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이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이르는 1971년부터 1997년까지 존재했던 아프리카 국가로, 1965년 쿠데타로 권력을 잡은 모부투 세세 세코에 의해 통치되었다. 모부투는 '자이르화' 정책을 추진하여 국명을 자이르 공화국으로 변경하고, 아프리카식 이름을 사용하도록 강요했으며, 중앙 집권적 일당 독재 체제를 구축했다. 자이르는 구리 등 지하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성장을 이루기도 했으나, 부정부패와 비효율적인 정책으로 경제 위기를 겪었고, 1990년대 내전으로 붕괴되었다. 자이르는 8개의 행정 구역으로 나뉘어 있었으며, 프랑스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가톨릭, 개신교, 이슬람교, 토착 신앙 등이 혼재하는 종교 구성을 보였다. 모부투 정권 붕괴 이후 자이르의 유산은 콩고민주공화국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이르 - 제1차 콩고 전쟁
제1차 콩고 전쟁은 모부투 세세 세코 정권의 부패와 르완다 내전의 여파로 1996년부터 1997년까지 자이르에서 일어난 분쟁으로, 르완다와 우간다의 지원을 받은 반군이 승리하여 모부투 정권을 무너뜨리고 콩고민주공화국을 수립했다. - 자이르 - 콩고 민족해방전선
콩고 민족해방전선은 카탕가 헌병대에서 기원한 무장단체로, 모부투 세세 세코 정권 타도를 목표로 샤바 주를 두 차례 침공했으나 실패하고, 현재는 정당으로 활동하고 있다. - 콩고 민주 공화국의 역사 - 제1차 콩고 전쟁
제1차 콩고 전쟁은 모부투 세세 세코 정권의 부패와 르완다 내전의 여파로 1996년부터 1997년까지 자이르에서 일어난 분쟁으로, 르완다와 우간다의 지원을 받은 반군이 승리하여 모부투 정권을 무너뜨리고 콩고민주공화국을 수립했다. - 콩고 민주 공화국의 역사 - MONUSCO
MONUSCO(유엔 콩고 민주 공화국 안정화 지원단)는 콩고 민주 공화국의 안정화를 지원하기 위해 유엔이 파견한 평화 유지군으로, 무장 단체로부터 민간인을 보호하고 평화 구축을 지원하는 것을 주요 임무로 하며 2024년 말까지 완전 철수를 목표로 한다. - 군사독재 - 수단
수단 공화국은 아프리카 북동부에 위치하며, "흑인들의 땅"을 의미하는 아랍어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대 누비아 왕국을 포함한 다양한 역사를 거쳐 정치적 불안과 인권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아랍어와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 군사독재 - 대한민국 제5공화국
12·12 군사반란으로 권력을 잡은 전두환 신군부가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폭력적 진압과 국보위 설치를 통해 수립한 군사정권인 대한민국 제5공화국은 7년 단임 대통령제를 골자로 하는 제8차 헌법 개정을 통해 공식 출범했으나, 권위주의적 요소 유지와 인권 침해 문제, 정치적 억압 등으로 몰락하여 노태우 취임과 함께 종식되었다.
