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강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강명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언론인이다. 1975년 서울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를 졸업하고, 동아일보 기자로 11년간 근무했다. 2011년 소설 『표백』으로 한겨레문학상을 수상하며 작가로 데뷔했으며, 이후 수림문학상, 제주 4·3평화문학상, 문학동네 작가상, 오늘의 작가상 등을 수상했다. 소설 《한국이 싫어서》는 영화로 제작되어 제28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작으로 상영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겨레문학상 수상자 - 한창훈
한창훈은 1963년 전라남도 여수시 출생으로, 1992년 등단하여 농어촌과 소도시의 가난한 사람들의 삶을 사실적으로 그려내며 바다를 배경으로 삶의 본질을 탐구하는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 한겨레문학상 수상자 - 박민규 (작가)
박민규는 1968년 울산 출생으로, 『지구 영웅 전설』과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으로 문학상을 수상하며 외로움을 주제로 1인칭 화자를 통해 세계와 자아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소설가이다. - 대한민국의 SF 작가 - 김초엽
김초엽은 2017년 한국과학문학상에서 수상하며 데뷔한 대한민국의 과학 소설 작가로, 포항공과대학교에서 화학과를 졸업하고 생화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대표작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을 비롯한 다수의 작품을 출간하며 활발히 활동 중이다. - 대한민국의 SF 작가 - 이영도
이영도는 1972년 부산에서 태어나 《드래곤 라자》, 《눈물을 마시는 새》 등 다양한 작품을 발표하며 한국 판타지 문학의 새로운 지평을 연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 반출생주의자 - 프리드리히 니체
프리드리히 니체는 "신은 죽었다"라는 선언으로 알려진 19세기 독일 철학자이자, 도덕, 종교, 형이상학 비판, '힘에의 의지', '위버멘쉬', '영원회귀' 등의 개념 제시로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반출생주의자 - 리처드 스톨먼
리처드 스톨먼은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창시자이자 GNU 프로젝트 설립자로서, Emacs 편집기 개발, GNU 운영 체제 개발,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 설립, 카피레프트 개념 대중화,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개발 등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을 이끌었으나, 논쟁적인 발언으로 FSF 회장직에서 사임 후 복귀하기도 한 미국의 컴퓨터 프로그래머, 해커, 사회 운동가이다.
장강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인물 정보 | |
이름 | 장강명 (張康明) |
출생일 | 1975년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직업 | 언론인, 소설가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학사 |
활동 기간 | 1994년 ~ |
장르 | 소설 |
웹사이트 | 트위터 페이스북 |
2. 생애
장강명은 1975년 서울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에서 도시공학을 전공했다. 졸업 후 건설 회사에 다니다가 퇴사하고 동아일보에 입사하여 11년간 기자로 활동했다.[3] 전업 소설가가 되기 위해 퇴사한 후, 2011년 《표백》으로 한겨레문학상을 수상하며 작가로 데뷔했다.[9][10][11][12] 이후 《열광금지, 에바로드》로 수림문학상(2014), 《2세대 댓글부대》로 제주4·3평화문학상(2015), 《그믐, 또는 당신이 세계를 기억하는 방식》으로 문학동네작가상(2015)을 받았다.[9][10][11][12]
