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남 드래곤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남 드래곤즈는 1994년 창단된 대한민국의 프로 축구팀으로, 1995년 K리그에 참가했다. 1997년 K리그 준우승과 FA컵 우승을 차지했으며, 1999년 AFC 컵 위너스 컵 준우승을 기록했다. 2006년과 2007년 FA컵에서 2연속 우승을 달성하기도 했다. 2018년 K리그2로 강등되었으나, 2021년 FA컵 우승을 차지하며 AFC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했다. 홈 구장은 광양축구전용구장이며, 클럽 마스코트는 철룡이와 주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양시의 스포츠 - 광양축구전용구장
    1992년 완공된 광양축구전용구장은 K리그 전남 드래곤즈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면서 K리그 최초의 축구 전용 구장이라는 상징성을 지니고 있으며, 2007년 FIFA U-17 월드컵 경기를 개최하기도 한 13,496석 규모의 경기장이다.
  • 광양시의 스포츠 - 광양공설운동장
  • 전라남도의 스포츠 - 해태 타이거즈
    해태 타이거즈는 1982년부터 2000년까지 KBO 리그에서 9번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하며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리그를 대표하는 명문 구단으로 자리매김했지만, 2001년 기아자동차에 인수되어 KIA 타이거즈로 재창단되었다.
  • 전라남도의 스포츠 - 영광 FC
    영광 FC는 2010년 창단하여 K3리그에 참가했던 대한민국의 축구 클럽으로, 2017년 리그 불참 후 2020년 K5리그 광주/전남 리그로 편입되었으며 이태엽, 김한봉, 정평열 등이 감독을 맡았다.
  • 대한민국 FA컵 우승 구단 - FC 서울
    FC 서울은 1983년 창단하여 럭키금성 황소 축구단으로 시작, 서울로 연고지를 이전하여 K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한 대한민국 프로축구단이다.
  • 대한민국 FA컵 우승 구단 - 성남 FC
    1988년 창단되어 K리그 3연패와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이뤘으나 시민구단 전환 후 재정적 어려움과 구단 매각 논란을 겪고 있는 대한민국 프로축구단이 성남 FC이다.
전남 드래곤즈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전남 드래곤즈 로고
전남 드래곤즈 로고
풀 네임전남 드래곤즈 축구단
영문 명칭Jeonnam Dragons Football Club
약칭JDFC
별칭해당 사항 없음
창단1994년
구단주POSCO (포스코)
회장박세연
감독이장관
마스코트철룡이
홈구장광양축구전용구장
수용 인원13,496명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경기 정보
리그K리그2
시즌2024
현재 순위4위 (13팀 중)
유니폼 정보
홈 유니폼 색상노란색 바탕, 검은색 소매
원정 유니폼 색상흰색
써드 유니폼 색상검은색
우승 기록
FA컵4회

2. 역사

1994년 광양제철소의 프로 축구단 창단 선언으로 시작된 전남 드래곤즈는 1994년 12월 16일 대한민국 여덟 번째 프로 축구단으로 창단되었다. 초대 감독 정병탁노상래, 김태영 등의 선수들로 구성된 전남은 첫 해 5위를 기록했고, 노상래는 신인상과 득점왕을 차지했다.

1997 시즌 전남은 21경기 무패 기록을 세우며 부산 대우 로얄즈와 우승 경쟁을 벌였으나 준우승에 그쳤다. 하지만 FA컵 결승에서 천안 일화 천마를 꺾고 창단 첫 우승을 차지했다. 1998 시즌에는 K리그 3위, FA컵 준결승에 진출했고, 1999년 AFC 컵 위너스 컵에서는 준우승을 기록했다.

2000년대 들어 전남은 하향세를 보였으나, 2002년 FIFA 월드컵 이후 김남일의 인기로 관중이 증가했다. 2003, 2004 시즌에는 리그 4위를 기록했고, 2005년 허정무 감독 복귀 후 2006년과 2007년 FA컵 2연패를 달성했다. 이후 박항서 감독 체제에서 AFC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했으나 조별리그에서 탈락했고, 이천수 영입과 임의탈퇴 등의 사건을 겪었다. 2009년에는 K리그 챔피언십에 진출하여 4위를 기록했다.

