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크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크라는 아욱과에 속하는 식물로, 열매를 식용으로 사용한다. 아프리카 북동부, 특히 에티오피아가 원산지이며, 열대 및 온대 지역에서 재배된다. 오크라는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며, 끈적한 점액 성분은 건강에 도움을 준다. 전 세계적으로 인도, 나이지리아, 말리 등에서 주로 생산되며, 꼬투리 모양과 색깔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 원산 작물 - 수수
    수수는 아프리카 원산의 벼과 한해살이 식물로,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식량 및 사료 작물로 재배되며, 건조에 강하고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지만 일부 종에는 유해 성분이 함유될 수 있다.
  • 아프리카 원산 작물 - 커피나무
    커피나무는 꼭두서니과 커피속의 상록 활엽 관목으로, 전 세계 커피 생산량의 약 60%를 차지하는 주요 품종이며, 아프리카 동아프리카가 원산지로 남북회귀선 사이 여러 나라에서 재배되지만 기후 변화와 산림 벌채로 야생종이 멸종 위기에 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 열대 농업 - 퀴노아
    퀴노아는 남아메리카 안데스 산맥 원산의 곡물로, 고단백질, 낮은 나트륨과 글루텐 함량으로 건강식품으로 인정받아 FAO에 의해 '세계 퀴노아의 해'로 지정될 만큼 영양적 가치가 높지만, 수요 증가에 따른 가격 및 환경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 열대 농업 - 화전농업
    화전농업은 숲을 개간하여 농사를 짓는 오래된 농업 방식으로, 열대 지방에서 식량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환경 문제로 인해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 열매채소 - 참외
    참외는 삼국시대 이전 중국에서 한국으로 전래된 박과의 덩굴성 초본식물로, 한국과 일본에서 여름철 과일로 사랑받으며 칼륨, 비타민 C 등이 풍부하고, 한국에서는 성주군이 주요 생산지이며, 일본에서는 '마쿠와 우리'라 불린다.
  • 열매채소 - 풋콩
    풋콩은 콩의 미숙과를 의미하며, 7000년 전 중국에서 재배를 시작하여 현재는 풋콩 전용 품종이 재배되고 삶거나 찌는 등 다양한 조리법으로 섭취하며 단백질, 식이섬유, 비타민 등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한다.
오크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성숙한 열매와 자라고 있는 열매 (꼬투리) ([[홍콩]])
성숙한 열매와 자라고 있는 열매 (꼬투리) (홍콩)
열매 (꼬투리)의 세로 단면
열매의 세로 단면
학명아벨모스쿠스 에스쿨렌투스
이명아벨모스쿠스 밤미아
아벨모스쿠스 롱기폴리우스
아벨모스쿠스 오피시날리스
아벨모스쿠스 프라에콕스
아벨모스쿠스 투베르쿨라투스
히비스쿠스 에스쿨렌투스
히비스쿠스 히스피디시무스
히비스쿠스 롱기폴리우스
히비스쿠스 프라에콕스
로마자 표기법okra
다른 이름오크로
레이디스 핑거
오크로
검보
영어okra
일본어オクラ (오쿠라)
한국어오크라
원산지아프리카
분류
식물계
피자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아욱목
아욱과
아과아욱아과
부용족
트로로아오이속
오크라
영양 정보
열량138 kJ
수분89.6 g
단백질1.9 g
지방0.19 g
탄수화물7.46 g
섬유질3.3 g
당류1.48 g
칼슘82 mg
0.62 mg
마그네슘57 mg
칼륨299 mg
61 mg
아연0.58 mg
비타민 C23 mg
티아민0.2 mg
리보플라빈0.06 mg
니아신1 mg
엽산60 ug
비타민 A36 ug
비타민 E0.27 mg
비타민 K31.3 ug
추가 정보http://ndb.nal.usda.gov/ndb/foods/show/11278?fgcd=&manu=&format=&count=&max=25&offset=&sort=default&order=asc&qlookup=Okra%2C+raw&ds=&qt=&qp=&qa=&qn=&q=&ing= 미 농무부 데이터베이스 링크
기타
생산 지역전 세계
용도식용
이전 속명부용속
현재 속명트로로아오이속
재배 지역전 세계
생산량[[파일:Okraoutput.png|250px|전 세계 오크라 생산량]]
관련 드라마오쿠라~미궁입리 사건 수사~

2. 어원

한국어 명칭 '''오크라'''는 영어 명칭 'okra'에서 유래한 외래어이며, 그 어원은 아프리카 가나에서 사용되는 트위어 nkrama|은크라마twi이다.

