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입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입다는 길르앗 사람이자 이스라엘의 지도자였으며, 그의 어머니는 창녀였다. 그는 이복형제들에게 쫓겨난 후 돕 땅에서 생활하며 무리의 지도자가 되었다. 암몬과의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맹세한 입다는, 집에 돌아왔을 때 처음으로 그를 맞이한 외동딸을 번제물로 바쳐야 했다. 이후 에브라임 지파와의 갈등에서 4만 2천 명을 죽이는 사건이 있었고, 그는 이스라엘을 6년 동안 다스린 후 사망했다. 입다의 이야기는 여러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으며, 성경과 후대 평가에서 다양한 관점으로 해석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판관 - 삼손
    삼손은 구약성서의 판관기에 등장하는 인물로, 나실인으로서 초인적인 힘을 지녔지만, 데릴라의 배신으로 힘을 잃고 블레셋 신전을 무너뜨리는 활약을 펼쳤다.
  • 판관 - 아나트
    아나트는 고대 근동, 특히 우가리트 신화에 등장하는 호전적인 성격의 전사 여신으로, 바알의 자매이자 연인으로 숭배받았으며, 이슈타르, 아스타르테, 아테나 등과 동일시되기도 하고 이집트에서도 숭배되었다.
  • 인신공희 - 이광리
    이광리는 전한 무제 시기의 장군으로, 대완 정벌과 흉노와의 전쟁에서 활약했으며, 두 차례 대완 원정을 통해 한혈마를 얻었으나 흉노에 투항하여 죽음을 맞이했다.
  • 인신공희 - 이도메네우스
    이도메네우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크레타 왕가의 인물로, 아게노르 가문, 에우로페 납치, 미노타우로스 퇴치 등 크레타 관련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직접적인 전승은 많이 남아있지 않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입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553년 Guillaume Rouillé의 'Promptuarium Iconum Insigniorum'에 실린 초상화
출신 언어히브리어
원어 이름יפתח
이전 지도자야이르
다음 지도자입산
로마자 표기Yiftach
그리스어 표기Ιεφθάε
영어 표기Jephthah, Jephta, Jephte
종교야훼교
성경 속 정보
언급 성경 구절사사기 12장 7절
기타
관련 인물입다의 딸
관련 연구"소수 판관" 재평가

2. 배경

입다는 판관들이 다스리던 시대에 활동했다. 이스라엘 백성은 주변 민족들의 침략과 압제에 시달렸으며, 종교적으로도 타락하여 하나님을 떠나 이방 신들을 섬기는 일이 빈번했다.[3]

사사기에 따르면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에게서 등을 돌리고 우상을 숭배했기 때문에, 하나님은 암몬 사람들에게 18년 동안 이스라엘 백성을 괴롭힘을 당하게 하였다.[3] 이스라엘 백성은 우상을 제거하고 하나님께 자비를 구했다.

2. 1. 출생과 성장

입다는 길르앗 사람이었고, 창녀의 아들이었다.[1] 이복형제들에게 쫓겨나 돕 땅에서 생활하며, 그를 따르는 무리의 지도자가 되었다.[1] 일본어 위키백과에서는 그가 장자였을 가능성을 제시하며, 이스라엘에서 첩의 소생이라도 장자의 권리로 상속 재산을 받을 수 있었음을 언급한다.[1]

입다의 어머니는 기생이었다.[1] 그러나 이복형제들에게 상속 재산을 받지 못하도록 쫓겨났고, 나중에 이스라엘의 지도자가 되었다는 점에서 사생아가 아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1] 사사기 11:1, 2[1] 사생아는 야훼의 회중에 들어올 수 없었기 때문이다.[1] (신명기 23:3[1]) 아마도 그의 어머니는 길르앗의 첩이 되기 전에 기생이었을 것이다.[1]