자이르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 | |
공식 명칭 | 자이르 공화국 |
표어 번역 | 평화 — 정의 — 노동 |
국가 번역 | 자이르의 노래 |
공용어 | 프랑스어 |
국가 언어 | 링갈라어 키투바어 스와힐리어 루바카사이어 |
수도 | 킨샤사 |
최대 도시 | 수도 |
종교 | 50% 로마 가톨릭교회 20% 개신교 10% 킴방구교 10% 이슬람교 10% 기타 (발루바, 반투) |
종교 조사 년도 | 1986년 |
통화 | 자이르 |
통화 코드 | ZRN |
시간대 | WAT 및 CAT |
UTC 오프셋 | +1 ~ +2 |
차량 통행 방향 | 오른쪽 |
ISO 3166 코드 | ZR |
국가 코드 | +243 |
국가 도메인 | .zr |
정치 | |
정부 형태 | 단일 모부투주의 일당제 대통령 공화국 하의 전체주의 군사 독재 |
대통령 | 모부투 세세 세코 |
대통령 임기 | 1965년 ~ 1997년 |
총리 | 총리 |
총리 1 | 음핑가 카센다 |
총리 1 임기 | 1977년 ~ 1979년 |
총리 2 | 리쿨리아 볼롱고 |
총리 2 임기 | 1997년 |
입법부 | 입법 평의회 |
역사 | |
건국 사건 | 쿠데타 |
건국일 | 1965년 11월 24일 |
국명 변경 | 1971년 10월 27일 |
헌법 공포 | 헌법 공포 |
헌법 공포일 | 1974년 8월 15일 |
멸망 사건 | 모부투 축출 |
멸망일 | 1997년 5월 18일 |
멸망 이후 사건 | 모부투 사망 |
멸망 이후 날짜 | 1997년 9월 7일 |
이전 국가 | 레오폴드빌 콩고 |
이후 국가 | 콩고 민주 공화국 |
인구 | |
1971년 | 18,400,000명 |
1997년 | 46,498,539명 |
경제 | |
명목 GDP | $45억 달러 |
명목 GDP 년도 | 1983년 |
기타 | |
인간 개발 지수 | 0.294 |
인간 개발 지수 년도 | 1990년 |
2. 역사
1960년과 1965년 두 차례의 콩고 위기 당시, 조셉-데지레 모부투는 쿠데타를 일으켜 대통령직을 맡으며 권력을 장악했다.[9] 그는 여러 차례 국가 구조를 개편하고 "국부"라는 칭호를 주장하며 콩고의 정치 생활을 지배했다.[10] 1971년 10월 27일, 모부투는 국명을 자이르 공화국으로 변경한다고 발표했다.[11] 국가 이름인 자이르프랑스어는 콩고 강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강은 포르투갈어로 자이레pt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 이름은 다시 콩고어 단어 nzerekg 또는 nzadikg('모든 강을 삼키는 강')에서 유래되었다.[7]
1970년대 초 오텐티시테 정책에 따라 자이르인들은 유럽식 이름 대신 "진정한" 아프리카식 이름을 채택해야 했다.[12] 모부투는 조셉-데지레를 버리고 공식적으로 이름을 "모부투 세세 세코 쿠쿠 응벤두 와 자 방가" 또는 더 일반적으로 모부투 세세 세코로 바꿨는데, 이는 대략 "승리에서 승리로 나아가는 정복자"를 의미한다.[12]
모부투는 후에 자신의 1965년 권력 장악을 정당화하며 제1공화국의 기록을 "혼돈, 무질서, 태만, 무능력"으로 요약했다.[10] 새로운 정권은 출범 후 2년 동안 정치적 재건과 통합이라는 시급한 과제에 매달렸으며, 단일 정당 (인민혁명운동)을 통해 국가의 새로운 정당성 기반을 만들었다.[10]
모부투는 1965년 11월 24일 쿠데타로 권력을 장악한 뒤, 식민지 시대의 잔재를 제거하기 위해 “자이르화 정책/Authenticité (Zaire)영어”을 추진했다.
반정부 세력 중 하나인 콩고민족해방전선은 인접국 앙골라에 거점을 마련하고 자이르에 대한 군사 활동을 자주 벌였다(샤바 전쟁). 가장 대규모 활동은 1978년 5월 광산 도시 콜베지 점령이었지만, 프랑스군 등이 현지에서 활동하던 유럽계 주민을 구출한다는 명분 아래 일방적인 군사 개입을 단행하여 진압되었다.[30]
1990년 4월, 민주화 요구가 고조되자 의회는 11월 다당제로 가는 길을 여는 헌법 수정안을 가결했다. 그러나 모부투 대통령은 3선을 금지한 헌법 조항을 무시하고 사임을 거부했다.
1996년 르완다 내전이 빌미가 되어 자이르 영내 투치계 최대 세력인 “바냐무렌게”의 대규모 봉기가 발생했다. 10월에는 장기간 잠복 활동을 해 온 인민혁명당의 로랑 카빌라가 반정부 세력을 결집하여 콩고-자이르 민주해방군 연합(AFDL)을 결성하고, 투치족의 군사력을 바탕으로 킨샤사를 향해 진격을 시작했다(제1차 콩고 전쟁). 이 전쟁에는 각국의 이해관계에 따라 르완다, 우간다, 앙골라, 부룬디가 참전했다. 그중 앙골라는 모부투 정권 타도를 목표로 했다.
결과적으로 1997년 5월 16일 모부투 정권은 붕괴되었고, 모부투는 모로코로 망명했다. 이후 AFDL의 로랑 카빌라 의장이 대통령에 취임하여 국호를 자이르 공화국에서 현재의 콩고민주공화국으로 변경했다.
