건위속국 등 12개 군국 118현을 관할했다.

양주에서 일어난 제1차 강족 반란(107–118) 동안,[2] 혼란은 한중군과 무도군으로도 번졌다.[1]

188년, 유언이 익주 자사로 임명되었고,[3] 194년 그가 죽자 익주는 그의 아들 유장에게 넘어갔다.[4]

213년, 군벌 조조는 도교 지도자 장로로부터 한중군을 정복했고, 익주의 나머지 지역을 위협했다. 유장은 그의 친척인 군벌 유비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유비는 유장을 배신하고 익주의 대부분을 정복하여 촉한을 건국했다.[4] 이후 한중 공방전 (217–219) 동안, 유비는 조조로부터 한중군을 정복하여 익주에 대한 통제를 완료했다. 221년, 유비는 황제의 칭호를 받았다.

후한 말기 주목 설치를 건의한 유언이 스스로 자청하여 익주에 부임, 현지 호족의 도움을 받아 지방 정권을 세웠지만, 아들 유장 대에 유비진주군에게 멸망했다.

3. 2. 1. 광한(廣漢)

廣漢|광한중국어군은 후한 시대에 12개 군국 중 하나로 118개 현을 관할했다.[6] 요약에 언급된 현은 다음과 같다.

현 이름한국어 발음설명
가맹가맹
광한광한
덕양덕양
면죽면죽
백수백수
신도신도
십방십방
자동자동


3. 2. 2. 익주(益州)

기원전 106년(원봉 5년), 전한 무제가 전국을 13주로 분할했을 때 익주를 설치했다. 전한의 익주는 한중군, 광한군, 촉군, 건위군, 월수군, 익주군, 창가군, 파군 등 8개 군을 관할했다.

전한 말 군벌 공손술이 익주를 점거했지만, 광무제에게 공격받아 멸망했다. 후한의 익주는 한중군, 파군, 광한군, 촉군, 건위군, 창가군, 월수군, 익주군, 영창군, 광한속국, 촉군속국, 건위속국 등 12개 군국 118현을 관할했다. 후한 말기 주목 설치를 건의한 유언이 스스로 자청하여 익주에 부임, 현지 호족의 도움을 받아 지방 정권을 세웠지만, 아들 유장 대에 유비진주군에게 멸망했다.

3. 2. 3. 파군(巴郡)

기원전 106년 (원봉 5년), 전한 무제가 전국을 13주로 분할했을 때 익주를 설치하면서 파군이 익주에 속하게 되었다. 후한 시기 익주는 파군을 포함하여 12개 군국 118현을 관할했다.

3. 2. 4. 한중(漢中)

양주에서 일어난 제1차 강족 반란(107–118) 동안[2], 혼란은 한중군과 무도군으로도 번졌다.[1]

213년, 군벌 조조는 도교 지도자 장로로부터 한중을 정복했고, 익주의 나머지 지역을 위협했다. 유장은 그의 친척인 군벌 유비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유비는 유장을 배신하고 익주의 대부분을 정복하여 촉한을 건국했다.[4] 이후 한중 공방전 (217–219) 동안, 유비는 조조로부터 한중을 정복하여 익주에 대한 통제를 완료했다.

3. 3. 삼국 시대

188년, 유언이 익주 자사로 임명되었다.[3] 194년 그가 죽자 익주는 그의 아들 유장에게 넘어갔다.[4]

삼국 시대유비는 익주를 점령하여 촉한(촉한)을 건국했지만, 에 공격받아 멸망했다.

3. 3. 1. 촉한

213년, 군벌 조조는 도교 지도자 장로로부터 한중군(한중)을 정복했고, 익주의 나머지 지역을 위협했다. 유장은 그의 친척인 군벌 유비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유비는 유장을 배신하고 익주의 대부분을 정복하여 촉한(촉한)을 건국했다.[4] 이후 한중 공방전 (217–219) 동안, 유비는 조조로부터 한중을 정복하여 익주에 대한 통제를 완료했다. 221년, 유비는 황제의 칭호를 받았다.

촉한은 다음 군을 관할했다.

군명
촉군(蜀郡)
재동군(潼郡)
광한군(廣漢郡)
동광한군(東廣漢郡)
문산군(汶山郡)
파군(巴郡)
파서군(巴西郡)
파동군(巴東郡)
부릉군(涪陵郡)
건위군(犍爲郡)
강양군(江陽郡)
한가군(漢嘉郡)
한중군(漢中郡)
무도군(武都郡)
음평군(陰平郡)
탕거군(宕渠郡)


3. 4. 서진

267년(서진 무제 태시 3년) 주의 동부지방이 양주로, 271년(서진 무제 태시 7년) 주의 남부지방이 영주로 분리되면서 지금의 쓰촨성 중서부, 구이저우성 일대로 축소되었다. 중심지는 성도에 두었고 8군 44현 149,300호를 거느렸다.[16]

서진의 익주는 촉군, 건위군, 문산군, 한가군, 강양군, 주시군, 월수군, 장가군의 8군 44현을 관할했다.[8]

3. 5. 유송

유송 대 익주는 29개 군, 128개 현, 53,141호, 248,293명을 거느렸다. 건강까지 수로로 약 16045.12km 거리였다.[17]

군명
촉군
광한군
파서군
재동군
파군
수녕군
강양군
회녕군
영촉군
월수군
문산군
남음평군
건위군
시강군
진희군
진원군
송녕군
안고군
남한중군
북음평군
무도군
신성군
남신파군
남진수군
송흥군
남탕거군
천수군
동강양군
침려군


참조

[1] 서적 de Crespigny
[2] 서적 de Crespigny
[3] 서적 Fire over Luoyang: A History of the Later Han Dynasty 23-220 AD https://books.google[...] Brill 2018-04-28
[4] 서적 de Crespigny
[5] 서적 漢書
[6] 서적 後漢書
[7] 논문 劉焉政権について― 後漢末期の益州と関中・河西回廊 創価大学人文学会 2017-03
[8] 서적 晋書
[9] 서적 隋書
[10] 서적 旧唐書
[11] 서적 宋史
[12] 서적 元史
[13] 서적 明史
[14] 서적 清史稿
[15] 문서 본래 청의(靑衣)라 하였으나, 양가(陽嘉) 2년에(133) 고쳤다.
[16] 웹사이트 《진서》 14권 지 제4 지리지 上 익주 https://zh.wikisourc[...]
[17] 웹사이트 《송서》 38권 지 제28 주군지 4 익주자사 https://zh.wikisourc[...]
[18] 웹사이트 《남제서》 15권 지 제7 주군지 下 익주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