입다가 이복형제들에게 상속 재산을 받지 못하도록 쫓겨난 것은 그가 장자였음을 시사한다.[1] 이스라엘에서는 첩의 소생이라도 장자의 권리로 상속 재산을 두 배 받을 권리가 있었다.[1] (신명기 21:15-17[1]) 그의 상속분은 모세 율법에 의해 보호되었으므로, 그가 상속분을 받지 못하게 하려면 집에서 쫓아내는 것밖에 방법이 없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1]

입다의 이복형제들은 장로들 중에서도 저명한 인물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1] (사사기 11:7[1])

3. 암몬과의 전쟁

이스라엘 민족이 다시금 하나님의 눈에 벗어나자, 암몬인들과 블레셋인들이 이스라엘을 억압했다. 특히 암몬인들은 길르앗을 지속적으로 침범하고 약탈했다.[3] 이에 길르앗의 이스라엘 백성들은 암몬인들을 물리치는 사람을 통치자로 삼겠다고 결의한다.

당시 힘이 장사였던 입다는 길르앗 출신 아버지와 창녀 사이에서 태어난 사생아로,[38] 이복형제들에게 쫓겨나 토브 땅에 정착해 암몬의 지배에 저항하는 사람들의 지도자가 되었다.[4] 길르앗 장로들은 입다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입다는 암몬을 물리치면 자신을 지도자로 삼아달라는 조건을 걸었다. 장로들은 미스바에서 이 조건을 수락하고 계약을 맺었다.

입다는 먼저 암몬 왕에게 서신을 보내 이스라엘 침략 이유를 물었고, 암몬 왕은 이스라엘이 과거에 암몬 땅을 빼앗았다고 주장하며 반환을 요구했다. 입다는 이스라엘이 암몬 땅을 침범하지 않았고, 문제의 땅은 아모리인들의 영토였으며, 야훼의 권능으로 이스라엘에게 주어졌고, 암몬이 300년간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반박했다. (자세한 내용은 외교적 노력 참조)

암몬 왕이 반박을 거부하자, 입다는 하나님께 암몬을 이기게 해주면 귀가 시 처음 마중 나온 이를 번제물로 바치겠다고 맹세한다.[38] 그리고 그는 전쟁에서 승리한다. 그러나 집에 도착했을 때 그를 마중 나온 것은 그의 외동딸이었다. 입다는 후회와 눈물 속에 맹세를 수행한다.[5][6][7][8] (자세한 내용은 섣부른 서약과 승리 참조)

이후 입다는 길르앗 사람들을 모아 암몬과의 전쟁을 원조하지 않은 에브라임 지파 사람들을 공격해 무찌른다. 길르앗 군은 에브라임 지역의 요르단강 나루를 차지하고, 도망치는 에브라임 사람들에게 "쉽볼렛"이라고 말하게 하여 발음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이들을 잡아 죽였다.[39] 이렇게 죽은 에브라임 사람은 42,000명에 달했다.

3. 1. 외교적 노력

입다는 본격적인 전쟁에 앞서 암몬 왕에게 사신을 보내 이스라엘을 침략하는 이유를 물었다. 암몬 왕은 이스라엘 백성이 이집트에서 나올 때 암몬의 영토를 빼앗았기 때문에 되찾으러 왔다고 답했다. 이에 입다는 다음과 같이 반박하는 서신을 보냈다.[1]

  • 이스라엘 백성은 이집트에서 나올 때 암몬의 영토를 침범하지 않았다. (사사기 11:14-18)
  • 문제의 땅은 당시 암몬의 영토가 아니라 아모리 사람들의 영토였다. (사사기 11:19-22)
  • 야훼 하나님의 권능으로 이 땅은 이스라엘에게 주어졌다. (사사기 11:23-24)
  • 암몬 사람들은 300년 동안 이 문제에 대해 이의를 제기한 적이 없었다. (사사기 11:25-27)


암몬 왕이 이러한 반박을 받아들이지 않자, 입다에게 하나님의 영이 임하여 전투가 시작되었다.[1]

3. 2. 섣부른 서약과 승리

입다는 암몬인과의 전투에 앞서, 암몬인들을 이기게 해준다면 그 대가로 집에 도착했을 때 처음으로 마중 나온 이를 야훼께 번제물로 바치겠다고 맹세한다.[38] 이는 당시 가나안 지역에 만연했던 인신공희 풍습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야훼는 입다의 간구를 들어주었고, 입다는 암몬과의 전쟁에서 큰 승리를 거둔다.