2. 1. 모부투의 집권과 자이르화 정책
1965년 콩고 위기 당시, 조셉-데지레 모부투는 쿠데타를 일으켜 대통령직을 맡으며 권력을 장악했다.[9] 그는 여러 차례 국가 구조를 개편하고 "국부"라는 칭호를 주장하며 콩고의 정치 생활을 지배했다.[10] 모부투는 1965년 쿠데타를 정당화하며 제1공화국의 "혼돈, 무질서, 태만, 무능력"을 비판했다.[10]모부투는 강력한 중앙집권 체제를 수립하고, 식민지 시대의 잔재를 제거하기 위해 “자이르화 정책/Authenticité (Zaire)영어”을 추진했다. 이 정책의 일환으로 1971년 10월 27일 국명을 자이르 공화국으로 변경하고,[11] 군대의 명칭을 자이르군(Forces Armées Zaïroises—FAZ)으로 바꾸었다.[21][25] 또한, 콩고 강의 이름에서 유래한 '자이르'는 콩고어 단어 nzerekg 또는 nzadikg('모든 강을 삼키는 강')에서 유래되었다.[7]
1970년대 초, 오텐티시테 정책에 따라 자이르인들은 유럽식 이름 대신 아프리카식 이름을 사용하도록 강요받았다.[12] 모부투 자신도 조셉-데지레라는 이름을 버리고 '모부투 세세 세코 쿠쿠 응벤두 와 자 방가'(대략 "승리에서 승리로 나아가는 정복자"를 의미)로 개명했다.[12]
레오폴드빌은 킨샤사로, 스탠리빌은 키산가니로, 엘리자베스빌은 루붐바시로, 자도트빌은 리카시로, 알베르빌은 칼레미로 변경되었다.[21] 1972년에는 서구 문화나 기독교적인 이름 대신 자이르식 이름을 채택하고 서구식 의복 대신 아바코스트를 착용하는 것이 진정성의 표현으로 홍보되었다.[21]
모부투의 통치 이념은 1967년 5월 엔셀레 선언문을 통해 '모부티즘(Mobutism)'으로 구체화되었다.[14] 민족주의, 혁명, 진정성이 주요 주제였으며,[14] "좌도 아니고 우도 아니다"라는 슬로건과 함께 "진정성"이 정권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중요한 개념이 되었다.[21]
모부투는 자신의 지도력을 정당화하기 위해 진정성 개념을 활용했다. 그는 "우리 아프리카 전통에는 두 명의 수장이 없다…그렇기 때문에 우리 콩고인들은 우리 대륙의 전통에 부합하고자 우리나라 시민들의 모든 에너지를 하나의 국가 당의 깃발 아래 결집하기로 결정했습니다."라고 주장했다.[26]
2. 2. 헌법 개정과 권력 집중
1967년, 모부투 세세 세코 대통령은 새 헌법을 제정하고 인민혁명운동(MPR)을 창당하여 자신의 권력을 공고히 했다.[13] 새 헌법은 국민투표에서 98%의 찬성을 얻었으며,[13] 대통령에게 행정, 외교, 군 통수권 등 막강한 권한을 부여했다.[13]인민혁명운동은 "정치적으로 조직된 국가"의 출현을 의미하며,[14] 정부기관이 국가의 산물이 되는 대신, 국가는 당의 산물로 정의되었다.[14] 1967년 10월, 당과 행정 책임이 단일 체제로 통합되어 당의 역할이 모든 행정 기관, 노동조합, 청년운동, 학생단체로 확대되었다.[14]
자이르로 국명을 변경한 지 3년 후, 모부투는 자신의 장악력을 강화하는 새로운 헌법을 공포했다. MPR은 국가의 "유일한 기관"으로 정의되었고, 대통령에게는 "권력 행사의 충만함"이 부여되었다. 자이르의 모든 시민은 출생 시 자동으로 MPR 회원이 되었다. 이 제도를 통해 모부투는 1977년과 1984년 대선에서 높은 득표율로 재선되었지만, 이는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가 아니었다.

공화제 국가였으며, 부족 갈등 해소를 위해 모부투 세세 세코 대통령의 우익 정당인 인민혁명운동의 일당독재 체제였다. 야당은 불법이었으며, 1983년에는 벨기에에서 민주사회진보연합 등 여러 야당이 참여하여 "콩고 민주회복전선"을 결성했다.