학명 Abelmoschus esculentusla에서 속명 Abelmoschusla아랍어 에서 유래한 신라틴어이며,[6] 종소명 esculentusla는 사람이 먹기에 적합하다는 뜻의 라틴어이다.[7]

영어 단어 "오크라"(okra)는 1679년 버지니아 식민지에서 처음 사용된 기록이 있으며, 서아프리카의 이그보어 에서 유래했다.[8] 또 다른 영어 단어 "검보"(gumbo)는 1805년경 미국 영어에서 처음 사용되었는데, 이는 루이지애나 크리올어를 통해 들어왔으며,[9] 어원은 반투어군의 움분두어 [10] 또는 킴분두어 에서 기원한다.[11] "검보"는 미국 대부분 지역에서는 오크라를 넣어 끓인 스튜 검보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지만, 미국 남부의 여러 지역에서는 오크라 꼬투리나 식물 자체를 의미하기도 했으며, 아프리카계 미국인 사회 전반에서 다양한 변형된 형태로 이 단어가 사용된다.[12]

오크라는 길쭉한 모양 때문에 영어권에서 "Lady's finger"(레이디스 핑거, 여성의 손가락)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46] 프랑스어로는 "gombo"(곰보), 이탈리아어로는 "gombo"(곰보) 또는 "abelmosco"(아벨모스코)라고 한다.

일본어로는 '''아메리카네리'''(アメリカネリ)라고 하며, '''오카렌콘'''(陸蓮根, 육련근)이라는 다른 이름도 있다. 일본에는 막말부터 메이지 시대 초기에 전래되었는데, 당시 일본에서 "네리"라고 부르던 토로로아오이와 비슷한 종류라 하여 "아메리카네리"라는 이름이 붙었다. 오키나와현이나 가고시마현, 이즈 제도 등 오크라가 전국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 쇼와 시대 50년대(1975년) 이전부터 오크라를 먹어왔던 지역에서는 "네리"(ネリ)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하지만 현재 일본에서는 영어에서 유래한 "오크라"(オクラ)라는 명칭이 가장 흔하게 쓰인다.

3. 역사

꽃과 어린 꼬투리가 달린 오크라 식물체


오크라는 기원이 불확실한 잡종배수체이다. 추정되는 모계종에는 ''아벨모스쿠스 피쿨누스'', ''A. 투베르쿨라투스'' 등이 있다.[13] 진정한 야생종 개체군은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인도에서도 야생종이 발견되며, 서아프리카 변종은 재배식물로 여겨진다.[14]

오크라는 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 수단 동부 등 아프리카 북동부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4][15] 이집트에서는 기원전 1세기경부터 재배된 역사가 오래된 채소이며, 1216년 아이유브 왕조 시대 이집트를 방문한 아부 알 아바스 알 나바티는 현지인들이 부드러운 어린 꼬투리를 가루와 함께 먹는 것을 기록했다.[16] 이후 아라비아를 거쳐 지중해 연안과 동쪽으로 퍼져나갔으며,[15] 우마이야 칼리파의 이베리아 정복 시기 이베리아를 통해 유럽에 전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발아 후 약 1주일 된 오크라 식물, 오클라호마


대서양 노예 무역 과정에서 아프리카인들에 의해 아메리카 대륙으로 전파되었다.[17] 이는 주로 서아프리카에서 강제로 이주된 노예들에 의해 재배가 시작되었으며, 현재도 미국 남부, 서인도 제도, 브라질 북부 등 아프리카계 주민이 많은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 1658년 브라질에서 존재가 기록되었고,[17] 1686년에는 수리남에서도 기록되었다.[17] 미국에는 18세기 초 아프리카에서 미국 남동부로 전래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18] 1748년에는 필라델피아에서도 재배되었다.[18] 토머스 제퍼슨은 1781년 버지니아에 오크라가 잘 정착되어 있다고 기록했다.[18] 1800년경에는 미국 남부 전역에서 흔하게 볼 수 있었고, 1806년에는 서로 다른 품종에 대한 첫 언급이 있었다.[4]

일본에는 막말 무렵 전래되었으며, 쇼와 시대 30년대(1955년~1964년) 이후 널리 재배되기 시작했다.

