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와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가와족은 현재 차드, 수단, 리비아에 걸쳐 분포하는 민족 집단으로, 9세기부터 역사 기록에 등장한다. 이들은 카넴-보르누 제국과 관계를 맺었으며, 한때 사헬 지역에서 패권을 행사했다. 유목 생활을 하며 이슬람교를 받아들였지만, 전통적인 사회와 문화를 유지했다. 다르푸르 전쟁 등 분쟁에 휘말리기도 했으며, 차드에서는 정치적으로 영향력이 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차드의 민족 - 투부족
투부족은 사하라 사막 지역에 거주하며 테다족과 다자족으로 구성된 민족으로, 가축을 기르고 농사를 지으며 탄산나트륨을 채취하고, 부계 씨족 중심의 사회를 이루며, 지역 분쟁에도 연루되었다. - 차드의 민족 - 푸르족
푸르족은 중앙아프리카 다르푸르 지역에 거주하며 독립적인 술탄국을 운영하다가 영국에 의해 폐지되었고, 푸르어와 아랍어를 사용하며 진흙 건축, 수공예,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 수단의 민족 - 누비아인
누비아인은 이집트 남부와 수단 북부의 나일강 중류 유역에 거주하며 고대 이집트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독자적인 왕국과 문화를 건설한 여러 민족 집단을 아우르는 명칭으로, 강력한 왕조 건설, 기독교 수용, 이슬람화, 현대의 여러 사건들을 거치며 현재 이집트와 수단에 거주하며 독특한 문화와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 - 수단의 민족 - 베자족
베자족은 수단, 에리트레아, 이집트 동부의 동부 사막 지역에 주로 거주하는 쿠시어족 유목민으로, 고대에는 블렘미족으로 불렸으며 기독교를 믿다 이슬람화되었고, 여러 씨족으로 나뉘어 일부는 아랍화되었으며, 자치를 요구하며 베자 의회를 결성하기도 했고, 베자어를 사용한다.
자가와족 | |
---|---|
일반 정보 | |
민족 이름 | 자가와족 |
인구 | 384,150명 |
거주 지역 | 서다르푸르 및 와다이 지역 |
거주 국가 | 203,754명 171,000명 9,400명 |
언어 | 자가와어 |
종교 | 수니 이슬람 |
관련 민족 | 카넴부 카누리 푸르 투부 마살리트 나일사하라족 |
2. 명칭
카넴-보르누 제국의 왕실 역사인 '''기르감'''은 자가와족을 두구와로 지칭한다. 오늘날 자가와족은 자신들을 ''베리''라고 부르며, 아랍어 화자들과 문헌에서는 그들을 "자가와"라고 지칭한다. 아프리카 민족 집단과 관련된 문헌에서, ''베리''(때로는 ''케기'')라는 용어는 차드, 수단, 리비아의 각기 다른 지역에 흩어져 있는 자가와족, 비데야트족, 베르티족을 포함한다.[6]
9세기 아랍 지리학자 야쿠비는 자가와족을 "카넴이라는 곳에 사는 자가와족"이라고 처음 언급했으며, 자가와족이 지배하는 다른 왕국들도 나열했다.[7] 역사적으로 자가와족은 차드호에서 누비아, 마쿠리아, 알로디아의 나일 계곡 왕국 사이의 사헬 지역에 걸쳐 있는 대부분의 작은 사회에 대한 일종의 지배권을 행사했다.
