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임진각국민관광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진각국민관광지는 한국전쟁의 역사적 배경을 간직하고 있으며, 분단 이후 평화와 통일을 염원하는 다양한 시설과 기념물을 갖춘 관광지이다. 자유의 다리, 임진각철교, 증기기관차, 망배단, 평화의 종 등이 있으며, 한국전쟁 관련 시설로는 2ID 기념관, 괌 차모로 기념비 등이 있다. 주변에는 임진강역이 위치해 있으며, 군사적 경계 지역이므로 출입과 사진 촬영에 주의해야 한다. 매년 설날과 추석에 실향민을 위한 행사, 임진강 민속축제, 파주 장단콩 축제 등이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주시의 관광지 - 운정호수공원
    운정호수공원은 파주시 운정신도시에 신도시 개발 이전 자연환경을 보존하여 조성되었고, 황조롱이 형상 식물섬, 스카이 브릿지, 에코토리움 등의 시설과 도시 물순환 시스템 및 홍수 조절 기능, 충열의 집과 유비파크 등의 역사·문화 시설을 갖춘 시민 휴식 공간이다.
  • 파주시의 관광지 - 도라전망대
    도라전망대는 서부전선 최북단에 위치하여 비무장 지대를 조망할 수 있는 곳으로, 개성특별시, 송악산 등을 볼 수 있으며, 1998년부터 1999년까지 건립되어 망원경이 설치되어 있다.
  • 경기도의 공원 - 서울랜드
    서울랜드는 경기도 과천시 서울대공원 내에 위치한 놀이공원으로, 롤러코스터, 범퍼카 등 다양한 놀이기구와 라바와 같은 인기 캐릭터를 테마로 한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서울대공원과 연계하여 수도권 전철 4호선으로 접근 가능하다.
  • 경기도의 공원 - 관악산
    관악산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있는 높이 629m의 산으로, 험준한 봉우리와 기암절벽, 깊은 계곡으로 유명하며 효령대군과 관련된 연주대와 연주암이 있고, 도시자연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풍수지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방송 송신 시설이 위치해 있다.
  • 없는 문서를 링크하고 있는 - 알카에다
    알카에다는 압둘라 아잠에 의해 1988년 설립되어 오사마 빈 라덴이 이끌었던 국제적인 지하디스트 테러 조직으로, 샤리아 법에 기반한 세계적인 이슬람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하며 9·11 테러를 비롯한 수많은 테러에 연루되어 국제사회의 비판과 제재를 받고 있다.
  • 없는 문서를 링크하고 있는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임진각국민관광지
위치 정보
임진각 사진
임진각 사진
기본 정보
종류공원
위치경기도 파주시
개장1972년
관리 주체파주시 시설관리공단
역사
배경한국 전쟁의 아픔을 되새기고 통일을 염원하기 위해 조성됨
전쟁 기념 시설전쟁 관련 기념비, 조형물, 전시관 등이 위치
망향의 슬픔고향에 돌아가지 못하는 실향민들을 위한 공간 마련
주요 시설
임진각전망대, 기념품 판매점, 식당 등 편의 시설 위치
평화누리공원넓은 잔디밭, 조각공원, 공연장 등 문화 공간 조성
자유의 다리한국 전쟁 포로 교환 장소
증기 기관차한국 전쟁 당시 피폭된 증기 기관차 전시
망배단실향민들이 고향에 계신 부모님께 절을 올리는 곳
경기평화센터DMZ 관련 전시 및 교육 공간
접근
철도경의선 임진강역
도로자유로
기타
참고 사항많은 관광객들이 방문하는 파주의 대표적인 관광지 중 하나
DMZ 안보 관광과 연계된 코스로도 활용됨
4명의 일본계 미국인 전사자 이름이 한국 전쟁 기념비에 추가됨

2. 역사적 배경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이전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수정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3. 주요 시설 및 기념물

임진각국민관광지에는 다양한 시설과 기념물이 있다. 크게 실향민을 위한 시설, 평화와 통일을 염원하는 시설, 한국전쟁 관련 시설, 그리고 기타 시설로 나눌 수 있다.