4. 특징

오크라는 아욱과에 속하는 식물로, 목화, 카카오, 히비스커스 등과 관련이 있다. 원산지는 아프리카 북동부(에티오피아가 유력)이며[44], 원산지나 열대 지방에서는 여러 해 동안 열매를 맺는 다년생 식물이지만, 온대 기후나 일본 등에서는 겨울을 나지 못하고 일년생 식물로 재배된다.[44][47] 키는 약 2m까지 자라며, 단기간에 50cm~2m 정도로 빠르게 성장한다.[47]

은 길이와 너비가 10cm~20cm 정도이며, 손바닥 모양으로 5~7개의 갈래로 갈라져 있다. 때로는 크기가 15cm~30cm에 달하기도 한다.[47] 은 지름이 4cm~8cm 정도로, 다섯 개의 흰색 또는 노란색 꽃잎을 가지며 각 꽃잎의 밑부분에는 종종 빨간색 또는 보라색 반점이 있다. 이는 같은 아욱과의 꽃과 매우 흡사하다.[47] 꽃은 밤부터 이른 아침 사이에 피었다가 낮에는 시든다.[47] 꽃가루는 구형이며 직경이 약 188 마이크로미터이다.

이 진 자리에서는 위쪽을 향해 꼬투리가 나오며 열매가 열린다.[47] 열매는 길이가 5~30cm 정도인 삭과이며[47], 최대 18cm까지 자랄 수 있다. 단면은 오각형 모양이고 안에는 많은 씨앗이 들어 있다. 열매의 껍질은 녹색 또는 붉은색을 띠며 표면에는 짧은 털이 나 있다.[47] 수확 적기의 열매에도 눈에 잘 보이지 않는 가늘고 날카로운 가시가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 가시가 손가락에 박히면 따끔거리지만 위치를 찾기 어려우므로 맨손으로 만질 때는 주의해야 한다.[47] 열매는 익으면 단단하게 목질화된다.[47]

식용으로는 어린 열매를 사용하는데, 각진 모양의 오크라는 10cm, 둥근 오크라는 15cm~20cm 정도로 자랐을 때가 적당하다.[45] 너무 크게 자란 열매는 섬유질이 발달하여 식감이 나빠지고 상품 가치를 잃는다.[45]

오크라는 고온성 채소로, 10°C 이하의 온도에서는 생육이 어렵고 약한 서리에도 말라 죽을 정도로 추위에 약하며[47], 서리가 내리는 기후에서는 열매를 맺기 어렵다.[47]

5. 종류

오크라는 열매 모양에 따라 오각종, 둥근 꼬투리종, 다각종 등으로 나뉜다. 현재 일본에서 주로 재배되는 것은 능선이 뚜렷하고 단면이 별 모양인 품종이지만, 오키나와하치조섬 등에서는 크기가 크고 능선이 거의 없으며 단면이 둥근 품종이 재배된다. 그 외에도 열매 표면 색이 녹색 외에 자홍색, 노란색인 품종이나, 크기가 2cm 정도의 작은 품종부터 15cm나 되는 큰 품종도 있다[47].


  • '''오각종''':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품종으로, 꼬투리 단면이 오각형의 별 모양이다. 꽃이 핀 후 4~5일 된 어린 꼬투리를 먹는다. ‘도쿄 오각 오크라’ 등이 있다.
  • '''둥근 오크라''': 꼬투리 단면이 원형이며, 크기가 커져도 부드러운 것이 특징이다. 오각종과 맛이나 성분은 같다. 대표적으로 하치조섬 원산으로 간토 지방에서 주로 재배되는 ‘하치조 오크라’나, 오키나와 원산의 ‘섬 오크라’가 있다.
  • '''붉은 오크라''': 꼬투리에 안토시아닌이 포함되어 있어 암자홍색을 띤다. 단면은 오각형이며 가열하면 녹색으로 변한다. 비교적 부드럽고 맛이 진해 샐러드 등 생으로 먹기에 적합하다.
  • '''흰 오크라''': 야마구치현에서 재배되는 둥근 오크라 품종으로, 열매 색이 희다. 쉽게 굳지 않아 생으로 먹기 좋다.
  • '''섬 오크라''': 오키나와에서 재배되는 재래종으로 둥근 오크라의 일종이다. 일반 오크라보다 17cm~18cm 정도로 상당히 크지만 부드러워 먹기 편하고 맛도 같다.
  • '''스타 오브 데이비드''': 이스라엘에서 재배되는 전통 품종으로, 꼬투리 단면이 팔각형이다. 부드럽고 점성이 강하다.
  • '''미니 오크라''': 별도의 품종이 아니라 일반 오크라를 어릴 때 일찍 수확한 것이다. 열매 길이는 2cm~3cm 정도이며, 주로 요정 등에서 사용된다.

