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임해군 (행정 구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해군은 중국의 옛 행정 구역으로, 257년 오나라가 회계군 동부를 분할하여 설치했다. 서진 시대에는 8개 현을 관할했으며, 이후 동진, 유송, 남제 시대를 거치며 영가군으로 분리되는 등 행정 구역의 변화를 겪었다. 당나라 시대에는 태주로 개명되기도 했으며, 758년 군현제가 폐지된 후 주현제로 바뀌었다. 임해군은 강남도와 강남동도에 속했으며, 절동관찰사가 통치했다.

2. 역사

257년(태평 2년), 삼국시대 오나라회계군 동부를 분할하여 임해군을 설치하면서 양주에 속하게 되었다.[1]

진나라 때 임해군은 장안, 임해, 시풍, 영녕, 영해, 송양, 안고, 횡양의 8개 현을 관할했다.[2]

남조 송나라와 남조 제나라 때 임해군은 장안, 임해, 시풍, 영해, 낙안의 5개 현을 관할했다.[3][4]

589년(개황 9년), 수나라가 남조 진나라를 멸망시키면서 임해군은 폐지되어 처주에 편입되었다. 592년(개황 12년) 처주는 괄주로, 607년(대업 3년)에는 영가군으로 개칭되었다.[5]

621년(무덕 4년), 당나라이자통을 평정하면서 영가군 임해현이 해주로 개명되었고, 임해, 장안, 시풍, 낙안, 영해의 5개 현을 관할했다. 이듬해 태주로 개칭되었다. 742년(천보 원년)에는 임해군으로, 758년(건원 원년)에는 다시 태주로 개칭되면서 임해군의 명칭은 사라졌다.[6]

2. 1. 오, 서진 시대

257년(오 폐제 태평 2년) 회계군 서부도위가 군으로 독립되면서 설치되었다.[7] 280년(서진 무제 함녕 6년), 서진이 오나라를 정복하면서 서진의 땅이 되었다. 서진대 임해군은 8현 18,000호를 거느렸다.[8][9]

서진대 임해군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장안章安타이저우시 자오장구 장안가도(章安街道) 일대본래 회포현이었으나, 87년(후한 장제 장화 원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임해臨海타이저우시 린하이시257년 장안현에서 분리신설되었다.
시평始平타이저우 시 톈타이 현191년(후한 헌제 초평 2년) 장안현에서 분리신설되었다. 280년에 시풍현(始豐縣)으로 개명되었다.
영녕永寧원저우시 루청구본래 장안현 동구향(東甌鄕)이었는데 138년(영화 3년)에 현으로 승격했다.
영해寧海닝보시 닝하이현 하완촌(下刓村) 북쪽 산280년 장안현에서 분리신설되었다.
송양松陽리수이 시 쑹양 현 서북 고시진(古市镇)203년(후한 헌제 건안 8년)에 신설되었다.
나양羅陽원저우시 뤼안시 용성촌(龍星村) 일대222년(손권 황무 원년) 장안현에서 분리신설되었다. 268년(오 말제 보정 3년) 안양현(安陽縣)으로 개명되었고, 280년에 안고현(安固縣)으로 개명되었다.
횡양橫陽원저우시 핑양현283년(서진 무제 태강 4년) 안고현의 황서선둔(橫藇船屯)이 시양현(始陽縣)으로 분리되었다. 284년(서진 무제 태강 5년) 시양현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2. 2. 동진, 유송, 남제 시대

323년(동진 명제 태녕 원년), 임해군의 영녕, 안고, 송양, 횡양 4현이 영가군으로 분리되면서 군역이 지금의 타이저우시 일대로 축소되었다. 454년(유송 문제 효건 원년)부터 459년(유송 효무제 대명 3년), 464년(유송 효무제 대명 8년)부터 465년(유송 전폐제 영광 원년)까지 총 7년 동안 일시적으로 동양주가 신설되자 동양주의 속군이 되었다. 유송대 임해군은 5현 3,961호 24,226명을 거느렸다. 임해군에서 건강까지 2,019리 거리였다.[9][10]

유송남제 시대 임해군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장안현章安縣타이저우시 자오장구 장안가도(章安街道) 일대
임해현臨海縣타이저우시 린하이시
시풍현始豐縣타이저우 시 톈타이현
영해현寧海縣닝보시 닝하이현 하완촌(下刓村) 북쪽 산
낙안현樂安縣타이저우시 셴쥐현374년(동진 효무제 영강 2년) 시풍현 남부지방이 분리되면서 설치되었다.