구분시설 및 기념물
실향민 관련 시설망배단, 망향의 노래비, 내일의 기적소리, 장단역 증기기관차, 구 임진강철교 교각, 평화의 종, 미니기차 평화열차, 임진강역 내 DMZ 안보관광 신청소
평화와 통일을 염원하는 시설자유의 다리, 임진강철교, 철도중단점에 전시된 미카 증기기관차, 임진각에 전시된 여러 조각들, 아웅 산 묘소 테러 희생자 위령탑, 한국 전쟁 참전기념비, 한반도 모양으로 조성된 통일연못, 통일대교, 평화의 종, 망향의 노래비, 독개다리, 평화등대, 월경방지표지판, 판문점에 있는 도보다리를 재현한 것, 장단역 증기기관차, 평화누리(생명촛불 파빌리온, 바람의 언덕, 카페 안녕, 통일기원 돌무지, 평화의 언덕, 생명길, 음악의 언덕), 구 임진강철교 교각, 미니기차 평화열차, 임진강역 내 DMZ 안보관광 신청소, 임진각 평화곤돌라
한국전쟁 관련 시설장단역 증기기관차, 대한민국 국방부 기념비, 미 2보병사단 기념관, 187보병연대 기념비, 괌 차모로 기념비, 일본계 미국인 한국전 참전용사 기념비, 평화의 종, 망배단, 망향의 노래비, 내일의 기적소리, 구 임진강철교 교각, 미니기차 평화열차
기타 시설BEAT 131(지하벙커전시관) 전시관, 임진각휴게소, 장단콩 전시관, 임진각 평화곤돌라, 3층 전망대 (\[\[패스트푸드]], 레스토랑, 편의점, 무료 망원경), 유원지



이곳은 민간인 출입 통제 구역 밖에 있어 일반 시민이 북한에 가장 가까이 갈 수 있는 곳으로, 이산가족들이 북한의 가족을 그리며 방문하기도 한다.

3. 1. 망배단과 실향민 관련 시설

망배단은 고향이 북쪽에 있는 실향민들이 설날추석 등 명절에 북한에 있는 가족에게 존경을 표하기 위해 절을 할 수 있도록 만든 추모 시설이다.[1] 한국 전쟁 당시 헤어진 가족들의 슬픈 기억을 간직하고 있다.[1] 민간인 출입 통제 구역 바깥에 있어 일반 시민이 북한에 가장 가까이 갈 수 있는 곳이기 때문에, 이산가족이 북한의 가족을 그리워하며 방문하는 곳이기도 하다.[1]

망배단


매년 망배단에서 실향민들이 설날과 추석 때 모여 합동 제사를 지내고 있으며, 2~3월 중에는 '임진강 민속축제'가 개최되고 있다.

  • 망향의 노래비
  • 내일의 기적소리
  • 장단역 증기기관차
  • 임진강철교 교각
  • 평화의 종[1]
  • 미니기차 평화열차
  • 임진강역 내 DMZ 안보관광 신청소

3. 2. 평화와 통일을 염원하는 시설

임진각국민관광지에는 평화와 통일을 염원하는 다양한 시설들이 있다.

  • 자유의 다리
  • 임진강철교
  • 철도중단점에 전시된 미카 증기기관차

철도중단점에 전시된 미카 증기기관차

  • 임진각에 전시된 여러 조각들
  • 아웅 산 묘소 테러 희생자 위령탑
  • 한국 전쟁 참전기념비
  • 한반도 모양으로 조성된 통일연못
  • 통일대교
  • 평화의 종
  • 망향의 노래비
  • 독개다리

독개다리

  • 평화등대
  • 월경방지표지판
  • 판문점에 있는 도보다리를 재현한 것
  • 망배단
  • 내일의 기적소리
  • BEAT 131(지하벙커전시관) 전시관
  • 장단역 증기기관차
  • 평화누리
  • 생명촛불 파빌리온
  • 바람의 언덕(바람개비동산)
  • 카페 안녕
  • 통일기원 돌무지
  • 평화의 언덕
  • 생명길
  • 음악의 언덕
  • 임진강철교 교각
  • 미니기차 평화열차
  • 임진강역 내 DMZ 안보관광 신청소
  • 임진각 평화곤돌라


이곳은 민간인 출입 통제 구역 외부에 있어 일반 시민이 북한에 가장 가까이 갈 수 있는 곳이다. 이산가족들이 북한의 가족을 그리며 방문하기도 한다. 3층 전망대에는 패스트푸드, 레스토랑, 편의점 등이 있고, 옥상에는 무료 망원경이 있다. 주변은 임진각 국민관광지로 정비되어 기념물, "평화의 종", 유원지 등이 있다. "평화의 종"은 한국 전쟁에 사용된 권총이나 헬멧을 녹여 만들었다.

