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풍뎅이아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수풍뎅이아과는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곤충 아과로,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특히 수컷의 뿔이 특징이다. 유충은 썩은 나무를 먹고 살며, 성충은 꽃꿀, 수액, 과일을 섭취한다. 장수풍뎅이아과는 8개의 족으로 분류되며, 곤충 싸움, 애완동물, 식용, 연구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인간과 관계를 맺고 있다. 한국에는 장수풍뎅이, 외뿔장수풍뎅이, 둥글장수풍뎅이 등 6종이 서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수풍뎅이아과 - 악타이온코끼리장수풍뎅이
악타이온코끼리장수풍뎅이는 몸길이가 최대 12cm에 달하는 대형 종으로, 남아메리카에 분포하며 수컷은 머리에 뿔이 있고, 유충 기간이 약 3년으로 긴 특징을 가진다. - 장수풍뎅이아과 - 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
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는 딱정벌레목 장수풍뎅이과의 곤충으로, 수컷은 뿔이 있고 180mm 이상으로 가장 긴 종이며, 13개의 아종으로 나뉘고 열대 우림의 수액이나 과즙을 먹으며 썩은 나무를 먹는 유충은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한다. - 곤충 식품 - 누에나방
누에나방은 견사 생산을 위해 사육되어 온 누에의 성충으로, 뽕잎을 먹고 자란 유충이 고치를 만드는 곤충이며 유전자 공학 연구에도 활용되고 실크 생산 외 다양한 용도로 쓰인다. - 곤충 식품 - 땅벌
땅벌은 동아시아와 일본이 원산지인 말벌의 일종으로 한국, 일본, 프리모르스키 지방 남부 등지에 서식하며, 일본에서는 식용 곤충으로 인기가 높고 특히 유충은 진미로 여겨진다.
장수풍뎅이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Dynastinae |
명명자 | MacLeay, 1819 |
계 | 동물계 |
문 | 절지동물문 |
강 | 곤충강 |
목 | 딱정벌레목 |
아목 | 다식아목 |
상과 | 풍뎅이상과 |
과 | 풍뎅이과 |
영어 이름 | Rhinoceros beetles Hercules beetles |
하위 분류 | |
계급 | 족 |
하위 분류 | 스지코가네모도키족 (Cyclocephalini) 히나카부토족 (Agaocephalini) 파푸아카부토족 (Oryctoderini) 크로마루코가네족 (Pentodontini) 사이카부토족 (Oryctini) 카부토무시족 (Dynastini) 헤쿠소돈족 (Hexodontini) 코카부토족 (Phileurini) |
화석 기록 |
2. 분포 및 서식
장수풍뎅이아과는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특히 중남미,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등지에 다양한 종이 서식한다. 1987년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1,300종 정도가 알려져 있으며, 8족 170속으로 분류된다.[25]
유충은 썩은 나무나 부엽토를 먹고 자라기 때문에, 산림에 서식하는 종이 많다.[8] 열대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며, 특히 크고 유명한 종들은 대부분 중남미에 분포한다. 열대 아메리카에는 헤라클레스왕장수풍뎅이를 포함한 왕장수풍뎅이속, 코끼리장수풍뎅이속, 타테즈노카부토속 등이 알려져 있다. 아시아와 아프리카는 아메리카 대륙에 비해 종류가 적지만, 아시아에는 아틀라스장수풍뎅이속, ''Allomyrina'', 고혼즈노카부토속, 히메카부토속 등이 알려져 있다.
아프리카에 분포하는 장수풍뎅이족은 켄타우르스장수풍뎅이속 1속뿐인데, 이는 아시아에서는 사슴벌레가, 아프리카에서는 꽃무지가 각각 번성하고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아프리카 대륙에서는 100mm가 넘는 골리앗꽃무지를 비롯한 거대 꽃무지류가 니치를 차지하고 있어, 장수풍뎅이류가 번성하기 어렵다는 주장도 있다.
대부분의 종이 야행성이며, 생태 및 생활사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코코넛, 야자, 사탕수수 등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알려진 종들에 대해서만 어느 정도 연구가 진행되었다.
