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리수소영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리수소영역(H II 영역)은 주로 수소 분자로 구성된 차갑고 밀도가 높은 거대분자운에서 탄생하며, 젊고 뜨거운 별의 복사로 인해 가스가 이온화되어 형성되는 천체이다. 이들은 별의 요람으로 불리며, 새로운 별이 탄생하는 주요 장소이다. H II 영역은 나선 은하와 불규칙 은하에서 주로 발견되며, 은하의 나선팔을 따라 분포한다. 주요 특징으로는 수소 방출선으로 인한 붉은색, 헬륨 및 기타 무거운 원소의 존재, 그리고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진다는 점이 있다. 오리온 성운, 타란툴라 성운, NGC 604 등이 주목할 만한 H II 영역으로 꼽힌다. 현재 H II 영역의 원소 존재비 측정의 불확실성과 내부에서 질량이 큰 별이 형성되는 기작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리 - 이온화
    이온화는 중성 원자가 전자를 잃거나 얻어 이온이 되는 과정으로, 전자 이동을 통해 양이온 또는 음이온이 되며, 이온화 에너지, 전자 충돌, 광자 흡수 등의 요인과 관련되어 질량 분석법, 방사선 검출 등에 응용된다.
  • 전리 - 광이온화
    광이온화는 광자가 원자 또는 분자와 상호작용하여 전자를 방출하는 현상이며, 광자의 에너지와 분자 구조에 따라 확률이 달라지고, 다광자 이온화, 터널 이온화, 장벽 억제 이온화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 발광성운 - IC 5146
    IC 5146은 활발한 별 형성 영역으로, 방출 성운과 꼬리 모양의 적외선 암흑 분자 구름을 동시에 나타내며, 스피처와 찬드라 관측으로 어린 별들과 B1 분광형 별 BD +46 3474, 허빅 Ae/Be 별 BD +46 3471 등이 확인되었다.
  • 발광성운 - NGC 248
  • 천체 - 변광성
    변광성은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별을 의미하며, 내재적 변광성과 외재적 변광성으로 분류되고, 광도곡선을 통해 분석하며, 우주 거리 측정에도 활용된다.
  • 천체 - 심원천체
    심원천체는 태양계와 개별 별을 제외한 성단, 성운, 은하 등 모든 천체를 포괄하는 용어로, 아마추어 천문학에서 널리 사용되며 관측 활동의 대상이 된다.
전리수소영역
개요
명칭전리수소 영역
영어 명칭H II region
문화어 명칭에이치이 영역
설명크고 밀도가 낮은 부분적으로 전리된 가스로 이루어진 성간 구름
특징가스는 뜨거운 젊은 별의 자외선에 의해 이온화됨
물리적 특성
크기1 ~ 수백 광년
밀도1 ~ 1000개 입자/cm³
온도약 10,000 켈빈
구성 성분주로 수소로 구성
전리 원인뜨거운 젊은 별 (O형, B형 별)의 자외선 복사
복사 메커니즘재결합 복사
충돌 여기
관측
관측 방법전파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
주요 방출선Hα (수소 알파)
산소 ([O III])
질소 ([N II])
중요성
역할별 형성 영역, 분자 구름 진화에 영향
연구 분야별의 탄생과 진화 연구
추가 정보
관련 천체행성상 성운
초신성 잔해

2. 관측의 역사

17세기망원경이 도입되기 전에는 전리수소영역이 발견되지 않았다. 갈릴레오 갈릴레이조차 오리온 성운 내부의 성단은 발견했지만, 성운 자체는 발견하지 못했다. 1610년 프랑스 천문학자 니콜라클로드 파브리 드 페이레스크가 처음으로 오리온 성운을 발견했다.[40] 이후 우리 은하와 다른 은하에서 많은 수의 전리수소영역이 발견되었다.[46]