6. 재배



오크라는 섬유질의 열매인 꼬투리를 얻기 위해 전 세계의 열대 및 온대 지역에서 재배된다. 세계적으로 고온과 내건성이 강한 채소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무거운 점토 토양이나 간헐적인 수분이 있는 토양에서도 견딜 수 있다. 하지만 서리는 꼬투리에 피해를 줄 수 있다.[19]

재배 시에는 많은 햇빛이 필요하며, 토양의 pH는 5.8~7 사이가 적합하고, 약산성인 6.0~6.5가 이상적이다.[47] 재배 적정 온도는 20°C에서 30°C 사이이며, 10°C 이하에서는 생육이 거의 멈추므로 주의해야 한다.

씨앗은 파종하기 전에 하룻밤 동안 물에 담가두면 발아에 도움이 된다. 씨앗은 1cm에서 2cm 깊이로 심는다. 발아를 위해서는 토양 온도가 최소 20°C는 되어야 하며, 보통 6일(물에 불린 씨앗)에서 3주 사이에 싹이 튼다. 오크라는 곧은 뿌리(직근성)를 가지므로 직파하는 것이 좋다. 봄에 아침저녁 기온이 10°C 이하로 내려가지 않을 때, 밑거름을 충분히 준 밭에 약 40~50cm 간격으로 한 곳에 4~5알의 씨앗을 뿌린다. 본잎이 나오기 시작하면 순차적으로 솎아내어 생육이 좋은 묘목 1~2포기만 남긴다. 묘목 시기에는 충분한 물 공급이 중요하며, 건조 방지를 위해 짚이나 폴리필름 등으로 멀칭을 해주는 것이 좋다.

오크라 꼬투리 단면


오크라는 여름부터 가을까지 장기간 수확할 수 있다. 묘가 자라는 동안과 수확 기간에는 한 달에 2~3회 정도 추비를 주고, 뿌리가 드러나지 않도록 흙을 돋우어 주는 것이 좋다. 수확은 보통 파종 후 약 2개월이 지나면 시작할 수 있다. 꽃이 지고 수분이 이루어진 후 1주일 이내, 꼬투리 길이가 약 5cm에서 8cm 정도 되었을 때 어린 것을 수확한다.[20] 꼬투리는 매우 빠르게 자라며 섬유질이 발달하여 딱딱해지기 쉬우므로, 식용을 위해서는 적기를 놓치지 않고 부드러울 때 수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수확한 열매 아래쪽의 잎들은 제거해주어야 식물체가 약해지는 것을 막고 통풍을 좋게 할 수 있다. 간혹 열매 표면에 사마귀 모양 돌기가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생리 장애의 일종으로 먹는 데는 문제가 없으나, 생육 상태가 나빠지거나 일조 부족, 기온 저하 시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추비를 주거나 땅을 가볍게 파서 뿌리에 산소를 공급하고, 아래쪽 잎을 따주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오크라 재배 시 가장 흔한 질병은 풋마름병으로, 잎이 노랗게 변하고 시드는 증상을 보인다. 그 외에도 건조한 열대 지역에서는 흰가루병, 잎마름병, 황색 모자이크병, 뿌리혹선충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뿌리혹선충이나 묘입고병은 윤작을 하지 않고 같은 자리에 계속 오크라를 재배할 경우 발생하기 쉬우므로, 최소 2~3년 동안 오크라를 재배하지 않은 땅에서 키우는 것이 좋다.[47] ''A. esculentus''의 황색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성은 ''Abelmoschus manihot''와의 교잡을 통해 전달되어 'Parbhani kranti'라는 새로운 품종이 만들어지기도 했다.[21]

진딧물, 담배거세미나방, 배추흰나비 애벌레, 노린재, 콩나방, 파밤나방 등 해충 피해도 받기 쉽다. 해충이 발생하면 해당 잎을 제거하고 적용 가능한 농약을 살포하거나, 파종 또는 정식 전에 토양에 살충 처리를 하는 방법이 있다.[47] 진딧물 발생을 줄이기 위해 은색 줄무늬가 있는 멀칭 비닐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47] 통풍이 잘 되지 않으면 병충해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불필요한 곁가지나 잎을 제거하여 통풍과 채광을 좋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7. 생산

2021년 전 세계 오크라 생산량은 1,080만 톤이었으며, 인도가 전체의 60%를 차지하며 1위를 기록했고, 나이지리아말리가 그 뒤를 이었다.