한국에는 장수풍뎅이를 포함하여 4족 6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
2. 1. 한국의 장수풍뎅이
한국에는 장수풍뎅이, 외뿔장수풍뎅이, 둥글장수풍뎅이 등 3종의 장수풍뎅이아과 곤충이 서식한다.[1] 이들은 주로 산림 지역에서 발견되며, 생태 및 생활사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한 상황이다.이름 | 학명 | 분포 | 크기 | 수명 |
---|---|---|---|---|
장수풍뎅이 | Trypoxylus dichotomus | 한국, 일본, 중국, 대만, 인도차이나 반도 | 수컷 27~75mm, 암컷 35~50mm | 1~3개월 |
외뿔장수풍뎅이 | Eophileurus chinensis | 한국, 일본, 중국 | 수컷 19~24mm, 암컷 19~24mm | 1~3개월 |
둥글장수풍뎅이 | Pentodon quadridens | 한국, 중국 | 수컷/암컷 20mm 내외 | 생태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음 |
2. 2. 세계의 장수풍뎅이
세계적으로 1,300여 종의 장수풍뎅이아과 곤충이 알려져 있으며, 특히 열대 지방에 다양한 종이 분포한다. 헤라클레스왕장수풍뎅이, 코끼리장수풍뎅이, 코카서스장수풍뎅이 등 크고 뿔이 발달한 종들이 대표적이다.[25]동남아시아나 남미 등의 열대 지방에는 매우 다양한 장수풍뎅이가 서식한다. 이들은 크기, 뿔의 모양, 딱지날개의 색깔, 수명, 습성 등이 모두 다르다.
이름 | 학명 | 분포 | 크기 | 수명 |
---|---|---|---|---|
'왕장수풍뎅이속 (Dynastes)''' | ||||
헤라클레스왕장수풍뎅이 | Dynastes hercules (Linnaeus, 1758) | 과들루프, 도미니카연방, 라틴아메리카의 남미 지역 | 수컷 46~178mm, 암컷 47~80mm | 3개월~1년 |
넵투누스왕장수풍뎅이 | Dynastes neptunus (Quensel, 1817) |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 북서부, 베네수엘라 | 수컷 55~155mm, 암컷 52~74mm | 3개월~1년 |
사탄왕장수풍뎅이 | Dynastes satanas (Moser, 1909) | 볼리비아 동쪽 지방 | 수컷 <92mm?, 암컷 <50mm? | 3개월~1년? |
그랜트왕장수풍뎅이 | Dynastes grantii (G. H. Horn, 1870) | 미국 애리조나/유타/뉴멕시코 주 | 수컷 40~81mm, 암컷 35~52mm | 2~6개월 |
티티오스왕장수풍뎅이 | Dynastes tityus (Linnaeus, 1767) | 미국 등지 | 수컷 34~60mm, 암컷 37~48mm | 3~4개월 |
힐루스장수풍뎅이 | Dynastes hyllus (Chevrolat, 1843) | 멕시코, 벨리즈,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과테말라, 니카라과 | 수컷 35~70mm, 암컷 30~45mm | |
'코끼리장수풍뎅이속 (Megasoma)''' | ||||
코끼리장수풍뎅이 | Megasoma elephas (Fabricius, 1775) | 라틴아메리카 북쪽 지역(멕시코~파나마 지협) | 수컷 50~130mm, 암컷 60~75mm | 3~6개월 |
악타이온코끼리장수풍뎅이 | Megasoma actaeon (Linnaeus, 1758) | 라틴아메리카 북쪽/중남미 지역 | 수컷 50~135mm, 암컷 50~82mm | 3~4개월 |
기에스코끼리장수풍뎅이 | Megasoma gyas (Herbst, 1785) | 브라질 | ||
'청동장수풍뎅이속 (Chalcosoma)''' | ||||
