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설의 고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설의 고향》은 KBS TV에서 1977년부터 1989년까지 1기, 1996년부터 1999년까지 2기, 2008년부터 2009년까지 3기로 나누어 방영된 한국의 공포 드라마 시리즈이다. 억울하게 죽은 원귀의 복수를 주제로 하며, 구미호 등 다양한 귀신과 관련된 에피소드를 다루었다. 2019년부터는 KBS 유튜브 채널 '옛날티비'를 통해 다시 공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설의 고향 - 2009 전설의 고향
    2009 전설의 고향은 2009년 8월에 방영된 10부작 드라마로, 다양한 한국 설화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신분 제도, 여성 억압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 전설의 고향 - 2008 전설의 고향
    2008년 전설의 고향은 KBS 2TV에서 방영된 8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된 드라마로, 2010년 뉴욕 페스티벌에서 사진검의 저주 에피소드가 최우수 작품상 금상을 수상했다.
  • 1977년 드라마 - 꽃사슴 (드라마)
    꽃사슴은 최불암, 고은아, 김윤경, 김자옥 등이 출연한 대한민국의 드라마이다.
  • 1977년 드라마 - 타국 (드라마)
    타국 드라마는 심수관 가문 인물, 주변 인물, 그리고 임진왜란 및 정유재란 시대 관련 인물들의 정보를 제공한다.
  • 한국의 전설 - 흥부전
    흥부전은 작자 미상의 고전 소설로, 착한 흥부와 심술궂은 놀부 형제를 통해 권선징악과 형제애를 나타내면서 조선 후기 사회상과 계층 갈등을 반영하는 판소리계 소설이자 모방담 설화이다.
  • 한국의 전설 - 2009 전설의 고향
    2009 전설의 고향은 2009년 8월에 방영된 10부작 드라마로, 다양한 한국 설화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신분 제도, 여성 억압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전설의 고향

2. 방송 기간

《전설의 고향》은 KBS TV에서 1977년 첫 방영을 시작하여 1989년까지 1기, 1996년부터 1999년까지 2기, 2008년과 2009년에 3기가 방영되었다. 각 기수별 방송 기간, 채널, 횟수는 다음과 같다.[1]

기수방송 채널방송 기간횟수
1KBS TV, KBS 1TV, KBS 2TV1977년 10월 18일 ~ 1989년 10월 3일578부작
2KBS 2TV1996년 6월 26일 ~ 1999년 8월 3일74부작
3KBS 2TV2008년 8월 6일 ~ 2009년 9월 8일18부작
총 횟수670부작


2. 1. 1기 (1977년 ~ 1989년)

1977년 10월 18일부터 1989년 10월 3일까지 총 578부작이 제작 · 방영되었으며, 이 시기의 《전설의 고향》은 일부 케이블/위성방송/IPTV에서 한때 방송했거나 방송하고 있다.[1]

방송 채널방송 기간횟수
KBS TV1977년 10월 18일 ~ 1980년 12월 16일578부작
KBS 1TV1981년 1월 6일 ~ 1981년 9월 1일
KBS 2TV1981년 9월 11일 ~ 1989년 10월 3일


2. 2. 2기 (1996년 ~ 1999년)

1996년 6월 26일부터 1999년 8월 3일까지 KBS 2TV에서 총 74부작이 방영되었다. 1996년부터 1999년까지 매년 여름마다 새로운 이야기들을 선보였다. 연도별 방영 부작 수는 다음과 같다.

연도부작 수
1996년24부작
1997년26부작
1998년12부작
1999년12부작



대표적인 에피소드로는 〈구미호〉(1996년, 1997년), 〈호녀〉, 〈나비의 한〉, 〈덕대골〉(1996년), 〈지네바위〉, 이어도, 〈검룡소애〉(1997년), 〈묘곡성〉, 〈살생부〉, 〈여우골〉, 〈씨받이〉(1998년) 등이 있다.

2. 2. 1. 1996년

1996년에는 총 24부작으로, 〈호녀〉, 〈나비의 한〉, 〈덕대골〉, 〈구미호〉 등 다양한 에피소드가 방영되었다.