오크라 생산량 – 2021년
국가(백만 톤)
인도6.47
나이지리아1.92
말리0.67
수단0.32
파키스탄0.26
전 세계10.82
출처: FAOSTAT[24]



일본의 2012년도 전국 재배 면적은 799ha이며, 연간 국내 출하량은 11224ton이다. 주요 생산지는 가고시마 4383ton(39%), 고치 1946ton(17%), 오키나와 992ton(9%), 쿠마모토 898ton(8%), 미야자키 523ton(5%) 순이다.[48] 또한, 국내 출하량이 감소하는 겨울철을 중심으로 태국, 필리핀 등에서 수입하고 있다.[49]

8. 이용

기원전부터 먹었다고 알려진 베타카로틴과 비타민 B군이 풍부한 녹황색 채소로, 부드러운 어린 열매를 식용으로 한다. 이집트인도에서는 오래전부터 중요한 채소로 여겨졌으며 용도도 다양했다. 주요 제철은 여름(7~9월)이지만, 시설 재배나 수입품 덕분에 연중 유통된다. 맛은 거부감이 없고 독특한 풍미가 있으며, 잘랐을 때 나오는 끈적끈적한 성분은 펙틴과 뮤실리지이다. 이 끈적한 성분은 위장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여름철 더위 먹음 예방에도 좋다고 알려져 있다. 생으로 먹거나 샐러드, 무침, 튀김, 수프, 소테, 조림, 볶음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47].

신선하고 맛있는 오크라를 고르려면, 열매 꼭지나 꽃받침 주변에 검은 반점이 없고 전체적으로 진한 녹색이며 잔털이 빽빽하게 나 있는 것이 좋다. 열매가 너무 크면 익어서 단단해지고 맛이 떨어진다.

열매는 변비 완화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약용으로도 쓰인다.

8. 1. 영양

오크라는 썰었을 때 끈적끈적한 점액이 나오는데, 이 점액의 주성분은 수용성 식이섬유인 펙틴과 식물성 당단백질인 뮤신(뮤실리지)이다. 펙틴은 혈당치 상승을 억제하거나 변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뮤실리지는 지방과 나쁜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위 점막 보호, 단백질의 소화 흡수를 돕는 역할을 한다. 펙틴 이외에도 불용성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변비를 개선하고 대장암 위험 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영양소로는 베타카로틴,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C, 칼슘, 엽산, 식이섬유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여름철 체력 저하 예방, 변비·설사에 효과가 있는 장 건강 증진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다.

8. 2. 요리

볶은 오크라


오크라 꼬투리는 점액질(Mucilage)을 함유하고 있어 요리 시 특유의 '끈적임'이나 '점액'이 생긴다. 이 점액질에는 수용성 섬유질이 들어 있다.[31] 오크라의 끈적임을 줄이는 한 가지 방법은 토마토와 같이 산성 식품과 함께 요리하는 것이다.[32] 또한, 곡분과 함께 가열하거나, 산성의 물에 담그거나, 미리 기름에 튀기는 등의 조리법으로 점액을 억제할 수 있다.[52] 과일 표면의 미세한 잔털은 식감을 해칠 수 있으므로, 소금을 뿌려 문질러 제거하면 좋다.

오크라는 익히거나, 절이거나, 생으로 먹거나, 샐러드에 넣어 먹는다.[31] 생으로 먹기도 하지만, 삶을 때는 끓는 물에 넣었다가 재빨리 찬물에 헹궈 식히면 선명한 녹색을 유지할 수 있다. 과일 밑동의 각진 부분(꽃받침 자리)은 쓴맛이 나므로, 통째로 사용할 때는 도려내고 쓰는 것이 좋다. 가열해도 영양소 손실이 적지만, 삶으면 수용성 점액 성분이 줄어들 수 있어 점액 효과를 기대한다면 생으로 먹는 것이 더 낫다. 점액을 살려 요리하려면 잘게 썰거나 두드려 조직을 파괴하는 것이 좋다. 살짝 데쳐 잘게 썰면 점액이 나오면서 다른 재료와 잘 어우러지지만, 과도한 가열은 영양분 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 점액 유실을 막기 위해 꼬투리째 살살 가열하기도 한다.
지역별 요리

