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략은 목표 달성을 위한 계획, 방법, 또는 일련의 행동을 의미하며, 역사, 군사, 경영, 게임 이론,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개념이다. 고대에는 손자병법과 같은 군사 서적에서 전략의 개념이 나타났으며, 근대에 들어와 클라우제비츠와 같은 사상가들에 의해 전략과 전술이 구분되고 발전했다. 현대에는 핵 억지 전략, 간접 전략, 대테러 전략 등 다양한 형태의 전략이 등장했다. 군사 전략은 국가의 전력을 활용하여 안보와 승리를 확보하는 것이며, 경영 전략은 기업의 장기 목표를 설정하고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게임 이론에서는 플레이어의 최적의 선택을 위한 행동을 전략이라고 정의하며, 생물학에서는 생존과 번식을 위한 개체의 행동 방식을 전략으로 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략 - 대응조치
대응조치는 시스템 보안 사고에 대한 액티브 대응과 패시브 대응으로 나뉘며, 액티브 대응은 적극적인 대처, 패시브 대응은 수동적인 접근 방식을 의미한다. - 전략 - 대전략
대전략은 국가 이익 증진을 위해 군사적, 비군사적 수단을 장기적으로 사용하는 국가 전략이며, 외교, 경제, 정보 등을 포괄하여 평시와 전시 모두 국력 적용 방안을 결정한다. - 계획 - 생산 계획
생산 계획은 제품 생산을 위한 프로세스를 계획하고 관리하는 활동이며, 생산 능력 계획, 마스터 생산 일정, 자재 소요 계획 등으로 나뉘고 생산 통제와 관련되어 있으며, 전산화된 시스템이 널리 사용된다. - 계획 - 설계
설계는 대상물의 기능, 구조, 형태를 구체화하는 과정 또는 결과물로, 건축, 소프트웨어, 창조적 문제 해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특화된 설계론과 표준 설계가 활용되며, 이를 담당하는 주체를 설계사라고 한다. - 생각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생각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전략 | |
---|---|
개요 | |
정의 | 불확실성 속에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 |
전략의 주요 분야 | |
분석 방법 | 전략 전략적 경영 군사 전략 전략 연구 전략 계획 전략적 사고 의사 결정 이론 게임 이론 |
주요 사상가 | 마이클 포터 리타 군터 맥그래스 브루스 헨더슨 게리 하멜 캔디스 A. 야노 C. K. 프라할라드 짐 콜린스 리델 하트 칼 폰 클라우제비츠 손자 줄리언 코베트 앨프레드 세이어 머핸 J.C. 와일리 에이드리언 슬라이워츠키 샤론 오스터 크리스 주크 헨리 민츠버그 |
개념 | 사업 모델 경쟁 우위 가치 사슬 성과 효과 핵심 역량 일반 전략 미션 선언문 |
프레임워크 및 도구 | SWOT5가지 힘 균형 성과표앤소프 매트릭스 OGSM관리 그리드 모델 PEST 분석성장-점유율 매트릭스 STPMECE 원칙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크랄지크 매트릭스 전략 그리드 모델전략 맵VRIO |
어원 | |
유래 | 고대 그리스어 "στρατηγία" (stratēgia, "군대의 지휘; 관직; 장군") |
의미 확장 | "목표 달성을 위한 계획"으로 의미 확장 |
군사적 의미 | |
정의 | 전쟁 또는 무력 충돌에서 승리하기 위한 계획 및 행동 |
경영학적 의미 | |
정의 |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장기적인 계획 및 방향 설정 |
기타 분야 | |
다양한 분야 | 정치, 경제,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됨 |
2. 역사
피터 드러커와 마이클 포터는 경영학적 관점에서 전략을 다룬 대표적인 인물들이다.[39][40] 손자병법은 경쟁을 이기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살아남기 위한 것으로 보았으며, 이는 동물행동학에서 언급하는 생존, 번식 경쟁 및 전략과 유사성을 보인다.