1774년 윌리엄 허셜은 오리온 성운을 "미래 태양의 무질서한 물질"이라고 묘사했다.[41] 100여 년 후, 윌리엄 허긴스분광기로 여러 성운을 관측하면서 이 가설이 옳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안드로메다 성운과 같은 일부 성운은 항성과 매우 유사한 스펙트럼을 보였지만, 이는 수많은 개개의 항성으로 구성된 은하임이 드러났다. 반면 오리온 성운을 포함한 많은 다른 성운은 몇 개의 방출선만을 보였다.[42] 행성상성운의 방출선 중 가장 밝은 것은 파장 500.7 nm로, 알려진 어떤 원소의 방출선과도 일치하지 않았다. 처음에는 이 선이 네불륨이라는 미지의 원소에 의한 것이라는 가정이 있었지만, 1868년 태양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헬륨을 발견한 것과 달리 네불륨은 발견되지 않았다. 20세기헨리 노리스 러셀은 500.7 nm 방출선이 새로운 원소가 아닌, 이미 알려진 원소가 다른 상태에 놓여있을 때 발생하는 것이라고 제안했다.[44]

1920년대 물리학자들은 원자와 이온에서 전자가 매우 낮은 밀도에서는 준안정 에너지 준위에 오래 남아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45] 산소의 이러한 준위에서의 천이는 500.7 nm 선을 발생시킨다.[63] 이 분광선은 매우 낮은 밀도의 가스에서만 발견되며, 금지선이라고 불린다. 이러한 선의 관찰은 성운이 극도로 희미한 가스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20세기 관측 결과, 전리수소영역이 뜨겁고 밝은 항성들을 품고 있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 알려졌다.[33] 이 별들은 태양보다 몇 배 더 질량이 많으며, 수명이 수백만 년으로 짧다. 따라서 H II 영역은 새로운 별이 생겨나는 영역으로 추측된다.[33] 수백만 년 동안 성단이 H II 영역에서 생겨나고, 뜨겁고 젊은 별의 복사압으로 인해 성운은 흩어진다.[12] 플레이아데스 성단은 H II 영역을 '날려버린' 성단의 예이며, 반사성운의 흔적만이 남아있다.

3. H II 영역의 형성과 진화

거대분자운은 주로 수소 분자로 구성된, 매우 차갑고(10–20 K) 밀도가 높은 구름이다.[46] 초신성충격파, 구름 사이의 충돌, 자기적 상호작용은 거대분자운의 일부에서 붕괴를 유도하며, 이는 구름의 붕괴와 분할 과정을 통해 별 탄생으로 이어진다.[47]

거대분자운에서 별이 태어나면, 그 주변의 가스는 이온화 될 정도로 뜨거워진다.[46] 이온화된 복사장이 형성됨과 동시에, 고에너지 광자들이 이온화전선(전리전선)을 구성하며, 이는 주변의 가스를 초음속으로 훑고 지나간다. 근원지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이온화전선의 속도는 느려지고, 새로이 이온화된 가스는 압력에 의해 팽창한다. 마침내 이온화전선은 아음속 속도에 이르며, 성운이 팽창함에 따라 유발되는 충격전선에 따라잡히면서 전리수소영역이 형성된다.[48]

전리수소영역의 수명은 수백만 년 수준이다.[49] 뜨겁고 젊은 별로부터의 복사압은 결국 대부분의 가스를 멀리 흩뜨려버린다. 전리수소영역의 10%의 가스만이 별 형성에 기여하고 나머지는 흩어진다.[47] 초대형 별의 초신성 폭발과 같은 사건은 1-2백만 년에 한 번 꼴로 일어나며, 가스를 흩뜨리는 데 기여한다.

4. 항성 형성

H II 영역은 새로운 별이 탄생하는 장소로, "별의 요람"이라고도 불린다. 별은 주로 보크 구상체라고 불리는 밀도가 높고 어두운 가스와 먼지 구름 속에서 만들어진다. 바트 보크는 1940년대에 이러한 구상체에서 별이 생겨난다고 처음 주장하였고, 1990년대에 적외선 관측을 통해 그의 가설이 옳다는 것이 증명되었다.[51]

전리수소영역 IC 2944에 있는 보크 구상체


뜨겁고 젊은 별은 주변의 가스를 이온화시켜 H II 영역을 밝게 빛나게 하는 동시에, 복사를 통해 보크 구상체를 소멸시킨다. 즉, H II 영역을 만드는 별들이 자신의 요람을 파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근처에서 초신성이 폭발하면 그 충격파가 구상체를 압축하여 밀도를 높이고, 대규모의 별 형성을 촉발시키기도 한다.[52]