  • 미국 남부: 튀긴 오크라(Fried okra)는 미국 남부 요리의 대표적인 요리이다. 루이지애나검보(gumbo) 수프에 사용될 수 있는 세 가지 걸쭉하게 하는 재료 중 하나이다.[25] 얇게 썰어 옥수수 가루를 묻혀 튀기거나, 피클로 만들기도 하고, 오크라를 베이컨과 함께 끓여 만든 '림핀 수잔'(Limpin' Susan)이라는 필라프와 같은 요리도 있다. 루이지애나의 크리올/케이준 요리에서는 '검보'(gumbo)라고 불리는 찜 요리에 걸쭉한 농도를 내기 위해 오크라가 자주 사용된다. 오크라를 넣은 수프도 종종 검보 수프라고 불리는데, 이는 프랑스어 '공보'(gombo)가 영어로 유입된 것이다. '공보'는 앙골라어 '킨공보'(ki ngombo) 또는 중앙 반투어 '키곰보'(kigombo)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며, 모두 '오크라'를 의미한다. 미국 북부에서는 오크라 특유의 점액질을 선호하지 않아 21세기에도 재배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 라틴 아메리카:
  • 쿠바푸에르토리코에서는 '킴봄보'(quimbombó)라고 부르며, 검보와 비슷한 '킴봄보 기사도'(quimbombó guisado, 오크라 조림) 등에 사용된다.[26][27] 쿠바에서는 찜 요리나 필라프처럼 쌀과 함께 조리한다. 푸에르토리코에서는 '긴감보'(guingambó)라고도 부른다.
  • 도미니카 공화국에서는 '몰론드론'(molondrón)이라 불리며 전통 요리에 사용된다.[28]
  • 브라질에서는 북동부 지역의 새우를 넣은 '카루루'(caruru)와 미나스 제라이스의 '프랑구 콤 키아부'(frango com quiabo, 오크라 닭고기 요리) 및 '카르니 헤포가다 콤 키아부'(carne refogada com quiabo, 오크라 쇠고기 조림) 등 여러 지역 요리의 중요한 재료이다. 바이아에는 오크라, 양파, 말린 새우, 땅콩 또는 캐슈너트를 넣고 끓여 만드는 "카루루 드 파라(Caruru (food))"(caruru)라는 소스가 있다.
  • 아시아:
  • 남아시아에서는 오크라 꼬투리를 여러 매운 채소 요리에 사용하며, 쇠고기, 양고기, 송아지고기, 닭고기와 함께 조리하기도 한다.[29][30]
  • 인도 구자라트주에는 얇게 썬 오크라를 병아리콩 가루(베산, besan)와 함께 볶은 '빈디 누 샤크'(bhindi nu shāk)가 있고, 남인도에는 볶은 오크라를 요구르트에 버무리고 기름에 볶은 향신료로 향을 낸 '벤다카이 타이르 파차디'(vendakkai thair pachadi)가 있다.
  • 일본에서는 생으로 먹거나 살짝 데쳐 잘게 썬 뒤 점액을 내어 간장, 가쓰오부시, 된장 등에 찍어 먹는 경우가 많다. 그 외에도 조림, 튀김, 볶음, 초절임, 무침, 거리, 갈아서 토로로 대용, 낫토의 양념, 샐러드 등으로 활용된다. 꽃봉오리를 튀겨 먹기도 한다.[47]
  • 파키스탄, 중동, 북아프리카에서는 얇게 썰어 토마토, 고기와 함께 끓여 에 곁들여 먹는 경우가 많다.
  • 베트남에서는 큰 오크라를 얇게 썰어 염소고기 구이와 함께 구워 먹는다.
  • 아프리카 및 서인도 제도:
  • 서아프리카에서는 잘게 썬 오크라를 야자유에 끓인 소스를 이나 후후 같은 주식에 곁들여 먹는다.
  • 서인도 제도에서는 얇게 썰어 토마토, 고기와 함께 끓여 밥과 함께 먹는 경우가 많다.