대통령의 임기는 5년이었고, 중임은 2선까지 허용되었으나, 모부투 대통령은 "특별 조치"를 통해 무제한 재선이 가능했다. 대통령은 장관과 주지사를 임명할 권한을 가졌으며, 대법관의 임명 및 해임권도 가지고 있었다. 의회는 단원제였으며, 의원들은 모두 인민혁명운동 소속이었다.
1967년과 1973년에는 중앙 정부의 지방 권력 강화를 위한 행정 개혁이 도입되었다.[16] 1967년 개혁의 주요 목표는 지방 정부를 폐지하고 중앙 정부가 임명한 국가 공무원으로 대체하는 것이었다.[16] 1973년 개혁으로 각 행정 단위의 장을 지역 당 위원장으로 만들어 정치적 계층과 행정적 계층을 완전히 통합했다.[16] 또한, 지방 차원에서 전통 권력의 권한을 심각하게 축소했다.[16]
1973년에 도입된 "의무 시민 봉사"(Salongo)는 농업 및 개발 프로젝트에 주 1회 오후 한 시간의 강제 노동을 하는 것이었다.[16] 그러나 Salongo에 대한 대중적 열의 부족은 광범위한 저항과 태업으로 이어졌다.[17]
2. 3. 전체주의적 통치와 사회 통제
모부투 세세 세코(Mobutu Sese Seko) 대통령은 1965년부터 1997년까지 자이르를 통치하면서 '정치적으로 조직된 국가'를 만들기 위해 시민 사회에 대한 국가 통제를 크게 강화했다.[15]1967년 7월, 정치국은 혁명 인민 운동 청년회(Jeunesse du Mouvement Populaire de la Révolution—JMPR)를 창설하고, 자이르 노동자 전국 연합(Union Nationale des Travailleurs Zaïrois—UNTZA)을 통해 노동조합을 MPR 산하에 통합했다.[15] 이는 노동조합과 JMPR을 통해 노동 계급, 학생, 국가 간의 소통 연결 고리를 제공하고 정부 정책을 지원하는 기관으로 만들기 위한 조치였다.[15] 그러나 이러한 포섭이 실질적인 지지 동원으로 이어졌다는 증거는 거의 없다.[15]
모부투 정권은 여성 단체와 언론을 통제하고, 1971년 12월에는 교회의 권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자이르 그리스도 교회(L'Église du Christ au Zaïre), 김방구파(Kimbanguist Church), 로마 가톨릭 교회 세 교회만 인정했다.[15]
킨샤사 대학교와 키산가니 대학교 국유화, 기독교 이름 금지, 신학교에 JMPR 지부 설치 강요 등으로 로마 가톨릭 교회와 갈등을 빚었다.[15] 1975년 교황청의 압력으로 가톨릭 교회에 대한 공격을 완화하고 학교 시스템 통제권 일부를 반환했다.[15] 한편, 인정받지 못한 종파는 해산되고 지도자들은 투옥되었다.[16]
모부투는 민족적 충성심을 동원할 수 있는 기관을 억압하기 위해 루루아 형제 협회, 리보케 랴 방갈라 등 민족 협회를 금지했다.[16]
2. 4. 경제 발전과 위기

자이르는 초기 구리 등 지하자원 개발을 통해 경제가 성장했다. 1966년에서 1968년까지 경제성장률은 3.3%를 기록했다. 1973년경 자이르의 수출액은 7억 3,500만 달러였으며, 수입액은 5억 300만 달러였다. 주요 수출 품목은 구리가 60% 이상을 차지했고, 유럽연합과의 거래가 74%를 차지했다. 주요 생산품으로는 야자유, 고무, 커피, 목재, 목화, 구리, 다이아몬드(세계 최대 생산국), 코발트, 역청 우라늄 광석, 남동석, 공작석, 경공업 제품 등이 있었다. 1973년경 금·외화 준비고는 1억 8,500만 달러 (금 5,000만 달러)였다.