판문점 방문 외국인 관광객은 이전에는 이곳에서 검문을 받고 자유의 다리를 건너 들어갔지만, 현재는 "통일대교" 앞 검문소에서 여권 검사를 받는다. 많은 외국인 투어가 휴식을 위해 이곳에 들른다. 도라 전망대 등을 방문하는 한국인 대상 투어도 이곳에서 출발한다.

2020년에는 로프웨이 "파주 임진각 평화 곤돌라"가 개통되어, 주한 미군 캠프 부지를 정비한 관광지를 방문할 수 있다. (군사 보호 구역이라 탑승에는 신분증 확인 및 서약서 서명이 필요하다)

3. 3. 한국전쟁 관련 시설

임진각 평화열차

  • '''장단역 증기기관차''': 1950년 맥아더의 내륙 진격 이후 유엔군에 물자를 수송하던 군 수송 열차는 남북한 국경을 넘는 마지막 열차였다. 1950년 12월 31일 현재 북한 지역인 황해도의 한포역에서 중국군에 의해 멈춰 섰다. 되돌아갈 수 없었던 열차는 문산으로 후진하려 했지만, 열차가 북한의 손에 넘어가는 것을 우려한 미군에 의해 제지당했고, 결국 파괴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해당 기관차는 조선총독부 철도 Matei1형이었다.[5] 녹슨 채 총탄과 포탄 자국이 선명한 이 기관차는 임진강을 가로지르는 파괴된 독개다리 근처의 임진각 공원에서 찾아볼 수 있다. 2004년 이 녹슨 기관차는 문화재로 등록되었으며, 열차가 다시 자유롭게 오갈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오랫동안 닫혀 있는 국경을 시각적으로 상기시켜 준다.[5]

  • '''대한민국 국방부 기념비''': 대한민국 국방부미국 군대의 고귀한 희생과 업적을 기리고, 한국 국민을 지키기 위해 모든 것을 바친 37,000명의 사망자와 8,100명의 실종자 및 전쟁 포로를 기억하기 위해 이 기념비를 건립했다.[2][4] 1975년 10월 3일에 건립된 이 삼각형 모양의 조형물은 육군, 해병대, 공군, 해군이 서로를 지원하는 것을 상징하며, 중앙의 돌은 모든 대한민국 국민이 전쟁에서 목숨을 바친 이들의 정신을 보존한다는 것을 상징한다.[2][4]

  • '''미 2보병사단 기념관''': 제2보병사단(2ID)은 1950년 7월 23일 미국 본토에서 한국에 도착한 최초의 주요 미군 부대였다. 한 달 전 적대 행위가 시작되자 일본 이타즈케 공군 기지에서 즉시 배치된 제24보병사단의 540명 규모의 특임부대를 대체한 2ID는 곧 조선인민군(KPA)과 16일간의 전투를 벌였으며, 이 전투에서 사단의 행정병, 군악대, 기술 및 보급병들이 공격자들을 방어하기 위해 싸움에 참여하여 결국 KPA 부대를 철수시켰다.[2] 제2보병사단은 한국군으로 구성된 카투사(주한 미군 증강 한국군)가 일부 소속되어 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약 27,000명의 카투사가 한국 전쟁 기간 동안 미군과 함께 복무했다.[2] 2ID는 현재 한국에 주둔하고 있으며, 주요 임무는 한국 방어이며, 한국에 배치된 10,000명의 병력은 주한 미군 인력의 약 35%를 차지한다.[2] 임진각에 있는 2ID 기념관은 한국을 위해 목숨을 바친 2ID의 모든 용감한 장병들에게 헌정되었다.[2]

  • '''187보병연대 기념비''': 제3대대 선발대는 187보병연대 "라카산" 부대로, 1950년 9월 23일 김포 비행장에 도착하여 제1해병사단의 작전 통제를 받았다. 187연대는 1951년 3월 23일, 작전명 "토마호크"의 일환으로 한국에서 두 번째이자 마지막 낙하산 강습 작전을 수행했다.[2] 한국 전쟁 중 이 연대 소속 세 명의 군인이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다: 레스터 해먼드 주니어, 로돌포 P. 에르난데스, 그리고 리처드 G. 윌슨.[2]

  • '''괌 차모로 기념비''': 약 1,000명의 괌 원주민들이 한국 전쟁 동안 미군으로 복무했으며, 20명의 차모로인이 숭고한 희생을 치렀다.[3][2] 괌 차모로 기념비는 임진각에서 그들의 희생을 기리고 있으며, 동일한 기념비가 아가냐, 괌에 위치해 있다.[3][2]