허블 우주 망원경은 오리온 성운과 같은 H II 영역에서 수백 개의 원시 행성계 원반을 발견했다.[53] 이는 H II 영역이 별뿐만 아니라 행성계도 함께 만들어지는 장소임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오리온 성운에 있는 젊은 별들 중 적어도 절반은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원반으로 둘러싸여 있는데,[54] 이 원반들은 태양계와 같은 행성계를 만들기에 충분한 물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5. 물리적 특징

전리수소영역은 물리적 특징이 매우 다양하다. 크기는 지름 1 광년 이하인 "초소형"(UCHII) 영역부터 수백 광년에 이르는 거대한 영역까지 존재한다.[11] 전리수소영역의 크기는 스트룀그렌 반경으로도 기술되며, 이온화 광원의 밝기와 전리수소영역의 밀도에 따라 결정된다. 밀도는 초소형 전리수소영역에서 cm3당 수백만 개의 입자 수준에서부터, 가장 크고 확장된 영역에서는 cm3당 몇 개의 입자 정도까지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밀도 차이로 인해 전리수소영역의 질량은 100 ~ 105 태양질량 사이로 추정된다.[28] "초고밀도 H II" 영역 (UDHII)도 존재한다.[21]

전리수소영역은 그 크기에 따라 수천 개의 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중심 이온화 광원이 하나뿐인 행성상성운보다 이해하기 어렵다. 온도는 일반적으로 10,000,000 정도이다.[11] 대부분 이온화된 가스(플라스마)로, 수십 마이크로가우스 정도의 약한 자기장을 가질 수 있다.[55] 전리수소영역 내부에는 전기장도 존재할 수 있는데, 이는 이온화된 가스 내에서 전하가 약하게 움직이면서 발생한다.[56] 전리수소영역은 동일한 거대 분자 구름에서 형성된 차가운 분자운과 함께 있는 경우가 많다.[46]

많은 전리수소영역에서는 10,000,000,000를 초과하는 온도를 가진 플라스마가 스며들고 있다는 징후가 보이는데, 이는 X-선을 방출할 만큼 충분히 뜨겁다. 아인슈타인 및 찬드라와 같은 X-선 관측소는 오리온 성운, 메시에 17, 용골자리 성운을 포함한 많은 별 형성 영역에서 확산 X-선 방출을 관찰했다.[25] 뜨거운 가스는 O형 별의 강한 항성풍에 의해 공급될 가능성이 높으며, 항성풍은 초음속 충격파, 서로 다른 별의 바람 간의 충돌, 또는 자기장에 의해 유도된 바람의 충돌을 통해 가열될 수 있다. 이 플라스마는 높은 온도에서 가스 내 음속이 빠르기 때문에 분자 구름 내에서 사용 가능한 공동을 채우기 위해 빠르게 팽창하며, 메시에 17에서처럼 전리수소영역 주변부의 구멍을 통해 새어 나올 수도 있다.[26]

5. 1. 화학 조성

화학적으로 전리수소영역은 약 90%가 수소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강한 수소 방출선인 656.3 nm의 H-α 선은 전리수소영역에 특징적인 붉은색을 띠게 한다. H-베타선도 방출되지만, H-α 선의 약 1/3 세기로 방출된다. 전리수소영역의 나머지 대부분은 헬륨으로 구성되며, 미량의 무거운 원소도 포함되어 있다. 은하 전체에서 전리수소영역의 무거운 원소 양은 은하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27] 이는 은하의 수명 동안 별 형성률이 밀도가 더 높은 중심 영역에서 더 컸기 때문에, 그러한 성간 매질 영역이 핵합성의 생성물로 더 많이 풍부해졌기 때문이다.