그러나 1970년대 후반부터 경제 상황이 악화되기 시작했다. 모부투와 측근들의 부정부패, 비효율적인 경제 정책, 국제 유가 파동 등이 경제 위기의 원인이었다. 1979년에는 1960년 대비 구매력이 4%에 불과했다.[22] 1976년부터 IMF는 그의 정권에 안정화 자금을 지원했지만, 이 자금의 상당 부분은 모부투와 그의 측근들에 의해 횡령되었다.[22]
1982년 IMF 특사 에르빈 블루멘탈의 보고서에 따르면, "자이르의 부패 시스템은 그 모든 악하고 추악한 모습, 관리 부실 및 사기 행위로 인해 국제 기구, 우호 정부 및 상업 은행의 자이르 경제 회복 및 재건 노력을 모두 파괴할 것임이 놀라울 정도로 명확하다"고 밝혔다.[23] 블루멘탈은 채권자들이 대출금을 회수할 "가능성이 없다"고 말했다.[23] 그럼에도 불구하고 IMF와 세계은행은 횡령되거나 도난당하거나 "코끼리 프로젝트에 낭비된" 돈을 계속 빌려주었다.[24] IMF 대출 조건으로 시행된 "구조 조정 프로그램"은 의료, 교육 및 인프라에 대한 지원을 축소했다.[22] 1979년 자이르 공화국 국가예산 중 국방비는 11%였던 반면, 사회보장·보건위생비는 5%에 불과했다.
1990년대 내전으로 경제가 붕괴되어 자이르는 세계 최빈국 중 하나가 되었다.
- 국내총생산 추이 (출처: 세계은행)
연도 | 수치 (백만 달러) | ||||
---|---|---|---|---|---|
1971 | 5,594.8 | 1972 | 6,173.7 | 1973 | 7,870.2 |
1974 | 9,597.0 | 1975 | 10,237.3 | 1976 | 9,648.6 |
1977 | 12,344.4 | 1978 | 15,372.6 | 1979 | 15,068.4 |
1980 | 14,394.9 | 1981 | 12,537.8 | 1982 | 13,651.7 |
1983 | 11,006.7 | 1984 | 7,857.7 | 1985 | 7,195.0 |
1986 | 8,095.4 | 1987 | 7,661.6 | 1988 | 8,861.3 |
1989 | 9,021.9 | 1990 | 9,349.8 | 1991 | 9,088.0 |
1992 | 8,206.2 | 1993 | 10,707.8 | 1994 | 5,820.4 |
1995 | 5,643.4 | 1996 | 5,771.5 | 1997 | 6,090.8 |
2. 5. 샤바 전쟁과 외부 갈등

1977년과 1978년, 앙골라에 기반을 둔 카탕가 반군이 카탕가 주(1972년 "샤바"로 개명)를 두 차례 침공했다(샤바 1차 전쟁, 샤바 2차 전쟁).[18] 이 반군들은 서방 진영의 군사 지원으로 격퇴되었다. 1978년 5월에는 콜웨지 전투가 벌어져 친공산주의 카탕가 게릴라들이 인질로 잡은 자이르, 벨기에, 프랑스 광부들을 구출하기 위한 공수 작전이 이루어졌다.
2. 6. 민주화 요구와 정권 붕괴
1980년대 후반 냉전 종식과 함께 민주화 요구가 거세지면서 모부투 정권은 위기에 직면했다.[18] 1990년 4월, 민주화 요구가 고조되자 의회는 다당제로 가는 길을 여는 헌법 수정안을 가결했다. 그러나 모부투는 3선을 금지한 헌법 조항을 무시하고 사임을 거부했다.[30]1991년 9월, 미지급 임금에 항의하는 군인들이 킨샤사를 약탈하는 소요를 일으켰다.[30] 프랑스와 벨기에 군대가 자국민 보호를 명목으로 개입했다. 1992년, 주권 국가 회의가 개최되어 에티엔 츠세케디 와 뮬럼바를 총리로 선출했지만, 모부투는 경쟁 정부를 만들어 대립했다. 1994년, 두 정부를 합병하여 모부투를 국가 원수로, 레옹 켄고 와 돈도를 총리로 하는 타협이 이루어졌으나, 선거는 실시되지 않았다.
1996년, 르완다 내전의 여파로 동부 자이르에서 투치족 민병대가 봉기하면서 제1차 콩고 전쟁이 시작되었다.[30] 바냐물렌게라고 불리는 자이르 영내 투치계 최대 세력의 대규모 봉기가 발생하였고, 이들은 로랑 데지레 카빌라가 이끄는 콩고-자이르 민주해방군 연합(AFDL)에 합류했다. AFDL은 르완다, 우간다, 앙골라, 부룬디 등의 지원을 받아 킨샤사를 점령하고 모부투 정권을 무너뜨렸다. 특히 앙골라는 모부투 정권 타도를 목표로 참전했다.[30]
1997년 5월, 모부투는 모로코로 망명했고, 카빌라는 대통령에 취임하여 국명을 콩고민주공화국으로 변경했다.[30]
3. 정치
공화제 국가였으며, 모부투 세세 세코 대통령의 우익 정당인 인민혁명운동(MPR)의 일당독재 체제였다.[14] 야당은 불법이었으며, 1983년에는 벨기에에서 민주사회진보연합(UDPS)과 인민혁명당(PRP, 룸움바파) 등이 참여하여 "콩고 민주회복전선(FCD)"을 결성했다.