3. 역사
자가와족은 1천년기에 나일 지역 및 마그레브 지역과 교역을 했다. 8세기 문헌에는 차드 북부와 리비아 남부의 투부족과 함께 언급되는데,[10] 학자들은 이 두 집단이 서로 관련 있는 민족이라고 추정한다. 11세기 문헌에는 자가와 왕국의 왕들이 이슬람교를 받아들여 최소한 명목상으로는 무슬림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7]
초기 아랍 기록은 자가와족을 "검은 유목민"으로 묘사한다.[10] 12세기 지리학자 무함마드 알-이드리시와 13세기 야쿠트 알-하마위는 오아시스를 중심으로 한 시스템 주변의 자가와족의 영향력을 설명하고 카넴, 마난, 안지미의 도시를 언급한다.[10]
1270년에 글을 쓴 이븐 사'이드 알-마그리비는 사야파 왕조 통치자들이 이슬람교로 개종하고 그 지역을 정복하기 전까지 마난이 카넴 왕국의 수도였으며, 그 후 수도가 니지미로 옮겨졌다고 주장한다. 이븐 사이드는 자가와족이 마난에 계속 살았다고 기록했다.[10] 카넴의 기록에는 자가와족에 대한 언급이 없으며, 그들은 쫓겨나 현재 발견되는 지역으로 이동했을 가능성이 높다.[11] 이 지역은 '다르 자가와' 또는 "자가와족의 땅"이라고 불린다.[12]
자가와족의 세력은 차드호 지역에서 카넴의 부상으로 꺾였지만, 카넴 동쪽에 위치한 상당한 부분의 토지에 대한 지배권을 유지했으며, 14세기 후반에 맘루크 술탄국의 역사가이자 지리학자인 알-마크리시에 의해 다르푸르가 독립 국가로 언급되었다. 다르푸르와 카넴-보르누 제국의 부상 이후, 자가와족은 사막 지역만을 통제하게 되었고 주요 지역 세력으로서의 역할은 멈춘 것으로 보인다.
3. 1. 초기 역사
9세기 아랍 지리학자 야쿠비는 자가와족에 대한 초기 기록에서 그들을 "카넴이라는 곳에 사는 자가와족"이라고 묘사하고, 자가와족의 지배하에 있는 다른 왕국들을 나열했다.[7] 역사적으로 자가와족은 차드호에서 누비아, 마쿠리아, 알로디아의 나일 계곡 왕국 사이의 사헬 지역을 따라 뻗어있는 대부분의 작은 사회에 일종의 패권을 행사했다.
자가와족은 1천년기에 나일 지역 및 마그레브 지역과 교역을 했다. 8세기 텍스트에서 그들에 대한 초기 언급은 차드 북부와 리비아 남부의 투부족과 함께 이루어졌으며,[10] 학자들은 이 두 집단이 관련된 민족 집단이라고 믿는다. 11세기 텍스트는 자가와 왕국의 왕들이 이슬람교를 받아들였고, 최소한 명목상 무슬림이었다고 언급한다.[7]
초기 아랍 기록은 자가와족을 "검은 유목민"으로 묘사한다.[10] 12세기 지리학자 무함마드 알 이드리시와 13세기 야쿠트 알 하마위는 오아시스를 중심으로 한 시스템 주변의 자가와족의 영향력을 설명하고 카넴, 마난, 안지미의 도시를 언급한다.[10]
그러나 1270년에 글을 쓴 이븐 사'이드 알 마그리비는 사야파 왕조 통치자들이 이슬람교로 개종하고 그 지역을 정복하기 전까지 마난이 카넴 왕국의 수도였으며, 그 후 수도가 니지미로 옮겨졌다고 주장한다. 이븐 사이드는 자가와족이 마난에 계속 살았다고 기록했다.[10] 카넴의 기록에는 자가와족에 대한 언급이 없으며, 그들은 쫓겨나 현재 발견되는 지역으로 이동했을 가능성이 높다.[11] 이 지역은 ''다르 자가와'' 또는 "자가와족의 땅"이라고 불린다.[12]
자가와족의 세력은 차드호 지역에서 카넴의 부상으로 꺾였지만, 자가와족은 카넴 동쪽에 위치한 상당한 부분의 토지에 대한 지배권을 유지했으며, 14세기 후반에 맘루크 술탄국의 역사가이자 지리학자인 알 마크리시에 의해 다르푸르가 독립 국가로 언급되었다. 다르푸르와 카넴-보르누 제국의 부상 이후, 자가와족은 사막 지역만을 통제하게 되었고 주요 지역 세력으로서의 역할을 멈춘 것으로 보인다.
3. 2. 카넴 제국과의 관계
9세기 아랍 지리학자 야쿠비는 자가와족을 "카넴이라는 곳에 사는 자가와족"이라고 묘사하며, 자가와족의 지배하에 있는 다른 왕국들을 나열했다.[7] 역사적으로 자가와족은 차드호에서 누비아, 마쿠리아, 알로디아의 나일 계곡 왕국 사이의 사헬 지역을 따라 뻗어있는 대부분의 작은 사회에 일종의 패권을 행사했다.