6. 분포 및 형태

H II 영역은 나선 은하와 불규칙 은하에서 주로 발견되며, 타원은하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28] 나선 은하에서는 주로 나선팔에 분포하며, 불규칙 은하에서는 은하 전체에 흩어져 있다.[58] 거대한 나선 은하는 수천 개의 H II 영역을 가지기도 한다.[58]

타원 은하에서 H II 영역이 발견되지 않는 이유는 은하 합병을 통해 타원 은하가 구성된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59] 은하단에서 은하 합병은 빈번하게 일어나는데, 은하가 충돌할 때, 각각의 별은 거의 충돌하지 않지만, 합병하는 은하 내부의 거대분자운이나 H II 영역은 요동친다.[59] 이러한 상태에서는, 아주 많은 별이 폭발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하며, 너무나도 빠르게 일어나서, 일반적으로 가스의 10% 이하가 별로 변환되는 것에 비해 훨씬 많은 변환이 일어난다. 폭발적이고 빠른 별 형성이 일어나는 은하는 폭발적 항성생성은하라고 한다. 합병 후의 타원은하는 가스 함량이 매우 낮아, H II 영역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59]

21세기에 이루어진 관측에서는 은하 외부에서도 소수의 H II 영역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은하간 전리수소영역"들은 작은 은하들이 조석력에 의해 붕괴된 이후 남아있는 찌꺼기일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가장 최근에 은하에 흡수된 가스에서 새로운 세대의 별들이 탄생하는 것을 나타낼 가능성도 있다.[60]

H II 영역은 그 크기가 매우 다양하다. 전리수소영역은 대개 덩어리져 있으며 모든 척도에서 균질하다.[46] 전리수소영역이 품고 있는 각각의 별들은 자기 주위의 대략적으로 구체 모양의 영역을 이온화시키고, 이 구체를 스트룀그렌구라고 한다. 복수의 별들이 만드는 각각의 스트룀그렌구가 하나로 합쳐지거나, 전리수소영역 자체의 팽창으로 인해 급격한 밀도 기울기가 형성되면 복잡한 모양이 만들어진다.[65] 근처의 초신성이 폭발해도 전리수소영역의 모양이 변할 수 있다. 어떤 경우 전리수소영역 속에서 거대한 성단이 형성되면 그 주위는 텅 빈 공간이 생기기도 하는데, 삼각형자리 은하의 거대 전리수소영역 NGC 604가 이런 경우에 속한다.[66]

7. 주목할 만한 H II 영역

오리온 성운을 가시광선(왼쪽), 적외선(오른쪽)으로 찍은 사진. 적외선으로 찍으면 먼지와 가스에 가려진 별이 드러난다.


오리온 성운은 지구에서 가장 가깝고 잘 알려진 H II 영역 중 하나로, 오리온자리 분자운 복합체(OMC)의 일부이다.[63] 만약 OMC가 가시광선으로 보인다면 오리온자리를 거의 다 덮을 정도로 크다.[63] 말머리 성운바너드 루프도 OMC의 일부이다.[62] 오리온 성운은 OMC-1 분자운 바깥쪽 경계의 가스 일부가 이온화되어 빛나는 얇은 층이며, 사다리꼴 성단과 오리온자리 세타1 C가 이온화를 일으킨다.[63]

용골자리 성운은 남반구 하늘에서 볼 수 있는 거대한 H II 영역이다.

NGC 7822는 세페우스자리에 위치한 H II 영역이다.[61]

우리은하의 위성은하인 대마젤란 은하에는 거대한 전리수소영역인 독거미 성운(타란툴라 성운)이 있다. 독거미 성운의 크기는 약 200 파섹(650 광년)으로, 국부은하군에서 질량이 가장 크고 크기는 두 번째로 큰 전리수소영역이다.[64] 독거미 성운은 오리온 성운보다 훨씬 커서 수천 개의 별을 만들고 있으며, 질량이 태양의 100배가 넘는 OB성, 볼프-레이에별도 포함된다. 만약 독거미 성운이 오리온 성운만큼 지구에 가까웠다면 밤하늘에 보름달처럼 빛났을 것이다. 1987년에는 독거미 성운 가장자리에서 초신성 SN 1987A가 폭발했다.[65]

타란툴라 성운의 작은 부분.


