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간의 대지 (생텍쥐페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간의 대지》는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가 쓴 책으로, 1939년 프랑스에서 처음 출판되었으며, 같은 해 루이스 갈란티에르의 번역으로 영어판이 출간되었다. 이 책은 작가의 비행 경험과 철학적 성찰을 바탕으로 구성되었으며, 서문, 정기 항공, 동료, 비행기, 비행기와 지구, 오아시스, 사막에서, 사막 한가운데에서, 인간 등 여러 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야간 비행》, 《어린 왕자》 등 작가의 다른 작품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프랑스 아카데미 소설 대상과 미국 전미 도서상 논픽션 부문을 수상했다. 자선 단체 테르 데 옴므는 이 책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1967년 엑스포의 테마로도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9년 책 -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아가사 크리스티의 추리 소설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는 과거 죄를 지닌 열 명이 외딴 섬에서 '열 명의 작은 병정' 동요 가사처럼 살해당하는 이야기로, 워그레이브 판사의 복수극, 인종차별적 표현 문제로 인한 수정, 그리고 다양한 각색작으로 유명하다.
인간의 대지 (생텍쥐페리)
기본 정보
제목바람, 모래와 별
원제Terre des hommes
저자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국가프랑스
언어프랑스어
장르회고록, 철학 소설
출판사갈리마르
출판일1939년
한국어 번역 정보
한국어 제목인간의 대지
번역가유영
출판사문예출판사
출판일1992년

2. 출판 과정

이 책은 1939년 2월 프랑스에서 처음 출판되었으며, 같은 해 미국에서는 루이스 갈란티에르가 번역하고 레이널 앤 히치콕 출판사가 영어판을 출간했다.[6] 프랑스어판과 영어판은 내용상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생텍쥐페리가 미국 독자를 고려하여 프랑스어 원본에서 일부 내용을 삭제하고 새로운 내용을 추가했기 때문이다. 루이스 갈란티에르는 이렇게 개정된 원고를 영어로 번역했다.

영어 번역 초판에는 실리지 않았지만, 앤 모로 린드버그가 쓴 "찬사"는 1939년 10월 14일 ''새터데이 리뷰 오브 리터러처''에 먼저 게재된 후, 후속 인쇄본부터 포함되었다.[6]

생텍쥐페리는 이 책을 에어로포스탈에서 함께 근무했던 동료이자 친구인 앙리 기욤에게 헌정했다.

2. 1. 제목 선정

생텍쥐페리는 책 제목을 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원래 고려했던 제목은 Etoiles par grand ventfra (직역: '바람이 많이 부는 날의 별')이었다. 그는 사촌인 앙드레 드 퐁스콤브에게 '완벽한 제목'을 제안하면 100프랑을 주겠다고 약속하기도 했다. 앙드레 드 퐁스콤브는 다음날 30개의 제목을 제안했고, 생텍쥐페리는 그중 하나인 Terre des Humainsfra (직역: '인간의 땅')을 선택했다. 이 제목은 나중에 Terre des hommesfra ('인간들의 땅')이 되었다.[2]

영어판 제목인 Wind, Sand and Starseng는 번역가 루이스 갈란티에르가 제안했고 생텍쥐페리가 이를 승인했다.[2]

3. 구성

이 작품은 작가 생텍쥐페리의 실제 비행 경험과 철학적 성찰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여러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장은 독립적인 이야기처럼 보이면서도 '인간'이라는 주제 아래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장 제목주요 내용
서문인간의 사명에 대한 성찰
정기 항공Latécoère|라테코에르fra 항공사에 입사한 신출내기 비행사 시절의 추억
동료용감했던 동료 비행사들의 기억과 인간다운 삶에 대한 고찰
비행기기술의 진보가 인간에게 갖는 의미 (기욤에게 이야기하는 형식)
비행기와 지구비행이라는 새로운 경험을 통해 처음 마주하게 된 지구의 모습
오아시스아르헨티나에서 우연히 방문하게 된 목가적인 집에 대한 이야기
사막에서사하라 사막에서의 경험과 그곳에서 만난 사람들과의 교류
사막 한가운데에서1935년 리비아 사막 비행기 추락 사고 당시의 조난과 생환 경험
인간인간의 본질과 끊임없이 도전하는 이유에 대한 철학적 성찰


3. 1. 서문

인간의 사명에 대하여 다룬다.

