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은숙 (가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은숙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1975년 TBC 《당신을 스타로》에서 수상하며 데뷔하여, 1978년 "춤을 추어요"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95년 일본으로 건너가 '장수'라는 예명으로 활동하며 일본유선대상 신인상을 수상했고, 2000년 "운명의 주인공"으로 인기를 얻었다. 현재는 일본 테이치쿠 레코드에 소속되어 있으며, 2006년부터 한국 활동도 재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엔카 가수 - 센 마사오
센 마사오는 1965년 데뷔하여 '북국의 봄' 등 히트곡으로 일본 대표 엔카 가수로 성장했으며, 부동산 사업으로 성공했으나 버블 붕괴 후 가수 활동에 복귀, NHK 홍백가합전에 16회 출연했다. - 엔카 가수 - 타카쿠라 켄
타카쿠라 켄은 1956년 데뷔 후 180편이 넘는 영화에 출연하며 과묵하고 금욕적인 이미지로 일본을 대표하는 배우가 되었고, 국제적인 인지도 또한 얻었으나 2012년 은퇴 후 2014년 림프종으로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여자 가수 - 효정
최효정은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이며 걸그룹 오마이걸의 리더로, 오마이걸 데뷔 후 다양한 음반 활동, 유닛 활동, OST 참여, 예능 프로그램 출연 등 다방면에서 활약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여자 가수 - 아린
아린(본명 최예원)은 오마이걸 및 오마이걸 반하나의 서브보컬을 맡고 있는 대한민국의 가수로, 뮤직뱅크 MC, 웹 드라마 《소녀의 세계》 주인공, 드라마 《환혼》 시리즈와 영화 《도시괴담》 등에 출연하며 연기 활동도 병행하고 있다. - 1957년 출생 - 노영민
노영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17·18·19대 국회의원과 문재인 정부의 주중국 대한민국 대사 및 대통령 비서실장을 역임했으며, 여러 논란에 연루되었다. - 1957년 출생 -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는 2007년부터 2022년까지 투르크메니스탄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재임 기간 동안 인권 탄압 등의 비판을 받았고, 퇴임 후 인민평의회 의장직을 수행했다.
장은숙 (가수) | |
---|---|
기본 정보 | |
이름 | 장은숙 |
다른 이름 | チャン・スー (찬 스-) |
출생일 | 1957년 5월 2일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혈액형 | |
학교 배경 | |
활동 시작 | 1977년 |
활동 분야 | 가수, 여배우 |
장르 | 팝 음악, 가요, 엔카 |
악기 | 노래 |
소속사 | |
제작사 | |
영향 | |
공식 웹사이트 | 장은숙 일본 공식 홈페이지 |
팬 카페 | 장은숙 한국 팬 카페 |
가족 | 장칠군 (오빠, 1948년 ~ ) |
관련 활동 | |
관련 활동 | 산청군 홍보대사 한일문화교류대사 대한가수협회 상임이사 |
2. 생애
장은숙은 1975년 동양방송(TBC)에서 주최한 대한민국 최초의 오디션프로그램인 《당신을 스타로》에서 주간, 월간 연말 우수상을 수상한 뒤 《맷돌》이란 곡으로 가요계에 데뷔했다. 대표곡으로 《춤을 추어요》, 《당신의 첫사랑》, 《사랑》, 《영원한 사랑》, 《이별의 손짓》, 《못 잊어》등이 있다. 1977년, 한국의 TV 프로그램 "스타탄생"에 출연하여 그랑프리를 수상하며 데뷔했다.[1] 1978년 발매한 "춤을 추어요"가 50만 장의 대히트를 기록했고, 두 번째 앨범 "당신의 첫사랑"도 40만 장의 히트를 기록했다.[1]
어릴 때 국악을 배웠으며, 득음을 위해 절에 들어가서 2년간 목소리 훈련을 하기도 했다. 데뷔 후 스타킹모델을 했었고, 1981년에는 코미디언 이주일과 공동주연으로 《리빠똥사장》이라는 영화를 찍었다.