코카서스장수풍뎅이 케이론청동장수풍뎅이 | Chalcosoma chiron (Olivier, 1789)[25] | 동남아시아 지역 | 수컷 45~135mm, 암컷 50~74mm | 2~8개월 |
아틀라스청동장수풍뎅이 | Chalcosoma atlas (Linnaeus, 1758) | 인도 북동부~인도차이나 반도, 동남아 지역 | 수컷 45~110mm, 암컷 45~63mm | 2~6개월 |
모엘렌캄프청동장수풍뎅이 | Chalcosoma moellenkampi (Kolbe, 1900) | 보르네오 섬, 말레이시아 라우트 섬 | 수컷 45~110mm, 암컷 45~63mm | 2~6개월 |
'오각장수풍뎅이속 (Eupatorus)''' | ||||
큰오각장수풍뎅이 | Eupatorus gracilicornis (Arrow, 1908) | 태국, 라오스, 인도 북부, 중국 남부, 미얀마, 베트남 북부 | 수컷 45~80mm, 암컷 40~55mm | 2~3개월 |
'애왕장수풍뎅이속 (Xylotrupes)''' | ||||
기드온애왕장수풍뎅이 | Xylotrupes gideon (Linnaeus, 1767) | 인도네시아 자바, 수마트라 섬 | 수컷 30~80mm, 암컷 30~50mm | 3~4개월 |
율리시스애왕장수풍뎅이 | Xylotrupes ulysses (Guérin-Méneville, 1830) | 오스트레일리아 | 3~4개월 | |
'남방장수풍뎅이속 (Oryctes)''' | ||||
유럽남방장수풍뎅이 | Oryctes nasicornis (Linnaeus, 1758) | 구북구 | 수컷/암컷 60mm | |
남방장수풍뎅이 | Oryctes rhinoceros (Linnaeus, 1758) | 열대 아시아 | 수컷/암컷 30~45mm | |
'아프리카장수풍뎅이속 (Augosoma)''' | ||||
켄타우로스아프리카장수풍뎅이 | Augosoma centaurus (Fabricius, 1775) | 아프리카 서부 적도 | 수컷 40~93mm, 암컷 40~58mm | 2~3개월 |
가봉아프리카장수풍뎅이 | Augosoma hippocrates (Milani, 1995) | |||
'톱뿔장수풍뎅이속 (Golofa)''' | ||||
포터톱뿔장수풍뎅이 | Golofa porteri (Hope, 1837) | 베네수엘라, 콜롬비아, 페루 | 수컷 40~85mm, 암컷 20~45mm | |
피사로톱뿔장수풍뎅이 | Golofa pizarro (Hope, 1837) | 멕시코 | 수컷 35~55mm, 암컷 20~35mm | |
장수풍뎅이아과는 딱정벌레 중 가장 큰 종류에 속하며, 15cm 이상에 달하지만, 물거나 쏘지 않아 인간에게는 무해하다. 일부 종은 자신의 몸무게의 최대 850배까지 들어올릴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3]
장수풍뎅이아과는 알, 유충, 번데기, 성충 단계를 거치는 완전변태 곤충이다. 유충은 썩은 나무를 먹고 자라며, 성충은 꽃꿀, 수액, 과일을 먹는다.[5]
수컷 장수풍뎅이는 대부분 크고 발달된 뿔을 가지고 있지만, 장수풍뎅이족 이외의 종들은 수컷이라도 뿔이 없거나 작은 뿔만 가진 경우가 많다. 장수풍뎅이 유충은 썩은 나무나 부엽토를 먹고 자라기 때문에, 주로 산림에 서식한다. 장수풍뎅이는 열대 지역을 중심으로 전 세계에 분포하지만, 특히 크고 유명한 종들은 대부분 중남미에 분포한다. 열대 아메리카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긴 장수풍뎅이인 헤라클레스왕장수풍뎅이를 포함한 왕장수풍뎅이속, 코끼리장수풍뎅이속, 톱뿔장수풍뎅이속 등이 알려져 있다.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는 아메리카 대륙에 비해 장수풍뎅이 종류가 적지만, 아시아에서는 아틀라스장수풍뎅이속, Allomyrina, 오각장수풍뎅이속, 애왕장수풍뎅이속 등이 알려져 있다.