회차방송일자부제 (서브 타이틀)
제1화1996년 6월 26일호녀(虎女) (전 · 후편)
제2화1996년 6월 27일
제3화1996년 7월 3일나비의 한
제4화1996년 7월 4일은장도(銀粧刀), 사녀(蛇女)
제5화1996년 7월 10일덕대골
제6화1996년 7월 11일사후절부 야물(死後折婦也勿)
제7화1996년 7월 17일깽이바다 (상 · 하)
제8화1996년 7월 18일
제9화1996년 7월 24일쌍태(雙胎)바위
제10화1996년 7월 25일짝사랑각
제11화1996년 7월 31일야호(野狐)
제12화1996년 8월 1일상정승골
제13화1996년 8월 7일염라대왕의 증언
제14화1996년 8월 8일회생
제15화1996년 8월 14일내 혼백 남의 육신
제16화1996년 8월 15일호산(虎山)
제17화1996년 8월 21일동침문서
제18화1996년 8월 22일숫돌바위
제19화1996년 8월 28일바리데기 (상 · 하)
제20화1996년 8월 29일
제21화1996년 9월 4일학울음
제22화1996년 9월 5일열불열비(烈不烈碑)
제23화1996년 9월 11일춘보
제24화1996년 9월 12일우생원(牛生員)


2. 2. 2. 1997년

1997년에는 총 26부작으로, 구미호를 비롯하여, 〈지네바위〉, 이어도, 〈검룡소애〉 등 다양한 에피소드가 방영되었다.

회차방송일자부제 (서브 타이틀)
제1화1997년 7월 12일구미호
제2화1997년 7월 13일지네바위
제3화1997년 7월 19일딸의 혼령
제4화1997년 7월 20일씨내리
제5화1997년 7월 26일가는이 고개
제6화1997년 7월 27일이어도
제7화1997년 8월 2일검룡소애 (상)
제8화1997년 8월 3일검룡소애 (하)
제9화1997년 8월 9일삼신할미와 마마대왕
제10화1997년 8월 10일천도
제11화1997년 8월 16일사굴
제12화1997년 8월 17일효불효교
제13화1997년 8월 23일순장 (상)
제14화1997년 8월 24일순장 (하)
제15화1997년 8월 30일5월에 내리는 서리
제16화1997년 8월 31일걸귀
제17화1997년 9월 6일포흠 삼천냥
제18화1997년 9월 7일귀녀
제19화1997년 9월 13일혈화
제20화1997년 9월 14일모정불심
제21화1997년 9월 20일국화령
제22화1997년 9월 21일망자의 소원
제23화1997년 9월 27일환향녀
제24화1997년 9월 28일사신의 미소
제25화1997년 10월 4일도미의 처
제26화1997년 10월 5일초야


2. 2. 3. 1998년

1998년에는 총 12부작으로, 〈묘곡성〉, 〈살생부〉, 〈여우골〉, 〈씨받이〉 등 다양한 에피소드가 방영되었다.

회차방송일자부제 (서브 타이틀)
제1화1998년 7월 6일묘곡성(猫哭聲|묘곡성중국어)
제2화1998년 7월 7일살생부(殺生府|살생부중국어)
제3화1998년 7월 13일여우골
제4화1998년 7월 14일씨받이
제5화1998년 7월 20일저승에서 핀 꽃
제6화1998년 7월 21일죽귀(竹晷|죽귀중국어)
제7화1998년 7월 27일방울소리
제8화1998년 7월 28일조강지처
제9화1998년 8월 3일귀면살풍(鬼面殺風|귀면살풍중국어)
제10화1998년 8월 4일손각시
제11화1998년 8월 10일천녀도(天女圖|천녀도중국어)
제12화1998년 8월 11일접포(蝶布|접포중국어)


2. 2. 4. 1999년

회차방송일자부제 (서브 타이틀)
제1화1999년 6월 28일신조(神鳥)
제2화1999년 6월 29일살아있는 무덤
제3화1999년 7월 5일진사골의 한(恨)
제4화1999년 7월 6일열녀문(烈女門)
제5화1999년 7월 12일호몽
제6화1999년 7월 13일오세암(五歲庵)
제7화1999년 7월 19일구미호(九尾狐)
제8화1999년 7월 20일재인(才人)의 아내
제9화, 제10화1999년 7월 26일, 1999년 7월 27일깍짓손 (상 · 하)
제11화1999년 8월 2일궁녀(宮女)
제12화1999년 8월 3일상사요(相思謠)


2. 3. 3기 (2008년 ~ 2009년)

2008년 8월 6일부터 2009년 9월 8일까지 KBS 2TV를 통해 총 18부작이 방영되었다. 2008년에는 8부작, 2009년에는 10부작이 방영되었다.