1990년대 초반까지 한국에서 활동 후 1995년 일본 토라스레코드 회사의 스카우트 제의로 일본 무대로 진출하였고, 그 후부터 '장수(チャン・スー)'라는 예명을 사용하였다. 1995년, "무정의 조각"으로 일본 데뷔했다.[1] 같은 해 제28회 일본유선대상에서 신인상을 수상했다.[1] 일본에서 활동을 시작한 첫해 일본 유선 방송 신인상을 받았고, 2000년 발표한 '운명의 주인공'으로 방송 및 각종 차트에서 12주 이상 1위를 차지하며 총 25만장의 앨범 판매 기록도 세우기도 했다. 지금까지 20장의 음반을 발표했으며 2015년 5월에 발표한 "눈물의 공항 대합실"을 포함해 총 14곡이 유선방송 1위에 랭크되었다. 1999년, 예명을 장수(チャン・スー)로 바꾸고 테이치쿠레코드(テイチクエンタテインメント)로 이적했다.[1]
현재 일본 테이치쿠 레코드에 소속되어 있으며, 2009년부터는 일본에서의 활동명을 장은숙(チャン・ウンスク)으로 바꿨다.[1] 2003년에는 연예 기획사인 "오피스 장수"를 설립하기도 했다. 2006년부터는 점차 한국에서의 활동 비중도 늘리고 있다.
장은숙 보이스의 특징은 저음의 허스키이면서도 고음도 옥타브가 높다. 10여년 전부터는 도쿄 아카사카의 브릿츠홀에서 매 해 가을마다 콘서트를 개최하고 있다.
2006년 대한민국에서는 10년만의 앨범인 《10년만의 외출》을 발표했으며, 2012년에는 KBS 드라마 《별도 달도 따줄게》의 삽입곡 《살아갈 이유》를, 2013년에는 KBS 아침드라마 《삼생이》의 주제가를 불렀다. 2013년, KBS TV 소설 "소녀 삼선"의 주제가 "바람이 분다"를 불렀다.[1] 2015년에는 《그대를 떠나보내며》라는 곡을 발표하였다. 2017년 1월에는 《내마지막 사랑》 그리고 4월에는《내가 바보였어요》를 발표했다. 2010년에는 서울시 관광 홍보대사로, 2011년에는 산청군 관광 홍보대사로 임명되었다.
2. 1. 한국 활동 (1975년 ~ 1995년)
장은숙은 1977년, 한국 TV 프로그램 "스타탄생"에 출연하여 그랑프리를 수상하며 데뷔했다.[1] 1978년 발매한 "춤을 추어요"가 50만 장의 대히트를 기록했고, 두 번째 앨범 "당신의 첫사랑"도 40만 장의 히트를 기록했다.[1] 이후 가수 외에도 배우, 연예인 등으로 폭넓게 활동했다.[1]2. 2. 일본 활동 (1995년 ~ 현재)
장은숙은 1995년 〈무정의 조각〉으로 일본에서 데뷔하였다.[1] 같은 해 제28회 일본유선대상에서 신인상을 수상했다.[1] 1999년에는 예명을 장수(チャン・スー)로 바꾸고 테이치쿠레코드(テイチクエンタテインメント)로 이적했다.[1] 2009년, 예명을 본명인 장은숙(チャン・ウンスク)으로 되돌렸다.[1]2. 3. 한국 활동 복귀 (2006년 ~ 현재)
장은숙은 2010년에 서울시 관광 홍보대사, 2011년에는 산청군 관광 홍보대사로 임명되었다.[1] 2013년에는 KBS TV 소설 "소녀 삼선"의 주제가 "바람이 분다"를 불렀다.[1]3. 음반 목록
3. 1. 한국 음반
- 장은숙 골든앨범(1977년)
- 꽃처럼 새처럼(1978년)
- 1집 춤을 추어요(1978년 3월 20일)
- * 못잊어
- 2집 당신의 첫사랑(1978년 11월 20일)
- 3집 가요로 엮은 회심곡(1979년 5월)
- 장은숙 힛트곡 모음(1979년 9월 15일)
- 4집 장은숙 제4집(1979년 12월)
- 5집 장은숙 제5집(1980년 9월 10일)
- * 사랑
