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티엔 베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티엔 베주는 18세기 프랑스의 수학자이다. 그는 1730년에 태어나 1783년에 사망했으며, 베주 정리, 베주 항등식, 베주 정역 등 수학 분야에 기여했다. 특히, 연립방정식 풀이에서 행렬식을 활용하는 연구를 진행했으며, 《대수방정식론》을 저술하여 소거 이론과 방정식의 근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느무르에 동상이 세워졌으며, 소행성 17285 Bezout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83년 사망 - 장 르 롱 달랑베르
    장 르 롱 달랑베르는 프랑스의 수학자, 물리학자, 철학자이자 음악 이론가로서, 달랑베르의 원리를 제시하여 역학 발전에 기여하고 드니 디드로와 함께 《백과전서》를 편찬하며 계몽주의 사상을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1783년 사망 - 홍대용
    홍대용은 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천문학자로 북학파의 중심 인물이었으며, 청나라 학자들과 교류하며 서양 천문학 지식을 접하고 지구 자전설과 우주 무한론을 주장하여 학계에 영향을 미쳤고, 사헌부 감찰과 영주군수를 역임하며 실학적 이상을 실현하려 노력했다.
  • 1730년 출생 - 샤를 메시에
    샤를 메시에는 프랑스의 천문학자로, 혜성 발견과 메시에 천체 목록을 만들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달의 크레이터와 소행성에 이름이 붙여졌다.
  • 1730년 출생 - 유언호
    유언호는 조선 후기 문신으로, 정조의 신임을 받아 규장각 직제학, 이조 참판, 우의정, 좌의정을 역임했으며, 조덕린 복관 문제로 사직한 후 사망했다.
  • 18세기 수학자 - 조제프루이 라그랑주
    조제프루이 라그랑주는 이탈리아 출신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로서 변분법, 라그랑주 역학 등을 개발하고 미터법 제정에 참여하며 18~19세기 수학과 역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에펠탑에 그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 18세기 수학자 -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독일의 철학자, 수학자, 과학자, 외교관, 법학자, 도서관학자이자 언어학자로, 합리주의 철학을 대표하며 모나드론과 예정조화설을 주장했고, 미적분학을 독자적으로 발견하고 이진법을 체계화하는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 기여했다.
에티엔 베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에티엔 베주
에티엔 베주
이름에티엔 베주
로마자 표기Etien Beju
출생1730년 3월 31일
출생지센에마른주 넴무르
사망1783년 9월 27일
사망지일드프랑스 아봉
국적프랑스
학문 분야
분야수학
직장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스승알려진 정보 없음
제자알려진 정보 없음
업적베주의 정리
베주 항등식
베주 행렬
베주 정역
가족
아버지피에르 베주
어머니잔-엘렌 필즈

2. 생애

에티엔 베주는 1730년 프랑스 뇌무르에서 공무원이었던 아버지 피에르 베주와 어머니 엘렌잔 필즈 사이에서 태어났다. 1758년 아카데미 프랑세즈에 입회하였다. 베주 정리를 언급한 《대수방정식론》을 출판하는 등 대수방정식과 행렬식에 관한 연구 업적을 남겼다. 1783년 9월 27일, 센에마른주 아본에서 사망했다.

2. 1. 출생과 가계

Pierre Bézout|피에르 베주프랑스어와 Hélène-Jeanne Filz|엘렌잔 필즈프랑스어의 아들로 1730년에 태어났다. 아버지 피에르 베주는 공무원이었다. 1758년에 아카데미 프랑세즈에 입회했다.

2. 2. 학문적 활동

1764년에는 한 논문에서 행렬식을 사용하였다. 1779년에는 《대수방정식론》(Théorie générale des équations algébriques프랑스어)을 출판하였고, 여기서 베주 정리를 언급하였다.[4]

18세기의 여러 대수학자들은 연립n차방정식을 풀기위해 근과 계수와의 관계를 다루었는데, 대표적으로 오일러(1748)와 베주(1764)가 있다. 특히 베주는 두 개의 이변수 방정식으로부터 종결식을 생성해 낸 오일러의 방법을 기반으로, 행렬을 체계화하여 사용하는n변수 n개 연립방정식으로부터 하나의 변수를 갖는 하나의 방정식을 찾아내는 연구를 했는데, n개 미지수를 갖는 n개 방정식으로 구성된 연립방정식의 종결식으로 확장시켰다.[4] 종결식이라는 이름은 베주가 최초로 사용하였지만 오일러와 베주 모두는 종결식을 연립일차방정식의 행렬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었다.[5]

이러한 연립방정식 풀이에서 행렬을 사용하는 중요한 아이디어로 인해, 1853년에 실베스터는 연립방정식의 계수 행렬식을 Bezoutiant라고 불렀다.[6]

그 후 종결식은 제임스 조지프 실베스터에 의해 두 방정식의 계수들로 이루어진 행렬식으로 표현되었다 (1843).[7] 1758년, 베주는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의 역학 부교수로 선출되었다. 그는 다수의 소규모 저작 외에도, 1779년 파리에서 출판된 ''대수 방정식의 일반 이론''을 저술했는데, 특히 소거 이론과 방정식의 근의 대칭 함수에 대한 새롭고 가치 있는 내용을 많이 담고 있었다. 그는 1764년 ''왕립 아카데미 역사''에 실린 논문에서 행렬식을 사용했지만, 일반적인 이론을 다루지는 않았다.