자가와족은 1천년기에 나일 지역 및 마그레브 지역과 교역을 했다. 8세기 텍스트에서 그들에 대한 가장 초기의 언급은 차드 북부와 리비아 남부의 투부족과 함께 이루어졌으며,[10] 학자들은 이 두 집단이 관련된 민족 집단이라고 믿는다. 11세기 텍스트는 자가와 왕국의 왕들이 이슬람교를 받아들였고, 최소한 명목상 무슬림이었다고 언급한다.[7]
초기 아랍 기록은 자가와족을 "검은 유목민"으로 묘사한다.[10] 12세기 지리학자 무함마드 알-이드리시와 13세기 야쿠트 알-하마위는 오아시스를 중심으로 한 시스템 주변의 자가와족의 영향력을 설명하고 카넴, 마난, 안지미의 도시를 언급한다.[10]
그러나 1270년에 글을 쓴 이븐 사'이드 알-마그리비는 사야파 왕조 통치자들이 이슬람교로 개종하고 그 지역을 정복하기 전까지 마난이 카넴 왕국의 수도였으며, 그 후 수도가 니지미로 옮겨졌다고 주장한다. 이븐 사이드는 자가와족이 마난에 계속 살았다고 기록했다.[10] 카넴의 기록에는 자가와족에 대한 언급이 없으며, 그들은 쫓겨나 현재 발견되는 지역으로 이동했을 가능성이 높다.[11] 이 지역은 ''다르 자가와'' 또는 "자가와족의 땅"이라고 불린다.[12]
자가와족의 세력은 차드호 지역에서 카넴의 부상으로 꺾였지만, 자가와족은 카넴 동쪽에 위치한 상당한 부분의 토지에 대한 지배권을 유지했으며, 14세기 후반에 맘루크 술탄국의 역사가이자 지리학자인 알-마크리시에 의해 다르푸르가 독립 국가로 언급되었다. 다르푸르와 카넴-보르누 제국의 부상 이후, 자가와족은 사막 지역만을 통제하게 되었고 주요 지역 세력으로서의 역할을 멈춘 것으로 보인다.
3. 3. 다르푸르 술탄국 시대
9세기 아랍 지리학자 야쿠비는 자가와족에 대한 초기 기록에서 그들을 "카넴이라는 곳에 사는 자가와족"이라고 묘사하고, 자가와족의 지배하에 있는 다른 왕국들을 나열했다.[7] 역사적으로 자가와족은 차드호에서 누비아, 마쿠리아, 알로디아의 나일 계곡 왕국 사이의 사헬 지역을 따라 뻗어있는 대부분의 작은 사회에 일종의 패권을 행사했다.
자가와족은 1천년기에 나일 지역 및 마그레브 지역과 교역을 했다. 8세기 텍스트에서 그들에 대한 초기 언급은 차드 북부와 리비아 남부의 투부족과 함께 이루어졌으며,[10] 학자들은 이 두 집단이 관련된 민족 집단이라고 믿는다. 11세기 텍스트는 자가와 왕국의 왕들이 이슬람교를 받아들였고, 최소한 명목상 무슬림이었다고 언급한다.[7]
초기 아랍 기록은 자가와족을 "검은 유목민"으로 묘사한다.[10] 12세기 지리학자 무함마드 알-이드리시와 13세기 야쿠트 알-하마위는 오아시스를 중심으로 한 시스템 주변의 자가와족의 영향력을 설명하고 카넴, 마난, 안지미의 도시를 언급한다.[10]
그러나 1270년에 글을 쓴 이븐 사'이드 알-마그리비는 사야파 왕조 통치자들이 이슬람교로 개종하고 그 지역을 정복하기 전까지 마난이 카넴 왕국의 수도였으며, 그 후 수도가 니지미로 옮겨졌다고 주장한다. 이븐 사이드는 자가와족이 마난에 계속 살았다고 기록했다.[10] 카넴의 기록에는 자가와족에 대한 언급이 없으며, 그들은 쫓겨나 현재 발견되는 지역으로 이동했을 가능성이 높다.[11] 이 지역은 ''다르 자가와'' 또는 "자가와족의 땅"이라고 불린다.[12]
자가와족의 세력은 차드호 지역에서 카넴의 부상으로 꺾였지만, 자가와족은 카넴 동쪽에 위치한 상당한 부분의 토지에 대한 지배권을 유지했으며, 14세기 후반에 맘루크 술탄국의 역사가이자 지리학자인 알-마크리시에 의해 다르푸르가 독립 국가로 언급되었다.