정해성 감독 부임 후 2011 시즌에는 챔피언십 진출에 실패했고, 2012 시즌에는 강등 위기를 겪었으나 하석주 감독 부임 후 잔류에 성공했다. 2014 시즌에는 상위 스플릿 진출에 실패했고, 노상래 감독 체제에서 2015 시즌 9위, 2016 시즌에는 창단 첫 상위 스플릿 진출에 성공했으나, AFC 챔피언스리그 진출에는 실패했다.

2017 시즌에는 강등 위기를 겪은 후 유상철 감독이 부임했으나, 2018 시즌 최하위로 K리그2로 강등되었다. 강등 이후 파비아누 소아리스 페소아 감독을 선임하고, 2021 시즌 FA컵에서 K리그2 팀 최초로 우승을 차지했다.

시즌디비전대한민국 FA컵챔피언십
리그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순위
2000K리그2784152835−7287위16강자격 없음
2001K리그27610112833-5288위16강대회 없음
2002K리그27910821210375위8강대회 없음
2003K리그44172076548+17714위준우승대회 없음
2004K리그2491052920+9373위8강준결승
2005K리그2476112329-62711위준결승자격 없음
2006K리그2671362825+3346위우승자격 없음
2007K리그2679102427−33010위우승자격 없음
2008K리그2685132640-14299위16강자격 없음
2009K리그2811984139+2426위8강2회전
2010K리그2888124049−93210위준결승자격 없음
2011K리그3091293233-1397위4강자격 없음
2012K리그441314174760-13537위16강자격 없음
2013K리그 클래식38913163445-114010위16강자격 없음
2014K리그 클래식38149154853-5517위16강자격 없음
2015K리그 클래식381213134651-5499위4강자격 없음
2016K리그 클래식381211154453-9475위8강자격 없음
2017K리그 클래식38811195369−163510위8강대회 없음
2018K리그13888224369−263212위준결승
2019K리그236139144347−4486위3회전
2020K리그22781453125+6386위16강
2021K리그236111963731+6524위우승


2. 1. 창단과 초창기 (1995–1996)

1994년, 광양제철소가 전남 동부 지역을 연고로 한 프로 축구단 창단을 선언하였다. 기존 프로 구단들은 모기업이 같은 포항 아톰즈와의 담합 가능성을 염려하면서도 2002년 FIFA 월드컵을 앞두고 축구 활성화를 위해 바람직한 일로 받아들였다.[8] 구단명은 공모를 통하여 전남 드래곤즈로 정해졌고, 1994년 12월 16일 대한민국 여덟 번째 프로 축구단으로서 창단되었다.[1] 정병탁 감독이 초대 감독으로 부임했고 노상래, 김태영 등 신예 선수들과 김봉길, 박창현 등의 프로 선수들로 팀을 구성했다. 첫 해 성적은 5위였고, 노상래는 신인상과 득점왕을 차지하며 전남 드래곤즈의 에이스로 떠올랐다. 전남은 창단 초반 몇 년 동안 중위권에 머물렀지만, 1997년에 K리그 준우승을 차지했고, 같은 해 1997년 대한민국 FA컵에서 천안 일화 천마를 결승에서 1-0으로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2]

2. 2. 1997–1999

1997 시즌은 전남 드래곤즈에게 꿈같은 한 해였다. 정규 리그 시작과 함께 21경기 무패 기록을 세우며 부산 대우 로얄즈와 우승 경쟁을 했다. 마지막 라운드까지 1점 차 승부를 벌였으나, 결국 부산에게 우승을 내주고 말았다. 하지만 선수단은 허정무 감독의 격려 속에 FA컵에서 대학 팀과 프로 팀들을 연파하고 결승에 진출, 천안 일화 천마와의 경기에서 연장 전반 4분 마시엘의 골든골로 창단 이후 첫 우승을 차지하였다.[2]

