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식가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식가옥은 일제강점기(1910~1945년) 당시 한반도에 일본인들에 의해 건축된 일본식 가옥을 의미한다. 주로 항구나 철도역 주변에 건설되었으며, 지진에 강한 구조로 100년 이상 보존된 건축물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구 히로쓰 가옥(군산), 정란각(부산), 초량동 일본식 가옥(부산) 등이 있으며, 부산, 목포, 군산 등 일제강점기 주요 도시에서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건축물 - 유토피아추모관
    유토피아추모관은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고 유명 인사들이 안장된 추모 시설이며, 국가직무능력표준 집필 참여, VR/AR 기술융합 지원 대상 기업 선정, 국제적인 수상 등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연예/방송계 및 체육계 인사들이 안치되어 있으며, 영화 촬영 장소로도 활용되는 문화적 가치를 지닌 곳이다.
  • 대한민국의 건축물 - 적산가옥
    적산가옥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일본인들이 남기고 간 가옥으로, 대한민국 정부에 귀속되어 한때 철거 대상이었으나 현재는 근대 문화 유산으로 보존되며, 일본 건축 양식에 한국 및 서양 요소가 혼합된 특징을 갖고 일부 지역에서는 관광 자원으로 활용된다.
  •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는 2006년부터 2011년까지 지정된 문화재로, 일제강점기 건축물, 철도 관련 유물, 태극기 등 근현대사를 보여주는 다양한 유형의 문화유산을 포함하며, 일부는 보물로 승격되거나 지정 해제되기도 하였다.
  •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701호 ~ 제800호)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701호 ~ 제800호)는 2017년부터 2024년까지 문화재청에 등록된 문화재 목록으로, 건축물, 유물, 기록물 등 다양한 유형의 문화재를 통해 한국 근현대사의 여러 모습을 보여준다.
  • 일제강점기의 건축물 - 임시수도기념관
    부산 임시수도기념관은 한국 전쟁 당시 대통령 관저로 사용되었던 역사적인 2층 건물로, 현재는 이승만 대통령 유품 등을 전시하는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부산광역시 지정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건축물 - 조선극장
    조선극장은 일제강점기 경성부에 개관하여 연극, 영화 상영 등 조선인들의 문화 향유 및 민족의식 고취에 기여했으나 화재로 소실되어 폐관되었다.
일식가옥
개요
일본식 가옥의 외관
일본식 가옥의 외관
유형주거 건축
기원일본
특징
주요 특징다다미 방
쇼지 (미닫이문)
후스마 (미닫이문)
겐칸 (현관)
엔가와 (툇마루)
지붕 기와
나무 구조
역사적 배경
발달 시기나라 시대에서 헤이안 시대에 걸쳐 발전
영향불교 건축
신도 건축
구조
기초지반 위에 직접 세우는 방식
습기와 지진에 대비한 구조
재료나무 (기둥, 보, 벽)
흙 (벽)
종이 (쇼지, 후스마)
짚 (다다미)
공간 구성다다미를 기준으로 하는 공간 분할
가변적인 공간 활용 (후스마, 쇼지)
디자인 요소
정원자연을 모방한 축경식 정원
돌, 물, 식물 등을 활용
장식족자
꽃꽂이
도자기
현대의 일본 가옥
변화서양식 생활 양식의 도입
아파트, 맨션 등 공동 주택 증가
전통 계승다다미 방, 쇼지 등 전통 요소 유지
자연 소재 사용
한국 내 일식 가옥
잔존 배경일제강점기 시대에 지어진 일본인 거주 주택
특징일본 주택의 형태를 유지하며, 한국 건축 양식과 혼합된 형태를 보이기도 함
보존 및 활용근대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보존되거나, 카페, 식당 등으로 활용되는 사례가 있음