4. 사회와 문화
자가와족 사회는 아프리카의 카스트 제도처럼 사회적으로 계층화되어 있었다. 상위 계층은 귀족과 전사, 그 아래는 상인과 대상인, 가장 아래에는 "하디드"(또는 "하다히드")라고 불리는 장인 카스트가 있었다.[12][16][17] 이들은 내혼을 하였으며, 세습된 직업에는 철 세공, 사냥꾼, 도자기 제작, 가죽 세공, 그리고 북 연주자와 같은 음악가 등이 포함되었다.[12][18] 일부 초기 아랍 문헌에서는 자가와족 왕족을 "상상할 수 없는 오만함을 가진 대장장이 왕"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19]
아프리카 연구 및 중세 고고학 교수인 앤 하우어에 따르면, "대장장이"라는 용어는 자가와족 문화에서 경멸적인 의미를 지니며, "대장장이로 태어나면 항상 대장장이로 남게 된다"고 한다.[20] 자가와족의 대장장이 카스트가 아닌 사람들은 대장장이 카스트와 함께 식사하거나 교류하지 않았다.[21] 최하위 계층은 노예였다. 자가와족 내 가죽 세공인 계층과 같은 사회적 계층화와 카스트는 인근 푸르족에서 발견되는 것과 유사하다.[21][22]
말리키 학파의 수니파 이슬람을 받아들였지만, 악령을 물리치기 위한 동물의 의례적 희생인 ''카라마''와 같은 이슬람 이전의 의식을 일부 유지했다.[6] 이들이 이슬람으로 개종한 시기는 13세기에서 17세기 초까지 다양하게 추정되어 논쟁의 대상이며, 합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14]
현대에는 기장과 수수와 같은 주요 작물과 참깨, 멜론, 호박, 땅콩 및 오크라와 같은 다른 식품을 재배하며 정착 생활을 한다.[7][6] 2010년대 후반, 정착해 사는 농경민과의 갈등이 고조되어 종종 사망자를 내는 규모의 무력 충돌을 일으키게 되었다. 2019년 8월에는 와다이주에서 37명 이상이 사망하는 충돌이 발생했다. 데비 대통령은 기자 회견에서 "커뮤니티 간 분쟁이 국가적 우려가 되고 있다"고 언급했다.[32]
4. 1. 전통 사회
전통적인 자가와 사회는 주로 유목 생활을 해왔으며, 말, 당나귀, 염소 및 양을 키우는 유목 부족으로 구성되어 있다.[7][14] 사이파와 왕조에 의해 축출되고 해체되기 전 절정에 달했을 때, 그들은 낙타와 말을 이용한 상인과 무역상으로 유명했으며, 일부 사하라 횡단 무역로를 통제했다.[7][13]그들은 말리키 학파의 수니파 이슬람을 받아들였지만, 악령을 물리치기 위한 동물의 의례적 희생인 ''카라마''와 같은 이슬람 이전의 의식을 일부 유지했다.[6] 그들이 개종한 세기는 논쟁의 대상이며 합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추정치는 13세기에서 17세기 초까지 다양하다.[14] 현대에는 기장과 수수와 같은 주요 작물과 참깨, 멜론, 호박, 땅콩 및 오크라와 같은 다른 식품을 재배하며 정착 생활을 한다.[7][6]
로저 블렌치는 나일-사하라어족 화자의 출현이 그린 사하라와 관련이 있다고 지적한다.[15] 유제품을 주식으로 한다. 소, 양을 기르고 낙타를 수송 수단으로 삼아 목초지나 물을 찾아 이동 생활을 한다. 가축 제품은 인근 정착민의 물품과 교환한다.
