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차 함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차 함수는 정의역과 공역이 실수 집합인 함수로, f(x) = ax + b의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a는 기울기, b는 y절편을 나타내며, a=0일 경우 상수 함수가 된다. 일차 함수의 그래프는 직선이며, 기울기의 양수/음수 여부에 따라 우상향/우하향한다. 일차 함수는 기울기-절편 형식, 점-기울기 형식, 두 점 형식 등으로 표현 가능하며, 선형 방정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일차 함수는 단조 함수이며, 아핀 변환과 선형 변환의 기초가 된다. 또한, 연속 함수이자 미분 가능한 함수이며, 테일러 전개 및 평균값 정리와도 연관된다. 일차 함수는 연산에 닫혀 있으며, 일반화하여 다변수 함수, 아핀 사상 등으로 확장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수 방정식 - 이차 함수
    이차 함수는 f(x)=ax^2+bx+c (a\ne0) 꼴의 차수가 2인 다항함수로서 포물선 형태의 그래프를 가지며 다양한 수학적 성질과 응용 분야를 가진다.
  • 함수 방정식 - 삼차 함수
    삼차 함수는 최고차항의 차수가 3인 다항 함수로, 연속 함수이므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가지며, 그래프는 변곡점에 대해 대칭적인 특징을 갖는다.
  • 초등대수학 - 이차 방정식
    이차 방정식은 최고차항이 2차인 대수 방정식으로, ax^2 + bx + c = 0 형태로 표현되며 근의 공식으로 해를 구하고 판별식에 따라 실근 또는 허근을 가지며 여러 분야에 응용된다.
  • 초등대수학 - 방정식
    방정식은 수학에서 두 식이 등호로 연결된 형태로, 미지수의 값을 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어 여러 수학 및 과학 분야에서 활용된다.
  • 다항식 - 르장드르 다항식
    르장드르 다항식은 르장드르 미분 방정식의 해로 정의되는 직교 다항식 계열로, 생성 함수, 로드리게스 공식, 또는 점화식을 통해 정의될 수 있으며, 물리학, 공학, 수치해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 다항식 - 행렬식
    행렬식은 정사각 행렬에 대해 정의되는 값으로, 선형 방정식의 해를 구하고 선형 독립성을 확인하며 기저의 방향과 부피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며, 가우스 소거법 등의 계산 기법과 가역성 판단, 고유값 연관성 등의 성질을 갖는다.
일차 함수
함수 개요
종류다항 함수
차수1
형태y = ax + b (a ≠ 0)
그래프직선
특징기울기: a
y절편: b
용어 및 표기
한국어 명칭일차 함수
선형 함수 (일부 문맥에서)
영어 명칭linear function
affine function (b ≠ 0인 경우)
일본어 명칭一次関数 (이치지칸수)
로마자 표기Ichaji kansu
수학적 정의
정의1차 다항식으로 표현되는 함수
일반적인 형태f(x) = ax + b (a, b는 상수)
a = 0인 경우상수 함수
b = 0인 경우선형 함수 (원점을 지나는 직선)
그래프
특징직선의 방정식
기울기 a는 직선의 기울기를 나타냄
y절편 b는 직선이 y축과 만나는 점의 y좌표를 나타냄
기울기직선의 기울기는 x의 변화량에 대한 y의 변화량의 비율
y절편직선이 y축과 만나는 점
활용
방정식일차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데 사용
모델링선형적인 관계를 모델링하는 데 사용
근사비선형적인 관계를 선형적으로 근사하는 데 사용
참고
관련 개념다항 함수
선형 대수학
미분적분학
관련 함수이차 함수
지수 함수
로그 함수

2. 정의

정의역공역실수집합인, 다음과 같은 꼴의 함수이다.

:f(x)=ax+b

여기서 ab는 임의의 실수이다. a는 기울기, b는 y절편을 나타낸다.

y축에 평행한 직선은 상수 함수이다


x축에 수직인 직선은 일차 함수가 아니다


각 축에서의 절편


b=0이면, 일차 함수는 ''동차''라고 불린다. 이러한 함수는 좌표계의 원점, 즉 (x,y)=(0,0)을 지나는 선을 정의한다. '''정비례 함수'''는 다음과 같은 꼴의 특수한 일차 함수이다.

:f(x)=ax

여기서 a는 임의의 실수이다.