3. 2. 정기 항공

작가가 Latécoère|라테코에르fra사에 입사한 지 얼마 안 된 신출내기 비행사였을 때의 추억을 다룬다.

3. 3. 동료

용감한 동료들의 추억을 되돌아보며, 인간다운 삶에 대해 이야기한다.

3. 4. 비행기

기술의 진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다룬다. 이 장은 일관되게 기욤(Guillaumet)에게 말을 거는 형식으로 쓰여 있다.

3. 5. 비행기와 지구

비행기가 처음으로 보여주는 지구의 모습에 대해 이야기한다.

3. 6. 오아시스

아르헨티나에서 초대받아 방문했던, 마치 동화 속에 나올 법한 아름다운 집에 대한 경험을 다룬다.

3. 7. 사막에서

사하라 사막에서의 현지인과의 교류와 사막의 매력에 대해 이야기한다.

3. 8. 사막 한가운데에서

작가가 1935년 12월 리비아 사막 (카이로 서쪽 200km 지점)에서 비행기 추락 사고로 조난당했다가 기적적으로 생환한 경험을 다룬다.

3. 9. 인간

인간의 본질은 무엇이며, 왜 계속 도전하는지에 대한 성찰을 다룬다.

4. 다른 작품과의 관계

이 작품에서 그려지는 비행사로서의 경험은 작가 생텍쥐페리의 다른 작품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4. 1. 야간 비행

《인간의 대지》의 "정기 항공"이나 "동료" 장에는 소설 야간 비행의 소재가 된 것으로 보이는 여러 이야기가 담겨 있다. 과감하게 새로운 항로를 개척하는 동료 조종사 이야기, 가까운 친구가 비행 중 실종된 경험, 엄격하게 복무 규정을 적용하는 지배인 이야기 등이 대표적이다.

4. 2. 어린 왕자

어린 왕자』의 주인공이 사하라 사막에 단독 비행 중 불시착하는 설정은 이 책의 「사막 한가운데서」 장에 묘사된 작가의 실제 조난 경험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1935년 12월, 작가는 리비아 사막(사하라 사막의 일부로, 이집트와 리비아에 걸쳐 있음)의 카이로 서쪽 200km 지점에 추락하여 조난당했다. 이 외에도 1927년 2월에는 사하라 서부에 불시착했다가 이틀 후 동료 조종사 기욤에게 구조된 경험도 있다.

4. 3. 남방 우편기

인간의 대지의 "사막에서" 에피소드 중 일부는 남방 우편기에 그대로 삽입되었다고 작가 자신이 인간의 대지에서 밝히고 있다.

5. 한국어 번역

주어진 원본 소스(`source`)는 일본어 번역본에 대한 정보이므로, '한국어 번역'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에는 한국어 번역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5. 1. 미야자키 하야오와의 관계

일본애니메이션 감독인 미야자키 하야오생텍쥐페리의 작품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는 신초 문고에서 출간된 ''인간의 대지''의 표지 그림을 그리고 발문을 쓰기도 했다. 또한, 미스즈 서방에서 2007년에 출간된 ''생텍쥐페리 데생 집성''의 서문을 쓰기도 했다.

6. 평가 및 영향

《인간의 대지》는 출간 이후 문학적 성취와 사회적 영향력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왔다. 프랑스미국 등지에서 권위 있는 문학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으며,[5] 이 책에 담긴 인본주의적 메시지는 여러 분야에 영감을 주었다. 대표적으로 책의 제목을 딴 국제 자선 단체 테르 데 옴므가 설립되었고, 엑스포 67과 같은 국제 행사의 주제 선정에도 영향을 미쳤다.[3][4] 또한, 탐험과 모험을 다룬 명저 목록에도 꾸준히 이름을 올리며 시대를 초월하여 독자들에게 깊은 울림을 선사하고 있다.