대통령은 국가 원수로서 행정, 입법, 사법, 군사 등 모든 권력을 장악한 절대 권력자였다. 장관과 주지사(장관)를 임명할 권한을 가지고 있었으며,[13] 모든 법원의 판사와 주지사를 임명 및 해임할 권한을 가졌다.[13] 헌법상 임기는 5년으로 2선까지 허용되었으나, 모부투는 "특별 조치"를 통해 무제한 재선이 가능했으며, 99%가 넘는 득표율을 기록했다.
의회는 "국민입법의회"라는 단원제 일원제였으며, 보통선거로 선출된 의원들로 구성되었고 임기는 5년이었다. 의원 수는 당초 420명이었으나, 이후 310명으로 감소했다. 인민혁명운동의 일당제였기 때문에 의원들은 모두 인민혁명운동 소속이었고, 의장은 모부투 대통령이 겸임했다. 의회는 대통령이 제안한 법안을 통과시키는 형식적인 존재였다.
사법부는 1심 재판소, 9개의 항소 법원, 대법원의 3단계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대법관의 임명 및 해임권은 대통령이 가지고 있었다.[13]
3. 1. 모부티즘
모부티즘은 킨샤사에서 콩고 강을 따라 60km 상류에 있는 대통령의 전원주택인 엔셀레에서 발표된 엔셀레 선언문(Manifesto of N'sele)을 통해 그 기반이 공개되었다. 1967년 5월에 공개된 이 선언문에서는 민족주의, 혁명, 그리고 진정성이 주요 주제로 제시되었다.[14]민족주의는 경제적, 정치적 독립 달성을 의미했다.[21] 혁명은 "본질적으로 실용적인 진정한 국가 혁명"으로 묘사되었으며,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모두의 거부"를 의미했다.[21] 따라서 "좌도 아니고 우도 아니다"라는 슬로건은 "진정성"과 함께 정권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주요 슬로건이 되었다.[21] 이러한 이념은 모부투 세세 세코 대통령의 우익 정당인 인민혁명운동의 일당독재 체제를 통해 실현되었으며, 모부투는 '특별 조치'를 통해 헌법상 2선으로 제한된 대통령 임기를 무제한으로 연장했다.
모부투 정부는 "노멘클라투라"라고 불리는 엄선된 기술관료 집단에 의존했으며, 국가 원수는 이들 중에서 유능한 인물을 선발하고 주기적으로 교체했다. 이들은 행정위원회를 구성하고 모든 부처를 관리했다.
4. 행정 구역
자이르는 수도인 킨샤사를 포함하여 8개의 행정 구역으로 나뉘어 있었다.[31] 1988년, 키부 주가 3개( 북키부 주, 남키부 주, 마니에마 주)의 행정 구역으로 분할되었다.[31]
1. 반둔두(Bandundu) |
2. 바스콩고(Bas-Congo) |
3. 에콰터르(Équateur) |
4. 카사이-옥시덴탈(Kasaï-Occidental) |
5. 카사이-오리엔탈(Kasaï–Oriental) |
6. 샤바(Shaba) |
7. 킨샤사 |
8. 마니에마(Maniema) |
9. 북키부(North Kivu) |
10. 오리엔탈(Orientale) |
11. 남키부(South Kivu) |
모부투 세세 세코가 집권한 직후인 1966년 7월 1일에 21개 주를 8개 주와 1개 시로 재편했다.[31] 이 구획은 자이르 붕괴 후인 1997년 10월 8일에 다시 재편되었다.[31]
참고로 현재의 카탕가 주는 자이르화 정책에 따라 1971년에 '샤바 주'로 개칭되었다.