일차 함수는 다항 함수의 일종으로, 변수 의 차수가 최대 1인 함수이다.[3] 그래프 y=f(x)=ax+b는 y축과 정확히 하나의 교차점을 갖는 수직이 아닌 선으로, 이 점은 y절편 점 (x,y)=(0,b)이다. y절편 값 y=f(0)=bf(x)의 ''초깃값''이라고도 한다. 만약 a\neq 0,이면, 그래프는 x축과 정확히 하나의 교차점을 갖는 수평이 아닌 선으로, 이 점은 x절편 점 (x,y)=(-\tfrac ba,0)이다. x절편 값 x=-\tfrac ba,, 즉 방정식 f(x)=0의 해는 f(x)의 ''근'' 또는 ''영점''이라고도 한다.

기울기가 a=0이면, 이것은 수평선을 정의하는 ''상수 함수'' f(x)=b이다.

3. 성질

일차 함수 f(x) = ax + b의 그래프는 데카르트 좌표계에서 수직이 아닌 직선으로 나타난다. 특히, 정비례 함수 f(x) = ax의 그래프는 원점을 지나는 수직이 아닌 직선이다.[3]


  • 기울기 (a):
  • a가 양수이면 그래프는 우상향하고, 음수이면 우하향한다.
  • a의 절댓값이 클수록 기울기가 더 가파르다.
  • a = 0이면, 상수 함수 f(x) = b가 되어 수평선이 된다.
  • y절편 (b):
  • 그래프가 y축과 만나는 점의 y좌표이다.
  • b가 증가하면 직선은 위로, 감소하면 아래로 평행 이동한다.
  • x절편:
  • a \ne 0일 때,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로, x = -\tfrac{b}{a}이다.
  • f(x)의 영점 또는 방정식 f(x) = 0의 해이다.


일차 함수는 단사이고 전사이므로 일대일 대응이며, 따라서 역함수를 갖는다.

일차 함수는 실수 집합 위에서 아핀 변환이며, 정비례 함수는 선형 변환이다.

3. 1. 기울기

일차 함수 f(x)=ax+b기울기x 왼쪽에 붙은 상수 a를 뜻하며, 그래프와 만날 때까지 양의 x축을 반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해야 하는 각도를 \theta라고 할 때, a는 이 각도의 탄젠트와 같다. 사실, af미분이기도 하다.

:a=\frac{f(x_2)-f(x_1)}{x_2-x_1}=\tan\theta=f'(x)

선의 기울기는 \Delta x로 표기되는 x의 변화량과 이에 상응하는 \Delta y로 표기되는 y의 변화량 사이의 비율인 \tfrac{\Delta y}{\Delta x}이다.


기울기는 ''x''의 단위 변화량에 따른 f(x)의 상수 변화율을 측정한다. 입력 x가 1단위 증가할 때마다 출력은 a 단위만큼 변한다.

기울기는 직선이 ''x''축의 양의 방향(시선)과 이루는 각의 탄젠트와 같다.


직선 y=ax+b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방향각)이 \alpha라고 할 때, 이 직선의 기울기는 탄젠트 함수를 사용하여

:a = \tan(\alpha)

라고 쓸 수 있다. 또한 다른 직선 y=cx+d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이 \gamma라고 하면, 이 두 직선이 이루는 각 \theta

:\tan(\theta) = \tan(\alpha - \gamma) = \frac{\tan(\alpha) - \tan(\gamma)}{1 + \tan(\alpha)\tan(\gamma)} = \frac{a-c}{1+ac}

에서 구할 수 있다.

3. 2. 절편

일차 함수 f(x) = ax + b에서 y절편은 x = 0일 때의 값 f(0) = b이다. 이는 그래프가 y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이다. y절편 값 y=f(0)=bf(x)의 ''초깃값''이라고도 한다.[3]

a \ne 0이면, 그래프는 x축과 정확히 한 점에서 만나는데, 이 점은 x절편 점 (x,y)=(-\tfrac ba,0)이다. x절편 값 x=-\tfrac ba는 방정식 f(x)=0의 해이며, f(x)의 ''근'' 또는 ''영점''이라고 한다.

3. 3. 단조성

일차 함수는 항상 단조 함수이다. a>0이면 강한 증가 함수, a<0이면 강한 감소 함수, a=0이면 상수 함수이다.

일차 함수 f가 비퇴화 (a \ne 0)인 경우, a > 0이면 단조 증가하고, a < 0이면 단조 감소한다.[3]

3. 4. 아핀성과 선형성

일차 함수는 실수 집합 위의 아핀 변환이며, 정비례 함수는 실수 집합 위의 선형 변환이다.