4. 입다의 딸

판관기 10장 6절부터 12장 7절에 등장하는 입다는 암몬인과의 전투에서 승리하기 위해, 집에 돌아왔을 때 처음으로 자신을 맞이하는 이를 번제물로 바치겠다고 맹세한다.[38]

전쟁에서 승리하고 돌아온 입다를 가장 먼저 맞이한 것은 그의 외동딸이었다.[5] 입다는 섣부른 서약 때문에 절망했지만, 딸은 아버지의 서약을 존중하고 희생을 받아들였다.[6] 그녀는 두 달 동안 친구들과 산에서 자신의 처녀성을 애도한 후 아버지의 서약대로 행해졌다.[7] 이후 이스라엘 여자들은 매년 4일 동안 길르앗 사람 입다의 딸을 위해 애곡하는 풍습이 생겼다.[8]

입다의 귀환. 펠레리니 지오반니 안토니오.


입다의 딸. 알렉상드르 카바넬. 1879.


18세기 프랑스의 철학자 볼테르는 이 이야기가 크레타의 장군 이도메네우스의 이야기와 유사하다고 보았다.[48] 이도메네우스는 포세이돈에게 폭풍우를 멈추게 해준다면 고향으로 돌아와 처음 보는 생명체를 제물로 바치겠다고 서약했는데, 고향에서 처음 본 것은 그의 아들이었다.

또한, 딸을 제물로 바쳤다는 점에서 아가멤논의 딸 이피게네이아와도 유사점이 있다. 조지 부캐넌은 이런 점에 주목하여 입다의 딸의 이름을 이피스로 설정했고,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역시 오라토리오 《입다》에서 같은 이름을 사용했다.[49][50]

4. 1. 희생의 의미

입다의 딸 희생 사건은 다양한 해석을 낳았다. 유사 필로의 《성서고대사》는 입다의 딸의 이름을 세일라(Seila)라고 전하며, 그녀를 이사악에 견주며 족장 시대의 주요 인물들만큼의 명예를 부여했다.[46] 탈무드에서는 이런 결과로 인해 입다를 격 낮은 판관으로 간주하며, 미드라시에서는 그가 토라를 읽었더라면 이토록 후회할 만한 맹세를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적고 있다.[47]

입다가 딸을 제물로 바치겠다고 한 것은 이스라엘 민족이 타락한 환경의 영향이라는 주장이 존재한다. 당시 이스라엘 민족은 모세 율법을 거의 망각했으며, 이와 유사하게 무분별한 맹세가 끔찍한 결과를 가져온 일들이 몇몇 기록되어 있다고 한다.[40] 이방인들과 통혼한 결과 어린아이를 제물로 바치던 풍습이 당시 입다가 맹세하는데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41] 이러한 주장은 딸의 번제를 하나님이 받아들였다고 명시되어 있지 않은 점 역시 지적한다.[42]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는 이후 이스라엘 여자들이 이 사건을 슬퍼하는 관습이 생긴 것으로부터, 하나님이 이 사건을 통해 이스라엘 민족에게 무분별한 맹세의 위험을 알려주었다고 보기도 한다.[43] 실제로 성경에 따르면, 하나님이 사람을 번제로 드리라고 명령한 일은 아브라함의 신앙을 시험하려고 명령하신 것 외에는 없다. 결국 앞일을 알지 못하는 사람이 하나님께 약속을 드린다는 것은 어리석은 것이라는 교훈을 전달한다는 것이다. 이런 관점은 판관기가 이스라엘 민족이 하나님의 규칙을 저버린 결과 백성들이 타락해 가는 과정을 보여준다는 주장에 힘을 실어준다.