서양에서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는 군사 전략을 "전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투를 활용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B. H. 리델 하트는 "정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군사적 수단을 분배하고 적용하는 기술"로 정의하여 군사적 목표보다 정치적 목표를 우선시했다.[10] 앤드루 윌슨은 전략을 "정치적 목적을 군사적 행동으로 전환하는 과정"으로,[11] 로렌스 프리드먼은 "힘을 창출하는 기술"로 정의했다.[12]
동양의 군사 철학은 기원전 500년경의 손자병법과 같이 더 오래되었다.[13] 전략은 특정 목적 달성을 위해 힘과 자원을 효과적으로 운용하는 기술·이론이지만, 시대·지역·분야에 따라 그 의미가 다르다. 원래 군사학의 전문 용어였던 전략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에서 기업 경영 전략, 경제 전략, 외교 전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면서 그 정의가 확산되었다.
해군 전략의 기초는 줄리안 코벳이 확립했다. 코벳은 전략을 최종 목적을 추구하는 전체 전략과 초기 목적을 추구하는 소(小) 전략으로 나누고, "육지의 지배를 위해 해양을 지배해야 한다"며 제해권 확립을 체계화했다. 앨프레드 세이어 마한도 제해권 관련 사항에 대해 논했다.
줄리오 두에는 제1차 세계 대전 즈음부터 항공기의 군사적 중요성을 인식하고 전략 폭격과 독립 공군 창설을 주장하며 공군 전략에 공헌했다.
2. 1. 고대
손자병법은 세계 최초로 전략 개념을 체계화한 저술로 평가받으며, 현대에도 여전히 중요한 전략 교본으로 활용된다. 크세노폰이 '장군의 군대 지휘'를 의미하는 στρατεγοςel, στρατεγιαel라는 단어를 사용하면서 서양에서 전략 개념이 시작되었지만, 당시에는 전략과 전술이 명확히 구분되지 않았다.[13]2. 2. 근대
니콜로 마키아벨리는 『전술론』에서 적의 군사력을 파괴하는 전략을 주장하며 근대 서구 군사 사상의 시조로 평가받는다.[7] 나폴레옹 1세는 '대전술'이라는 개념을 통해 전략과 전술을 분화시켰다.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는 『전쟁론』에서 전략을 "전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투의 조합"으로 정의하였고, 앙투안 앙리 조미니는 『전쟁 개론』에서 "전략은 지도상에서 전쟁을 계획하는 기술이며, 작전지 전체를 포괄한다"라고 정의하여, 전략을 전쟁 목적에 한정했다. 이러한 개념들은 헬무트 카를 베른하르트 폰 몰트케와 같은 후대 군사 사상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군사 전략에 영향을 주었다.2. 3. 현대
제1차 세계 대전 및 제2차 세계 대전이라는 총력전과 냉전을 거치면서 전략은 새로운 발전을 보였다. 바실 리델 하트는 간접 접근 전략을 이론화하여 "직접적인 무력 충돌이 아닌 새로운 간접적인 수법으로 승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0] 마오쩌둥은 중국 인민해방전쟁을 지도하면서 지방 농민을 교화하여 일본군에 대해 대규모 게릴라전을 펼치며 독자적인 전략 사상을 확립했다. 이러한 사상은 후에 보 응우옌 잡, 피델 카스트로, 체 게바라 등도 활용하여 성공을 거두었다.냉전기에는 핵무기라는 새로운 대량 살상 무기의 출현으로 억제를 주된 개념으로 하는 핵 억지 전략이 구축되었다. 이는 군사 목적을 훨씬 뛰어넘는 파괴력을 가진 핵무기를 군사 전략에 포함하기 위해 구축된 전략 이론으로, 다음과 같이 3가지로 크게 나뉜다.
- 억제를 위한 핵 전략: 핵무기는 무기에 적합하지 않으며, 어디까지나 억제를 위해 사용한다. (버나드 브로디 등)
- 거부를 위한 핵 전략: 핵무기는 무기이며, 거부를 위해 사용한다. (보덴 등)
- 제한적·단계적인 핵 공격: 핵무기는 무기이지만 위력이 막대하기 때문에 제한적·단계적으로 사용한다. (앨버트 울스태터 등)
1999년에는 중국에서 초한전이라는 개념이 제시되었다.
3. 군사 전략
군사 전략은 국가 안보와 승리를 보장하기 위한 장기적인 계획 및 자원 활용을 의미한다.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는 군사 전략을 "전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투를 활용하는 것"으로 정의했고,[10] B. H. 리델 하트는 "정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군사적 수단을 분배하고 적용하는 기술"로 정의하여 전투에 대한 강조를 덜 두었다.[10] 이들은 모두 군사적 목표보다 정치적 목표를 우선시했다.