1998 시즌에는 K리그 3위, FA컵 준결승에 진출하며 정상권 팀으로 도약했다. 홈에서는 18경기 중 12승을 기록하며 팬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았다. 시즌 도중 허정무 감독이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되면서 이회택이 3대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1999년 AFC 컵 위너스 컵에서는 결승전까지 진출하였으나 알이티하드에게 패배하여 준우승에 머물렀다.[3]

2. 3. 2000–2010

2000년대에 들어 전남은 갑작스러운 하향세를 보였다. 2000 시즌에는 7위, 2001 시즌에는 8위를 기록했다. 노장 선수들의 뒤를 이을 젊은 선수의 부재와 1선 공격진의 부진이 문제였다. 2002년 FIFA 월드컵 이후 김남일은 스타로 부상하며 전남 경기는 홈, 원정 상관없이 많은 관중을 불러모았다. 이회택 감독의 마지막 시즌인 2003 시즌과 이장수 감독 재임기인 2004 시즌에는 각각 리그 4위를 기록했다.

2005 시즌을 앞두고 허정무 감독이 다시 선임되었다. 리그에서는 큰 성과를 내지 못했지만, 2006년과 2007년에 연이어 FA컵에서 우승하며 2연패를 달성했다. 허정무 감독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되어 구단을 떠났고,[10] 후임으로 2002년 FIFA 월드컵 당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수석코치와 경남 FC 감독을 역임한 박항서 감독이 선임되었다.

2008 시즌에는 FA컵 우승 팀 자격으로 AFC 챔피언스리그에 출전했지만, 좋지 않은 성적으로 탈락했다. 2009 시즌을 앞두고 박항서 감독의 요청으로 이천수를 영입하여 리그에서 좋은 모습을 보였으나, 이천수는 선수, 코치들과의 마찰, 폭력, 주먹감자 세레모니로 인한 징계 등 팀 분위기를 해치는 행동으로 문제가 많았다. 시즌 중반 이천수사우디아라비아의 알 나스르로 이적하는 과정에서 마찰을 겪은 후 이천수는 임의탈퇴 처리되어 좋지 않은 모습으로 팀을 떠났다.

2009년 정규 리그에서 6위를 기록하며 K리그 챔피언십에 진출했다. 정규리그 3위 FC 서울을 승부차기 끝에 꺾는 이변을 일으켰지만, 성남 일화 천마에 패하며 최종 순위 4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2010 시즌을 앞두고 인디오경남에서 이적했고, 전남의 유소년 출신 지동원이 프로 계약을 체결하며 화려한 공격진을 갖추게 되었다. 그러나 실망스러운 모습을 보였고, 리그 한 경기를 남겨둔 11월 5일 전남 구단은 박항서 감독의 자진 사퇴를 공식 발표했다.[11] 후임으로 정해성 전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코치가 감독으로 부임하였다.[12]

시즌디비전대한민국 FA컵챔피언십
리그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순위
2000K리그2784152835−7287위16강자격 없음
2001K리그27610112833-5288위16강대회 없음
2002K리그27910821210375위8강 탈락대회 없음
2003K리그44172076548+17714위준우승대회 없음
2004K리그2491052920+9373위8강 탈락준결승 탈락
2005K리그2476112329-62711위준결승 탈락자격 없음
2006K리그2671362825+3346위우승자격 없음
2007K리그2679102427−33010위우승자격 없음
2008K리그2685132640-14299위16강자격 없음
2009K리그2811984139+2426위8강 탈락2회전 탈락
2010K리그2888124049−93210위준결승 탈락자격 없음