아프리카에 분포하는 장수풍뎅이족은 켄타우로스장수풍뎅이속 1속뿐이다. 이는 아시아에서는 사슴벌레가, 아프리카에서는 꽃무지가 각각 번성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아프리카 대륙에서는 몸길이 100mm가 넘는 골리앗꽃무지를 비롯한 거대 꽃무지류가 번성하여 생태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장수풍뎅이류가 번성할 수 없었다는 주장도 있다.
대부분의 장수풍뎅이는 야행성이기 때문에 야생에서의 습성, 생태, 생활사 등은 불분명한 점이 많다. 코코넛, 야자, 사탕수수 등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종에 관해서만 어느 정도 조사되고 있다.
3. 특징
장수풍뎅이아과의 일반적인 이름은 이 그룹 대부분 종에서 수컷에게만 나타나는 특징적인 뿔에서 유래한다. 각 개체는 머리에 뿔이 하나 있고, 가슴 중앙에서 앞쪽으로 향하는 또 다른 뿔이 있다. 뿔은 짝짓기 철에 다른 수컷과 싸울 때, 그리고 땅을 파는 데 사용된다. 뿔의 크기는 영양 상태와 신체 건강의 좋은 지표가 된다.[5] 암컷은 뿔이 없지만, 돌기 같은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산란 시 토양이나 부엽토를 파고 들어가는데 편리한 것으로 생각된다.
수컷은 종류에 따라 머리뿐만 아니라 앞가슴에도 뿔이 있다. 뿔은 먹이 경쟁이나 암컷 쟁탈전에서 싸움에 사용되지만, 모든 종이 뿔을 활용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다섯뿔장수풍뎅이는 5개의 뿔을 가졌지만 성격은 온화하며, 뿔을 사용하여 싸우는 모습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사슴벌레장수풍뎅이류는 가늘고 긴 대나무 환경에 적응하여 다리가 길게 발달한 영향으로, 싸울 때 뿔을 사용하기보다는 앞다리로 상대를 쓸어 넘기려는 경향이 강하다. 반면에 뿔을 무기로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종도 있는데, 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는 머리 뿔과 가슴 뿔로 상대를 끼워 던질 수 있으며, 코카서스장수풍뎅이는 3개의 뿔로 상대를 가둘 수 있다.
성체 장수풍뎅이의 몸은 두꺼운 외골격으로 덮여 있다. 두 쌍의 두꺼운 날개가 아래에 있는 또 다른 막질 날개 위에 놓여 있어 장수풍뎅이가 날 수 있게 하지만, 큰 크기 때문에 효율적이지는 않다.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크기와 체격이며, 또한 야행성이기 때문에 많은 포식자를 피할 수 있다. 해가 떠 있을 때는 통나무 밑이나 식물에 숨어 자신들을 잡아먹을 만큼 큰 몇 안 되는 포식자들로부터 위장한다.
성충의 몸길이는 다양하며, 20mm 정도에서 150mm를 넘는 대형종까지 있다. 2023년 시점에서는 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 원명 아종 ''D. h. helcules'' 에서 최대 몸길이 182.8mm의 개체가 확인되었으며[15][16], 다음으로 같은 속의 넵튠장수풍뎅이 ''D. neptunes'' 가 몸길이 150mm를 초과한다. 아시아산 장수풍뎅이류 중 몸길이가 가장 커지는 것은 아틀라스장수풍뎅이속 ''Chalcosoma'' 의 코카서스장수풍뎅이 ''C. chiron'' 이다. 가장 무거운 종은 코끼리장수풍뎅이류의 대형종이며, 이들은 골리앗꽃무지 다음으로 무게가 많이 나가는 딱정벌레이다.
딱정벌레는 독특한 날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장수풍뎅이아과에 속하는 종은 그 큰 몸집 때문에 비행이 매우 서투르다. 코끼리장수풍뎅이 정도의 대형종이 되면 날갯짓 소리가 엄청나다. 발판을 정하면, 겉날개를 펼치고, 그 아래 접혀 있던 속날개를 펴서 이륙한다. 줄기에 부딪히듯이 착지하지만, 다리를 벌리고 날기 때문에, 착지 시 나뭇잎이나 가지에 걸려 매달리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또한, 헤크소돈류는 겉날개가 융합되어 비행 능력이 없다.