- 장은숙 골든 디럭스(1981년 5월 1일)
- 기다리는 마음(1982년 2월 1일)
- 83 장은숙(1983년 9월 30일)
- 떠나는 남자(1985년 5월 30일)
- 잃어버린 세월(1991년 6월 15일)
- 10년만의 외출(2006년 3월 10일)
- 바람이 분다(2013년 5월 21일)
3. 1. 1. 정규 앨범
- 1집 《춤을 추어요》(1978년)
- 2집 《당신의 첫사랑》(1978년)
- 3집 《회심곡/인간백세》(1979년)
- 4집 《영원한 사랑/이대로 떠나지만》(1979년)
- 5집 《당신은 알고 있을까》(1980년)
- 「장은숙 골든앨범」(1977년)
- 「꽃처럼 새처럼」(1978년)
- 1집 「춤을 추어요」(1978년 3월 20일)
- 「못잊어」
- 2집 「당신의 첫사랑」(1978년 11월 20일)
- 3집 「가요로 엮은 회심곡」(1979년 5월)
- 「장은숙 힛트곡 모음」(1979년 9월 15일)
- 4집 「장은숙 제4집」(1979년 12월)
- 5집 「장은숙 제5집」(1980년 9월 10일)
- 「사랑」
- 「장은숙 골든 디럭스」(1981년 5월 1일)
- 「기다리는 마음」(1982년 2월 1일)
- 「83 장은숙」(1983년 9월 30일)
- 「떠나는 남자」(1985년 5월 30일)
- 「잃어버린 세월」(1991년 6월 15일)
- 「10년만의 외출」(2006년 3월 10일)
- 「바람이 분다」(2013년 5월 21일)
3. 1. 2. 비정규 앨범
- 《장은숙 골든앨범》(1977년)
- 《꽃처럼 새처럼/추억》(1978년)
- 《기다리는 마음/돌아온다 하더니》(1982년)
- 《'83 張銀淑》(1983년)
- 《떠나는 남자》(1985년)
- 《행복/사랑하는 내 곁에)》(1986년)
- 《잃어버린 세월》(1991년)
- 《10년만의 외출/무한지애》(2006년)
- 《그대를 떠나보내며》(2015년)
- 「장은숙 골든앨범」(1977년)
- 「꽃처럼 새처럼」(1978년)
- 「장은숙 힛트곡 모음」(1979년 9월 15일)
- 「장은숙 골든 디럭스」(1981년 5월 1일)
- 「기다리는 마음」(1982년 2월 1일)
- 「83 장은숙」(1983년 9월 30일)
- 「떠나는 남자」(1985년 5월 30일)
- 「잃어버린 세월」(1991년 6월 15일)
- 「10년만의 외출」(2006년 3월 10일)
- 「바람이 분다」(2013년 5월 21일)
3. 1. 3. OST
3. 2. 일본 음반
'''싱글'''- 《꿈이 부서지다 (無情のかけら)》(1995년) / 무정의 조각 (1995년 9월 1일)
- 《평온한 나날 (平和な日々 ~but I say good bye~)》(1996년) / 평화로운 나날들 ~but I say good bye~ (1996년 10월 25일)
- 《뭔지 모르겠지만.. (なんや知らんけど)》(1999년) / 뭔가는 모르겠지만 (1999년 6월 23일)
- 《운명의 주인공 (運命の主人公)》(2000년) / 운명의 주인공 (2000년 8월 23일)
- 《젤러스 문 (ジェラスムーン; Jealous Moon)》(2002년) / 질투하는 달 (2002년 3월 21일)
- 《푸른 카나리아 (青いカナリア)》(2003년) / 푸른 카나리아 (2003년 3월 19일)
- 《목요일의 여자 (木曜日の女)》(2003년) / 목요일의 여자 (2003년 11월 21일)
- 《라비앙 로즈 (ラ・ヴィ-アン-ローズ)》(2004년) / 라 비 앙 로즈 (2004년 8월 25일)
