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뤼크 라가르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뤼크 라가르스는 프랑스의 극작가이자 연출가이다. 1957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브장송 국립연극원에서 수학했으며, 아마추어 극단 활동을 거쳐 1981년부터 프로 극단에서 연극 활동을 시작했다. 1988년 에이즈 진단을 받았으며, 질병, 죽음, 실종에 대한 테마를 작품에서 다루었다. 주요 작품으로는 희곡 《단지 세상의 끝》, 《머나먼 나라》 등이 있으며, 1995년 3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연극 감독 - 앙드레 앙투안
프랑스의 연출가, 영화 감독, 평론가인 앙드레 앙투안은 1887년 떼아뜨르 리브르 극장을 설립하여 사실주의와 자연주의 연극을 추구하며 '네 번째 벽' 개념을 혁신적으로 활용했고, 이후 영화 감독 및 평론가로 활동했다. - 프랑스의 연극 감독 - 파트리스 셰로
프랑스의 영화 및 연극 감독이자 오페라 연출가 겸 배우인 파트리스 셰로는 낭테르 아망디에 극장 감독을 역임하고 바이로이트 음악제에서 "세기 반지"라는 찬사를 받은 《니벨룽의 반지》를 연출했으며, 영화 《인티머시》로 베를린 국제 영화제 황금곰상을 수상하는 등 다방면에서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성소수자 배우 - 파트리스 셰로
프랑스의 영화 및 연극 감독이자 오페라 연출가 겸 배우인 파트리스 셰로는 낭테르 아망디에 극장 감독을 역임하고 바이로이트 음악제에서 "세기 반지"라는 찬사를 받은 《니벨룽의 반지》를 연출했으며, 영화 《인티머시》로 베를린 국제 영화제 황금곰상을 수상하는 등 다방면에서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성소수자 배우 - 아델 에넬
아델 에넬은 2002년 데뷔 후 《수잔》과 《싸우는 사람들》로 세자르 영화제에서 수상하며 연기력을 인정받은 프랑스 배우로, 성폭력 고발 등 사회 문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다 2022년 영화계 은퇴 후 연극 무대로 활동 영역을 넓혔다. - 프랑스의 성소수자 작가 - 미셸 푸코
미셸 푸코는 프랑스의 철학자, 역사가, 사회학자로서 권력, 지식, 담론 등을 탐구하며 서양 사상과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성소수자 작가 - 롤랑 바르트
프랑스의 문학 비평가이자 기호학자, 사상가인 롤랑 바르트는 `글쓰기의 영도`와 `신화론`으로 이름을 알리고 구조주의와 기호학 연구를 거쳐 포스트구조주의적 시도를 보였으며, '작가의 죽음' 개념을 통해 텍스트 해석의 다의성과 독자의 역할을 강조하며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장뤼크 라가르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57년 2월 14일 |
출생지 | 에리쿠르, 오트손 주, 프랑스 |
사망일 | 1995년 9월 30일 (38세) |
사망지 | 파리 14구, 파리 |
국적 | 프랑스 |
직업 | 극작가, 연극 감독 |
활동 기간 | 1970년대-1990년대 |
배우자 | 해당사항 없음 |
대표작 | 《단지 세상의 끝》 |
2. 생애
장뤼크 라가르스는 1957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1995년 37세의 나이로 사망하기까지 연극 분야에서 활동했다. 어린 시절은 발랑티네에서 보냈고, 브장송에서 철학과 연극을 공부했다. 1977년 아마추어 극단 "마차극장"을 창단하여 연출가로 활동하기 시작했고, 1979년부터는 희곡 작가로도 이름을 알렸다.[1]