삼각형자리 은하에는 또 다른 거대 전리수소영역 NGC 604가 있다. 지구에서 약 817 킬로파섹(2.66 광년) 떨어져 있으며, 크기는 대략 240 × 250 파섹(800 × 830 광년)이다. NGC 604는 국부은하군에서 독거미 성운 다음으로 질량이 큰 전리수소영역인데, 크기는 이쪽이 조금 더 커서 국부은하군에서 가장 크다. 약 200개 내외의 뜨거운 OB성과 볼프-레이에별들을 품고 있으며, 뜨거워진 가스가 엑스선을 방출한다. NGC 604의 질량은 태양의 6천 배 정도이다.[66]

8. 현재 연구 동향 및 과제

전리수소영역의 원소 존재비를 측정하는 것은 다소 불확실하다.[67] 금속(수소와 헬륨보다 무거운 원소)의 존재비를 알아내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는데, 이 두 방법으로 얻어낸 결과 사이에 큰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64] 어떤 천문학자들은 이것이 전리수소영역 내부에 작은 온도 요동이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반면 다른 천문학자들은 그 차이가 너무 커서 온도 효과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하며, 수소가 거의 없는 차가운 덩어리가 존재하기 때문이라는 가설을 제시한다.[67]

전리수소영역 내부에서 질량이 큰 별이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이 연구를 어렵게 만드는 두 가지 큰 문제가 있다. 첫째, 큰 전리수소영역까지의 거리가 너무 멀다. 가장 가까운 전리수소영역인 캘리포니아 성운은 지구에서 300 파섹(1,000 광년) 떨어져 있고,[68] 다른 전리수소영역들은 그것의 몇 배씩 더 멀리 떨어져 있다. 둘째, 별이 만들어지는 과정이 먼지에 가려져 가시광으로는 관측이 불가능하다. 전파적외선은 먼지를 통과하여 관측할 수 있지만, 항성 형성 극초기의 별들은 이 파장에서 에너지를 별로 내지 않는다.[62]