2. 4. 2011–2016

정해성 감독이 이끌던 전남은 2011 시즌 6위 안에 들며 챔피언십 진출을 노렸으나, 마지막 6경기에서 4무 2패로 부진하며 7위로 마감해 챔피언십 진출에 실패했다. 2012 시즌에는 승강제가 도입되었지만, 전남은 중하위권을 맴돌다 강등권까지 추락했다. 이에 2012년 8월 10일 정해성 감독이 사임하고, 8월 13일 하석주 아주대학교 감독이 부임했다. 하석주 감독 체제에서 전남은 반등에 성공, 2012년 11월 24일 성남 일화 천마를 꺾고 잔류를 확정했다. 2014 시즌에는 17라운드까지 3~4위를 기록하며 상위 스플릿 진출을 기대했으나, 울산에 득실차로 밀려 실패했다. 2014년 11월 12일 하석주 감독이 사임하고, 노상래 수석 코치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노상래 감독 체제의 2015 시즌, 전남은 초반 부진을 딛고 20라운드에 AFC 챔피언스리그 진출권인 3위까지 올랐으나, 상위 스플릿 경쟁에서 밀려 9위로 시즌을 마쳤다. 2016 시즌 초반에는 강등권까지 떨어졌고, 노상래 감독이 5월 초 사의를 표명했으나 구단의 만류로 잔류했다. 이후 팀 분위기를 다잡아 창단 후 첫 상위 스플릿 진출을 이끌었다. 2016년 10월 14일, AFC 챔피언스리그 출전을 위해 P급 지도자 자격증이 필요하다는 규정 때문에 P급 자격증이 없던 노상래는 수석 코치로 보직을 변경했고, 송경섭이 신임 감독으로 내정되었다.[13] 이 과정에서 바지 감독 논란이 일기도 했다. 전남은 리그 최종 5위로 2017 ACL 진출에 실패했다. 2016 시즌 후, 전남은 노상래 수석 코치를 2개월 만에 감독으로 복귀시켰고, 송경섭 감독은 계약 만료로 팀을 떠났다.

2. 5. 2017–현재

2017 시즌에는 부진을 거듭하며 강등 위기까지 몰렸으나, K리그 클래식에 잔류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전남 구단은 노상래 감독과 결별하고 2018 시즌 전 대전 시티즌 감독이었던 유상철 감독을 새롭게 선임했다.[14] 하지만 계속된 부진으로 시즌 중반 유상철 감독을 경질하고 김인완 감독 대행을 선임했으나, 리그 최하위를 기록하며 K리그2로 강등되었다.

강등 이후 K리그2 2019 시즌을 준비하면서 K리그1으로의 빠른 복귀를 목표로 감독과 코치진을 새로 구성했다. 구단 역사상 최초로 외국인 감독인 브라질 출신의 파비아누 소아리스 페소아 감독을 선임했고, 국가대표팀 코치 출신인 김남일 코치와 전경준 코치를 영입했다.[15]

또한 성남 FC에 이어 K리그 팀으로는 두 번째로 피파 온라인 4 프로게이머를 영입하여 e스포츠 프로팀을 창단했다.

2021 시즌에는 FA컵에서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대구 FC를 꺾고 2007년 이후 14년 만에 우승을 차지했으며, 이는 K리그2 팀 최초의 FA컵 우승이었다.

시즌디비전대한민국 FA컵챔피언십
리그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순위
2017K리그 클래식38811195369−163510위8강 탈락대회 없음
2018K리그13888224369−263212위준결승 탈락
2019K리그236139144347−4486위3회전 탈락
2020K리그22781453125+6386위16강
2021K리그2우승


3. 선수단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선수들은 소속된 국가대표팀 국기를 표시하며,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질 수 있다. 2024년 5월 13일 기준으로[5], 전남 드래곤즈의 선수단은 현재 선수 명단과 임대 및 군 복무 선수 명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3. 1. 현재 선수 명단



기준[5]