  • 유송대와 남제 시대에 임해군은 장안, 임해, 시풍, 영해, 낙안 5개현을 동일하게 관할했다.[3][4]

2. 3. 양, 진 시대

257년(태평 2년), 삼국 시대 오나라에 의해 회계군 동부를 분할하여 임해군이 설치되었다[1]。임해군은 양주에 속했다.

진나라 때, 임해군은 장안, 임해, 시풍, 영녕, 영해, 송양, 안고, 횡양의 8개 현을 관할했다[2]

562년(진 문제 천가 3년) 폐지된 동양주가 재설치되면서 동양주로 내속되었다.[11] 수나라진나라를 멸망시킨 뒤 주현제가 실시되면서 폐지되었고, 임해군에 속했던 현은 임해현(臨海縣)으로 통폐합되어 처주(處州)로 편입되었다.[12]

2. 4. 당 시대

621년(당 고조 무덕 4년), 이자통을 토벌한 당나라가 영가군 임해현에 '''해주(海州)'''를 두었고, 폐지된 임해, 장안, 시풍, 낙안, 영해 5현을 다시 두어 해주가 통치하게 했다. 622년(당 고조 무덕 5년) 해주가 '''태주(台州)'''로 개명되었다. 623년(당 고조 무덕 6년) 보공석에 의해 함락되었으나 624년(당 고조 무덕 7년) 그를 진압하면서 다시 당나라가 통치하게 되었다. 그리고 영해현이 장안현에 통폐합되었다. 625년(당 고조 무덕 8년) 시풍, 낙안 2현이 임해현에 통폐합되었다. 634년(당 태종 정관 8년) 시풍현이 복치되었다. 689년(당 예종 영창 원년) 영해현이 복치되었다. 706년(당 중종 신룡 2년) 상산현(象山縣)이 분리신설되었다. 742년(당 현종 천보 원년) 일시적으로 군현제가 재실시되면서 태주가 임해군으로 개명되었다. 그러나 758년(당 숙종 건원 원년) 군현제가 폐지되고 주현제가 실시되면서 다시 태주로 돌아갔다.[13]

본래 강남도에 속했지만, 강남동도가 신설되자 강남동도에 속했고, 도가 폐지되고 절도사가 신설된 이후엔 '''절동관찰사(浙東觀察使)'''가 통치하게 되었다. 초창기에는 임해, 시풍의 2현을, 천보연간에는 6현을 통치했다. 현 아래 설치된 향은 개원연간에는 115향, 원화연간에는 95향이 있었다.

초창기 태주에는 6,583호 35,383명, 개원연간에는 5만 호, 천보연간에는 83,868호 489,015명이 살았다. 개원연간에는 말린 생강(乾薑) 300근, 상어가죽을 공납으로 바쳤지만, 원화연간에는 갑향(甲香) 30근, 상어가죽 100장(張)을 공납으로 바쳤다.[13][14]

당나라 시기 임해군(태주)의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임해현臨海縣타이저우시 린하이시
당흥현唐興縣타이저우시 톈타이현621년 복치되었다. 625년 임해현에 통폐합되었다. 634년 복치되었다가 675년(당 고종 상원 2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황암현黃岩縣타이저우시 황옌구675년 임해현에서 분리신설되었다. 본래 영녕현(永寧縣)이었지만, 690년(무주 측천무후 천수 원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낙안현樂安縣타이저우시 셴쥐현621년 복치되었지만 625년 임해현에 통폐합되었다. 675년 재설치되었고, 치소는 맹계(孟溪)에 두었다.
영해현寧海縣닝보시 닝하이현621년 복치되었을 당시엔 지금의 타이저우시 싼먼현 남산(南山)에 있었는데, 624년 장안현에 통폐합되었다. 689년(당 예종 영창 원년) 본래 영해현이 있던 닝하이현 일대로 옮겨져 재설치되었다.
상산현象山縣닝보시 샹산현706년 월주 은현과 태주 영해현에서 분리신설되었다. 764년(당 대종 광덕 2년) 명주(明州)로 옮겨졌다.[15]


참조

[1] 서적 三国志
[2] 서적 晋書
[3] 서적 宋書
[4] 서적 南斉書
[5] 서적 隋書
[6] 서적 旧唐書
[7] 서적 삼국지 https://zh.wikisourc[...]
[8]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9] 서적 송서 https://zh.wikisourc[...]
[10] 서적 남제서 https://zh.wikisourc[...]
[11]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12] 서적 수서 https://zh.wikisourc[...]
[13] 서적 구당서 https://zh.wikisourc[...]
[14] 서적 원화군현도지 https://zh.wikisourc[...]
[15] 서적 신당서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