4. 생태
장수풍뎅이아과 수컷에게는 특징적인 뿔이 있는데, 머리에 뿔이 하나 있고 가슴 중앙에서 앞쪽으로 향하는 또 다른 뿔이 있다. 이 뿔은 짝짓기 철에 다른 수컷과 싸울 때 사용되며,[5] 뿔의 크기는 영양 상태와 신체 건강의 좋은 지표가 된다.[5] 암컷은 뿔이 없지만, 산란 시 토양이나 부엽토를 파고 들어갈 때 편리한 돌기 같은 것을 볼 수 있다.
수컷은 종류에 따라 머리뿐만 아니라 앞가슴에도 뿔이 있는데, 먹이 경쟁이나 암컷 쟁탈전에서 싸움에 사용되지만 모든 종이 뿔을 활용하는 것은 아니다. 다섯뿔장수풍뎅이는 5개의 뿔을 가졌지만 온화한 성격으로 뿔을 사용해 싸우는 모습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사슴벌레장수풍뎅이류는 대나무 환경에 적응하여 다리가 길게 발달해, 뿔보다는 앞다리로 상대를 쓸어 넘긴다. 반면 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는 머리 뿔과 가슴 뿔로 상대를 끼워 던지고, 코카서스장수풍뎅이는 3개의 뿔로 상대를 가두는 등 뿔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4. 1. 성장 과정
장수풍뎅이아과는 알, 유충, 번데기, 성충 단계를 거치는 완전변태 곤충이다. 유충은 썩은 나무를 먹고 자라며, 이 단계는 종에 따라 다르지만 수년이 걸릴 수도 있다. 번데기를 거쳐 성충이 된다. 성충은 꽃꿀, 수액, 과일을 먹으며, 주로 야행성이다.[3]
4. 2. 짝짓기
수컷 장수풍뎅이(Allomyrina dichotoma)는 수액 공급지를 차지하기 위해 뿔을 사용하여 경쟁 수컷을 몰아내며, 이는 암컷과 교미할 기회를 얻기 위함이다.[6] 이 종과 같이 교미 장소를 방어하는 다른 종에서는 더 큰 뿔을 가진 더 큰 수컷이 더 많은 싸움에서 이기기 때문에 더 자주 교미한다.[6][7] 작은 수컷은 종종 더 큰 수컷을 피하고 암컷에 접근하기 위해 다른 전략을 사용한다.[6][7]
장수풍뎅이아과의 일반적인 이름은 이 그룹의 대부분 종에서 수컷에게만 나타나는 특징적인 뿔에서 유래한다. 각 개체는 머리에 뿔이 하나 있고, 가슴 중앙에서 앞쪽으로 향하는 또 다른 뿔이 있다. 뿔은 짝짓기 철에 다른 수컷과 싸울 때 사용된다.[5] 뿔의 크기는 영양 상태와 신체 건강의 좋은 지표가 된다.[5]
장수풍뎅이아과 특징 중 하나는 수컷의 뿔인데, 모든 장수풍뎅이에게 있는 것은 아니다. 암컷은 뿔이 없지만, 돌기 같은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산란 시 토양이나 부엽토를 파고 들어가는데 편리한 것으로 생각된다. 수컷은 종류에 따라 머리뿐만 아니라 앞가슴에도 뿔이 있다. 뿔은 먹이 경쟁이나 암컷 쟁탈전에서 싸움에 사용되지만, 모든 종이 뿔을 활용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다섯뿔장수풍뎅이는 5개의 뿔을 가진 무시무시한 모습이지만, 성격은 온화하며, 뿔을 사용하여 싸우는 모습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사슴벌레장수풍뎅이류는 가늘고 긴 대나무 환경에 적응하여 다리가 길게 발달한 영향으로, 싸울 때 뿔을 사용하기보다는 앞다리로 상대를 쓸어 넘기려는 경향이 강하다. 반면에 뿔을 무기로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종도 있는데, 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는 머리 뿔과 가슴 뿔로 상대를 끼워 던질 수 있으며, 코카서스장수풍뎅이는 3개의 뿔로 상대를 가둘 수 있다.
