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 요양병원 화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성 요양병원 화재는 2014년 5월 28일 전라남도 장성군에 위치한 요양병원에서 발생한 화재 사고이다. 이 화재로 치매나 중풍 등으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 20명과 간호조무사 1명이 사망했다. 화재는 다용도실에서 시작되었으며, 유독 가스 확산으로 인해 인명 피해가 커졌다. 사고 이후 병원 이사장이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구속되었으며, 소방 인력 부족 및 환자 결박 문제가 논란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성군 - 북이도서관
북이도서관은 2014년 3월 26일에 개관하여 어린이자료실, 종합자료실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어린이 프로그램과 문화 강좌를 제공하며 평일과 주말에 운영, 1인당 5권의 도서를 14일간 대출할 수 있는 도서관이다. - 장성군 - 삼계도서관
삼계도서관은 2013년 12월 24일에 개관했으며, 1, 2층에 자료실, 열람실 등을 갖추고 있으며, 매주 금요일과 공휴일에 휴관한다. - 병원 화재 - 밀양 세종병원 화재
2018년 밀양 세종병원 화재는 소방 시설 미비와 구조적 문제로 41명의 사망자와 153명의 부상자를 낸 사고로, 정부와 관련 기관이 대응하고 책임자 처벌이 이루어졌다. - 병원 화재 - 2018년 바쿠 화재
2018년 5월 19일 아제르바이잔 바쿠의 아파트에서 발생한 대규모 화재로 39명이 사망하고 61명이 부상당했으며, 이후 방화로 결론나 16층 건물에서 시작된 화재로 인해 국가위원회가 구성되고 재활 센터 건설 계획이 발표되는 등 여러 국가의 위로와 함께 방화 용의자가 징역 10년형을 선고받았다. - 2014년 화재 - 고양종합터미널 화재
고양종합터미널 화재는 용접 불꽃이 누출 가스에 옮겨 붙어 발생했으며, 불법 공사, 스프링클러 미작동, 대피 방송 미실시 등 안전 불감증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피해가 커졌다. - 2014년 화재 - 소마 탄광 폭발 사고
소마 탄광 폭발 사고는 2014년 터키 소마의 탄광에서 발생한 화재로 301명의 광부가 사망한 산업 재해이며, 열악한 안전 환경과 미흡한 안전 관리가 원인으로 지목되어 사회적 논란과 시위를 야기했고, 산업 안전 시스템 강화 요구와 국제 사회의 애도를 불러왔다.
장성 요양병원 화재 | |
---|---|
사건 개요 | |
사건 | 장성 요양병원 화재 |
날짜 | 2014년 5월 28일 |
시간 | 0시 27분 (KST) |
위치 | 전라남도 장성군 삼계면 |
원인 | 방화 (추정) |
최초 보고자 | 담양소방서 |
결과 | 병실 1개 전소 |
인명 피해 | |
사망자 | 21명 |
부상자 | 8명 |
관련 정보 | |
참고 자료 | 장성 요양병원 화재 참사…환자 등 21명 사망(종합2보) |
2. 사건 전개
2014년 0시 16분부터 0시 21분까지 입원 환자 중 1명이 다용도실에 들어갔고, 이후 0시 24분부터 다용도실에서 연기가 발생하였다. 0시 31분에 담양소방서 선착대가 도착하여 화재를 진화해 0시 55분에 진압을 완료하였으나[1], 치매나 중풍 등으로 거동이 어려웠던 환자 20명이 사망하고[2], 자체 진화를 시도하던 간호조무사 1명도 사망하였다.[1]
2. 1. 화재 발생
2014년 0시 16분부터 0시 21분까지 입원 환자 중 1명이 다용도실에 들어갔고, 이후 0시 24분부터 다용도실에서 연기가 발생하였다. 0시 31분에 담양소방서 선착대가 도착하여 화재를 진화해 0시 55분에 진압을 완료하였으나[1], 치매나 중풍 등으로 거동이 어려웠던 환자 20명이 사망하고[2], 자체 진화를 시도하던 간호조무사 1명도 사망하였다.[1]2. 2. 화재 진압
담양소방서 선착대가 0시 31분에 도착하여 화재를 진화, 0시 55분에 진압을 완료하였다.[1] 그러나 이 화재로 치매나 중풍 등으로 거동이 어려웠던 환자 20명이 사망하고,[2] 자체 진화를 시도하던 간호조무사 1명도 사망하였다.[1] 화재는 0시 16분부터 0시 21분까지 입원 환자 중 1명이 다용도실에 들어갔고, 이후 0시 24분부터 다용도실에서 연기가 발생하면서 시작되었다.[1]3. 원인
환자 대부분은 노인성 질환을 앓고 있어 스스로 대피하기 어려웠으며, 매트리스 등에서 발생한 유독 가스가 빠르게 확산되었다.[1]
4. 사고 처리
5. 논란
5. 1. 소방 인력 부족 문제
최초로 화재 신고에 대응한 담양소방서 삼계119안전센터의 당시 근무 인원은 총원 6명 중 5명이었고[4][5], 그 중 2명은 다른 현장에 출동한 상태여서 3명만이 현장에 출동하였다.[6]5. 2. 환자 결박 논란
유가족들은 병원에서 환자들의 손발을 묶어 환자들이 제때 대피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직원들은 결박 사실을 인정하지 않았고[7], 소방관들 역시 "환자 중 손이 침대에 묶인 환자는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환자가 자해하려고 하거나 판단이 또렷하지 않아 치료에 필요한 각종 장비를 잡아 뽑으려고 하는 경우에 원칙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만' 24시간 내 한시적으로 환자를 결박할 수 있다는 점이 논란이 되었다.[8]참조
[1]
뉴스
장성 요양병원 화재 참사…환자 등 21명 사망(종합2보)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4-05-28
[2]
뉴스
"아버지도 저 안에"…출동 119대원 눈물의 구조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4-05-28
[3]
뉴스
'장성 화재 참사' 요양병원 이사장 구속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4-06-07
[4]
문서
[5]
뉴스
"[장성] 현장에 첫 도착한 구조대원은 2명뿐"
http://www.mbn.co.kr[...]
MBN
2014-05-31
[6]
뉴스
"목숨 걸고 일하는데"…소방관들 '분노의 역류'
http://news.heraldco[...]
헤럴드경제
2014-05-30
[7]
뉴스
요양병원 화재 "사망자 손에 결박 흔적" 분노한 유족들 사진 공개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4-05-30
[8]
뉴스
"[안전 사각지대 요양병원] 치매 환자 '결박의 딜레마'… 화재땐 꼼짝없이 갇혀"
https://news.naver.c[...]
조선일보
2014-05-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