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한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한군은 전한 고제 6년(기원전 201년)에 파군과 촉군의 일부를 분할하여 설치된 중국의 군이다. 익주에 속했으며, 전한 시대에는 13현을 관할했다. 왕망 시대에는 취도군으로 개칭되었으나, 후한 시대에 다시 광한군으로 명칭이 회복되었다. 후한 시대에는 11개 현을 관할했으며, 서진 시대에는 양주에 속해 3현을 관할했다. 남북조 시대에는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겪었으며, 수나라 개황 3년(583년)에 폐지되어 익주에 통합되었다.
기원전 201년(한고제 6년), 광한군이 설치되었다. 전한의 광한군은 익주에 속했으며, 자통, 십방, 부, 낙, 면죽, 광한, 백수, 가맹, 기, 신도, 전저도, 강저도, 음평도의 13개 현을 관할했다. 왕망 시대에는 취도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
2. 역사
후한이 건국되면서 광한군이라는 명칭으로 되돌아갔다. 이때 광한군은 낙, 면죽, 십방, 부, 자통, 광한, 백수, 가맹, 기, 신도, 덕양의 11개 현을 관할했다.[2] 촉한 유선 시기에는 동부 4개 현이 동광한군으로 분리되면서 군역이 크게 축소되었다.
진 시대에는 광한군이 양주에 속했으며, 광한, 덕양, 오성의 3개 현을 관할했다.[3]
남조 송 시대와 남조 제 시대에는 광한군이 익주에 속했으며, 낙, 십방, 기, 신도, 양천, 오성의 6개 현을 관할했다.[4][5]
583년(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광한군은 폐지되어 익주에 편입되었고, 광한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6]
2. 1. 전한
전한 고제가 파군과 촉군의 일부를 분할해 고제 6년(기원전 201년)에 세웠다.[7]
익주에 속하였으며,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호구 167,499호, 인구 662,249명이었다. 공관(工官)을 두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지리지의 내용이다.[8] 원연·수화 연간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13현(10현 3도)이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자동현 | 梓潼縣 | 몐양시 쯔퉁현 | 오부산(五婦山)에서 치수(馳水)가 나와 부(涪)로 들어가니 550리를 간다. |
십방현 | 汁方縣[9] | 더양시 스팡시 | |
부현 | 涪縣 | 몐양시 동 | 잔정(孱亭)이 있다. |
낙현 | 雒縣 | 더양시 광한시 북 | 장산(章山)에서 낙수(雒水)가 나와 남으로 신도곡(新都谷)에 이르러 전(湔)으로 들어간다. 공관이 있다. |
면죽현 | 緜竹縣 | 더양시 북 | 자암산(紫巖山)에서 면수(緜水)가 나와 동으로 신도(新都)에 이르러 북으로 낙(雒)으로 들어간다. 도위가 다스린다. |
광한현 | 廣漢縣 | 쑤이닝시 서훙현 | |
가맹현 | 葭萌縣 | 광위안시 남 | |
처현 | 郪縣 | 몐양시 싼타이현 남 | |
신도현 | 新都縣 | 청두시 신두구 | |
전저도 | 甸氐道 | 몐양시 핑우현 북? | 백수(白水)가 요외(徼外)에서 나와 동으로 가맹에 이르러 한(漢)으로 들어가니 군 둘(무도·광한)를 지나 950리를 간다. 후한시기 광한속국으로 이관되었다. |
백수현 | 白水縣 | 광위안시 칭촨현 동 | |
강저도 | 剛氐道 | 몐양시 핑우현 | 부수(涪水)가 요외(徼外)에서 나와 남으로 점강(墊江)에 이르러 한(漢)으로 들어가니 두 군(광한·파)를 지나 1690리를 간다. 후한시기 광한속국으로 이관되었다. |
음평도 | 陰平道 | 룽난시 원현 서 | 북부도위가 다스린다. 후한시기 광한속국으로 이관되었다. |
[10][11]
기원전 201년 (고제 6년) 설치되었으며, 왕망 시대에 취도군으로 개칭되었다.[1]
2. 2. 신
왕망은 군의 이름을 취도(就都)로 고치면서, 현의 이름도 함께 고쳤다. 다음 표는 전한 시대와 신 시대의 현 이름을 비교한 것이다.전한 | 신 |