5. 경제
자이르는 풍부한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는 불안정했다. 모부투 세세 세코 대통령 집권 초기에는 구리 등 지하자원 개발로 경제가 성장하고 외국인 투자가 회복되기도 했다.[22] 1973년경에는 수출액이 7억 3,500만 달러에 달했고, 그중 구리가 60% 이상을 차지했으며, 유럽연합과의 거래가 74%를 차지했다. 주요 생산품으로는 야자유, 고무, 커피, 목재, 목화, 구리, 다이아몬드(세계 최대 생산국), 코발트 등이 있었다. 1971년부터 1997년까지의 국내총생산(GDP) 추이를 보면, 1970년대에는 성장세를 보이다가 1980년대 이후로는 변동이 심했다. (상세한 GDP 수치는 표 참고)
그러나 이후 부정부패, 비효율적인 정책, 국제 유가 파동 등으로 경제는 어려움을 겪었다.[22] 1979년에는 구매력이 1960년 대비 4%에 불과했다.[22] IMF는 안정화 자금을 지원했지만, 이 자금의 상당 부분은 모부투와 그의 측근들에 의해 횡령되었다.[22] 1982년 IMF 특사 에르빈 블루멘탈의 보고서에 따르면, 자이르의 부패 시스템은 국제 기구의 경제 회복 노력을 파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23] IMF와 세계은행은 횡령되거나 낭비될 돈을 계속 빌려주었고,[24] "구조 조정 프로그램"은 의료, 교육 및 인프라에 대한 지원을 축소했다.[22] 1990년대 내전으로 경제는 더욱 악화되어 세계 최빈국 중 하나가 되었다.
1979년 자이르 공화국 국가 예산 중 국방비는 11%, 사회보장·보건위생비는 5%를 차지했는데, 이는 페루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사회보장 및 보건위생비가 적었던 탓에 인구 1인당 의사 수는 16,106명으로 매우 많았다.
1966년과 1971년 사이에는 통화와 도시 이름이 변경되었다. 자이르는 프랑을 대체하는 새로운 국가 통화로 도입되었으며, 1자이르는 100마쿠타(단수: 리쿠타)와 같았다. 리쿠타는 다시 100센기로 나뉘었지만, 센기의 가치는 매우 낮았다.
연도 | 수치 (백만 달러) | ||||
---|---|---|---|---|---|
1971 | 5,594.8 | 1972 | 6,173.7 | 1973 | 7,870.2 |
1974 | 9,597.0 | 1975 | 10,237.3 | 1976 | 9,648.6 |
1977 | 12,344.4 | 1978 | 15,372.6 | 1979 | 15,068.4 |
1980 | 14,394.9 | 1981 | 12,537.8 | 1982 | 13,651.7 |
1983 | 11,006.7 | 1984 | 7,857.7 | 1985 | 7,195.0 |
1986 | 8,095.4 | 1987 | 7,661.6 | 1988 | 8,861.3 |
1989 | 9,021.9 | 1990 | 9,349.8 | 1991 | 9,088.0 |
1992 | 8,206.2 | 1993 | 10,707.8 | 1994 | 5,820.4 |
1995 | 5,643.4 | 1996 | 5,771.5 | 1997 | 6,090.8 |
6. 주민
자이르는 약 200개의 종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반투족이 약 절반, 수단계 민족이 약 13%를 차지한다. 그 외에 유럽인(특히 벨기에 출신 이민자가 많음), 피그미족 등이 있다. 1983년 10월 기준으로 체류 일본인은 100명에서 1,000명 정도였다.
인구는 1984년 7월 1일 국세조사 기준 29,648,833명이었으며, 2014년 현재 콩고민주공화국의 최신 국세조사 결과이기도 하다. 따라서 그 이후의 인구 수치는 추계일 뿐, 결코 신뢰할 수 있는 수치가 아니다. 출산율은 40%를 넘지만, 사망률도 20% 이상으로 높아 인구 피라미드는 후지산형을 이루고 있다.
공용어는 프랑스어이며, 그 외에 스와힐리어(동부), 킬바어(남부), 링갈라어(자이르 강/콩고 강 주변), 키콩고어(저지대 콩고) 등이 사용된다. 문맹률은 50%로 비교적 높다.
종교는 가톨릭이 약 절반을 차지하며, 개신교, 이슬람교, 그리고 전통적인 토착 신앙이 있다.