2. 상세

2. 1. 특징

적산가옥은 일제강점기(1910~1945년) 당시 한반도에 걸쳐 일본인들에 의해 건축된 일본식 가옥이다.[7] 건설된 장소는 주로 항구철도역 주변에 집중되어 있다. 지붕에 기와를 쓰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방 배치는 일본 전통 주택과 거의 동일하다. 일본식 건축 비법답게 지진이 적은 지역에 지어져 100년 넘게 보존된 건축물들이 많다.[7] 거주민들의 상황에 따라 벽이나 기둥 등을 제거하거나 한국형 바닥 난방 시스템인 '온돌'을 설치하여 개조한 가옥도 있다.[8]

2. 2. 현황 및 보존

3. 주요 보존 건축물 (대한민국 등록문화재)

모두 대한민국 등록문화재로 등록되어 있다.
구 히로쓰 가옥 (군산)1935년에 군산의 부호 히로쓰 기치사부로가 건축한 2층 목조 가옥이다. 등록문화재 제183호로 등록되었다.[3]
정란각 (부산)문화공간 수정 또는 부산 수정동 일본식 가옥이라고도 한다. 1943년에 자산가 오하라 다메오하라 다메/小原為일본어의 자택으로 건설되었다.[4] 2층 목조 가옥이다. 해방 이후 고급 요정으로 사용되었지만, 2007년 등록문화재 제330호로 등록되었다. 그 후, 복구 공사를 거쳐 2016년 6월에 일반 공개가 시작됨과 동시에, 가옥을 견학하면서 차를 마실 수 있는 찻집 및 게스트하우스로 운영되고 있다.[5]
초량동 일본식 가옥 (부산)부산광역시에 있는 일제강점기 건축물이다. 1925년에 건축되었으며, 당시 부산의 토목 공사에 기여한 다나카 후데키치(田中筆吉)의 자택이었다. 이 때문에 다나카 가옥이라고도 불린다. 1931년, 1945년에 증개축되었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초량역에서 도보 5분 거리에 있다. 2007년 등록문화재 제349호로 등록되었다.

3. 1. 구 히로쓰 가옥 (군산)

1935년에 군산의 부호 히로쓰 기치사부로가 건축한 2층 목조 가옥이다. 등록문화재 제183호로 등록되었다.[3]

3. 2. 정란각 (부산)

문화공간 수정 또는 부산 수정동 일본식 가옥이라고도 한다. 1943년에 자산가 오하라 다메오하라 다메/小原為일본어의 자택으로 건설되었다.[4] 2층 목조 가옥이다. 해방 이후 고급 요정으로 사용되었지만, 2007년 등록문화재 제330호로 등록되었다. 그 후, 복구 공사를 거쳐 2016년 6월에 일반 공개가 시작됨과 동시에, 가옥을 견학하면서 차를 마실 수 있는 찻집 및 게스트하우스로 운영되고 있다.[5]

3. 3. 초량동 일본식 가옥 (부산)

부산광역시에 있는 일제강점기 건축물이다. 1925년에 건축되었으며, 당시 부산의 토목 공사에 기여한 다나카 후데키치(田中筆吉)의 자택이었다. 이 때문에 다나카 가옥이라고도 불린다. 1931년, 1945년에 증개축되었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초량역에서 도보 5분 거리에 있다. 2007년 등록문화재 제349호로 등록되었다.

4. 현존하는 도시

부산광역시, 목포시, 군산시 등 일제강점기 주요 항구 도시와 철도 교통 요지에 적산가옥(赤産家屋일본어)이 많이 남아 있다.

4. 1. 주요 도시

부산광역시, 목포시, 군산시 등지에 일식가옥이 많이 남아 있다.

5. 과제 및 전망

참조

[1] 서적 世界の国々を調べる 古今書院
[2] 서적 世界の国々を調べる 古今書院
[3] 웹사이트 旧広津家屋(新興洞日本式家屋) http://www.seoulnavi[...] 2017-11-16
[4] 웹사이트 小原為住宅 貞蘭閣 http://nekonote.jp/k[...] 2017-11-16
[5] 웹사이트 文化空間水晶・釜山水晶洞日本式家屋 http://www.pusannavi[...] 2017-11-16
[6] 웹사이트 釜山・その他の建物 http://liumeiuru.hac[...] 2017-11-16
[7] 서적 世界の国々を調べる 古今書院
[8] 서적 世界の国々を調べる 古今書院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