---|---|
자동 | 자동(子同) |
십방 | 미신(美信) |
부 | 통목(統睦) |
낙 | 오락(吾雒) |
광한 | 광신(廣信) |
전저도 | 치치(致治) |
음평도 | 최로(摧虜) |
2. 3. 후한
후한 때 광한군은 11현 139,865호 509,438명을 거느렸다.[12][13]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낙현 | 雒縣 | 더양 시 광한 시 북 | 촉군 성도에 있었던 익주자사의 치소를 이곳으로 옮겼다. |
신도현 | 新都縣 | 청두 시 신두구 | |
면죽현 | 緜竹縣 | 더양 시 북 | |
십방현 | 什邡縣 | 더양 시 스팡시 | 한서에 나온 십방현(汁方縣)과 같다. |
부현 | 涪縣 | 몐양 시 동 | 217년 재동군으로 이관되었다. |
자동현 | 梓潼縣 | 몐양 시 쯔퉁현 | 217년(건안 22년) 유비가 촉을 점령한 후 재동군을 신설했는데, 이때 재동군으로 이관되었다. |
백수현 | 白水縣 | 광위안 시 칭촨현 동 | 217년 재동군으로 이관되었다. |
가맹현 | 葭萌縣 | 광위안 시 남 | 217년 유비가 한수현(漢壽縣)으로 개명했으며 동년에 재동군으로 이관되었다. |
처현 | 郪縣 | 몐양 시 싼타이현 남 | 촉한시기 중장 현지역에 오성현(五城縣)이 신설되었다. |
광한현 | 廣漢縣 | 쑤이닝 시 서훙현 | 심수(沈水)가 흐른다. |
덕양현 | 德陽縣 | 쑤이닝 시 동남 | 신설되었다. |
전한대에 설치되었던 광한군은 왕망이 집권하면서 취도군으로 개칭되었다.[1] 이후 후한이 건국되면서 광한군이라는 명칭으로 되돌아갔다. 이때 광한군은 낙현, 면죽현, 십방현, 부현, 자동현, 광한현, 백수현, 가맹현, 처현, 신도현, 덕양현의 11개 현을 관할했다.[2]
2. 4. 촉한
유선이 촉한을 통치하던 연희 연간에 동부 4개 현이 동광한군으로 분리되면서 군역이 크게 축소되었다. 광한군에 잔류했던 속현 중 하나인 면죽현은 성도를 지키는 최후의 방어선 역할을 했다.분리 이전 | 분리 이후 | ||
---|---|---|---|
광한군 | 낙현, 면죽현, 십방현, 신도현, 오성현, 처현, 덕양현, 광한현 | 광한군 | 낙현, 면죽현, 십방현, 신도현 |
동광한군 | 오성현, 처현, 덕양현, 광한현 |
2. 5. 서진
263년 조위가 촉한을 멸망시킨 뒤 익주 동부지역에 양주를 신설했는데, 이때 양주로 소속이 옮겨졌다. 266년(태시 2년)부터 285년(태강 6년)까지 4개 현이 신도군으로 분리되었다. 3현 5,100호를 거느렸다.[14]분리 이전 | 분리 이후 | ||
---|---|---|---|
광한군 | 광한현, 덕양현, 오성현, 낙현, 십방현, 면죽현, 신도현, 처현 | 광한군 | 광한현, 덕양현, 오성현 |
신도군 | 낙현, 십방현, 면죽현, 신도현 | ||
폐지 | 처현(이후 재건되었다.) |
진 시대에는 광한군이 양주에 속했으며, 광한, 덕양, 오성의 3개 현을 관할했다.[3]
2. 6. 남북조 시대
298년 저족의 추장 이특이 촉군 지역으로 남하했고, 304년 그의 아들인 이류와 이웅이 성도와 파촉 분지를 장악하면서 성한의 지배에 놓이게 되었다. 347년 성한이 동진의 환온에 의해 멸망하면서 일시적으로 동진의 영역으로 들어왔으나 전진이 파촉을 점령하면서 전진의 지배하에 들어왔다.전진이 비수대전에서의 참패로 몰락한 틈을 타 유유가 일으킨 북벌 중에 동진의 땅으로 들어왔다. 유유 시기 수복된 광한군은 신도군 익주로 이관되었다. 광한현과 덕양현이 수녕군으로, 면죽현이 남음평군으로 이관되었다. 6현 4,586호 27,149명을 거느렸다. 이때 개편된 것이 수나라가 개황 초에 촉군으로 통폐합할 때까지 유지되었다.[15][16][17]
개편 이전 | 개편 이후 | ||
---|---|---|---|
광한군 | 낙현, 십방현, 처현, 신도현, 오성현, 광한현, 덕양현, 면죽현 | 광한군 | 낙현, 십방현, 처현, 신도현, 오성현 |
수녕군 | 광한현, 덕양현 | ||
남음평군 | 면죽현 |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종류 | 비고 |
---|---|---|---|---|
낙현 | 雒縣 | 변화없음 | 현령(縣令) | |
십방현 | 什邡縣 | 현령(縣令) | ||