번호포지션이름국적
1GK최봉진대한민국
2DF유지하대한민국
3DF김예성대한민국
4DF장순혁대한민국
5DF고태원
대한민국
6DF신일수대한민국
7FW임찬울대한민국
8FW노건우대한민국
9FW하남대한민국
10MF발디비야브라질
12FW최성진대한민국
13DF김용환대한민국
15DF알리쿨로프우즈베키스탄
16MF이후권대한민국
17DF여승원대한민국
18FW김종민대한민국
19FW이성윤대한민국
20GK조성빈대한민국
23MF이석현대한민국
24MF유진홍대한민국
25MF조지훈대한민국
29FW전유상대한민국
35MF최원철대한민국
37FW김건오대한민국
38DF홍석현대한민국
40FW브루노브라질
47FW손건호대한민국
50DF김종필대한민국
58FW플라카벨기에
59MF김범진대한민국
66DF이규혁대한민국
88MF박태용대한민국
99FW이창훈대한민국
FW이동현대한민국
FW호난브라질
FW레안드로브라질
DF노동건대한민국
FW김도윤대한민국
DF구현준대한민국
MF양지훈대한민국
GK박주원대한민국


3. 2. 임대 및 군 복무 선수 명단

임대 및 군 복무 선수 명단
포지션이름기타
DF이선걸당진시민축구단으로 임대
DF최정원당진시민축구단으로 임대
FW추상훈김천 상무에서 군 복무 중


4. 코칭 스태프

직위이름
감독김현석
수석코치인창수
코치송한복 김종영
골키퍼 코치김시훈
직책이름[6]
감독이장관
수석 코치한동훈
코치김영욱
골키퍼 코치조민혁
피지컬 코치황지환


5. 역대 감독

순번이름취임일자사임일자재임시즌비고
1대정병탁1994/10/241996/05/271995-1996align=left|
2대허정무1996/05/271998/10/141996–1998align=left|
3대이회택1998/09/232003/11/301998–2003align=left|
4대이장수2003/12/162004/12/052004align=left|
5대허정무2004/12/222007/12/072005–2007align=left|
6대박항서2007/12/272010/11/052008–2010align=left|
7대정해성2010/11/102012/08/102011–2012align=left|
대행윤덕여2012/08/102012/08/122012align=left|
8대하석주2012/08/162014/11/292012–2014align=left|
9대노상래2014/11/292016/10/142015–2016align=left|
10대송경섭2016/10/142016/11/292016rowspan="2"|
11대노상래2016/12/302017/12/042017
12대유상철2017/12/042018/08/162018align=left|
대행김인완2018/08/162018/12/032018align=left|
13대파비아누 소아리스 페소아|파비아누 소아리스pt2019/01/022019/07/292019align=left|
대행전경준2019/07/292019/11/202019align=left|
14대전경준2019/11/202022/06/052020–2022align=left|
15대이장관2022/06/092024/11/272022-2024align=left|
16대김현석2024/12/102025-align=left|


6. 우승 기록

FA컵 4회 우승 (1997, 2006, 2007, 2021)

6. 1. 국내 대회


  • K리그1
  • * 준우승 (1회): 1997
  • FA컵
  • * '''우승 (4회)''': 1997, 2006, 2007, 2021
  • * 준우승 (1회): 2003
  • 리그컵
  • * 준우승 (3회): 1997, 2000, 2008

6. 2. 국제 대회

아시안 컵 위너스컵 준우승 1회 (1999)

6. 3. 친선 대회


  • '''통영컵'''