6. 1. 수상 경력


  • 1939년 프랑스 아카데미 소설 대상 수상작. 프랑스에서 가장 오래되고 권위 있는 문학상 중 하나이다.
  • 1939년 미국 전미 도서상 논픽션 부문 수상.[5] 생텍쥐페리는 이 상이 발표되었을 당시 프랑스 공방전에서 정찰 비행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1942년 초에 상을 받았다.[6]
  • ''내셔널 지오그래픽 어드벤처'' 선정 역대 최고의 어드벤처-탐험 책 100권 중 3위.
  • 잡지 ''아웃사이드'' 선정 역대 최고의 어드벤처-탐험 책 25권 중 1위.

6. 2. 문화적 영향

1959년, 아동 권리에 중점을 두는 자선 단체 테르 데 옴므(Terre des hommes)가 이 책의 제목을 따서 설립되었다. 이 단체는 국제적인 연합체로, 본부는 스위스 로잔에 있다.

이 책의 제목은 20세기 가장 성공적인 세계 박람회 중 하나로 평가받는 몬트리올 엑스포 67의 중심 주제("''인간의 대지'' - 인간과 그의 세계")를 정하는 데 영감을 주었다. 1963년, 저명한 캐나다 인사들이 퀘벡 몬테벨로의 샤토 몬테벨로에 모여 사흘간 회의를 가졌고, 이 과정에서 박람회의 주제가 구체화되었다.[3] 엑스포 67 법인이 발행한 책 "''인간의 대지''/Man and His World"의 서문에서 작가 가브리엘 로이는 생텍쥐페리의 글이 박람회 주제 선정에 미친 영향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4]



그의 애절한 책 ''인간의 대지''에서, 미래에 대한 꿈과 희망으로 가득한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는 아르헨티나 상공을 혼자 야간 비행하다가 텅 빈 평원 위에 흩어져 있는 몇 개의 깜박이는 불빛을 보고 얼마나 깊은 감동을 받았는지 썼다. 그것들은 "별처럼 여기저기서 홀로 반짝였다."


.... 사실, 우리 자신의 고독을 깨닫는 것은 다른 사람들의 고독에 대한 통찰력을 줄 수 있다. 그것은 심지어 우리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서로에게 이끌리게 할 수 있다. 이 불가피한 고독이 없다면, 인간 사이에 융합, 부드러움이 존재할 수 있을까.


모든 창조물의 고독에 대한 높아진 인식과 인간의 연대 필요성에 감동을 받은 생텍쥐페리는 그의 고뇌와 희망을 표현하기 위해 의미가 풍부하면서도 단순한 구절을 찾았다. 그리고 그 구절이 몇 년 후 엑스포 67의 지배적인 아이디어가 되면서,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법인에 의해 이 아이디어를 숙고하고 그것을 구체적인 형태로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 고찰하도록 초대받았다.



한편, 파스칼 젤리나스와 피에르 아렐이 감독한 단편 영화 ''타르 데 옴므''(Taire des hommes)는 '사람들을 침묵시키다'라는 의미를 가지며, 책 제목 'Terre des hommes'과 발음이 같은 점을 이용했다. 이 영화는 1968년 6월 24일, 캐나다 연방 선거 전날 몬트리올 시내에서 발생한 국경일 폭동 당시의 검열과 탄압 문제를 다루며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전달했다.

6. 3. 도서 순위


  • ''내셔널 지오그래픽 어드벤처''는 이 책을 역대 최고의 어드벤처-탐험 책 100권 중 3위로 선정했다.
  • 잡지 ''아웃사이드''는 이 책을 역대 최고의 어드벤처-탐험 책 25권 중 1위로 선정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True Events That Inspired 'The Little Prince' https://time.com/425[...] 2016-08-04
[2] 서적 Saint-Exupery: Une vie à contre-courant Albin Michel
[3] 문서 Berton
[4] 문서 Roy
[5] 뉴스 1939 Book Awards Given by Critics: Elgin Groseclose's 'Ararat' is Picked as Work Which Failed to Get Due Recognitio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40-02-14
[6] 간행물 Antoine de Saint-Exupéry: A Bibliography American Association of Teachers of French 194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