4. 3. 식성
장수풍뎅이아과의 유충은 썩은 나무를 먹고 자라며, 성충은 꽃꿀, 수액, 과일을 먹는다.[5]
5. 인간과의 관계
장수풍뎅이아과는 인간과 다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일부 종은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간주되지만, 애완 곤충, 식용, 연구 대상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코코넛코뿔소벌레(''Oryctes rhinoceros'')와 같은 일부 종은 해충이 되어 나무 농장에 피해를 줄 수 있다.[8] 하지만 장수풍뎅이아과의 개체군 밀도는 다른 해충에 비해 높지 않으며, 보통 다른 원인으로 이미 병들거나 죽어가는 나무를 선호한다.
장수풍뎅이아과는 크고 멋진 외형 덕분에 아시아 지역에서 인기 있는 애완 곤충이다.[9] 아시아에서는 수컷 장수풍뎅이를 도박 싸움에 이용하기도 한다.[10] 수컷은 암컷을 차지하기 위해 서로 싸우는 습성이 있는데, 이를 이용해 싸움을 붙인다. 1999년부터 외국산 장수풍뎅이 사육이 허용된 일본에서는 넓적사슴벌레를 비롯한 사슴벌레가 몸길이 1mm를 다투는 마니아층이 주로 사육하는 반면, 장수풍뎅이는 성충의 관상 사육을 즐기는 일반인들에게 인기가 많다.
장수풍뎅이 유충은 닭고기나 쇠고기보다 훨씬 많은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어, 대규모 인구의 단백질 공급원이 될 수 있다는 제안도 있다.[11]
대한민국의 건국대학교와 협력하여 국립 과학 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김민준 박사는 장수풍뎅이(Allomyrina dichotoma)의 기능과 공기역학을 연구했는데,[12] 이는 장수풍뎅이가 차세대 항공기 설계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12]
5. 1. 해충
일부 종, 예를 들어 코코넛코뿔소벌레(''Oryctes rhinoceros'')는 해충이 되어 나무 농장에 피해를 줄 수 있다.[8] 하지만 일반적으로 딱정벌레 개체군 밀도는 다른 해충에 비해 높지 않으며, 보통 다른 원인으로 이미 병들거나 죽어가는 먹이 나무를 선호한다. 하지만 일부 종의 유충은 건강한 나무나 심지어 뿌리채소를 공격하며, 대량으로 발생하면 경제적으로 상당한 피해를 줄 수 있다. 곰팡이 ''Metarhizium majus''는 작물의 딱정벌레 피해에 대한 입증된 생물학적 방제제이다.5. 2. 애완 곤충
장수풍뎅이아과는 크고 멋진 외형 덕분에 아시아 지역에서 인기 있는 애완 곤충이다.[9] 아시아에서는 수컷 장수풍뎅이를 도박 싸움에 이용하기도 한다.[10] 수컷은 본래 암컷의 관심을 끌기 위해 서로 싸우는 습성이 있는데, 이러한 습성을 이용해 싸움을 붙인다. 암컷을 사용하거나 암컷의 구애 신호를 흉내 낸 작은 소리 발생 장치를 사용해 싸움을 유도한다.1999년부터 외국산 장수풍뎅이 사육이 허용된 일본에서는 넓적사슴벌레를 비롯한 사슴벌레가 몸길이 1mm를 다투는 마니아층이 주로 사육하는 반면, 장수풍뎅이는 성충의 관상 사육을 즐기는 일반인들에게 인기가 많다. 물론 뿔의 굵기나 형태를 중시하는 장수풍뎅이 마니아층도 존재하여 사슴벌레 마니아층 못지않은 열성적인 사육자들도 있다. 장수풍뎅이는 몸집이 커서 사육 케이스 안에서 눈에 잘 띄고, 낮에도 먹이를 먹는 경우가 많아 관상용으로 적합하다. 다만, 사슴벌레에 비해 수명이 짧은 종이 많아 장기간 사육에는 적합하지 않다.
장수풍뎅이 사육 방법은 사슴벌레#사육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기본적으로 유충 시기에 부엽토를 먹이로 하는 종류의 사슴벌레 사육 방법과 동일하며, 성충과 유충 모두 식욕이 왕성하다.