- 《히루가오 (昼顔)》(2005년) / 낮의 얼굴 (2005년 8월 24일)
- 《우연한 만남 (めぐりあい)》(2006년) / 만남 (2006년 6월 21일)
- 《제비 (チェビ-燕-)》(2007년) / 체비 - 제비 - (2007년 6월 6일)
- 《Candle In The Wind》(2008년) / Candle In The Wind (2008년 4월 2일)
- 《영하 52도 (零下52度)》(2008년) / 영하 52도 (2008년 9월 1일)
- 《다짐대로 (覚悟次第)》(2009년) / 각오 나름 (2009년 3월 25일)
- 《유리귀걸이 (硝子のピアス)》(2009년) / 유리 피어스 (2009년 10월 21일)
- 《요코하마가 울고있다 (横浜が泣いている)》(2010년) / 요코하마가 울고 있다 (2010년 9월 29일)
- 《눈물의 강을 건널 수 없는 (涙の河を渡れない)》(2011년) / 눈물의 강을 건널 수 없어 (2011년 7월 20일)
- 《아카사카 레이니블루 (赤坂レイニーブルー, 赤坂 Rainy Blue)》(2012년) / 아카사카 레이니 블루 (2012년 5월 23일)
- 《참회의 블루스 (懺悔のブルース)》(2013년) / 참회의 블루스 (2013년 5월 29일)
- 《거짓울음 (泣きまね)》(2014년) / 울먹임 (2014년 5월 21일)
- 《눈물의 공항대합실=나리타발18시50분 (涙のエアターミナル~成田発18時50分~)》(2015년) / 눈물의 에어터미널 (2015년 5월 20일)
- 《행복의장소=幸せの場所 》(2016년) / 행복의 장소 (2016년 4월 20일)
- 이별의 아침에 (2017년 5월 17일)
3. 2. 1. 싱글
- 무정의 조각 (1995년 9월 1일)
- 평화로운 나날들 ~but I say good bye~ (1996년 10월 25일)
- 뭔가는 모르겠지만 (1999년 6월 23일)
- 운명의 주인공 (2000년 8월 23일)
- 질투하는 달 (2002년 3월 21일)
- 푸른 카나리아 (2003년 3월 19일)
- 목요일의 여자 (2003년 11월 21일)
- 라 비 앙 로즈 (2004년 8월 25일)
- 낮의 얼굴 (2005년 8월 24일)
- 만남 (2006년 6월 21일)
- 체비 - 제비 - (2007년 6월 6일)
- Candle In The Wind (2008년 4월 2일)
- 영하 52도 (2008년 9월 1일)
- 각오 나름 (2009년 3월 25일)
- 유리 피어스 (2009년 10월 21일)
- 요코하마가 울고 있다 (2010년 9월 29일)
- 눈물의 강을 건널 수 없어 (2011년 7월 20일)
- 아카사카 레이니 블루 (2012년 5월 23일)
- 참회의 블루스 (2013년 5월 29일)
- 울먹임 (2014년 5월 21일)
- 눈물의 에어터미널 (2015년 5월 20일)
- 행복의 장소 (2016년 4월 20일)
- 이별의 아침에 (2017년 5월 17일)
4. 기타 활동 및 경력
- 2001년 아시아중앙위원회 공식홍보대사를 역임하였다.
- 2011년 경상남도 산청군 홍보대사, 서울관광대사를 역임하였다.
- 2015년 대한가수협회 상임이사를 역임하였다.
- 2016년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홍보대사를 역임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