1980년 석사 학위를 받은 후, 1981년부터 프로 극단이 된 "마차극장"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활동을 펼쳤다. 1982년에는 그의 작품이 처음으로 외부 연출가에 의해 공연되었고, 이후 여러 편의 희곡이 출간 및 공연되며 작가로서의 명성을 쌓았다. 1988년 에이즈 진단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질병과 죽음을 주제로 한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 1990년에는 '레오나르다빈치상'을 수상하며 베를린에서 창작 활동을 하기도 했다. 1995년, 마지막 작품인 <먼 나라>를 완성하고, 베데킨트의 <루루> 연습 도중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957-1980)
장뤼크 라가르스는 1957년 2월 14일 프랑스 오트손주 에리쿠르에서 태어났다. 그는 발랑티네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는데, 그의 부모는 푸조 공장 노동자였다. 1975년 브장송으로 가 브장송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했으며, 브장송 국립연극원에도 등록했다.[1]1977년 그는 연극원 동기들과 아마추어 극단 "마차극장"을 만들었다. 그는 직접 연출을 맡아 베케트, 골도니, 자신의 작품을 공연하기 시작했다. 1979년 희곡 <카르타고>가 '프랑스 퀼튀르(프랑스 문화)' 라디오 방송에 낭독 형식으로 소개된 이후 여러 편의 희곡이 방송에서 낭독되었다. 1980년 브장송대학에서 <서양에서의 연극과 권력>이라는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1]
2. 2. 본격적인 극작 활동과 에이즈 투병 (1981-1995)
1981년부터 라가르스는 프로 극단이 된 “마차극장”에서 본격적인 연극 활동을 시작한다. 그는 라신, 몰리에르, 마리보, 페도, 라비슈, 이오네스코 같은 대가들의 작품뿐만 아니라 비연극 작품을 각색한 작품이라든가 자신의 희곡을 포함해 20편의 작품을 연출한다. 1982년, 희곡 <마담 크니페르의 동프러시아 여행>이 장클로드 팔 연출로 당시 코미디 프랑세즈 주관이던 오데옹 소극장에서 공연된다. 이렇게 해서 라가르스의 작품이 외부 연출가에 의해 공연되기 시작하고, “열린 연극”에서 출간된다. 그사이 다른 연출가에 의해 라가르스의 작품 네 편이 공연된다. 1990년 이후부터는 그의 작품이 계속 공연, 출판되면서 작가로서 이름이 알려진다.1988년에 에이즈에 걸린 사실을 알게 되었지만, 그는 이전부터 질병, 죽음, 실종에 대한 테마를 작품에서 다루고 있었다. 특히 1982년에 쓴 <페스트가 있던 해의 막연한 기억들>에서 이러한 암시를 했다. 1983년과 1988년에 국립문예진흥원에서 지원금을 받은 바 있으며, 1990년에는 빌라 메디치에서 제정한 ‘레오나르다빈치상’을 수상하면서 창작 지원금을 받아 6개월간 베를린에 체류한다. 거기서 <단지 세상의 끝>을 쓴다. 이후 자신의 희곡이 작품 심사를 거부당하자 2년간 집필을 중단하고 연출과 각색에 몰두한다. <단지 세상의 끝>을 개작해 그의 마지막 작품이 된 <먼 나라>를 완성한다. 1995년 9월 30일, 베데킨트의 <루루>라는 작품을 연습하다 37세 나이로 사망했다.
3. 주요 작품
장뤼크 라가르스는 희곡, 소설, 대본, 시나리오, 논픽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품을 남겼다.
분야 | 작품명 | 연도 |
---|---|---|
희곡 | 〈뒤카텔 부인의 하녀〉 | 1977 |
희곡 | 〈건축의 오류〉 | 1977 |
희곡 | 〈카르타고, 다시〉 | 1978 |
희곡 | 〈다른 사람의 자리〉 | 1979 |
희곡 | 〈크니퍼 부인의 동 프로이센 여행〉 | 1980 |
희곡 | 〈여기 아니면 저기〉 | 1981 |
희곡 | 〈하인들〉 | 1981 |
희곡 | 〈결혼〉 | 1982 |
희곡 | 〈역병의 해의 파도치는 기억〉 | 1982 |
희곡 | 〈할리우드〉 | 1983 |
희곡 | 〈사랑 이야기 (위치 파악)〉 | 1983 |
희곡 | 〈요새로의 귀환〉 | 1984 |
희곡 | 〈고아들〉 | 1984 |
희곡 | 〈작센, 소설〉 | 1985 |
희곡 | 〈사진〉 | 1986 |
희곡 | 〈망각 직전의 마지막 후회〉 | 1987 |
희곡 | 〈급작스러운 고독〉 | 1987 |
희곡 | 〈뮤직홀〉 | 1988 |
희곡 | 〈구혼자들〉 | 1989 |
희곡 | 그저 세상의 끝 | 1990 |
희곡 | 〈사랑 이야기 (마지막 장)〉 | 1990 |
희곡 | 〈현대 사회의 생활 규칙〉 | 1993 |
희곡 | 〈우리, 영웅들〉 | 1993 |