: '''우승 (1)''': 2004

7. 시즌별 기록

시즌K리그FA컵리그컵챔피언스리그클럽월드컵
디비전순위대회순위대회순위대회순위대회순위
19951부6--아디다스컵8----
19961부7FA컵8강아디다스컵9----
19971부2FA컵1아디다스컵2----
프로스펙스컵3
19981부4FA컵3아디다스컵B조----
필립모리스컵10
19991부4FA컵8강아디다스컵3컵위너스컵2--
대한화재컵B조
20001부7FA컵16강아디다스컵3----
대한화재컵2
20011부8FA컵16강아디다스컵A조----
20021부5FA컵8강아디다스컵B조----
20031부4FA컵2------
20041부4FA컵8강삼성하우젠컵6----
20051부11FA컵3삼성하우젠컵9----
20061부6FA컵1삼성하우젠컵7----
20071부10FA컵1삼성하우젠컵6강챔피언스리그F조--
20081부9FA컵16강삼성하우젠컵2챔피언스리그G조--
20091부4FA컵8강피스컵A조----
20101부10FA컵3포스코컵A조----
20111부7FA컵8강러시앤캐시컵B조----
20121부11FA컵16강------
20131부10FA컵16강------
20141부7FA컵32강------
20151부9FA컵3------
20161부5FA컵8강------
20171부10FA컵8강------
20181부12FA컵준결승------
20192부6FA컵3R------
20202부6FA컵16강------
20212부4FA컵1------
20222부11FA컵16강--챔피언스리그F조--


8. 경기장

홈 경기장은 광양축구전용구장이다. 1994년 12월 16일 전남 드래곤즈가 창단되어 K리그에 참여하면서, 1995년 3월 아디다스 컵부터 전남 드래곤즈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고 있다.[16]

9. 클럽 하우스

전라남도 광양시 금호동에 있다. 기존에 광양제철소 숙소로 사용되었던 건물을 클럽 하우스로 리모델링하였다고 한다.

10. 엠블럼과 마스코트

클럽 마스코트는 '철룡이'와 '주주'이다.

11. 스폰서

기간유니폼 공급 업체
1995–96루디스
1997엄브로
1998아디다스
1999리복
2000엄브로
2001아디다스
2002–03엄브로
2004–05훔멜
2006–09아스토어
2010–11야코
2012–15켈미
2016-19호마
2020–현재푸마


참조

[1] 웹사이트 Jeonnam Dragons FC – Soccer – Team Profile – Global Sports Archive https://globalsports[...] 2022-10-19
[2] 웹사이트 South Korea 1997 https://www.rsssf.or[...] 2022-10-19
[3] 웹사이트 Asian Club Competitions 1998/99 https://www.rsssf.or[...] 2022-10-19
[4] 웹사이트 South Korea – List of Cup Winners https://www.rsssf.or[...] 2022-10-19
[5] 웹사이트 선수단 리스트 https://www.dragons.[...] Jeonnam Dragons 2024-05-13
[6] 웹사이트 코칭스태프 https://www.dragons.[...] Jeonnam Dragons 2024-05-13
[7] 뉴스 '창단 20주년' 전남, 새 엠블럼·유니폼 발표 http://www.interfoot[...] 인터풋볼 2014-01-06
[8] 뉴스 <프로축구> 상무, '우여곡절'끝 K-리그 참가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2022-05-24
[9] 뉴스 광주 FC 창단 선언...K-리그 16개 구단 체제 만들어진다 https://sports.news.[...] 엑스포츠뉴스 2022-05-24
[10] 뉴스 대표팀 신임 감독에 허정무 감독 확정 https://sports.news.[...] 스포탈코리아 2007-12-07
[11] 뉴스 전남 박항서 감독, 성적부진으로 자진사퇴...'후임 미정' http://www.sportalko[...] 스포탈코리아 2010-11-05
[12] 뉴스 전남 새 감독 정해성 확정, 황선홍은 부산과 결별 https://news.naver.c[...] 스포츠칸 2010-11-05
[13] 뉴스 전남, ACL 위해 노상래 코치로 보직 변경 http://www.stnsports[...] STN 스포츠 2016-10-14
[14] 뉴스 '2부 강등' 전남, 1부 못지않은 '초호화 코치진' 선임 배경은? https://sports.news.[...] 스포티비뉴스 2019-01-07
[15] 뉴스 전남, 노상래 감독과 결별…후임에 유상철 울산대 감독 http://sports.news.n[...] 스포츠조선 2017-12-04
[16] 웹인용 경기장 https://www.drag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