2010년대 후반, 정착해 사는 농경민과의 갈등이 고조되어 종종 사망자를 내는 규모의 무력 충돌을 일으키게 되었다. 2019년 8월에는 와다이주에서 37명 이상이 사망하는 충돌이 발생했다. 데비 대통령은 기자 회견에서 "커뮤니티 간 분쟁이 국가적 우려가 되고 있다"고 언급했다.[32]
4. 2. 종교
자가와족은 말리키 학파의 수니파 이슬람을 받아들였지만, 악령을 물리치기 위한 동물의 의례적 희생인 ''카라마''와 같은 이슬람 이전의 의식을 일부 유지했다.[6] 이들이 이슬람으로 개종한 시기는 13세기에서 17세기 초까지 다양하게 추정되어 논쟁의 대상이며, 합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14]4. 3. 사회 계층
자가와족 사회는 아프리카의 카스트 제도와 같이 사회적으로 계층화되어 있었다. 상위 계층은 귀족과 전사였고, 그 아래는 상인과 대상인이었으며, 가장 아래에는 "하디드"(또는 "하다히드")라고 불리는 장인 카스트가 있었다.[12][16][17]이 카스트는 내혼을 하였으며, 세습된 직업에는 철 세공, 사냥꾼, 도자기 제작, 가죽 세공, 그리고 북 연주자와 같은 음악가 등이 포함되었다. 장인들은 전통적으로 자가와족 사회에서 더럽고 열등한 지위로 여겨졌으며, 이들은 이슬람 사회에 서서히 동화된 서로 다른 이교도와 유대교 기원을 가진 사람들이었다.[12][18] 일부 초기 아랍 문헌에서는 자가와족 왕족을 "상상할 수 없는 오만함을 가진 대장장이 왕"이라고 언급하고 있다.[19]
아프리카 연구 및 중세 고고학 교수인 앤 하우어에 따르면, "대장장이"라는 용어는 자가와족 문화에서 경멸적인 의미를 지니며, "대장장이로 태어나면 항상 대장장이로 남게 된다"고 한다.[20] 자가와족의 대장장이 카스트가 아닌 사람들은 대장장이 카스트와 함께 식사하거나 교류하지 않았다.[21] 최하위 계층은 노예였다. 자가와족 내 가죽 세공인 계층과 같은 사회적 계층화와 카스트는 인근 푸르족에서 발견되는 것과 유사하다.[21][22]
4. 4. 현대 생활
전통적인 자가와 사회는 주로 유목 생활을 해왔으며, 말, 당나귀, 염소 및 양을 키우는 유목 부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7][14] 사이파와 왕조에 의해 축출되고 해체되기 전 절정에 달했을 때, 그들은 낙타와 말을 이용한 상인과 무역상으로 유명했으며, 일부 사하라 사막 횡단 무역로를 통제했다.[7][13]그들은 말리키 학파의 수니파 이슬람을 받아들였지만, 악령을 물리치기 위한 동물의 의례적 희생인 ''카라마''와 같은 이슬람 이전의 의식을 일부 유지했다.[6] 그들이 개종한 세기는 논쟁의 대상이며 합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추정치는 13세기에서 17세기 초까지 다양하다.[14] 현대에는 기장과 수수와 같은 주요 작물과 참깨, 멜론, 호박, 땅콩 및 오크라와 같은 다른 식품을 재배하며 정착 생활을 한다.[7][6]
로저 블렌치는 나일-사하라어족 화자의 출현이 그린 사하라와 관련이 있다고 지적한다.[15] 유제품을 주식으로 하며, 소, 양을 기르고 낙타를 수송 수단으로 삼아 목초지나 물을 찾아 이동 생활을 한다. 가축 제품은 인근 정착민의 물품과 교환한다.
2010년대 후반, 정착해 사는 농경민과의 갈등이 고조되어 종종 사망자를 내는 규모의 무력 충돌을 일으키게 되었다. 2019년 8월에는 와다이주에서 37명 이상이 사망하는 충돌이 발생했다. 데비 대통령은 기자 회견에서 "커뮤니티 간 분쟁이 국가적 우려가 되고 있다"고 언급했다.[32]
5. 현대의 영향력
자가와족은 수단과 차드에서 서로 다른 정치적 영향력을 보인다. 차드에서는 전 대통령 이드리스 데비를 비롯한 다수의 정치 지도자들이 자가와족 출신으로, 지역 정치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23][24] 반면 수단에서는 다르푸르 위기로 인해 많은 자가와족이 피해를 입었으며, 난민 캠프에서 소년병 모집 문제 등이 발생하고 있다.[25]
서아프리카에서 온 티자니 이슬람교 선교사들의 영향으로 자가와족 지도부는 이슬람교로 개종했으며, 1940년대에는 집단 개종이 이루어졌다.[26]
5. 1. 차드