4. 2. 애도 풍습

이스라엘의 여자들은 매년 나흘 동안 입다의 딸을 위해 애가를 불렀다.킹 제임스 성경』, 『구어역』, 『새번역』, 『개역개정』 등은 이 구절을 "슬퍼하다"라고 번역했지만, 『킹 제임스 성경』 주석에는 "talk with(함께 이야기하다)"라는 해석도 있다.

5. 에브라임과의 갈등

에브라임 지파 사람들은 암몬과의 전쟁에 자신들을 부르지 않았다는 이유로 입다에게 거세게 항의했다.[39] 입다는 하나님이 암몬의 손에서 구원해 주셨다는 것을 강조하며 그들을 설득하려 했으나, 에브라임 사람들은 입다를 비난하며 내전이 벌어졌다.[39]

길르앗 군대는 에브라임 지역의 요르단강 나루를 차지하고, 에브라임 사람들이 도망치다가 강을 건네달라고 하면 "쉽볼렛"이라고 말해 보라고 했다. 에브라임 사람들은 '쉽볼렛'을 제대로 발음하지 못하고 "십볼렛"이라고 발음했는데, 길르앗 군대는 이를 통해 에브라임 사람들을 식별하고 요르단강 나루턱에서 죽였다.[39] 이때 죽은 에브라임 사람의 수는 42,000명에 달했다.[39]

6. 평가 및 영향

입다는 판관기에 등장하는 인물로, 그의 이야기는 여러 평가와 문화적 영향을 낳았다.

성경에서 입다는 암몬과의 전투에서 승리하기 위해 딸을 제물로 바치겠다는 맹세를 하고, 이를 실행한 인물로 그려진다. 사무엘상에서는 그를 하나님이 보내신 구원자로, 히브리서에서는 믿음의 본으로 언급한다.

하지만 그의 맹세와 딸의 희생은 후대에 논란을 일으켰다. 일부에서는 당시 이스라엘 민족이 타락한 환경의 영향으로 이교도의 풍습에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한다.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는 이 사건을 통해 하나님이 무분별한 맹세의 위험을 경고했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탈무드미드라시에서는 입다를 격 낮은 판관으로 평가하며, 그가 토라를 읽었더라면 이런 맹세를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비판한다.

입다의 이야기는 여러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조지 부캐넌과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아가멤논의 딸 이피게네이아 이야기와의 유사성에 주목하여 작품을 만들었다. 볼테르크레타의 장군 이도메네우스 이야기와의 연관성을 언급하기도 했다.

다음은 입다 이야기를 소재로 한 주요 작품들이다.

작가작품명장르발표 연도비고
야코포 카리시미Historia di Jephta오라토리오
조지 부캐넌Jephthes, sive Votum비극1554
요스트 판 덴 본델Jeptha of Offerbelofte희곡1659부캐넌의 희곡을 네덜란드어로 재구성
존 로크Two Treatises of Government정치 및 신학 서적1689왕의 신성한 권리 비판, "하늘에 대한 호소"의 예로 입다 사용
샤를 피루아예프테비극1703
미셸 피뇨레 드 몽테클레르예프테오페라1732
모리스 그린예프타오라토리오1737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Jephtha오라토리오1751
마이어베어Jephtas Gelübde오페라1812
존 H. 휴잇예프타[36]오라토리오1846
콜린 맥앨핀서원1막 오페라1915
리온 포이흐트방거Jefta und seine Tochter (영문: Jephta and His Daughter)역사 소설1957 (독일어), 1958 (영어)
게일 카슨 레빈Ever소설2008사사기 11장 34절 인용, 청동기 시대 중동풍 사회 배경
더 레지던츠Burn, Baby Burn노래앨범 Wormwood: Curious Stories from the Bible 수록
마탄 벤-크나안Annabelle and Guy회화2015BP 초상화상 수상작[37]