희곡 | 〈우리, 영웅들 (아버지 없는 버전)〉 | 1993 |
희곡 | 〈나는 집에 있었고 비가 오기를 기다렸다〉 | 1994 |
희곡 | 〈머나먼 나라〉 | 1995 |
소설 | 《세 개의 이야기》 | 1994 |
대본 | 마이크 웨스트브룩의 재즈 오페라 키쇼트 대본 | 1989[7] |
시나리오 | 제라르 부이스와 가을로의 귀환 시나리오 공동 집필 | 자료 없음 |
논픽션 | 《서양의 극장과 권력》 | 자료 없음 |
논픽션 | 《일기》: 1권(1977–1990), 2권(1990–1995) | 자료 없음 |
3. 1. 희곡
- 〈뒤카텔 부인의 하녀〉, 1977
- 〈건축의 오류〉, 1977
- 〈카르타고, 다시〉, 1978
- 〈다른 사람의 자리〉, 1979
- 〈크니퍼 부인의 동 프로이센 여행〉, 1980
- 〈여기 아니면 저기〉, 1981
- 〈하인들〉, 1981
- 〈결혼〉, 1982
- 〈역병의 해의 파도치는 기억〉, 1982
- 〈할리우드〉, 1983
- 〈사랑 이야기 (위치 파악)〉, 1983
- 〈요새로의 귀환〉, 1984
- 〈고아들〉, 1984
- 〈작센, 소설〉, 1985
- 〈사진〉, 1986
- 〈망각 직전의 마지막 후회〉, 1987
- 〈급작스러운 고독〉, 1987
- 〈뮤직홀〉, 1988
- 〈구혼자들〉, 1989
- 〈그저 세상의 끝〉, 1990
- 〈사랑 이야기 (마지막 장)〉, 1990
- 〈현대 사회의 생활 규칙〉, 1993
- 〈우리, 영웅들〉, 1993
- 〈우리, 영웅들 (아버지 없는 버전)〉, 1993
- 〈나는 집에 있었고 비가 오기를 기다렸다〉, 1994
- 〈머나먼 나라〉, 1995
3. 2. 소설
장뤼크 라가르스는 1994년에 세 편의 단편 소설을 모아 《세 개의 이야기》를 출간했다.3. 3. 기타
마이크 웨스트브룩의 재즈 오페라 ''키쇼트'' 대본을 1989년에 작성하였다.[7]제라르 부이스와 함께 ''가을로의 귀환'' 시나리오를 공동 집필하였다.
3. 4. 논픽션
- 《서양의 극장과 권력》: 고대 그리스부터 20세기 중반까지 극작가들이 정치 권력과 어떻게 다투어 왔는지를 연구한 책이다.
- 《일기》: 1권(1977–1990), 2권(1990–1995)으로 구성되어 있다.
4. 라가르스 연극의 특징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요약, 그리고 작성할 섹션 제목을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해드리겠습니다.)
5. 영향 및 평가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요약 정보가 제공되면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Jean-Luc Lagarce
http://frenchculture[...]
2017-10-01
[2]
웹사이트
LAGARCE JEAN-LUC (1957-1995)
http://www.universal[...]
2016-05-23
[3]
논문
Jean-Luc Lagarce et la poétique du détour: l'exemple de Juste la fin du monde
https://www.cairn.in[...]
[4]
웹사이트
Music Hall: the steep path of an artist
http://epoca.globo.c[...]
magazine review in Portuguese
[5]
뉴스
"Juste la fin du monde", Xavier Dolan sublime Jean-Luc Lagarce
http://www.rfi.fr/am[...]
Radio France Internationale
2016-05-19
[6]
뉴스
Cannes Film Festival Winners: Palme d'Or To Ken Loach's 'I, Daniel Blake'
https://deadline.com[...]
2016-05-22
[7]
뉴스
L'ensemble Justiniana fête ses 30 ans avec l'opéra-jazz Quichotte de Lagarce
http://www.sceneweb.[...]
sceneweb
2012-05-27
[8]
웹사이트
Jean-Luc Lagarce
http://frenchculture[...]
2017-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