자가와족은 수단에서는 큰 영향력이 없지만, 차드에서는 정치적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다. 전 차드 대통령 이드리스 데비와 여러 전직 차드 총리, 그리고 정부의 다른 많은 구성원들이 자가와족 출신이다.[23] 이로 인해 차드의 자가와족은 지역 정치에서 영향력 있는 사람들이 되었다.[24] 차드, 리비아, 수단에서 벌어진 현대 전쟁에서 자가와족은 특히 푸르족과 같은 다른 민족과의 전략적 동맹을 통해 깊이 관여했다.[7][6][23]다르푸르 전쟁에서 자가와족은 민족적 유산 때문에 잔자위드 아랍 민병대의 표적이 되었고, 10만 명이 차드 국경을 넘어 난민이 되었다.[27][28]
5. 2. 수단
수단에서 자가와족은 큰 영향력은 없지만, 다르푸르 위기에 휘말려 많은 손실을 입었다. 수단의 자가와족은 다르푸르와 차드 동부의 난민 캠프에 거주하는 사람들 중 하나이며, 이곳에서는 반군 운동으로의 소년병 모집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25]자가와족은 다른 부족들과 함께 "아프리카인"으로 불렸으며, 이들과 함께 싸운 다른 부족들은 "아랍인"으로 불렸다.[26] 1940년대에 자가와족은 전통 종교에서 집단적으로 이슬람교로 개종하기 시작했다. 다르푸르에서 자가와족은 경건함으로 잘 알려져 있다.[26] 다르푸르 전쟁에서 자가와족은 민족적 유산 때문에 잔자위드 아랍 민병대의 표적이 되었고, 10만 명이 차드 국경을 넘어 난민이 되었다.[27][28] 자가와족 출신인 다우드 하리는 다르푸르에 대한 회고록 《통역자(The Translator)》를 썼고, 자가와족 여성인 할리마 바시르는 데미안 루이스와 함께 《사막의 눈물(Tears of the Desert)》이라는 회고록을 공동 집필하여 다르푸르의 잔혹 행위에 대한 지식을 퍼뜨렸다.
수단의 소수 민족 중 자가와족 이슬람주의자들은 알-바시르 정권 초기에 가장 활발하게 활동했으며, 안보, 경찰, 그리고 국민방위군에 참여했다. 1989년 수단 쿠데타 이후, 티나 출신의 자가와족인 칼릴 이브라힘이 다르푸르의 탄짐을 이끌게 되었다. 아담 타히르 함둔, 유수프 리비스, 술레이만 잠무스 또는 칼릴의 형제인 지브릴 이브라힘과 같은 다른 자가와족도 새로운 정권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하산 알-투라비가 알-바시르와 결별하고 1998년 위기가 발생한 후, 대부분의 이슬람주의 자가와족은 NCP에서 탈퇴하여 반정부 활동가가 되었으며, 그들 중 다수는 알-투라비의 국민회의당과 연대하여 《흑서(The Black Book)》 출판에 참여하거나 2000년 9월 알파시르 시위를 주도했다.[29] 자가와족은 수단의 마라 산지 북부의 건조한 사바나와 차드에 거주하고 있다. 9세기 말에는 이 지역에서 자가와 왕국을 건국했으며, 11세기 무렵에는 이슬람화되었다.[31]
5. 3. 지역 분쟁
자가와족은 수단에서는 큰 영향력이 없지만, 차드에서는 정치적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다. 전 차드 대통령 이드리스 데비와 여러 전직 차드 총리, 그리고 정부의 다른 많은 구성원들이 자가와족 출신이다.[23] 이로 인해 차드의 자가와족은 지역 정치에서 영향력 있는 사람들이 되었다.[24] 차드, 리비아, 수단에서 벌어진 현대 전쟁에서 자가와족은 특히 푸르족과 같은 다른 민족과의 전략적 동맹을 통해 깊이 관여했다.[7][6][23]그러나 수단에서 자가와족은 다르푸르 위기에 휘말려 많은 손실을 입었다. 수단의 자가와족은 다르푸르와 차드 동부의 난민 캠프에 거주하는 사람들 중 하나이며, 이곳에서는 반군 운동으로의 소년병 모집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25]
자가와족은 다른 부족들과 함께 "아프리카인"으로 불렸으며, 이들과 함께 싸운 다른 부족들은 "아랍인"으로 불렸다.[26]
다르푸르 전쟁에서 자가와족은 민족적 유산 때문에 잔자위드 아랍 민병대의 표적이 되었고, 10만 명이 차드 국경을 넘어 난민이 되었다.[27][28] 자가와족 출신인 다우드 하리는 다르푸르에 대한 회고록 《통역자(The Translator)》를 썼고, 자가와족 여성인 할리마 바시르는 데미안 루이스와 함께 《사막의 눈물(Tears of the Desert)》이라는 회고록을 공동 집필하여 다르푸르의 잔혹 행위에 대한 지식을 퍼뜨렸다.