처현 | 郪縣 | 현령(縣令) | ||
신도현 | 新都縣 | 현령(縣令) | 285년(태강 6년) 폐지된 것을 복구했다. | |
양천현 | 陽泉縣 | 더양 시 | 현령(縣令) | 면죽현에서 분리 신설했다. |
오성현 | 伍城縣 | 더양 시 중장 현 | 현령(縣令) | 오성현(五城縣)에서 오성현(伍城縣)으로 개명되었다. |
남조 송 시대에는 광한군이 익주에 속했으며, 낙, 십방, 기, 신도, 양천, 오성의 6개 현을 관할했다.[4]
남조 제 시대에는 광한군이 낙, 십방, 기, 신도, 양천, 오성의 6개 현을 관할했다.[5]
2. 7. 수
漢|한중국어나라 유방(고제) 6년(기원전 201년)에 광한군이 설치되었다. 전한의 광한군은 익주에 속했으며, 자통, 십방, 부, 낙, 면죽, 광한, 백수, 가맹, 기, 신도, 전저도, 강저도, 음평도의 13개 현을 관할했다. 왕망 시대에는 취도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후한이 건국되면서 광한군이라는 명칭으로 되돌아갔다. 광한군은 낙, 면죽, 십방, 부, 자통, 광한, 백수, 가맹, 기, 신도, 덕양의 11개 현을 관할했다[2]。
진 시대에는 광한군이 양주에 속했으며, 광한, 덕양, 오성의 3개 현을 관할했다[3]。
남조 송 시대에는 광한군이 익주에 속했으며, 낙, 십방, 기, 신도, 양천, 오성의 6개 현을 관할했다[4]。
남조 제 시대에는 광한군이 낙, 십방, 기, 신도, 양천, 오성의 6개 현을 관할했다[5]。
583년(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광한군은 폐지되어 익주에 편입되었고, 광한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6]。
3. 행정 구역
기원전 201년(한고제 6년), 익주에 광한군이 설치되었다. 왕망 시대에는 취도군으로 개칭되었다가,[1] 후한이 건국되면서 광한군이라는 명칭으로 되돌아갔다.[2]
진 시대에는 광한군이 양주에 속했으며, 광한, 덕양, 오성의 3개 현을 관할했다.[3]
남조 송 시대에는 익주에 속했으며, 낙, 십방, 기, 신도, 양천, 오성의 6개 현을 관할했다.[4] 남조 제 시대에도 동일하게 유지되었다.[5]
583년(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광한군은 폐지되어 익주에 편입되었고, 광한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6]
3. 1. 전한
전한 전한 고제가 파군과 촉군의 일부를 분할해 고제 6년(기원전 201년)에 설치하였다.[7]익주에 속하였으며,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호구 167,499호, 인구 662,249명이었다. 공관(工官)을 두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지리지의 내용이다.[8] 원연·수화 연간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13현(10현 3도)이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자동현 | 梓潼縣 | 몐양시 쯔퉁현 | 오부산(五婦山)에서 치수(馳水)가 나와 부(涪)로 들어가니 550리를 간다. |
십방현 | 汁方縣[9] | 더양시 스팡시 | |
부현 | 涪縣 | 몐양시 동 | 잔정(孱亭)이 있다. |
낙현 | 雒縣 | 더양시 광한시 북 | 장산(章山)에서 낙수(雒水)가 나와 남으로 신도곡(新都谷)에 이르러 전(湔)으로 들어간다. 공관이 있다. |
면죽현 | 緜竹縣 | 더양시 북 | 자암산(紫巖山)에서 면수(緜水)가 나와 동으로 신도(新都)에 이르러 북으로 낙(雒)으로 들어간다. 도위가 다스린다. |
광한현 | 廣漢縣 | 쑤이닝시 서훙현 | |
가맹현 | 葭萌縣 | 광위안시 남 | |
처현 | 郪縣 | 몐양시 싼타이현 남 | |
신도현 | 新都縣 | 청두시 신두구 | |
전저도 | 甸氐道 | 몐양시 핑우현 북? | 백수(白水)가 요외(徼外)에서 나와 동으로 가맹에 이르러 한(漢)으로 들어가니 군 둘(무도·광한)를 지나 950리를 간다. 후한 시기 광한속국으로 이관되었다. |
백수현 | 白水縣 | 광위안시 칭촨현 동 | |