  • '''일본계 미국인 한국전 참전용사 기념비''': 제2차 세계 대전과 마찬가지로 많은 일본계 미국인들이 동료 미국인들과 함께 한국전에 참전하기 위해 자원했다. 한국전쟁은 더 이상 인종에 따라 병력이 분리되지 않은 최초의 전쟁이었으며, 일본계 미국인들은 백인계 미국인, 아프리카계 미국인, 라틴 아메리카계 미국인, 그리고 한국군과 함께 통합 부대에 합류했다.[1][2] 일본계 미국인 한국전 참전용사 협회는 1997년 5월 24일에 한국전에서 사망한 255명의 일본계 미국인들의 이름을 새긴 기념비를 세워 그들의 노고를 기렸다.[1][2] 2001년 공식 헌정식에는 300명 이상이 참석했으며, 112명의 일본계 미국인 한국전 참전용사와 그 가족, 친구들, 다양한 한국 연방, 주 및 지방 정부 관계자, 미국 정부 대표, 언론 매체, 그리고 주한 미군 제2보병사단 사령관, 사단 군악대 및 병력이 참석했다.[1][2]

  • '''평화의 종''': 한국 전쟁에 사용된 권총이나 헬멧을 녹여서 만들어졌다.

  • '''기타 시설''': 망배단, 망향의 노래비, 내일의 기적소리, 구 임진강철교 교각, 미니기차 평화열차 등이 있다.

3. 4. 기타 시설



갤러리그리브스


DMZ생생누리

  • 망배단
  • 망향의 노래비
  • 내일의 기적소리
  • BEAT 131(지하벙커전시관) 전시관
  • 장단역 기차
  • 평화누리
  • 생명촛불 파빌리온
  • 바람의 언덕(바람개비동산)
  • 카페 안녕
  • 통일기원 돌무지
  • 평화의 언덕
  • 생명길
  • 음악의 언덕
  • 장단역 증기기관차
  • 임진강철교 교각
  • 평화의 종
  • 미니기차 평화열차
  • 임진각휴게소
  • 임진강역 내 DMZ 안보관광 신청소
  • 장단콩 전시관 → 임진각 평화곤돌라


군사 분계선 남쪽에 설정된 민간인 출입 통제 구역 외부에 위치하여, 특별한 절차 없이 일반 시민이 북한에 가장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곳이다. 따라서 이산가족이 북한에 있는 가족을 그리워하며 방문하는 곳이기도 하다.

3층짜리 전망대 안에는 패스트푸드나 레스토랑, 편의점 등이 있으며, 옥상 전망대에는 무료 망원경 등이 있다. 또한 주변은 임진각 국민관광지로 정비되어 있으며, 세계 각지의 전장의 돌을 모아 만든 기념물과, 한국 전쟁에 사용된 권총이나 헬멧을 녹여서 만들어진 "평화의 종", 유원지 등이 있다.

판문점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투어 등에서 민간인 출입 통제 구역 내부로 들어가는 경우, 이전에는 이곳에서 검문을 받고 자유의 다리를 건너 구역에 들어갔지만, 현재는 임진각 앞 임진강에 놓인 "통일대교" 앞 검문소에서 접수를 하고 여권 검사를 받아야 한다. 또한, 많은 외국인 투어가 휴식을 목적으로 들르는 장소이기도 하다.

또한, 위와는 별도로, 한국인도 참여 가능한 도라 전망대 등을 방문하는 투어도 이곳에서 출발한다.

2020년, 맞은편 민간인 출입 통제 구역과의 사이에 로프웨이 "파주 임진각 평화 곤돌라"가 개통되어, 주한 미군 캠프 부지를 정비한 관광지를 방문할 수 있다. (다만, 군사 보호 구역이라는 특성상, 탑승에는 신분증에 의한 본인 확인 및 서약서에 서명이 필요하다)

3. 5. 국제적 기념물 (참고)

미군 제2보병사단(2ID)은 1950년 7월 23일 미국 본토에서 한국에 도착한 최초의 주요 부대였다. 이 부대는 조선인민군과의 전투에서 사단의 행정병, 군악대, 기술 및 보급병들까지 전투에 참여하여 적을 물리쳤다고 한다. 2ID에는 한국군으로 구성된 카투사(주한 미군 증강 한국군)가 일부 소속되어 있으며, 약 27,000명의 카투사가 한국 전쟁 기간 동안 미군과 함께 복무했다. 현재 한국에 주둔하고 있는 2ID의 주요 임무는 한국 방어이며, 한국에 배치된 10,000명의 병력은 주한 미군 인력의 약 35%를 차지한다. 임진각에 있는 2ID 기념관은 한국을 위해 목숨을 바친 2ID의 모든 용감한 장병들에게 헌정되었다.[2]