2. 3. 1. 2008년

2008년에는 총 8부작으로 방영되었다. 각 에피소드는 〈구미호〉, 〈아가야 청산가자〉, 〈사진검의 저주〉[2], 〈환향녀〉 등 다양한 소재를 다루었다.

회차방송일자부제 (서브 타이틀)
제1화2008년 8월 6일구미호
제2화2008년 8월 7일아가야 청산가자
제3화2008년 8월 13일사진검의 저주[2]
제4화2008년 8월 14일귀서
제5화2008년 8월 21일오구도령
제6화2008년 8월 27일기방괴담
제7화2008년 8월 28일사신이야기
제8화2008년 9월 3일환향녀


2. 3. 2. 2009년

2009년에는 총 10부작으로, 〈혈귀〉, 〈죽도의 한〉, 〈계집종〉, 〈구미호〉 등 다양한 에피소드가 방영되었다.

회차방송일자부제 (서브 타이틀)
제1화2009년 8월 10일혈귀
제2화2009년 8월 11일죽도의 한
제3화2009년 8월 17일계집종
제4화2009년 8월 18일목각귀
제5화2009년 8월 24일씨받이
제6화2009년 8월 25일금서
제7화2009년 8월 31일조용한 마을
제8화2009년 9월 1일구미호
제9화2009년 9월 7일묘정의 구슬
제10화2009년 9월 8일가면귀


3. 작품 리스트

1996년 방영 목록

회차방송일자부제 (서브 타이틀)
제1화1996년 6월 26일호녀(虎女) (전 · 후편)
제2화1996년 6월 27일
제3화1996년 7월 3일나비의 한
제4화1996년 7월 4일은장도(銀粧刀), 사녀(蛇女)
제5화1996년 7월 10일덕대골
제6화1996년 7월 11일사후절부 야물(死後折婦也勿)
제7화1996년 7월 17일깽이바다 (상 · 하)
제8화1996년 7월 18일
제9화1996년 7월 24일쌍태(雙胎)바위
제10화1996년 7월 25일짝사랑각
제11화1996년 7월 31일야호(野狐)
제12화1996년 8월 1일상정승골
제13화1996년 8월 7일염라대왕의 증언
제14화1996년 8월 8일회생
제15화1996년 8월 14일내 혼백 남의 육신
제16화1996년 8월 15일호산(虎山)
제17화1996년 8월 21일동침문서
제18화1996년 8월 22일숫돌바위
제19화1996년 8월 28일바리데기 (상 · 하)
제20화1996년 8월 29일
제21화1996년 9월 4일학울음
제22화1996년 9월 5일열불열비(烈不烈碑)
제23화1996년 9월 11일춘보
제24화1996년 9월 12일우생원(牛生員)



1997년 방영 목록

회차방송일자부제 (서브 타이틀)
제1화1997년 7월 12일구미호(九尾狐)
제2화1997년 7월 13일지네바위
제3화1997년 7월 19일딸의 혼령
제4화1997년 7월 20일씨내리
제5화1997년 7월 26일가는이 고개
제6화1997년 7월 27일이어도(離於島)
제7화1997년 8월 2일검룡소애(劍龍沼愛) (상 · 하)
제8화1997년 8월 3일
제9화1997년 8월 9일삼신할미와 마마대왕
제10화1997년 8월 10일천도(天桃)
제11화1997년 8월 16일사굴(蛇窟)
제12화1997년 8월 17일효불효교(孝不孝橋)
제13화1997년 8월 23일순장(殉葬) (상 · 하)
제14화1997년 8월 24일
제15화1997년 8월 30일5월에 내리는 서리
제16화1997년 8월 31일걸귀(乞鬼)
제17화1997년 9월 6일포흠 삼천냥(逋欠 三天雨)
제18화1997년 9월 7일귀녀(鬼女)
제19화1997년 9월 13일혈화(血花)
제20화1997년 9월 14일모정불심(母情佛心)
제21화1997년 9월 20일국화령(菊花靈)
제22화1997년 9월 21일망자의 소원
제23화1997년 9월 27일환향녀(還響女)
제24화1997년 9월 28일사신(死神)의 미소
제25화1997년 10월 4일도미(都彌)의 처
제26화1997년 10월 5일초야(招夜)