함수 f\colon\mathbb R\to\mathbb R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은 서로 동치이다.

  • 임의의 x,y,t\in\mathbb R에 대하여, f(tx+(1-t)y)=tf(x)+(1-t)f(y)
  • 임의의 도함수 g\colon\mathbb R\to\mathbb R에 대하여, f\circ g 역시 도함수이다.
  • f는 일차 함수이다.


함수 f\colon\mathbb R\to\mathbb R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은 서로 동치이다.

  • 임의의 x,y,c\in\mathbb R에 대하여, f(cx+y)=cf(x)+f(y)
  • f는 정비례 함수이다.


이에 따라, 일차 함수는 실수 집합 위의 유일한 유형의 아핀 변환이며, 정비례 함수는 실수 집합 위의 유일한 유형의 선형 변환이다.

만약 b=0이면, 일차 함수는 '동차'라고 불린다. 이러한 함수는 좌표계의 원점, 즉 (x,y)=(0,0)을 지나는 선을 정의한다. 고급 수학 교재에서 "선형 함수"라는 용어는 종종 구체적으로 동차 선형 함수를 나타내고, 아핀 함수라는 용어는 b\neq0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경우에 사용된다.

4. 표현 형식

일차 함수 f(x)는 여러 가지 표준 공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가장 간단한 형태는 '''기울기-절편 형식'''이다.

:f(x)= ax+b

이 식으로부터 기울기 ''a''와 초기값 f(0)=b를 즉시 알 수 있으며, 이는 그래프 y=f(x)의 ''y'' 절편이다.[3]

기울기 ''a''와 한 점 (x_0,y_0)가 주어지면, '''점-기울기 형식'''을 다음과 같이 쓴다.

:f(x) = a(x-x_0)+y_0

이는 기울기 ''a''를 가지고 점 (x_0,y_0)을 지나는 직선 y=f(x)를 나타낸다.

두 점 (x_0,y_0)(x_1,y_1)가 주어지면, '''두 점 형식'''은 다음과 같다.

:f(x) = \tfrac{y_1-y_0}{x_1-x_0}(x-x_0) + y_0

이 그래프 y=f(x)는 두 점 (x_0,y_0), (x_1,y_1)을 지나는 유일한 직선이다.

5. 선형 방정식과의 관계

일차 함수는 일반적으로 선형 방정식 ''Ax'' + ''By'' = ''C''를 따르는 변수 ''x'', ''y''를 포함하는 문제에서 발생한다. 만약 B\neq 0이면, 이 방정식을 ''y''에 대해 풀어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y = -\tfrac{A}{B}x +\tfrac{C}{B}=ax+b

여기서 a=-\tfrac{A}{B}b=\tfrac{C}{B}로 표기한다. 즉, 일차 함수를 통해 독립 변수(입력) ''x''로부터 얻어지는 종속 변수(출력) ''y''를 고려할 수 있다. : y = f(x) = ax+b. ''xy''-좌표 평면에서 (x,y)의 가능한 값들은 함수 f(x)의 그래프인 선을 형성한다. 만약 원래 방정식에서 B=0이면, 결과적인 선 x=\tfrac{C}{A}는 수직이며 y=f(x)로 쓸 수 없다.

일차 함수가 나타내는 직선의 식은 기울기와 ''y''-절편을 제공하여 고유하게 결정되는 "기울기-절편(표준)형"이다. 좌표 평면에서 직선을 나타내는 식으로는 "점-기울기(표준)형"

: y-y_0 = a(x-x_0)

(점 (x_0, y_0)를 지나는, 단 하나의 기울기 a의 직선) 및 "일반형"

: Ax+By+C=0

(이 자체는 두 변수의 일차 방정식이다) 등이 있다.[1] 평면에서의 직선의 표준형도 참조.

일반형은 평면상의 모든 직선을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에는 ''x''-축에 수직(''y''-축에 평행)인 직선 x = c 등도 포함되지만, 이 종류의 직선의 기울기는 정해지지 않으므로 기울기를 명시적으로 사용하는 표준형으로는 나타낼 수 없으며, 일차 함수는커녕 함수도 아니다. 또한, ''x''-축에 평행한 기울기 0의 직선은 상수 함수에 해당하므로, 일차 함수 y = ax + b의 정의에 a \ne 0을 가정한다면, 이것 역시 일차 함수로는 나타낼 수 없게 된다.[1]

6. 다른 함수와의 관계

일차 함수는 변수의 차수가 1인 다항식으로 표현되거나, 변수의 계수가 0일 경우 상수 함수로 표현된다. 상수 함수는 차수가 0인 다항식 함수이기도 하다.