187보병연대 "라카산" 부대 제3대대 선발대는 1950년 9월 23일 김포 비행장에 도착하여 제1해병사단의 작전 통제를 받았다. 187연대는 1951년 3월 23일, 작전명 "토마호크"의 일환으로 한국에서 두 번째이자 마지막 낙하산 강습 작전을 수행했다. 한국 전쟁 중 이 연대 소속 세 명의 군인이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다.

약 1,000명의 괌 원주민들이 한국 전쟁 동안 미군으로 복무했으며, 20명의 차모로인이 희생되었다. 괌 차모로 기념비는 임진각에서 그들의 희생을 기리고 있으며, 동일한 기념비가 아가냐, 괌에 있다.[3][2]

주한 해리 해리스 대사가 JAKWV 기념관에서


많은 일본계 미국인들이 제2차 세계 대전과 마찬가지로 한국전에 참전하기 위해 자원했다. 한국전쟁은 인종에 따라 병력이 분리되지 않은 최초의 전쟁이었으며, 일본계 미국인들은 통합 부대에 합류했다. 일본계 미국인 한국전 참전용사 협회는 1997년 5월 24일에 한국전에서 사망한 255명의 일본계 미국인들의 이름을 새긴 기념비를 세워 그들의 노고를 기렸다. 2001년 공식 헌정식에는 300명 이상이 참석했다.[1][2]

대한민국 국방부는 미국 군대의 고귀한 희생과 업적을 기리고, 한국 국민을 지키기 위해 모든 것을 바친 37,000명의 사망자와 8,100명의 실종자 및 전쟁 포로를 기억하기 위해 이 기념비를 건립했다. 1975년 10월 3일에 건립된 이 삼각형 모양의 조형물은 육군, 해병대, 공군, 해군이 서로를 지원하는 것을 상징하며, 중앙의 돌은 모든 대한민국 국민이 전쟁에서 목숨을 바친 이들의 정신을 보존한다는 것을 상징한다.[2][4]

4. 주변 교통

경의선 임진강역에서 도보 10분 거리에 있다(도라산역 입장 시 별도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6]


  • 058번 (문산↔마정): 임진각 관광지에서 도보 5분 거리[6]
  • 909번 (문산↔서울역), 9710번 (문산↔명동입구): 문산 터미널 하차 → 058번 버스 환승 → 임진각 관광지 하차. 도보 5분 거리[6]


서울역연신내구파발 → 관산동 → 문산 → 임진각 (국도 제1호선의 종착점) 자유로 → 문산 나들목 → 임진각[6]

5. 경비 관련 주의사항

민간인이 출입할 수 있는 지역이지만, 민간인 통제 구역 내부나 시설에 무단으로 출입하거나 카메라를 들이대는 것은 금지되어 있으며, 발각 시에는 총격을 받을 수도 있다. 이는 도라 전망대 등 북한과의 국경에 가까운 장소에서도 마찬가지이다.

6. 주요 행사

임진각에서는 매년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실향민들은 설날추석 때 망배단에 모여 합동 제사를 지낸다.[1] 2~3월 중에는 '임진강 민속축제'가 개최된다.[1] 이 외에도 '파주 장단콩 축제' 등이 매년 열렸으며,[1] 한시적으로 '2006 세계평화축전', 'MBC 가요대제전' 등의 행사도 개최되었다.[1] 매년 이곳에서 타종 행사도 열린다.[1]

참조

[1] 뉴스 Names of 4 JA KIAs to Be Added to War Memorial in South Korea https://rafu.com/201[...] Rafu Shimpo 2015-03-11
[2] 서적 Korean War Memorials in Pictures https://m.korea.kr/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2010
[3] 뉴스 Korean War gives me purpose https://www.postguam[...] Guam Daily Post 2021-06-26
[4] 웹사이트 South Korea – US – Pres Harry S Truman https://koreanwarmem[...]
[5] 뉴스 The Old Locomotive That Tells a Gloomy Tale of the Korean War https://www.warhisto[...] War History Online 2019-04-16
[6] 웹사이트 Imjingak http://en.paju.g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