6. 1. 성경 속 평가

입다의 이야기는 판관기 10장 6절에서 12장 7절까지의 내용이다. 이스라엘 민족이 다시금 하나님의 눈에 벗어나자, 암몬인들과 불레셋인들이 그들을 억압하고 짓밟았다. 암몬인들이 길르앗을 계속 침범하고 약탈하자, 길르앗의 이스라엘 백성들은 암몬인들을 물리치는 이를 통치자로 삼겠다고 결정한다.

당시 힘이 장사였던 입다는 길르앗에 거주하였고, 길르앗이라는 이름을 가진 아버지가 창녀에게서 낳은 자식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아버지의 실제 이름이 길르앗이라기보다 길르앗에 거주하던 누군가를 나타내는 표현이라는 해석도 존재한다.[38] 입다는 이스라엘 민족을 이끌고 암몬인과의 전투에 나서는데, 암몬인들을 이기게 해준다면 그 대가로 그가 집에 도착했을 때 처음으로 마중나온 이를 번제물로 바치겠다고 맹세한다. 그리고 그는 전쟁에서 승리한다.

그러나 그가 집에 도착했을 때 그를 마중나온 것은 그의 딸이었다. 이에 입다는 후회와 눈물 속에 맹세를 수행한다.

이후 입다는 길르앗 사람들을 모아 암몬인과의 전쟁을 원조하지 않은 에브라임 지파 사람들을 공격해 무찌른다. 길르앗 군은 에브라임 지역의 요르단강 나루를 차지하고 에브라임 사람이 도망치다가 건네달라고 하면, 에브라임 사람이냐고 묻고 아니라고 하면 "쉽볼렛"이라고 말해 보라고 하고 그대로 발음하지 못하고 "십볼렛"이라고 하면 잡아서 요르단강 나루턱에서 죽였다. 이렇게 하여 그 때 죽은 에브라임 사람의 수는 42,000명이라고 기록되어 있다.[39]

이후 입다는 히브리인들에게 보낸 편지 11장 32절에서 다른 판관들과 함께 언급된다.

  • 사무엘상 12장 11절에서는 읍다가 하나님이 보내신 구원자로 언급되어 있다.
  • 히브리서 11장 32절에서는 믿음의 본으로 언급되어 있다.

6. 2. 후대 평가



입다가 딸을 제물로 바치겠다고 한 것은 이스라엘 민족이 타락한 환경의 영향이라는 주장이 있다. 이러한 주장에 따르면, 당시 이스라엘 민족은 모세 율법을 거의 잊었으며, 이와 비슷하게 무분별한 맹세가 끔찍한 결과를 가져온 일들이 몇몇 기록되어 있다고 한다.[40] 이방인들과 결혼한 결과 어린아이를 제물로 바치던 풍습이 당시 입다가 맹세하는데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41] 딸의 번제를 하나님이 받아들였다고 명시되어 있지 않은 점 역시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한다.[42]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는 이후 이스라엘 여자들이 이 사건을 슬퍼하는 관습이 생긴 것으로부터, 하나님이 이 사건을 통해 이스라엘 민족에게 무분별한 맹세의 위험을 알려주었다고 보기도 한다.[43] 실제로 성경에 따르면, 하나님이 사람을 번제로 드리라고 명령한 일은 아브라함의 신앙을 시험하려고 명령하신 것 외에는 없다. 결국 앞일을 알지 못하는 사람이 하나님께 약속을 드린다는 것은 어리석은 것이라는 교훈을 전달한다는 것이다. 이런 관점은 판관기가 이스라엘 민족이 하나님의 규칙을 저버린 결과 백성들이 타락해가는 과정을 보여준다는 주장에 힘을 실어준다.