5. 3. 식용
곤충학자 세베린 치보조(Séverin Tchibozo)는 장수풍뎅이 유충이 닭고기 (20%)와 쇠고기 (약 18%)보다 훨씬 많은 단백질 (40%)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는 대규모 인구의 단백질 공급원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11]5. 4. 연구
국립 과학 재단의 지원을 받아 대한민국의 건국대학교와 협력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김민준 박사는 드렉셀 대학교 기계 공학과 연구원들의 도움을 받아, 장수풍뎅이(Allomyrina dichotoma)의 기능과 공기역학을 연구했다.[12] 이 연구는 장수풍뎅이가 차세대 항공기 설계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12] 장수풍뎅이의 뿔은 생체모방공학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가치가 높다.6. 분류
- 장수풍뎅이족 (Dynastini)
- 검정넓적장수풍뎅이족 (Pentodontini)
- 코뿔장수풍뎅이족 (Oryctini)
- 작은장수풍뎅이족 (Phileurini)
6. 1. 장수풍뎅이족 (Dynastini)
장수풍뎅이족(Dynastini)은 가장 크고 뿔이 발달한 종들이 속하며, 헤라클레스왕장수풍뎅이, 코끼리장수풍뎅이, 코카서스장수풍뎅이 등이 대표적이다.
선택된 속:
- ''Allomyrina''
- * ''Allomyrina dichotoma'' – 장수풍뎅이
- ''Chalcosoma''
- *''Chalcosoma atlas'' – 아틀라스장수풍뎅이
- * ''Chalcosoma moellenkampi'' – 묄렌캄프장수풍뎅이
- * ''Chalcosoma caucasus'' – 코카서스장수풍뎅이
- ''Dynastes''
- *''Dynastes hercules'' – 헤라클레스왕장수풍뎅이
- *''Dynastes neptunus'' – 넵튠장수풍뎅이
- ''Eupatorus''
- *''Eupatorus gracilicornis'' – 다섯뿔장수풍뎅이
- *''Eupatorus siamensis'' – 시암장수풍뎅이
- *''Eupatorus birmanicus'' – 토끼장수풍뎅이
- ''Megasoma''
- *''Megasoma mars'' - 화성장수풍뎅이
- *''Megasoma elephas'' - 코끼리장수풍뎅이
- *''Megasoma actaeon'' - 악테온장수풍뎅이
- ''Xylotrupes''
- *''Xylotrupes gideon'' – 시암장수풍뎅이
- * ''Xylotrupes ulysses''
6. 2. 검정넓적장수풍뎅이족 (Pentodontini)

뿔이 없거나 작은 종들이 많으며, 한국의 둥글장수풍뎅이가 이 족에 속한다. 주요 속은 다음과 같다:
- ''Diloboderus'' Sturm, 1826 단일 종 ''Diloboderus abderus''
- ''Ligyrus''
- ''Pentodon'' Hope, 1837
- ''Pericoptus'' Burmeister, 1847
- ''Tomarus'' Erichson, 1847
6. 3. 코뿔장수풍뎅이족 (Oryctini)

외뿔장수풍뎅이는 코뿔장수풍뎅이족에 속하는 곤충이다.[3] 1842년 뮬상(Mulsant)이 처음 이 족을 명명했다. 코뿔장수풍뎅이족에는 다음과 같은 속들이 있다:
- ''Enema'' (호프, 1837)
- ''Megaceras'' (호프, 1837)
- * ''Megaceras briansaltini''
- ''Oryctes'' (헬비히, 1798)
- * ''Oryctes nasicornis'' – 유럽 장수풍뎅이
- * ''Oryctes rhinoceros'' – 코코넛 장수풍뎅이
- ''Strategus'' (커비, 1828)
- * ''Strategus aloeus'' – 황소 딱정벌레
- ''Trichogomphus'' (부르마이스터, 1847)
- ''Xyloryctes''
일부 코뿔장수풍뎅이족 곤충은 최대 7cm까지 자란다.[4]
6. 4. 작은장수풍뎅이족 (Phileurini)

주어진 소스에는 작은장수풍뎅이족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섹션 제목에 맞는 내용을 추가해야 합니다. 요약에 따르면, "뿔이 없는 소형 종들이 많으며, 한국의 작은장수풍뎅이가 이 족에 속한다"는 정보를 반영해야 합니다. 그러나 주어진 소스에는 이 내용이 없으므로, 이 부분은 생략하고 이미지 정보만 출력합니다.