2. 1. 유년 시절과 학창 시절
장강명은 1975년 서울에서 무역업을 하는 아버지와 잡지 기자이자 문학가인 어머니 밑에서 태어났다.[9] 연세대학교 재학 중이던 1994년 PC 통신 하이텔에 SF 소설을 연재하고, 군 복무 중에는 장편소설을 투고하는 등 일찍부터 문학에 관심을 보였다.[9] 연세대학교에서 도시공학을 전공하였다.[3]2. 2. 기자 경력
2002년 동아일보에 수습기자로 입사하여 사회부, 정치부, 산업부 기자를 거쳐 2013년 퇴사하였다.[9][10][11][12] 2003년 한국기자협회 제158회 이달의 기자상, 2005년 제22회 관훈언론상, 2006년 동아일보 대스크루프상, 2010년 시티대한민국언론인상 대상, 2008년에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감사장을 받았다.2. 3. 작가 활동
장강명은 연세대학교 재학 중이던 1994년 PC 통신 하이텔에 SF 소설을 연재하고, 군 복무 중에는 장편소설을 투고하는 등 일찍부터 문학에 관심을 보였다. 2002년부터 2013년까지 동아일보 기자로 일하였으나 전업 소설가가 되겠다는 일념을 갖고 퇴사하였다. 동아일보에서는 사회부, 정치부, 산업부 기자를 거쳤다.[9][10][11][12]2011년 장편소설 『표백』으로 한겨레문학상을 수상하며 작가로 데뷔했다.[3] 사회 비평에서 SF까지 폭넓은 작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겨레문학상, 수림문학상, 제주4·3평화문학상, 문학동네 작가상 등을 수상했다.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상 이름 | 작품 |
---|---|---|
2011 | 한겨레문학상 | 표백 |
2014 | 수림문학상 | 열광금지, 에바로드 |
2015 | 제주4·3평화문학상 | 2세대 댓글부대 (댓글부대) |
2015 | 문학동네 작가상 | 그믐, 또는 당신이 세계를 기억하는 방식 |
2016 | 오늘의 작가상 | 댓글부대 |
장강명은 현대 사회의 문제점과 그 이면의 복잡한 현실을 예리하게 포착하는 작품들을 주로 발표해왔다. 특히 한국 사회의 특수한 상황과 보편적인 인간 심리를 결합하여 독자들에게 깊은 공감과 질문을 던지는 것이 특징이다.
3. 작품 세계
3. 1. 주요 작품
제목 | 출판사 | 출판일 |
---|---|---|
아스타틴 | 에픽로그 | 2017년 |
우리의 소원은 전쟁 | 지혜의 숲 | 2016년 |
댓글부대 | 은행나무 | 2015년 |
그믐, 또는 당신이 세계를 기억하는 방식 | 문학동네 | 2015년 |
한국이 싫어서 | 민음사 | 2015년 |
호모도미난스 | 은행나무 | 2014년 |
열광금지, 에바로드 | 연합뉴스 | 2014년 |
뤼미에르 피플 | 한니북 | 2012년 |
표백 | 한니북 | 2011년 |
클론 프로젝트 | 동아일보 | 1996년 |
4. 수상 경력
연도 | 상 이름 |
---|---|
2003년 | 제158회 이달의 기자상[13] |
2005년 | 제22회 관훈언론상[14] |
2006년 | 대특종상[15] |
2008년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감사장[16] |
2010년 | 씨티대한민국언론인상 대상 |
2011년 | 제16회 한겨레문학상[17] |
2014년 | 제2회 수림문학상[18] |
2015년 | 제3회 제주4·3평화문학상[19] |
2015년 | 제20회 문학동네작가상 |
2016년 | 제7회 젊은작가상 |
2016년 | 제40회 오늘의작가상 |
5. 작품 목록
장강명 작가는 소설, 에세이, 논픽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품을 발표했다. 소설 분야에서는 《표백》, 《한국이 싫어서》, 《댓글부대》 등 사회 비판적인 시각을 담은 작품으로 주목받았다. 에세이로는 《5년 만에 신혼여행》을 출간했으며, 논픽션으로는 《당선, 합격, 계급》, 《팔과 다리의 가격》 등을 통해 한국 사회의 문제점을 날카롭게 지적했다. 여러 작가들과 함께 공동 작품집을 출간하기도 했다.