로렌스 프리드먼은 전략을 "힘을 창출하는 기술"로 정의했다.[12] 동양의 군사 철학은 기원전 500년경의 손자병법과 같이 훨씬 더 거슬러 올라간다.[13]
리처드 루멜트는 전략을 일종의 문제 해결로 묘사하며, 훌륭한 전략은 과제의 본질을 정의하거나 설명하는 '진단', 과제를 처리하기 위한 '지침 정책', 지침 정책을 실행하기 위해 고안된 일관된 '행동'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 "핵심(kernel)"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35]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쿠바 미사일 위기와 관련하여 전략의 세 가지 요소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36]
# 진단: 쿠바 섬에서 소련의 군사력 증강과 공격용 미사일 기지 준비
# 지침 정책: 미사일 사용 방지 및 서반구에서 철수 또는 제거
# 행동 계획: 쿠바로 운송되는 모든 공격용 군사 장비에 대한 봉쇄
전략은 일반적으로 '수립'과 '실행'의 두 가지 주요 과정을 포함한다.[6][35] '수립'은 환경 또는 상황을 분석하고, 진단을 내리고, 지침 정책을 개발하는 것을 포함하며, 전략 기획 및 전략적 사고와 같은 활동이 포함된다. '실행'은 지침 정책에 의해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취하는 실행 계획을 의미한다.
3. 1. 정의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는 군사 전략을 "전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투를 활용하는 것"으로 정의했다.[10] B. H. 리델 하트는 군사 전략을 "정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군사적 수단을 분배하고 적용하는 기술"로 정의하여 전투에 대한 강조를 덜 두었다.[10] 이들은 모두 군사적 목표보다 정치적 목표를 우선시했다. 현대에는 군사 전략이 정치적 목적을 군사적 행동으로 전환하는 과정으로 이해된다.[11]군사 이론에서 전략은 "안보와 승리를 보장하기 위해 대규모, 장기 계획 및 개발을 통해 평화와 전쟁 중에 국가의 모든 전력을 활용하는 것"이다('랜덤 하우스 사전').[7]
전략은 특정 목적 달성을 위해 종합적인 조정을 통해 힘과 자원을 효과적으로 운용하는 기술·이론이다. 다만 전략의 정의는 시대·지역·분야에 따라 그 의미가 다르다. 전략은 원래 전쟁술에서 전술과 함께 분화된 개념이며, 군사학의 전문 용어였다.
군사 분야에 한정된 정의도 일치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전략은 전투 부대가 전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거시적인 책략이며, 일련의 전투에서 승리를 고차원에서 최대한으로 활용하는 술책이다. 이에 대응하여 전술은 전투에서 승리를 얻기 위해 부대를 운용하는 기술이다.
3. 2. 종류
군사 전략은 육해공군의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전략이 발전해 왔다.; 육상 전략
: 육상에서의 전략으로, 클라우제비츠 등에 의해 발전되었다. 육상 권력 확립을 중요시하며, 주로 육상에서의 전투를 중심으로 한다.[7]
; 해양 전략
: 해양에서의 전략으로, 코벳과 마한 등에 의해 발전되었다. 제해권 확립을 중요시하며, 이를 통해 육상 권력 확립을 꾀한다.
; 항공 전략
: 공역에서의 전략으로, 두에 등에 의해 발전되었다. 전략 폭격과 항공 우세 확보를 강조하며, 이를 통해 육상 및 해상 권력 확립에 기여한다.
3. 3. 대테러 전략
현대에는 테러리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대테러 전략이 중요해졌다. 각국 정부는 테러 조직을 무력화하고 시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포괄적인 대테러 전략을 수립한다.[14] 국가 대테러 전략은 테러리스트, 그들의 조직, 그리고 그들의 네트워크를 무력화하여, 그들이 폭력을 사용하여 공포를 조장하고 정부 또는 시민이 테러리스트의 목표에 따라 반응하도록 강요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기 위한 정부의 계획이다.[14]미국은 과거에 ''미국 국가 대테러 전략''(2018),[15] 오바마 시대의 ''국가 대테러 전략''(2011), ''테러리즘 대응 국가 전략''(2003) 등 여러 대테러 전략을 수립했다. 또한 2014년의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ISIL) 대응 전략'', 2016년의 ''미국 내 폭력적 극단주의 예방을 위한 지역 파트너 권한 부여 전략적 실행 계획''과 같은 부속 계획도 있었다.[14] 영국의 대테러 전략인 CONTEST는 "테러로부터 영국과 그 시민 및 해외 이익에 대한 위험을 줄여 사람들이 자유롭고 자신감을 가지고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6]
한국은 국제 테러 단체의 위협뿐만 아니라, 북한의 테러 위협에도 대비해야 하는 특수한 상황에 놓여 있다.