수단의 소수 민족 중 자가와족 이슬람주의자들은 알-바시르 정권 초기에 가장 활발하게 활동했으며, 안보, 경찰, 그리고 국민방위군에 참여했다. 1989년 수단 쿠데타 이후, 티나 출신의 자가와족인 칼릴 이브라힘이 다르푸르의 탄짐을 이끌게 되었다. 아담 타히르 함둔, 유수프 리비스, 술레이만 잠무스 또는 칼릴의 형제인 지브릴 이브라힘과 같은 다른 자가와족도 새로운 정권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하산 알-투라비가 알-바시르와 결별하고 1998년 위기가 발생한 후, 대부분의 이슬람주의 자가와족은 NCP에서 탈퇴하여 반정부 활동가가 되었으며, 그들 중 다수는 알-투라비의 국민회의당과 연대하여 《흑서(The Black Book)》 출판에 참여하거나 2000년 9월 알파시르 시위를 주도했다.[29]
2010년대 후반, 정착해 사는 농경민과의 갈등이 고조되어 종종 사망자를 내는 규모의 무력 충돌을 일으키게 되었다. 2019년 8월에는 와다이주에서 37명 이상이 사망하는 충돌이 발생했다. 데비 대통령은 기자 회견에서 "커뮤니티 간 분쟁이 국가적 우려가 되고 있다"고 언급했다.[32]
참조
[1]
웹사이트
Chad
https://www.cia.gov/[...]
2023-08-29
[2]
웹사이트
Chad
https://www.cia.gov/[...]
2023-08-29
[3]
웹사이트
Sudan – Researched and compiled by the Refugee Documentation Centre of Ireland
https://www.ecoi.net[...]
2013-01-07
[4]
웹사이트
Zaghawa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23-10-03
[5]
웹사이트
Embracing Islam: The Zaghawa People's Transformation of Beliefs and Tradition in Chad
https://cache.kzoo.e[...]
Kalamazoo College
2024-10-22
[6]
서적
The Peoples of Africa: An Ethnohistor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Greenwood
[7]
서적
Ethnic Groups of Africa and the Middle East: An Encyclopedia: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8]
웹사이트
Zaghawa
https://www.ethnolog[...]
Ethnologue
[9]
웹사이트
Chad
https://www.cia.gov/[...]
2023-08-29
[10]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서적
African Folklore: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1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서적
Modern Genocide: The Definitive Resource and Document Collection
https://books.google[...]
ABC-CLIO
[15]
간행물
The Linguistic Prehistory of the Sahara
University of Leicester
2014
[16]
문서
Gericault as Seen in 1848
1942-10
[17]
문서
Forging Through Adversity: The Blacksmiths of North Darfur and Practical Action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11
[18]
문서
Caste systems in the Western Sudan
New Africa Press
1970
[19]
서적
A History of African Societies to 1870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서적
Outsiders and Strangers: An Archaeology of Liminality in West Afric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1]
서적
A History of the Arabs in the Sud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서적
Modern Genocide: The Definitive Resource and Document Collection
https://books.google[...]
ABC-CLIO
[23]
간행물
Chad/Darfur: How two crises merge
Routledge
[24]
서적
Modern Genocide: The Definitive Resource and Document Collection
https://books.google[...]
ABC-CLIO
[25]
Youtube
Chad refugee camps foster Darfur rebels
https://www.youtube.[...]
Aljazeera English
2009-04-16
[26]
뉴스
Darfur's deep grievances defy all hopes for an easy solution
https://www.theguard[...]
The Observer
2004-07-25
[27]
뉴스
Refugee Crisis Grows as Darfur War Crosses a Border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6-02-28
[28]
문서
Survivances préislamiques parmi les zaghawa
[29]
서적
Ethnic Politics and State Power in Africa: The Logic of the Coup-Civil War Trap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서적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31]
문서
チャド盆地の地域史と農牧業
朝倉書店
2007-04-10
[32]
웹사이트
チャドで農耕民と牧畜民が衝突、37人死亡 「国家的懸念」と大統領
https://www.afpbb.co[...]
2019-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