분류 | 제목 | 출판사 | 출판일 |
---|---|---|---|
소설 | 《클론 프로젝트》 | 동아일보사 | 1996년 10월 |
소설 | 《표백》 | 한겨레출판 | 2011년 7월 |
소설 | 《뤼미에르 피플》 | 한겨레출판사 | 2012년 12월 |
소설 | 《한밤의 산행》 | 한겨레출판사 | 2014년 4월 |
소설 | 《열광금지, 에바로드》 | 연합뉴스 | 2014년 10월 |
소설 | 《호모도미난스》 | 은행나무 | 2014년 10월 |
소설 | 《한국이 싫어서》 | 민음사 | 2015년 5월 |
소설 | 《그믐, 또는 당신이 세계를 기억하는 방식》 | 문학동네 | 2015년 8월 |
소설 | 《댓글부대》 | 은행나무 | 2015년 11월 |
소설 | 《우리의 소원은 전쟁》 | 예담 | 2016년 11월 |
소설 | 《알바생 자르기(Fired)》 | 아시아 | 2017년 5월 |
소설 | 《아스타틴》 | 판다플립 | 2017년 12월 |
소설 | 《열광금지, 에바로드》 | 스튜디오봄봄 | 2017년 12월 |
소설 | 《노라》 | 쪽프레스 | 2018년 10월 |
소설 | 《산 자들》 | 민음사 | 2019년 6월 |
소설 | 《지극히 사적인 초능력》 | 아작 | 2019년 7월 |
에세이 | 《5년 만에 신혼여행》 | 한겨레출판사 | 2016년 8월 |
논픽션 | 《당선, 합격, 계급》 | 민음사 | 2018년 5월 |
논픽션 | 《팔과 다리의 가격》 | 아시아 | 2018년 7월 |
논픽션 | 《책, 이게 뭐라고》 | 아르떼 | 2020년 9월 |
공저 | 《한밤의 산행》 | 한겨레출판사 | 2014년 4월 |
공저 | 《2016 제7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 문학동네 | 2016년 4월 |
공저 | 《다행히 졸업》 | 창비 | 2016년 10월 |
공저 | 《아직 우리에겐 시간이 있으니까》 | 한겨레출판사 | 2017년 8월 |
공저 | 《근방에 히어로가 너무 많사오니》 | 민음인 | 2018년 9월 |
공저 | 《그들의 첫 번째와 두 번째 고양이》 | 문학사상 | 2019년 1월 |
공저 | 《땀 흘리는 소설》 | 창비교육 | 2019년 3월 |
공저 | 《아직 집에는 가지 않을래요》 | 현대문학 | 2019년 12월 |
공저 | 《나는 어떻게 글을 쓰는가》 | 아시아 | 2020년 5월 |
그의 작품은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번역 출간되었다.
- 《나는 한국을 증오하기 때문에》는 프랑스어로 번역되었다.[4]
- 《해고》는 K-Fiction 시리즈 13번째 영어 번역 작품이다.[5]
- 《한국이 싫어서》, 《우리의 소원은 전쟁》, 《새는 날기 즐거운가》, 《지극히 사적인 초능력》은 일본어로 번역되어 출간되었다.
5. 1. 소설
- 《클론 프로젝트》 (동아일보사, 1996년 10월) [4]
- 《표백》 (한겨레출판, 2011년 7월)
- 《뤼미에르 피플》 (한겨레출판사, 2012년 12월)
- 《한밤의 산행》 (한겨레출판사, 2014년 4월)
- 《열광금지, 에바로드》 (연합뉴스, 2014년 10월)
- 《호모도미난스》 (은행나무, 2014년 10월)
- 《한국이 싫어서》 (민음사, 2015년 5월)
- 《그믐, 또는 당신이 세계를 기억하는 방식》 (문학동네, 2015년 8월)
- 《댓글부대》 (은행나무, 2015년 11월)
- 《우리의 소원은 전쟁》 (예담, 2016년 11월)
- 《알바생 자르기(Fired)》 (아시아, 2017년 5월) [5]
- 《아스타틴》 (판다플립, 2017년 12월)
- 《열광금지, 에바로드》 (스튜디오봄봄, 2017년 12월)
- 《노라》 (쪽프레스, 2018년 10월)
- 《산 자들》 (민음사, 2019년 6월)
- 《지극히 사적인 초능력》 (아작, 2019년 7월)
5. 2. 에세이
- 5년 만에 신혼여행한국어 (한겨레출판사, 2016년 8월)
5. 3. 논픽션
- 《당선, 합격, 계급》 (민음사) 2018년 5월
- 《팔과 다리의 가격》 (아시아) 2018년 7월
- 《책, 이게 뭐라고》 (아르떼) 2020년 9월
5. 4. 공저
- 《한밤의 산행》 (2014년 4월, 한겨레출판사)
- 《2016 제7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2016년 4월, 문학동네)