4. 경영 전략
경영 전략은 기업이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원을 어떻게 배분하고 의사 결정을 할 것인지를 다루는 분야이다. 피터 드러커는 경영학에서 경쟁을 중요하게 언급한 인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마이클 포터는 전략을 직접적으로 정의하려고 시도한 주요 인물 중 한 명이다.[39][40] 손자병법에서는 경쟁을 이기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살아남기 위한 것으로 보았는데, 이는 동물행동학에서 언급하는 생존과 번식 경쟁 및 전략과 유사하다.
현대적 경영 전략은 1960년대에 연구 및 실천 분야로 등장했으며, 그 이전에는 경영 문헌에서 "전략"과 "경쟁"이라는 단어가 자주 나타나지 않았다.[18][19]
4. 1. 정의
현대 경영 전략은 1960년대에 연구 및 실천 분야로 등장했다.[18][19] 알프레드 D. 챈들러 주니어는 1962년에 "전략은 기업의 기본적인 장기 목표를 결정하고, 이러한 목표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행동 방침과 자원 할당을 채택하는 것이다."라고 정의했다.[20] 마이클 포터는 1980년에 전략을 "...기업이 경쟁할 방식, 목표, 그리고 그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정책을 포괄하는 공식"과 "...기업이 추구하는 ''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 (정책)의 조합"으로 정의했다.[17]헨리 민츠버그는 1998년에 전략에 대한 다섯 가지 정의를 제시했다.[21]
- 계획으로서의 전략 - '의도된' 목표 집합을 달성하기 위한 지향적인 행동 과정.
- 패턴으로서의 전략 - 과거 행동의 일관된 패턴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실현'되는 전략.
- 입지로서의 전략 - 시장 내 브랜드, 제품 또는 기업의 위치를 선정하는 것.
- 술책으로서의 전략 - 경쟁자를 따돌리기 위한 특정 책략.
- 관점으로서의 전략 - 조직의 사고방식이나 이념적 관점의 자연스러운 확장을 기반으로 전략을 실행하는 것.
최근에는 기업 경영이나 스포츠에까지 군사용어인 전략의 개념이 응용되면서, "장기적·대국적인 관점에서 사물을 내다보고 행동을 조정하는 기술"로 재인식되고 있다.
4. 2. 구성 요소
리처드 루멜트는 훌륭한 경영 전략에 진단, 지침 정책, 일관된 행동이라는 세 가지 핵심 요소가 있다고 보았다.[35]- '''진단:''' 문제의 본질을 정의하거나 설명한다. 예를 들어,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쿠바 미사일 위기 당시 소련의 군사력 증강을 "서반구에 대한 핵무기 공격 능력 제공"으로 진단했다.[36]
- '''지침 정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반적인 접근 방식이다. 케네디 대통령은 쿠바 미사일 위협에 대해 "미사일이 사용되는 것을 막고 서반구에서 철수 또는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36]
- '''일관된 행동:''' 지침 정책을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단계들이다. 케네디 대통령은 "쿠바로 운송되는 모든 공격용 군사 장비에 대한 엄격한 봉쇄"를 시작하는 등 7단계의 행동 계획을 제시했다.[36]
루멜트는 전략의 중요한 측면으로 사전 계획, 타인의 행동 예측, 조율된 행동의 의도적인 설계를 포함했다.[35] 그는 전략을 단순한 계획이 아닌, 다양한 요소 간의 균형을 맞추는 설계 문제로 보았다.[35]
4. 3. 복잡성 이론