1998년 방영 목록

회차방송일자부제 (서브 타이틀)
제1화1998년 7월 6일묘곡성(猫哭聲)
제2화1998년 7월 7일살생부(殺生府)
제3화1998년 7월 13일여우골
제4화1998년 7월 14일씨받이
제5화1998년 7월 20일저승에서 핀 꽃
제6화1998년 7월 21일죽귀(竹晷)
제7화1998년 7월 27일방울소리
제8화1998년 7월 28일조강지처
제9화1998년 8월 3일귀면살풍(鬼面殺風)
제10화1998년 8월 4일손각시
제11화1998년 8월 10일천녀도(天女圖)
제12화1998년 8월 11일접포(蝶布)



1999년 방영 목록

회차방송일자부제 (서브 타이틀)
제1화1999년 6월 28일신조(神鳥)
제2화1999년 6월 29일살아있는 무덤
제3화1999년 7월 5일진사골의 한(恨)
제4화1999년 7월 6일열녀문(烈女門)
제5화1999년 7월 12일호몽
제6화1999년 7월 13일오세암(五歲庵)
제7화1999년 7월 19일구미호(九尾狐)
제8화1999년 7월 20일재인(才人)의 아내
제9화1999년 7월 26일깍짓손 (상 · 하)
제10화1999년 7월 27일
제11화1999년 8월 2일궁녀(宮女)
제12화1999년 8월 3일상사요(相思謠)



2008년 방영 목록

회차방송일자부제 (서브 타이틀)
제1화2008년 8월 6일구미호
제2화2008년 8월 7일아가야 청산(靑山)가자
제3화2008년 8월 13일사진검의 저주[2]
제4화2008년 8월 14일귀서
제5화2008년 8월 21일오구도령
제6화2008년 8월 27일기방괴담
제7화2008년 8월 28일사신이야기
제8화2008년 9월 3일환향녀



2009년 방영 목록

회차방송일자부제 (서브 타이틀)
제1화2009년 8월 10일혈귀
제2화2009년 8월 11일죽도의 한
제3화2009년 8월 17일계집종
제4화2009년 8월 18일목각귀
제5화2009년 8월 24일씨받이
제6화2009년 8월 25일금서
제7화2009년 8월 31일조용한 마을
제8화2009년 9월 1일구미호
제9화2009년 9월 7일묘정의 구슬
제10화2009년 9월 8일가면귀


4. 주요 등장인물 및 소재

'전설의 고향'은 원귀가 자신을 해친 사람에게 복수하는 이야기를 주로 다루지만, 귀신을 쫓거나 가두는 방법, 전생과 후생, 유쾌한 이야기를 다룬 소재도 등장한다.

예를 들어 〈방울소리〉는 원귀를 가두는 방법을, 〈깍지손〉은 스님이 귀신을 쫓는 방법을 보여준다.[1] 〈깍지손〉은 임진왜란일본에게 죽은 원귀가 일본인으로 환생하여 복수하는 이야기로, 전생과 후생을 다룬 드문 경우이다. 시카고타자기, 도깨비 등이 이와 비슷한 드라마이다.[2]

2008 전설의 고향의 〈사신이야기〉는 저승사자가 명부를 잃어버리고 염라대왕에게 혼나는 등 우스꽝스러운 상황을 코믹하게 그려냈다. 또한, 마지막 회는 나그네가 만난 여자가 귀신으로 변하는 장면으로 끝을 맺어, 전통적인 귀신 이야기의 묘미를 살렸다.

2019년 8월부터 유튜브 채널 옛날티비를 통해 다시 볼 수 있게 되었다.