7. 문화
자이르는 '진정성(Authenticité)' 정책을 통해 서구 문화의 영향을 배격하고 아프리카 전통 문화를 장려했다.[21] 모부투 세세 세코는 '진정성'을 자신의 개성과 가치에 대한 자각, 그리고 자신의 문화 속에서 편안함을 느끼는 것이라고 정의했다.[21] 1971년 10월 27일, 국호를 자이르 공화국으로 변경하고 군대 명칭을 자이르군(Forces Armées Zaïroises—FAZ)으로 변경했다.[21][25] 콩고 강과 중세 콩고 왕국 모두를 가리키는 "콩고" 대신 "자이르"라는 이름을 사용했는데, 이는 포르투갈어에서 유래한 것이었다. 모부투는 모든 시민들에게 아프리카식 이름을 채택하도록 강요했고, 레오폴드빌은 킨샤사, 스탠리빌은 키산가니, 엘리자베스빌은 루붐바시, 자도트빌은 리카시, 알베르빌은 칼레미로 개명되었다. 1972년에는 서구 문화나 기독교적인 이름 대신 자이르식 이름을 채택하고 서구식 의복 대신 아바코스트를 착용하는 것이 진정성의 표현으로 홍보되었다.[21]
8. 올림픽 및 국제 관계
8. 1. 올림픽
8. 2. 국제 관계
9. 유산
모부투 정권 붕괴 이후, 자이르의 유산은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19][20] 움부티스트 민주당(Union of Mobutist Democrats) 및 MPR-''Fait privé''와 같은 일부 정치 세력은 모부투 시대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자이르의 상징을 사용하기도 한다. 2024년, 야당 정치인 크리스티앙 말랑가(Christian Malanga)는 '신(新) 자이르'라는 이름으로 쿠데타를 시도했지만 실패했다.[19][20] 모부투 정권은 독재와 부정부패로 얼룩진 실패한 정권으로 평가된다.
참조
[1]
간행물
Constitution de la République du Zaïre
Journal Officiel de la République du Zaïre
1983-01-01
[2]
서적
The World Factbook 1986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1986
[3]
서적
Countries of the World and Their Leaders: The U.S. Department of State's Report on Status of the World's Nations, Combined with Its Series of Background Notes Portraying Contemporary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Governmental Policies and Personnel, Political Parties, Religion, History, Education, Press, Radio and TV, and Other Characteristics of Each Nation: Includes Central Intelligence Agency's List of Chiefs of State and Cabinet Members of Foreign Governments
https://books.google[...]
Gale Research Company
1975-07-15
[4]
서적
Zaire: A Country Study
1979
[5]
서적
Zaire: A Country Study
1993
[6]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1990
http://hdr.undp.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7]
서적
The River Congo
1977
[8]
서적
An Abstract of a Voyage to Congo River, Or the Zair and to Cabinde in the Year 1700
1746
[9]
서적
Zaire: A Country Study
1994
[10]
서적
Zaire: A Country Study
1994
[1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09
[12]
서적
Zaire: A Country Study
1994
[13]
서적
Zaire: A Country Study
1994
[14]
서적
Zaire: A Country Study
1994
[15]
서적
Zaire: A Country Study
1994
[16]
서적
Zaire: A Country Study
1994
[17]
서적
Zaire: A Country Study
1994
[18]
웹사이트
"Zaire's Mobutu Visits America"
http://www.heritage.[...]
Heritage Foundation
1989-06-29
[19]
웹사이트
Congolese forces claim to have thwarted coup 'involving foreign nationals'
https://www.ft.com/c[...]
Financial Times
2024-05-19
[20]
웹사이트
Explainer: The foiled coup in DR Congo: Here's what to know
https://www.reuters.[...]
Reuters
2024-05-21
[21]
서적
Zaire: A Country Study
1994
[22]
서적
Congo: The Epic History of a People
HarperCollins
2014-03-25
[23]
서적
The Crisis in Zaire: Myths and Realities
https://books.google[...]
Africa World Press
1986
[24]
웹사이트
IMF and World Bank: Agents of Poverty or Partners of Development?
http://www.moderngha[...]
Modern Ghana
2009-05-30
[2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0
[26]
서적
The rise and decline of the Zairian stat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85
[27]
웹사이트
IANA Report on Deletion of the .zr Top-Level Domain
https://www.iana.org[...]
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
2001-06-20
[28]
문서
1965년에 콘고 민주 공화국 제2대 대통령으로 취임
[29]
문서
콘고 민주 공화국 제3대 대통령으로 2001년까지 취임
[30]
뉴스
구출 작전 개시 프랑스군 콜베지에 강하
朝日新聞
1978-05-20
[31]
웹사이트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http://www.statoids.[...]
[32]
서적
最新世界便覧
197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