복잡성 이론은 R. D. 스테이시(R. D. Stacey)가 명확히 제시한 개념으로, 창발적 전략과 의도적 전략을 조화시킬 수 있는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30][23][31] 복잡성 접근 방식에서 "전략"은 프로그램된 행동과 대조적으로 실제 행동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복잡성 이론가들은 프로그램을 고도로 질서정연하고 덜 혼란스러운 환경에서 효과적인, 미리 결정된 순서로 간주한다. 반면, 전략은 행동을 유도하는 결정된 조건(질서)과 불확실성(무질서)을 동시에 고려하여 나타난다. 복잡성 이론은 전략이 실행을 포함하고, 통제와 창발성을 포괄하며, 조직 내부 및 외부 측면 모두를 면밀히 조사하고, 기동 또는 기타 행위나 프로세스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30][23][31]스테이시의 연구는 복잡성 원리를 전략 분야에 적용한 선구적인 작업이다. 그는 자기 조직화 및 혼돈 원리를 적용하여 전략, 조직 변화 역학, 학습을 설명했다. 그의 제안은 선택을 통해 접근하는 전략과 경쟁 선택의 진화적 프로세스를 옹호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상 현상의 수정은 부정적 피드백을 포함하는 행동을 통해 발생하며, 혁신과 지속적인 변화는 긍정적 피드백에 의해 유도되는 행동에서 비롯된다.[32][30][33]
전략적 경영에서 복잡성은 테라(Terra)와 파사도르(Passador)의 "공생 역학" 모델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23][34] 이 모델은 생산의 사회적 조직을 외부 환경과 상호 연결되어 공생 관계에 있는 두 개의 뚜렷한 시스템 간 상호 작용으로 간주한다. 조직의 사회적 네트워크는 조직의 생명을 제어하는 자기 참조적 실체로 작용하는 반면, 기술적 구조는 자원을 처리하여 사회 시스템을 공급하는 의도적인 "기계"와 유사하다. 상호 연결된 이 구조들은 개방성을 통해 외부 세계와 상호 작용하며 교란과 잔류물을 교환한다. 본질적으로 조직은 스스로를 생산하는 동시에 이종적으로도 생산하며, 하위 시스템 간 에너지 및 자원 흐름을 통해 생존한다.[23][34]
이러한 역학은 운영 및 재생 기능을 설정하는 일련의 인력 풀을 통해 조직 역학을 관리하는 전략적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전략가의 주요 역할 중 하나는 "인간 인력 풀"을 식별하고 조직 역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공생 역학 이론에 따르면, 리더와 기술 시스템 모두 조직 역학 및 외부 혼란에 대한 대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력 풀로 작용할 수 있다. 테라와 파사도르는 또한 조직이 생산하면서 환경 엔트로피에 기여하여 하위 시스템, 심지어 조직 자체 내에서 갑작스러운 파열과 붕괴를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여, 이들은 생존에 적합한 매개변수 내에서 환경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개입하는 조직이 더 오래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고 결론 내린다.[23][34]
공생 역학 이론은 조직이 외부 환경(시장, 사회,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고 이러한 상호 작용에서 발생하는 요구에 적응하면서 저하를 줄이기 위해 체계적으로 행동해야 한다고 가정한다. 이를 위해 조직은 모든 상호 연결된 시스템을 의사 결정 과정에 통합하여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통합되는 복잡한 사회 경제 시스템을 구상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사전 예방성과 반응성의 조화는 조직 자체의 생존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이다.[23]
5. 게임 이론
게임 이론은 참여자들의 행동에 따라 결과가 변하는 상황에서 최적의 행동을 분석하는 이론이다. 게임 이론은 이러한 맥락에서 참여자들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각자가 승리를 위해 어떤 행동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지 연구한다.
5. 1. 정의
게임 이론에서 플레이어의 전략은 플레이어가 특정 상황에서 선택할 수 있는 모든 옵션을 의미한다. 플레이어가 얻는 최적의 결과는 자신의 행동뿐만 아니라 다른 플레이어의 행동에도 달려있다.[38] 매-비둘기 게임은 게임 이론의 간단한 예시이다.6. 생물학
생물학 분야, 특히 생태학의 개체군 생태학 및 행동 생태학 분야에서는 "개별 생물종 또는 개체가 여러 행동을 취할 수 있을 때, 각 행동 또는 행동의 조합"을 전략이라고 부른다.