4. 1. 역대 구미호

연도방송 일자구미호 역 배우부제 (서브 타이틀)비고
19797월 10일구미호
19807월 14일한혜숙백년한
198210월 27일옥구슬
19836월 18일월하의 사랑
19846월 30일여우각시
19868월 2일구미호
19888월 16일호녀의 한
19966월 26일 ~ 27일박상아호녀(狐女)허준호 남편 역
19967월 31일임경옥야호(野狐)
19977월 12일송윤아구미호안승훈 남편 역
19987월 13일노현희여우골남편(김진태 분)보다는 아들(이세창 분)과 대결함.
19997월 19일김지영구미호최재원 남편 역
20087월 19일박민영구미호
20099월 1일전혜빈구미호안재모 남편 역


4. 2. 기타 소재

원귀중국어가 자신을 해친 사람에게 복수하는 이야기가 대부분이지만, 〈방울소리〉에서는 원귀를 잡아 가두는 방법이, 〈깍지손〉에서는 스님이 귀신을 쫓는 방법이 묘사되기도 한다.[1] 〈깍지손〉은 임진왜란일본에게 죽은 원귀가 일본인으로 환생한 사람들에게 복수하는, 전생과 후생을 다룬 이례적인 이야기이다. 이와 같이 전생과 후생을 다룬 드라마로는 시카고타자기, 도깨비 등이 있다.[2]

때로는 코미디처럼 유쾌한 이야기도 있는데, 2008 전설의 고향의 〈사신이야기〉가 대표적이다. 저승사자가 명부를 잃어버려 염라대왕에게 혼나고, 대한민국 사람들의 행동에 당황하며 쫓기는 등 우스꽝스러운 상황이 펼쳐진다. 결국 저승사자는 오자영과 함께 명부를 되찾지만, 오자영의 수명을 3001세로 늘리는 바람에 계속 저승사자 노릇을 하게 된다.

2008 전설의 고향 마지막 회에서는 한 나그네가 만난 여자가 귀신으로 변하는 장면으로 끝을 맺는다.

2019년 8월부터 유튜브 채널 옛날티비를 통해 다시 공개되었다.

5. 전설의 고향 관련 내용

전설의 고향은 대부분 억울하게 죽은 귀신인 원귀가 자신을 해친 사람에게 복수하는 내용을 다룬다. 하지만, 〈방울소리〉 편에서는 원귀를 잡아 가두는 방법이 나오기도 하고, 〈깍지손〉 편에서는 스님이 귀신을 쫓기 위해 깃발을 꽂는 내용도 나온다.[1]

〈깍지손〉은 전생과 후생을 다룬 이야기로, 임진왜란일본군에게 죽은 원귀가 일본인으로 환생한 사람들에게 복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처럼 전생과 후생을 다룬 드라마로는 시카고타자기와 도깨비 등이 있다.[2]

귀신이 등장하는 전설의 고향이지만, 코미디처럼 웃기는 이야기도 있다. 2008년에 방영된 〈사신이야기〉는 저승사자가 명부를 잃어버리고 인간들과 얽히는 코믹한 상황을 그린다. 저승사자가 염라대왕에게 혼나는 장면, 대한민국 사람들의 행동을 따라 하는 저승사자의 모습, 그리고 저승사자가 사람들에게 쫓기는 이야기가 주를 이룬다. 잃어버린 명부를 되찾기 위해 전직 관찰사 이대감의 보물까지 빼앗지만, 결국 저승사자는 오자영의 수명을 늘려주는 바람에 계속 저승사자 노릇을 하게 된다.

2008 전설의 고향 마지막 회에서는 한 나그네가 낮에 만난 여자가 귀신으로 변하는 장면으로 끝난다.

2019년 8월부터 KBS 아카이브 디지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유튜브 채널 옛날티비를 통해 다시 공개되었다.

6. 미디어

KBS 《VJ특공대》에서 〈2009 전설의 고향 전격해부〉(2009년 8월 21일)를 방영하여 드라마 제작 과정과 뒷이야기를 소개했다.[1]

참조

[1] 문서 언론 통폐합
[2] 뉴스 (제목 없음)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