참조

[1] 서적 A Dictionary of Astronomy: H II region http://www.oxfordref[...]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2] 웹사이트 Bubbles of Brand New Stars https://www.eso.org/[...] 2019-02-08
[3] 웹사이트 Thermal Radio Emission from HII Regions http://www.cv.nrao.e[...] 2016-10-07
[4] 논문 The Orion Nebula—where in History is it 1984
[5] 서적 Messier's nebulae and star cluster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6] 간행물 A Dictionary of Astronomy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7] 논문 On the Spectra of some of the Nebulae 1864
[8] 서적 Astronomical spectroscopy: an introduction to the atomic and molecular physics of astronomical spectra Imperial College Press 2005
[9] 서적 Astronomy II Astrophysics and Stellar Astronomy Ginn & Co. 1927
[10] 논문 The origin of the nebular lines and the structure of the planetary nebulae 1928
[11] 논문 The molecular properties of galactic HII regions 2009
[12] 논문 Clustered Star Formation and the Origin of Stellar Masses http://www.sciencema[...] 2002
[13] 논문 On the formation and expansion of H II regions 1990
[14] 논문 The H II Region of the First Star 2006
[15] 논문 Small Dark Nebulae 1947
[16] 논문 Dimension and Masses of Dark Nebulae 1948
[17] 논문 Star formation in small globules – Bart Bok was correct 1990
[18] 서적 The Formation of Stars Wiley VCH 2004
[19] 논문 The Hubble Space Telescope/advanced Camera for Surveys Atlas of Protoplanetary Disks in the Great Orion Nebula 2008
[20] 논문 Post refurbishment mission Hubble Space Telescope images of the core of the Orion Nebula: Proplyds, Herbig-Haro objects, and measurements of a circumstellar disk 1994
[21] 논문 Signatures of the Youngest Starbursts: Optically Thick Thermal Bremsstrahlung Radio Sources in Henize 2–10 1999
[22] 논문 Magnetic field strengths in the H II regions S117, S119, and S264 1981
[23] 논문 Helical structures in a Rosette elephant trunk 1998
[24] 웹사이트 Into the storm http://www.spacetele[...] 2016-09-05
[25] 논문 The Chandra Carina Complex Project: Deciphering the Enigma of Carina's Diffuse X-ray Emission 2011
[26] 논문 10 MK Gas in M17 and the Rosette Nebula: X-Ray Flows in Galactic H II Regions 2003
[27] 논문 The galactic abundance gradient 1983
[28] 웹사이트 Lecture 4B: Radiation case studies (HII regions) http://www.astro.utu[...] 2009-05-14
[29] 논문 Is NGC 3108 transforming itself from an early- to late-type galaxy – an astronomical hermaphrodite? 2008
[30] 간행물 Tidal Remnants and Intergalactic HII Regions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2004
[31] 논문 The Exciting Star of the Berkeley 59/Cepheus OB4 Complex and Other Chance Variable Star Discoveries 2008
[32] 논문 SCUBA observations of the Horsehead nebula – what did the horse swallow? 2006
[32] 논문 Physical conditions, grain temperatures, and enhanced very small grains in Barnard's loop 2000
[33] 논문 The Orion Nebula and its associated population http://astro.if.ufrg[...] 2001
[34] 논문 Chemical composition and mixing in giant HII regions: NGC 3603, Doradus 30, and N66 2008
[35] 논문 A Chandra ACIS Study of 30 Doradus. I. Superbubbles and Supernova Remnants 2008
[36] 논문 The chandra ACIS survey of M33 (ChASeM33): investigating the hot ionized medium in NGC 604 2008
[37] 논문 Heavy elements in Galactic and Magellanic Cloud H II regions: recombination-line versus forbidden-line abundances 2003
[38] 논문 Interstellar extinction in the California Nebula region http://www.aanda.org[...] 2001
[39] 서적 オックスフォード天文学辞典 朝倉書店
[40] 논문 The Orion Nebula—where in History is it
[41] 서적 Messier's nebulae and star clusters http://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논문 On the Spectra of some of the Nebulae
[43] 서적 Astronomical spectroscopy: an introduction to the atomic and molecular physics of astronomical spectra https://archive.org/[...] Imperial College Press
[44] 서적 Astronomy II Astrophysics and Stellar Astronomy Ginn & Co.
[45] 논문 The origin of the nebular lines and the structure of the planetary nebulae
[46] 논문 The molecular properties of galactic HII regions
[47] 논문 Clustered Star Formation and the Origin of Stellar Masses http://www.sciencema[...]
[48] 논문 On the formation and expansion of H II regions
[49] 논문 The H II Region of the First Star
[50] 논문 Small Dark Nebulae
[51] 논문 Star formation in small globules – Bart Bok was correct
[52] 서적 The Formation of Stars Wiley VCH
[53] 논문 The Hubble Space Telescope/advanced Camera for Surveys Atlas of Protoplanetary Disks in the Great Orion Nebula
[54] 논문 Post refurbishment mission Hubble Space Telescope images of the core of the Orion Nebula: Proplyds, Herbig-Haro objects, and measurements of a circumstellar disk
[55] 논문 Magnetic field strengths in the H II regions S117, S119, and S264
[56] 논문 Helical structures in a Rosette elephant trunk
[57] 논문 The galactic abundance gradient
[58] 웹인용 Lecture 4B: Radiation case studies (HII regions) http://www.astro.utu[...] 2009-05-14
[59] 논문 Is NGC 3108 transforming itself from an early- to late-type galaxy – an astronomical hermaphrodite?
[60] 서적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Symposium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61] 논문 The Exciting Star of the Berkeley 59/Cepheus OB4 Complex and Other Chance Variable Star Discoveries
[62] 논문 SCUBA observations of the Horsehead nebula – what did the horse swallow?
[62] 논문 Physical conditions, grain temperatures, and enhanced very small grains in Barnard's loop
[63] 논문 The Orion Nebula and its associated population http://astro.if.ufrg[...]
[64] 논문 Chemical composition and mixing in giant HII regions: NGC 3603, Doradus 30, and N66
[65] 논문 A Chandra ACIS Study of 30 Doradus. I. Superbubbles and Supernova Remnants
[66] 논문 The chandra ACIS survey of M33 (ChASeM33): investigating the hot ionized medium in NGC 604
[67] 논문 Heavy elements in Galactic and Magellanic Cloud H II regions: recombination-line versus forbidden-line abundances
[68] 논문 Interstellar extinction in the California Nebula reg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