기타 활용

  • 잎: 어린 오크라 잎은 비트민들레 잎처럼 요리하거나 샐러드에 넣을 수 있다.
  • 씨앗: 오크라 씨앗은 볶아서 갈면 커피 대용으로 마실 수 있는 카페인 없는 음료가 된다.[4] 1861년 미국 남북 전쟁으로 커피 수입이 중단되었을 때, ''오스틴 주립 가제트''는 "오크라 한 에이커에서 수확한 씨앗으로 농장에 수입된 리우산 커피만큼 충분한 양을 공급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33]
  • 기름: 녹황색의 식용 오크라 기름은 씨앗에서 추출하며, 맛과 향이 좋고 불포화 지방산올레산리놀레산이 풍부하다.[34] 일부 품종의 씨앗에는 기름 함량이 약 40%에 달한다. 한 실험에서는 794kg/ha의 수확량을 기록했는데, 이는 해바라기유를 제외하고 가장 높은 수치였다.[35]
  • 가공식품: 소스케첩의 원료로도 사용된다.


오크라는 개발도상국에서 영양실조를 완화하고 식량 안보를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31]

8. 3. 기타 용도

어린 오크라 잎은 비트민들레의 잎처럼 요리하거나 샐러드에 사용할 수 있다. 오크라 씨앗은 볶아서 갈아 커피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카페인이 없는 대체품을 만들 수 있다.[4] 1861년 미국 남북 전쟁으로 커피 수입이 중단되었을 때, ''오스틴 주립 가제트''는 "한 에이커의 오크라에서 수확한 씨앗으로 농장에 수입된 리우산 커피와 똑같은 커피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33]

녹황색의 식용 오크라 기름은 오크라 씨앗에서 짜는데, 맛과 향이 좋고 불포화 지방산올레산리놀레산이 풍부하다.[34] 어떤 품종의 씨앗에는 약 40%의 기름이 들어 있다. 헥타르당 794kg의 수확량을 보였는데, 이는 한 실험에서 해바라기유를 제외하고 가장 높은 수치였다.[35] 2009년 연구에 따르면 오크라 오일은 바이오연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40]

식물 줄기에서 얻는 닥섬유는 폴리머 복합재료의 강화재와 같은 산업적 용도가 있다.[36] 오크라 식물이 생성하는 점액은 응집 특성으로 인해 폐수에서 탁도를 제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37][38] 두꺼운 다당류 필름과 유사한 조성을 가진 오크라 점액은 2018년 현재 생분해성 식품 포장재로 개발 중이다.[39]

약용 부위는 열매이며, 약초로서의 생약명은 특별히 정해져 있지 않지만, 변비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수분이 부족하고 건조한 변일 때 효과적이며, 사용법은 평소 식사를 할 때 하루 2~3개의 오크라를 날것으로 먹거나, 수프나 국의 재료로 이용한다.

9. 보관

오크라는 수확 후 시간이 지나면 신선도가 떨어지고 단단해져 맛이 나빠지므로, 가급적 수확한 당일에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오크라는 5°C 이하의 온도에서는 저온 장해를 입기 쉽다. 보관할 때는 랩이나 비닐봉투에 넣어 냉장고에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저온에 약하므로 서늘한 그늘에서 상온 보관하는 것도 가능하다. 만약 요리에 사용할 목적으로 보관한다면, 살짝 단단하게 데친 후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고 보관용 비닐봉투에 넣어 냉장 보관하는 방법도 있다.