1779년파리에서 저술된 『''Théorie générale des équations algébriques''』는 오늘날의 베주의 정리가 유래되었지만, 완전한 것은 아니었으며, 그 후 1873년에 조르주 앙리 알팽에 의해 처음으로 증명되었고, 1930년네덜란드의 수학자 반 데르 바르던에 의해 초등적인 증명이 주어졌다.

2. 3. 사망

1783년 9월 27일, 센에마른주 아본에서 사망했다.[3]

3. 업적

에티엔 베주는 베주 정리, 베주 항등식, 베주 정역 등의 개념과 관련된 업적을 남겼다.[1] 1758년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의 역학 부교수로 선출되었으며, 1779년 파리에서 출판된 ''대수 방정식의 일반 이론''을 저술하여 소거 이론과 방정식의 근의 대칭 함수에 대한 새로운 내용을 제시하였다. 1764년 ''왕립 아카데미 역사''에 실린 논문에서 행렬식을 사용했지만, 일반적인 이론을 다루지는 않았다.[2]

3. 1. 베주 정리

1779년파리에서 저술된 『''Théorie générale des équations algébriques''』에서 오늘날의 베주 정리가 유래되었지만, 완전한 것은 아니었다.[1] 그 후 1873년에 프랑스 수학자 조르주 앙리 알팽에 의해 처음으로 증명되었고, 1930년네덜란드의 수학자 반 데르 바르던에 의해 초등적인 증명이 주어졌다.[1] 베주는 1764년 ''왕립 아카데미 역사''에 실린 논문에서 행렬식을 사용했지만, 일반적인 이론을 다루지는 않았다.[2]

3. 2. 베주 항등식

에티엔 베주는 소거 이론과 방정식의 근의 대칭 함수에 대한 연구를 통해 베주 항등식과 관련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1779년 파리에서 출판된 그의 저서 ''대수 방정식의 일반 이론''에는 이러한 내용이 담겨 있다. 또한, 베주는 1764년 ''왕립 아카데미 역사''에 실린 논문에서 행렬식을 사용하기도 했다.[1]

3. 3. 베주 정역

베주 항등식(영어: Bézout's identity) 또는 베주의 보조정리는 정수론의 정리이다.

베주 항등식에 따르면, 정수 a, b의 최대공약수가 g일 때,

:ax+by=g

를 만족하는 정수 x, y가 존재하며, 역으로 ax+by 꼴로 나타낼 수 있는 최소의 양의 정수는 a, b의 최대공약수 g이다. 여기서 x와 y는 베주 계수라고 불리며, 유일하지 않다. 베주 계수는 확장된 유클리드 호제법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베주 항등식은 정수환뿐만 아니라, 모든 주 아이디얼 정역에 대하여 일반화된다. 즉, 주 아이디얼 정역의 원소 a, b의 최대공약수가 g일 때,

:ax+by=g

를 만족하는 주 아이디얼 정역의 원소 x, y가 존재하며, 역으로 ax+by 꼴로 나타낼 수 있는 최소의 양의 정수는 a, b의 최대공약수 g이다. 여기서 x와 y는 베주 계수라고 불리며, 유일하지 않다. 베주 계수는 확장된 유클리드 호제법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베주 정역(영어: Bézout domain)은 베주 항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역이다. 즉, 베주 정역은 모든 두 주 아이디얼의 합이 주 아이디얼인 정역이다.

3. 4. 기타

1758년, 베주는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의 역학 부교수로 선출되었다. 그는 다수의 소규모 저작 외에도 1779년 파리에서 출판된 ''대수 방정식의 일반 이론''을 저술했는데, 특히 소거 이론과 방정식의 근의 대칭 함수에 대한 새롭고 가치 있는 내용을 많이 담고 있었다. 그는 1764년 ''왕립 아카데미 역사''에 실린 논문에서 행렬식을 사용했지만, 일반적인 이론을 다루지는 않았다.

4. 유산

그의 사후,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그의 출생지인 느무르에 동상이 세워졌으며, 2000년에는 소행성 17285 베주가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1][2]

4. 1. 동상

그의 사후,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그의 출생지인 느무르에 동상이 세워졌다.[1]

4. 2. 소행성

2000년에 소행성 17285 베주(17285 Bezout)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

5. 저서

베주는 다수의 소규모 저작 외에도, 1779년 파리에서 출판된 《대수 방정식의 일반 이론》을 저술했는데, 특히 소거 이론과 방정식의 근의 대칭 함수에 대한 새롭고 가치 있는 내용을 많이 담고 있었다.[1] 1764년 《왕립 아카데미 역사》에 실린 논문에서 행렬식을 사용했지만, 일반적인 이론을 다루지는 않았다.[1]

''Cours de mathématiques, à l'usage du corps de l'artillerie'', 1798

참조

[1] MacTutor Biography
[2] 웹사이트 (17285) Bezout https://minorplanetc[...] Minor Planet Center 2021-11-26
[3] 문서 베즈우의 정리
[4] 간행물 연립방정식 풀이의 역사발생적 고찰-종결식을 중심으로 http://society.kisti[...] 2013
[5] 서적 Modern computer algebr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6] 문서 1764년에 발표된 두 번째 논문 (Sur le degré des équations résultantes de l’évanouissement des inconnues)
[7] 간행물 http://scholar.ndsl.[...]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