강저도 | 剛氐道 | 몐양시 핑우현 | 부수(涪水)가 요외(徼外)에서 나와 남으로 점강(墊江)에 이르러 한(漢)으로 들어가니 두 군(광한·파)를 지나 1690리를 간다. 후한 시기 광한속국으로 이관되었다. |
음평도 | 陰平道 | 룽난시 원현 서 | 북부도위가 다스린다. 후한 시기 광한속국으로 이관되었다. |
[10][11]
기원전 201년 (고제 6년) 광한군이 설치되었으며, 왕망 시대에는 취도군으로 개칭되었다.[1]
3. 2. 후한
후한 때 광한군은 11개 현, 139,865호, 509,438명을 거느렸다.[12][13]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낙현 | 雒縣 | 더양시 광한시 북 | 촉군 성도에 있었던 익주자사의 치소를 이곳으로 옮겼다. |
신도현 | 新都縣 | 청두시 신두 구 | |
면죽현 | 緜竹縣 | 더양시 북 | |
십방현 | 什邡縣 | 더양시 스팡 시 | 한서에 나온 십방현(汁方縣)과 같다. |
부현 | 涪縣 | 몐양시 동 | 217년 재동군으로 이관되었다. |
자동현 | 梓潼縣 | 몐양시 쯔퉁 현 | 217년(건안 22년) 유비가 촉지방을 점령하고 재동군을 신설했을 때 재동군으로 이관되었다. |
백수현 | 白水縣 | 광위안시 칭촨 현 동 | 217년 재동군으로 이관되었다. |
가맹현 | 葭萌縣 | 광위안시 남 | 217년 유비가 한수현(漢壽縣)으로 개명했으며 동년에 재동군으로 이관되었다. |
처현 | 郪縣 | 몐양시 산타이 현 남 | 촉한시기 중장 현 지역에 오성현(五城縣)이 신설되었다. |
광한현 | 廣漢縣 | 쑤이닝 시 서훙 현 | 심수(沈水)가 흐른다. |
덕양현 | 德陽縣 | 쑤이닝시 동남 | 신설되었다. |
기원전 201년 (고제 6년), 광한군이 설치되었다. 전한 시대 광한군은 익주에 속했다. 왕망은 광한군을 취도군으로 개칭했다.[1] 후한이 건국되면서 광한군이라는 명칭으로 되돌아갔다.[2]
3. 3. 남조
유송 시대에 광한군은 익주에 속했으며, 낙, 십방, 기, 신도, 양천, 오성의 6개 현을 관할했다.[4] 광한현과 덕양현은 수녕군으로, 면죽현은 남음평군으로 이관되었다. 당시 6개 현에서 4,586호 27,149명을 거느렸다. 이때 개편된 행정 구역은 수나라가 개황 초에 촉군으로 통폐합할 때까지 유지되었다.[15][16][17]개편 이전 | 개편 이후 | ||
---|---|---|---|
광한군 | 낙현, 십방현, 처현, 신도현, 오성현, 광한현, 덕양현, 면죽현 | 광한군 | 낙현, 십방현, 처현, 신도현, 오성현 |
수녕군 | 광한현, 덕양현 | ||
남음평군 | 면죽현 |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종류 | 비고 |
---|---|---|---|---|
낙현 | 雒縣 | 변화없음 | 현령(縣令) | |
십방현 | 什邡縣 | 현령(縣令) | ||
처현 | 郪縣 | 현령(縣令) | ||
신도현 | 新都縣 | 현령(縣令) | 285년(태강 6년) 폐지된 것을 복구했다. | |
양천현 | 陽泉縣 | 더양 시 | 현령(縣令) | 면죽현에서 분리 신설했다. |
오성현 | 伍城縣 | 더양 시 중장 현 | 현령(縣令) | 오성현(五城縣)에서 오성현(伍城縣)으로 개명되었다. |
4. 장관
참조
[1]
서적
漢書
[2]
서적
後漢書
[3]
서적
晋書
[4]
서적
宋書
[5]
서적
南斉書
[6]
서적
隋書
[7]
서적
西汉政区地理
人民出版社
1987-08
[8]
서적
한서
https://zh.wikisourc[...]
[9]
문서
[10]
서적
한서
[11]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12]
서적
후한서
https://zh.wikisourc[...]
[13]
서적
후한서
https://zh.wikisourc[...]
[14]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15]
서적
송서
https://zh.wikisourc[...]
[16]
서적
남제서
https://zh.wikisourc[...]
[17]
서적
수서
https://zh.wikisourc[...]
[18]
서적
한서
[19]
서적
후한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