- 《다행히 졸업》 (2016년 10월, 창비)
- 《아직 우리에겐 시간이 있으니까》 (2017년 8월, 한겨레출판사)
- 《근방에 히어로가 너무 많사오니》 (2018년 9월, 민음인)
- 《그들의 첫 번째와 두 번째 고양이》 (2019년 1월, 문학사상)
- 《땀 흘리는 소설》 (2019년 3월, 창비교육)
- 《아직 집에는 가지 않을래요》 (2019년 12월, 현대문학)
- 《나는 어떻게 글을 쓰는가》 (2020년 5월, 아시아)
6. 미디어 각색
2023년, 장강명의 소설 ''한국이 싫어서''가 장건재 감독에 의해 동명의 영화로 각색되었다.[6] 이 영화는 제28회 부산국제영화제의 개막작으로 선정되어 2023년 10월 4일에 상영될 예정이다.[7]
참조
[1]
웹사이트
장강명 {{!}} Digital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LTI Korea)
http://library.ltiko[...]
2017-12-08
[2]
웹사이트
장강명 (張康明), CAHANG KANG MYOUNG
http://cdb.chosun.co[...]
[3]
웹사이트
한국이 싫어서
http://www.aladin.co[...]
2017-12-08
[4]
웹사이트
Parce que je déteste la Corée {{!}} Digital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LTI Korea)
http://library.ltiko[...]
2017-12-08
[5]
웹사이트
Fired: K-Fiction Series 13 {{!}} Digital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LTI Korea)
http://library.ltiko[...]
2017-12-08
[6]
뉴스
장건재 '한국이 싫어서', 28th BIFF 개막작 포스터…고아성·주종혁 개막식 참석
https://n.news.naver[...]
Naver
2023-09-06
[7]
웹사이트
The 28th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Selection List
https://www.biff.kr/[...]
2023-09-05
[8]
웹사이트
장강명 - YES24 작가파일
http://www.yes24.com[...]
2023-02-04
[9]
뉴스
네이버 인물검색
http://people.search[...]
2015-12-26
[10]
뉴스
신문기자 관두고 2년만에 소설 6권, 문학賞 휩쓸어… 글만 써 먹고살고 싶다
https://news.naver.c[...]
2015-12-26
[11]
뉴스
조선닷컴 인물검색
http://cdb.chosun.co[...]
2015-12-26
[12]
뉴스
YES24 《한국이 싫어서》 소개
http://www.yes24.co.[...]
2015-12-26
[13]
간행물
한국기자협회
2003-12
[14]
간행물
관훈클럽
2005-01
[15]
간행물
동아일보
2006-03
[16]
간행물
중앙선관위
2008-07
[17]
간행물
표백
2011-06
[18]
간행물
열광금지, 에바로드
2014-10
[19]
간행물
2세대 댓글부대
제주4·3평화문학상 운영위원회
201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AI에 정복당한 바둑계, 그 경고를 들어라 [.txt]
알파고 승리가 불러온 미래…장강명 "인간만 하는 건 좋은 상상"
어른이 된 동구는 다시 계엄을 목격하고 [.txt]
4월 18일 문학 새 책
[책과 삶] 불륜 앤솔러지…“함부로 판단하지 마세요”
추첨으로 대학 가는 입시, 과연 상상일까
제30회 ‘한겨레문학상’ 공모
국내 월정액 무제한 전자책 대여 모델 4종 비교- 경쟁력편 – 바이라인네트워크
유료 전환 리디셀렉트, 장강명 신작 연재로 승부수 – 바이라인네트워크
[서평은 아닙니다만] 노라와 하버드비즈니스리뷰 – 바이라인네트워크
저출생 축소사회,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Asia Future Forum] Shrinking societies with low fertility rates: How to respon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