참조
[1]
논문
Family-group names in Coleoptera (Insecta)
ZooKeys, vol. 88
2011
[2]
서적
Coleoptera, Beetles, Volume 1, Morphology and Systematics (Archostemata, Adephaga, Myxophaga, Polyphaga partim)
De Gruyter
2016-03-21
[3]
간행물
Inexpensive load carrying by rhinoceros beetles
https://journals.bio[...]
1996-03-01
[4]
간행물
Oryctoantiquus borealis, New Genus and Species from the Eocene of Oregon, U.S.A., the World's Oldest Fossil Dynastine and Largest Fossil Scarabaeid (Coleoptera: Scarabaeidae: Dynastinae)
https://www.research[...]
The Coleopterists Bulletin
2009
[5]
웹사이트
Why horn size matters when picking a mate
https://www.newscien[...]
[6]
간행물
Variation in an Extreme Weapon: Horn Performance Differences across Rhinoceros Beetle (Trypoxylus dichotomus) Populations
2019-10-15
[7]
간행물
Intersexual and intrasexual patterns of horn size and shape variation in the European rhinoceros beetle: quantifying the shape of weapons
2019-04-17
[8]
웹사이트
Featured Creatures: Coconut rhinoceros beetle
https://entnemdept.u[...]
[9]
뉴스
WHO? KNEW
Current Science
2005-05-06
[10]
웹사이트
Rhinoceros beetle gambling in Thailand
http://www.articlese[...]
2006-11-03
[11]
문서
Global Steak - Demain nos enfants mangeront des criquets
French documentary
2010
[12]
뉴스
Engineers Unlock Secrets of Beetle Flight
https://www.scienced[...]
2012-04-11
[13]
서적
世界の昆虫英名辞典 vol.2 M-Z
櫂歌書房
2018-05-12
[14]
서적
世界の昆虫英名辞典 vol.1 A-L
櫂歌書房
2018-05-12
[15]
간행물
世界のフタマタクワガタ大特集!! > カブトレコード個体(2023年度版)
https://web.archive.[...]
むし社
2023-04-18
[16]
웹사이트
【2022年最新版】ヘラクレスオオカブトのギネス記録が更新!190mmも夢ではない!? - ヘラクレスオオカブト専門の飼育情報サイト【ヘラクレス本舗】
https://hercules-hon[...]
2022-07-28
[17]
서적
世界珍虫図鑑 改訂版
柏書房
2007-06-25
[18]
웹사이트
図書館:カブトムシについて
https://www.town.mih[...]
三春町
2012-02-24
[19]
뉴스
キラキラのカブトムシ! 湖東の○○さんが発見 =珍品カブト「みんなも見て」=
http://www.shigahoch[...]
滋賀報知新聞社
2005-09-03
[20]
웹사이트
【2023年最新版】ヘラクレスオオカブトのギネス記録が更新!190mmも夢ではない!? - ヘラクレスオオカブト専門の飼育情報サイト【ヘラクレス本舗】
https://hercules-hon[...]
2022-07-28
[21]
간행물
カブト・レコード コンテスト
むし社
2022-05-18
[22]
논문
Phylogeny and systematics of the giant rhinoceros beetles (Scarabaeidae: Dynastini)
Insecta Mundi
2012
[23]
논문
Catalogue of fossil Scarabaeoidea (Coleoptera: Polyphaga) of the Mesozoic and Tertiary, Version 2007
Denver Museum of Nature & Science Technical Report
2007
[24]
논문
Cretaceous origin of giant rhinoceros beetles (Dynastini; Coleoptera) and correlation of their evolution with the
Genes & Genetic Systems
2016
[25]
문서
코카서스장수풍뎅이의 이명(異名)은 Chalcosoma caucasus (Fabricius, 1801)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