- 생존 전략
- 번식 전략
- 번식 전략 중 소난 다산 전략
- 포식 행동에서의 매복 전략
- 개체군 증가에 관한 r-K 전략
- 최적 전략
- 생활사 전략
생물학에서의 "전략"은 생물 자체의 의사나 자율성을 함의하지 않는다. 즉, 의도적으로 그 생물이 특정 전략을 취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경우도 있을 수 있지만) "그러한 행동을 촉진하는 유전자가 자연 선택에 의해 퍼진다(퍼졌다)"라는 의미로 사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39][40]
7. 결론
전략은 다양한 분야에서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적인 방법론으로 활용되고 있다. 시대와 상황에 따라 전략의 개념과 중요성은 변화해 왔으며, 앞으로도 끊임없이 발전할 것이다.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에서는 기업의 경영 전략처럼 사용되거나, 경제 전략, 외교 전략처럼 정책과 동의어로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1]
참조
[1]
웹사이트
στρατηγία
https://www.perseus.[...]
Perseus
[2]
서적
A Dictionary of Aviation
Osprey
[3]
서적
The evolution of strategy : thinking war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10-14
[4]
서적
Strategy
Oxford University Press
[5]
논문
Characterizing Strategic Design Processes in Relation to Definitions of Strategy from Military, Business and Management Studies
https://vbn.aau.dk/w[...]
2020-07-03
[6]
서적
The Strategy Process: Concepts, Contexts, Cases
Prentice Hall
[7]
논문
Patterns in Strategy Formation
http://faculty.fuqua[...]
2012-08-31
[8]
서적
Importance of a Business Model
[9]
서적
'The Global Emerging Market: Strategic Management and Economics'
https://archive.org/[...]
Routeledge
[10]
서적
Strategy
Faber
[11]
서적
Masters of War: History's Greatest Strategic Thinkers
The Teaching Company
[12]
서적
Strategy : a history
2013-09-02
[13]
서적
The Art of War by Sun Tzu
Special Edition Books
[14]
논문
The 2018 U.S. National Strategy for Counterterrorism: A Synoptic Overview
2019-10-07
[15]
웹사이트
2018 U.S. National Strategy for Counterterrorism
https://trumpwhiteho[...]
2018-10
[16]
웹사이트
Counter-terrorism strategy (CONTEST) 2018
https://www.gov.uk/g[...]
2018-08-20
[17]
서적
Competitive Strategy
Free Press
[18]
서적
The Lords of Strategy
Harvard Business Press
[19]
논문
Competition and Business Strategy in Historical Perspective
2002
[20]
서적
Strategy and Structure: Chapters in the history of industrial enterprise
Doubleday
[21]
서적
'Strategy Safari : A Guided Tour Through the Wilds of Strategic Management'
The Free Press
[22]
논문
The science of complexity – an alter-native perspective for strategic change processes
[23]
논문
Symbiotic Dynamic: The Strategic Problem from the Perspective of Complexity
[24]
서적
Introduction à la pensée complexe
Éditionsdu Seuil
[25]
논문
Reframing the strategic problem: An accommodation of harmony and belligerence in strategic management
[26]
논문
What is strategy?
[27]
논문
Crafting Strategy
[28]
논문
A strategic approach to managing crises
[29]
논문
Interpreting, categorizing and responding to the environment: the role of culture in strategic problem definition
[30]
논문
The science of complexity: An alternative perspective for strategic change processes
[31]
서적
Introduction à la pensée complexe
Éditionsdu Seuil
[32]
논문
Emerging strategies for a chaotic environment
[33]
서적
The chaos frontier: creative strategic control for business
Redwood Press
[34]
논문
The nature of social organization of production: From firms to complex dynamics
[35]
서적
Good Strategy/Bad Strategy
https://archive.org/[...]
Crown Business
[36]
웹사이트
American Rhetoric: John F. Kennedy – Cuban Missile Crisis Address to the Nation
http://www.americanr[...]
[37]
웹사이트
The Concept of Strategy
https://www.bcgpersp[...]
Boston Consulting Group
1981-01-01
[38]
기타
Game Theory: Lecture 1 Transcript
Open Yale Courses
2007-09-05
[39]
기타
Harvard Business Review - What Is Strategy? Michael E. Porter
https://hbr.org/1996[...]
[40]
기타
Harvard Business Review -What Is Strategy, Again? Andrea Ovans May 12, 2015
https://hbr.org/201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망하는 조직의 4가지 징후...살아남으려면 '이것' 지켜라
고전이 가르쳐 준 '망하지 않는 법'...'3가지 타이밍'을 맞춰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