직선은 다른 종류의 좌표계로 나타내면 다른 함수를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로그 척도로 표현될 때 일차 함수는 지수 함수를 나타낼 수 있다. 즉, log(g(x))가 x의 일차 함수일 때, 함수 g는 지수 함수이다. 일차 함수의 경우, 입력값을 1단위 증가시키면 출력값도 고정된 양만큼 증가하는데, 이는 함수의 그래프의 기울기이다. 지수 함수의 경우, 입력값을 1단위 증가시키면 출력값이 고정된 배수만큼 증가하는데, 이를 지수 함수의 밑이라고 한다.

만약 함수의 인수와 값 ''모두'' 로그 척도에 있다면(즉, log(y)가 log(x)의 일차 함수일 때), 직선은 멱법칙을 나타낸다.

: \log_r y = a \log_r x + b \quad\Rightarrow\quad y = r^b\cdot x^a



반면에, 극좌표로 나타낸 일차 함수의 그래프는

: r =f(\theta ) = a\theta + b

a \neq 0일 경우 아르키메데스 나선이고, 그렇지 않으면 이다.

7. 해석학적 성질

일차 함수는 연속 함수이며 미분 가능하다. 일차 함수 f(x) = ax + b의 도함수는 f'(x) = a라는 상수 함수이며, 그보다 고계의 도함수는 항상 0이 된다. 특히 기울기 aa = f'(0)으로 구할 수 있다. b = f(0)이므로 이 일차 함수를

:f(x) =\frac{ f'(0)x}{1!} +\frac{f(0)}{0!}

의 형태로 쓰면, 이는 일차 함수의 테일러 전개와 다름없다. 또한 전개의 중심을 x = x_0로 변경하면

:f(x) = f'(x_0)(x-x_0) +f(x_0)

가 된다. f의 원시 함수 중 하나는

:F(x) := \frac{ax^2}{2} + bx

로 주어진다.[3]

8. 연산

계수는 적절한 또는 정역 로 한다. 두 일차 함수 에 대해, 그들의 합 를 점별 값의 합

: (f+g)(x) := f(x) + g(x) = (a+c)x + (b+d)

로 정의하면, 이는 다시 일차 함수가 된다. 일차 함수 전체는 가환군을 이룬다. 또한, 상수배 를

: (\lambda f)(x) := \lambda(f(x)) = \lambda ax + \lambda b

로 주면, 일차 함수 전체가 과 가 생성하는 2차원 벡터 공간이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점별 곱

: (f\cdot g)(x) := f(x)g(x) = acx^2 + (ad+bc)x + bd

는 또는 중 어느 하나가 상수 함수가 아닌 한 일차 함수가 아니지만, 합성

: (f\circ g)(x) := f(g(x)) = acx + (ad + b)

는 다시 일차 함수이다. 특히 이라면 일차 함수 는 의 역함수가 된다.

9. 일반화

다변수 일차 다항식이 정하는 함수

: f\colon \mathbb{R}^n \to \mathbb{R};\ (x_1,\cdots,x_n) \mapsto a_1x_1+\cdots+a_nx_n+b

도 일차 함수라고 한다. 일 때는 '''제차 일차 함수''' 또는 '''일차 형식'''(linear form)이라고 한다. 이 함수의 그래프

: \{(x_1,\cdots,x_n,y) \in \mathbb{R}^{n+1} \mid y = f(x_1,\cdots,x_n)\}

는 -차원 유클리드 공간 에서 초평면(여차원 의 아핀 부분 공간)을 그린다.

더 일반적으로, '''' 차원 벡터 공간 ''''''''에서 '''' 차원 벡터 공간 ''''''''으로의 일차 함수를 생각할 수도 있다. ''''를 ''''-차원 벡터 값 변수, ''''를 ''''-차원 정벡터, ''''를 ''''행 ''''열의 행렬이라고 할 때,

: V^n \to V^m;\ x \mapsto Ax + b

아핀 사상이라고 한다. 특히, '''' = 0일 때, 그리고 그 때에만 합과 스칼라 곱을 보존하는 선형 사상이 된다.

참조

[1] 백과사전 一次関数 平凡社 1988
[2] 서적 函数概論 https://books.google[...] 共立社書店
[3] 웹사이트 https://www.try-it.j[...]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