10.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The Plant List: A Working List of All Plant Species http://www.theplantl[...] 2014-10-03
[2] 웹사이트 Okra https://www.bbcgoodf[...] 2023-04-12
[3] 백과사전 lady's fingers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4-12
[4] 웹사이트 Okra, or 'Gumbo,' from Africa http://plantanswers.[...] Texas AgriLife Extension Service, Texas A&M University
[5] 서적 Lost Crops of Africa: Volume II: Vegetables http://books.nap.edu[...] National Academies Press 2006-10-27
[6] 웹사이트 Definition of ''Abelmoschus''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Dictionary 2020-06-23
[7] 웹사이트 Latin definition for esculentus, esculenta, esculentum (ID: 19365) https://latin-dictio[...] Latin Dictionary and Grammar Resources - Latdict 2020
[8] 웹사이트 Definition of ''okra''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Dictionary 2020
[9] 웹사이트 Gumbo: The mysterious history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2009-12-29
[10] 웹사이트 Definition of ''gumbo''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Dictionary 2020
[11] 웹사이트 Many food names in English come from Africa https://learningengl[...] 2018-02-06
[12]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gumbo https://www.southern[...] Southern Foodways Alliance 2020
[13] 논문 GENETIC ADVANCE UNDER SELECTION IN SEGREGATING POPULATION IN OKRA (Abelmoschus esculentus L.) https://www.research[...]
[14] 서적 Vegetables Backhuys 2004
[15] 서적 Food Crop Production by Smallholder Farmers in Southern Africa 2018
[16] 서적 Archaeology, Language, and the African Past https://books.google[...] Rowman Altamira 2006
[17] 웹사이트 Okra, Gumbo, & Rice https://unesdoc.unes[...]
[18] 웹사이트 Colonial Food In Philadelphia - 1883 Words Internet Public Library https://www.ipl.org/[...] 2021-11-09
[19] 웹사이트 Okra https://www.almanac.[...] 2021-04-29
[20] 웹사이트 Okra seed http://cals.arizona.[...] Yuma County Cooperative Extension 2012-10-17
[21] 서적 Plant breeding, Chapter 9.2 https://ncert.nic.in[...] Strategies For Enhancement in Food Production 2020
[22] 웹사이트 Southern Florida 2005 Okra PMSP http://ipmdata.ipmce[...] Regional Integrated Pest Management Centers Database 2022-06-30
[23] 서적 Okra Production in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Agriculture and Natural Resources (UCANR)
[24] 웹사이트 Production: Crops and livestock products: World, Production Quantity, Okra, 2021 (from pick lists) https://www.fao.org/[...]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Statistics Division 2021
[25] 서적 Cajun Foodways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1992
[26] 웹사이트 Cuban Quimbombo (Afro-Cuban Okra) https://thelatinkitc[...] The Latin Kitchen 2020-10-21
[27] 웹사이트 QUIMBOMBÓ GUISADO https://www.whats4ea[...] whats4eats 2020-10-21
[28] 웹사이트 El intrépido molondrón https://www.diarioli[...] Diario Libre 2022-08-29
[29] 서적 Okra: a Savor the South cookbook.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21-12-22
[30] 서적 Food culture in Indi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2021-12-22
[31] 논문 Proximate, mineral, and antinutrient compositions of indigenous Okra (Abelmoschus esculentus) pod accessions: Implications for mineral bioavailability
[32] 웹사이트 Leave it to botanists to turn cooking into a science lesson https://www.npr.org/[...] US National Public Radio 2018-09-05
[33] 뉴스 Confederate Coffee Substitutes: Articles from Civil War Newspapers http://www.uttyler.e[...] Austin State Gazette [TEX.] 1861-11-09
[34] 논문 Okra, Potential Multiple-Purpose Crop for the Temperate Zones and Tropics
[35] 서적 Advances in New Crops: Proceedings of the First National Symposium NEW CROPS, Research, Development, Economics, Indianapolis, Indiana, October 23-26, 1988 Timber Press 1990
[36] 논문 Morphological, thermal and mechanical characterization of okra (Abelmoschus esculentus) fibres as potential reinforcement in polymer composites
[37] 논문 Flocculation behavior of mallow and okra mucilage in treating wastewater
[38] 논문 Study on Flocculation Efficiency of Okra Gum in Sewage Waste Water
[39] 논문 Okra mucilage and corn starch bio-based film to be applied in food 2018-10-01
[40] 논문 Okra (Hibiscus esculentus) seed oil for biodiesel production 2010-03-01
[41] 웹사이트 2013-09-16
[42] 웹사이트 2021-07-16
[43] 서적 最新物産辞典 帝国書院
[44] 웹사이트 オクラ【地植え】の育て方 https://www.sc-engei[...] 住友化学園芸 2024-07-18
[45] 웹사이트 オクラ https://www.ja-sakai[...] JA堺市 2024-07-18
[46] 웹사이트 Okra http://www.bbcgoodfo[...] BBC Good Food 2015-05-13
[47] 웹사이트 オクラの育て方・栽培方法 https://sakata-tsush[...] サカタのタネ 2021-07-16
[48] 웹사이트 地域特産野菜生産状況調査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14-08-23
[49] 웹사이트 オクラの需要動向 https://vegetable.al[...] 独立行政法人農畜産業振興機構 2024-07-18
[50] 웹사이트 日本食品標準成分表2015年版(七訂)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51] 웹사이트 日本人の食事摂取基準(2015年版)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52] 서적 世界の食用植物文化図鑑 柊風社
[53] 서적 Lost Crops of Africa: Volume II: Vegetables http://books.nap.edu[...] National Academies Press 2008-07-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