구약 시대에 대한 위서인 필로의 《성서고대사》는 입다의 딸의 이름을 세일라라고 전한다. 이 책에서 세일라는 판관기에 비해 더욱 풍부하고 위대하게 묘사되는데,[44][45] 이에 대해 저자가 세일라를 이사악에 견주며 족장 시대의 주요 인물들만큼의 명예를 과장되게 부여하고 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46]

탈무드에서는 이런 결과로 인해 입다를 격 낮은 판관으로 간주한다. 미드라시에서는 그가 토라를 읽었더라면 이토록 후회할 만한 맹세는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적는다.[47] 사무엘상 12장 11절에서는 입다가 하나님이 보내신 구원자로 언급되어 있으며, 히브리서 11장 32절에서는 믿음의 본으로 언급되어 있다.

6. 3. 문화적 영향

입다의 이야기는 여러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35]

  • 탈무드에서는 이러한 비극적인 결과로 인해 입다를 격 낮은 판관으로 간주한다. 미드라시에서는 그가 토라를 읽었더라면 이토록 후회할 만한 맹세를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적는다.[47]
  • 18세기 프랑스의 철학자 볼테르는 입다 이야기가 크레타의 장군 이도메네우스의 이야기와 유사하다는 점을 발견했다. 이도메네우스는 포세이돈에게 폭풍우를 멈추게 해준다면 고향으로 돌아와서 처음 보는 살아있는 것을 제물로 바치겠다고 서약했고, 결국 자신의 아들을 제물로 바치게 되었다. 볼테르는 두 이야기 중 하나가 다른 하나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고 보았다.[48]
  • 아가멤논의 딸 이피게네이아 이야기와도 유사점이 있다. 조지 부캐넌은 이러한 유사성에 주목하여 입다의 딸 이름을 이피스로 설정했고,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역시 오라토리오 《입다》에서 같은 이름을 사용했다.[49][50]


다음은 입다 이야기를 소재로 한 주요 작품들이다.

작가작품명장르발표 연도비고
야코포 카리시미Historia di Jephta오라토리오
조지 부캐넌Jephthes, sive Votum비극1554
요스트 판 덴 본델Jeptha of Offerbelofte희곡1659부캐넌의 희곡을 네덜란드어로 재구성
존 로크Two Treatises of Government정치 및 신학 서적1689왕의 신성한 권리 비판, "하늘에 대한 호소"의 예로 입다 사용
샤를 피루아예프테비극1703
미셸 피뇨레 드 몽테클레르예프테오페라1732
모리스 그린예프타오라토리오1737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Jephtha오라토리오1751
마이어베어Jephtas Gelübde오페라1812
존 H. 휴잇예프타[36]오라토리오1846
콜린 맥앨핀서원1막 오페라1915
리온 포이흐트방거Jefta und seine Tochter (영문: Jephta and His Daughter)역사 소설1957 (독일어), 1958 (영어)
게일 카슨 레빈Ever소설2008사사기 11장 34절 인용, 청동기 시대 중동풍 사회 배경
더 레지던츠Burn, Baby Burn노래앨범 Wormwood: Curious Stories from the Bible 수록
마탄 벤-크나안Annabelle and Guy회화2015BP 초상화상 수상작[37]


7. 죽음

초기 유대 전승에 따르면, 입다는 현재 요르단아질룬 마을에 매장되었다.[34]

