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백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백단은 젊은 시절 도교에 심취하여 유교, 불교 사상에도 정통했으며, 금단법을 연구했다. 그는 진인(真人)을 만나 금단법의 비결을 얻어 도를 깨닫고 용성(用成)으로 개명하고 자양(紫陽)이라는 호를 사용했다. 1075년에 『오진편』을 저술했으며, 이 책은 후세에 내단의 고전으로 여겨진다. 장백단은 선(禪)에 심취하여 운문종의 설두중현에게 사사받았으며, 남송 이후 전진의 조사로 추앙받았다. 그는 성명쌍수(性命雙修)를 제창하며 도가, 불교, 유교의 사상을 융합한 수련법을 제시했다. 장백단은 남종의 시조로, 석태, 설도광, 진무, 백옥섬으로 이어지는 남오조의 계보를 형성했다.
젊은 시절부터 도교에 친숙하였으며, 과거 공부를 하면서 유교, 불교, 도교 삼교의 전적을 섭렵하였다. 형법, 서산, 의술, 점복, 병법, 천문, 지리, 길흉사생의 재주에도 정통하였으나, 금단법에 대해서는 비결을 얻지 못했다. 부리(府吏)로 근무하던 중 화소문서율(火焼文書律)에 저촉되어 수잠남(戍岑南)으로 파견되었다. 치평 연간(1064년-1067년)에 용도각직학사(龍図閣直学士) 육선(陸詵)을 수행하여 계림에서 청상도로 전임하였다.
장백단은 칠언절구 등의 한시로 쓰여진 『오진편 悟真篇』을 저술하였다. 이 책의 은유가 가득한 난해한 문장이 의도하는 바는 도가와 불교, 유교는 가르침은 비록 다르지만 그 길은 하나로 통한다는 것이었다. 그는 성명(性命)의 수련이라는 관점에서 삼교의 사상을 융합시켰다.
주어진 소스에는 장백단에 대한 평가나 영향에 관한 내용이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섹션에 포함할 내용은 소스에서 찾을 수 없다.
2. 생애
희녕 2년(1069년) 성도에서 진인(真人, 일설에는 유해섬)을 만나 금액환단화후(金液還丹火候)의 비결을 전수받았다. 다른 설에는 청성장인(青城丈人)에게서 금액환단의 비법을 얻었다고도 한다. 이를 통해 금단이 만들어져 본원진각(本源真覚)의 성을 깊이 연구하여 도를 깨닫고, 이름을 용성(用成)으로 고치고 호를 자양(紫陽)이라 하였다.
수련을 성취한 후 희녕 8년(1075년)에 『오진편(zh)』을 저술하였다. 이 책은 후세에 『주역참동계』와 함께 내단의 고전이 되었다. 『금단사백자(金丹四百字)』, 『옥청금사청화비문금보내련단결(玉清金笥青華秘文金宝内煉丹訣)』 등 그의 저술로 여겨지는 단경은 도장에 수록되어 있다. 『연세진선체도통감(zh)』 49권에 따르면, 그는 양신(陽神)을 부릴 수 있었으며, 앉은 채로 신을 불러 천 리 밖 양주의 귀한 꽃을 가져온 적도 있다고 한다. 모이면 형태를 띠지만 흩어지면 기가 되는 것이 양신이다. 『오진편』을 쓴 7년 후인 원풍 5년(1082년) 장백단은 96세에 가부좌를 튼 채로 서거하였다.
3. 사상과 도통
남송 이후 전진의 조사(祖師)로 책봉되어 '''자양진인(紫陽真人)'''이라 존칭되었다. 타좌 견성을 받아들인 그 단법은 남송 이후에 북종·남종 등으로 나뉘는 내단도에 규범으로서 영향을 주었다.
도통은 장백단으로부터 석태(石泰) - 설도광(薛道光) - 진무(陳楠) – 백옥섬(白玉蟾)으로 계승되어 이 다섯은 송대 이후의 내단 도사로부터 남오조 (南五祖) (zh)라 칭해졌다. 왕중양의 북종(zh)에 대하여, 장백단의 법계는 전진교(全真教)의 남종(zh)이라 불리었다. 장백단 - 유영년(劉永年) - 옹보광(翁葆光)의 계보도 있다고 한다.
3. 1. 성명쌍수(性命雙修)
도가와 불교, 유교의 가르침은 비록 다르지만 그 길은 하나로 통한다고 생각하여 성명(性命)의 수련이라는 관점에서 삼교의 사상을 융합시켰다. 수양은 불교처럼 정신을 수양하는 성공(性功)만으로는 육체의 속박을 피할 수 없어 번뇌가 남으며, 육체의 수양인 명공(命功)만으로는 마음이 무명(迷妄)을 떠나지 못하므로 수명(修命)과 수성(修性)은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이기 때문에 둘을 겸하여 수련함이야말로 사생(死生)의 진실을 구하는 최상승의 법이라 하여 성명쌍수(性命双修, zh)를 제창하였다. 그 수련은 먼저 명공을 닦은 후에 심성을 궁구하는 선명후성(先命後性)의 단법이다. 불가의 돈오원통(頓悟円通)·진여불성(真如覺性)에 의해 구극공적(究極空寂)의 본원으로 돌아가는 것을 통하여 연신환허(煉神還虛)의 오의(奥義)를 해석하였다.
3. 2. 선명후성(先命後性)
장백단은 수양에서 불가처럼 정신을 수양하는 성공(性功)만으로는 육체의 속박을 피할 수 없어 번뇌(煩悩)가 남으며, 육체의 수양인 명공(命功)만으로는 마음이 무명(迷妄)을 떠나지 못하므로 수명(修命)과 수성(修性)은 뗄 수 없는 관계이기 때문에 둘을 겸하여 수련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를 성명쌍수(性命双修) (zh)라고 한다. 그 수련은 먼저 명공을 닦은 후에 심성을 탐구하는 선명후성의 단법이다. 불가의 돈오원통(頓悟円通)과 진여불성(真如覺性)에 의해 구극공적(究極空寂)의 본원으로 돌아가는 것을 통하여 연신환허(煉神還虚)의 오의(奥義)를 해석하였다.
3. 3. 남종(南宗)
장백단은 선에 심취하여 운문종의 설두중현에게 사사하였다고 한다. 선의 등사(燈史) 중 하나인 『가태보등록』 권24에는 「응화성현(応化聖賢)」 중 한 명으로 장백단의 전기를 수록하고 있다.
남송 이후 전진의 조사로 받들어져 '''자양진인(紫陽真人)'''으로 존칭되었다. 타좌 견성을 받아들인 그 단법은 남송 이후에 북종·남종 등으로 나뉘는 내단도에 규범으로서 영향을 주었다.
도통은 장백단에서 석태 - 설도광 - 진남 - 백옥섬으로 계승되었고, 이 다섯 명은 송대 이후의 내단 도사들로부터 남오조(zh)라 칭해졌다. 왕중양의 북종(zh)에 대하여, 장백단의 법계는 전진교의 남종(zh)으로 불렸다. 장백단 - 유영년 - 옹보광의 계보도 있다고 한다.
4. 저작
저작 오진편 금단사백자 옥청금사청화비문금보내연단결
5. 평가 및 영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