참조

[1] 웹사이트 Daughter of Jephthah: Bible http://jwa.org/encyc[...] 2009-01-01
[2] 논문 The "Minor Judges" – A Re-evaluation Alan J. Hauser 1975-01-01
[3] 성경
[4] 성경
[5] 성경
[6] 성경
[7] 성경
[8] 성경
[9] 웹사이트 Jephte http://www.newadvent[...]
[10] 논문 Why the Deuteronomist Told about the Sacrifice of Jephthah's Daughter http://jot.sagepub.c[...] Sage Publications
[11] 논문 Did Jephthah Kill his Daughter? 1991-08-01
[12] 서적 Retelling the Old Testa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서적 Pseudo-Philo: Rewriting the Bible Oxford University Press
[14] 논문 Portraits of Biblical Women in Pseudo-Philo's Liber Antiquitatum Biblicarum
[15] 웹사이트 Homily 14 on the Statues http://www.newadvent[...] New advent
[16] 서적 On the Duties of the Clergy https://archive.org/[...]
[17] 웹사이트 Jephthah's Daughter: Midrash and Aggadah https://jwa.org/ency[...] 2018-07-20
[18] 웹사이트 Vayikra Rabbah 37:4 https://www.sefaria.[...] 2020-09-19
[19] 서적 Genesis rabbah
[20] 웹사이트 Jephthah (יפתח) http://www.jewishenc[...]
[21] 서적 Women's Bible Commentary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2] 논문 Did Jephthah Kill his Daughter? 1991-08-01
[23] 논문 Jephtha's Vow Reconsidered
[24] 서적 Great Cloud of Witnesses in Hebrew 11
[25] 웹사이트 Did Jephthah really sacrifice his daughter? An analysis of Judges 11:31 http://www.jba.gr/Ar[...]
[26] 논문 ʿōlāh: The Rhetoric of Burnt Offerings https://www.jstor.or[...] 2006-01-01
[27] 웹사이트 Judges 11 https://www.studylig[...] 2021-02-17
[28] 서적 The Builder: A Journal for the Masonic Student https://books.google[...]
[29] 서적 The Library of Apollodorus; with an English translation by Sir James George Frazer. v.2 https://babel.hathit[...] Harvard University Press
[30] 서적 Vergilii carmina comentarii https://www.perseus.[...]
[31] 웹사이트 Pseudo-Plutarch, De fluviis, IX. MAEANDER https://www.perseus.[...] 2023-08-19
[32] 서적 The Renaissance Bible: Scholarship, Sacrifice, and Subjectivity https://books.google[...]
[33] 서적 Sacred Dramas https://archive.org/[...]
[34] 서적 Sefer ṣohar le-ḥasifat ginzei teiman Mifʻal ḥaśifat ginze Teman
[35] 논문 Killing the daughter: Judges' Jephthah and The Jew of Malta's Barabas. https://global.oup.c[...] 2020-05-03
[36] 웹사이트 Jephtha (Hewitt, John Hill) - IMSLP: Free Sheet Music PDF Download https://imslp.org/wi[...] 2020-09-19
[37] 웹사이트 BP Portrait Award 2015 - First Prize http://www.npg.org.u[...] National Portrait Gallery 2015-06-18
[38] 웹인용 Daughter of Jephthah: Bible http://jwa.org/encyc[...] 2009
[39] 성경 판관기 12장
[40] 웹사이트 Jephtha http://www.newadvent[...] New advent
[41] 간행물 Why the Deuteronomist Told about the Sacrifice of Jephthah's Daughter http://jot.sagepub.c[...] Sage Publications
[42] 간행물 Did Jephthah Kill his Daughter? 1991-08
[43] 웹인용 Homily 14 on the Statues http://www.newadvent[...] New advent
[44] 서적 Retelling the Old Testa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45] 서적 Pseudo-Philo: Rewriting the Bib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46] 간행물 Portraits of Biblical Women in Pseudo-Philo's Liber Antiquitatum Biblicarum 1989
[47] 웹인용 Jephthah's Daughter: Midrash and Aggadah https://jwa.org/ency[...] 2018-07-20
[48] 서적 Philosophical Dictionary
[49] 서적 The Renaissance Bible: Scholarship, Sacrifice, and Subjectivity https://books.google[...] 1998
[50] 서적 Sacred Dramas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