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역 (복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역(복무)은 군 복무를 마치는 것을 의미하며, 각 국가별로 다양한 전역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현역에서 예비역 등으로 전환될 때 전역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조기 전역과 같은 예외적인 경우도 존재한다. 미국은 명예 전역, 불명예 전역 등 다양한 전역 유형을 가지고 있으며, 제대 후에는 전역 종류에 대한 이의 제기 및 심사 절차가 진행된다. 영국은 각 군별로 전역 유형과 절차가 다르며, 중국은 군 적응 실패 시 징벌적 제재가 가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퇴직 - 사직
    사직은 개인적 결정이나 외부 압력으로 인해 정치, 기업, 학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하는 직무 또는 직책에서 물러나는 행위이며, 탄핵 위기 대응, 전략적 선택, 비판 대응, 조직 내부 갈등 등 다양한 이유로 발생하고 사직 연설을 통해 퇴임 경위를 설명하기도 한다.
  • 퇴직 - 해고
    해고는 고용주가 근로자와의 고용 계약을 일방적으로 종료하는 것으로, 징계, 정리, 통상 해고 등으로 구분되며, 국가별 법률이 상이하고 대한민국에서는 근로기준법에 따른 절차와 부당해고 구제 절차가 마련되어 있으며, 사회적 쟁점과 관련되어 속어와 은어로 표현되기도 한다.
  • 군법 - 계엄
    계엄은 국가 비상사태 시 안보와 질서 유지를 위해 대통령이 발동하는 국가긴급권으로, 대한민국에서는 헌법과 계엄법에 따라 선포되며 비상계엄과 경비계엄으로 나뉘고, 역사적으로 남용된 사례가 있어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국회의 통제 등 견제 장치를 두고 있다.
  • 군법 - 교전규칙
    교전규칙은 군사 작전 시 특정 상황에서 군대의 행동 지침을 규정하며, 자위권 행사, 인명 보호, 오해 방지 등을 목적으로 각국이 자체적으로 보유하거나 국제 매뉴얼을 참고하여 무기 사용의 시점, 장소, 상대 등을 구체적으로 다룬다.
  • 군사 생활 - 열병식
    열병식은 군대의 훈련 수준과 국가의 위상을 과시하는 의식으로, 군사력 과시와 국민 통합을 상징하며 국가 기념일에 개최되지만, 최근에는 규모와 비용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 군사 생활 - 제식
    제식은 군대에서 대열을 이루어 움직이는 훈련으로, 전투력 향상을 위해 고대부터 활용되었으며, 현대에는 군인 정신 함양과 부대 통솔을 위해 실시된다.
전역 (복무)
군 복무
분야군대
제대
제대 유형만기 전역, 명예 제대, 일반 제대, 불명예 제대, 기타
설명군 복무로부터의 석방
다른 언어
한국어전역, 제대, 석방
중국어退伍 (tuìwǔ)
일본어退役 (Tai-eki)

2.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에서는 전역(예편)이라고 칭한다. 주로 현역에서 예비역이나 보충역, 혹은 전시근로역으로 전환될 때 쓰이며, 보충역 복무를 마친 후 예비역이나 전시근로역에 편입되는 것은 소집해제라고 한다.

일상에서는 대개 현역 복무 기간을 다 채우고 제대하여 예비역으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전역 후에도 계급은 전역 당시의 계급이 그대로 유지되며, 칭할 때는 보통 계급명 앞에 '예비역'을 붙여 '예비역 병장', '예비역 중위'와 같이 부른다.

현역 신분으로 1년 6개월 이상 6년 미만의 징역 또는 금고의 실형을 선고받은 사람은 전시근로역에 편입되어 강제 전역되며, 징계처분으로 영창에 가게 될 경우 영창에 있었던 날 수만큼 전역이 늦어진다.

조기전역(早期轉役) 혹은 조기제대(早期除隊)는 군 복무 도중 원래의 만기 전역 예정일보다 앞서 전역하는 것을 말한다.

2. 1. 조기 전역

조기전역(早期轉役) 혹은 조기제대(早期除隊)는 군 복무를 하던 도중에 원래의 만기 전역 예정일보다 앞서서 전역하는 것을 말하며, 질병에 의한 의병전역(依病轉役)과 가족 부양·생계 유지 곤란 등과 같은 가사 사정에 의한 의가사전역(依家事轉役)으로 나뉜다.[1]

2. 2. 기타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에서는 전역(예편)이라고 칭한다. 주로 현역에서 예비역이나 보충역, 혹은 전시근로역으로 전환될 때 쓰이며, 보충역 복무를 마친 후 예비역이나 전시근로역에 편입되는 것은 소집해제라고 한다.

일상에서는 대개 현역 복무 기간을 다 채우고 제대하여 예비역으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전역 후에도 계급은 전역 당시의 계급이 그대로 유지되며, 칭할 때는 보통 계급명 앞에 '예비역'을 붙여 '예비역 병장', '예비역 중위'와 같이 부른다.

현역 신분으로 1년 6개월 이상 6년 미만의 징역 또는 금고의 실형을 선고받은 사람은 전시근로역에 편입되어 강제 전역되며, 징계처분으로 영창에 가게 될 경우 영창에 있었던 날 수만큼 전역이 늦어진다.

'''조기전역'''(早期轉役) 혹은 '''조기제대'''(早期除隊)는 군 복무 도중 만기 전역 예정일보다 앞서 전역하는 것을 말하며, 질병에 의한 의병전역과 가족 부양, 생계 유지 곤란 등 가사 사정에 의한 의가사전역으로 나뉜다.

3. 미국

미국 군대는 군 복무를 중요하게 여기며, 군 복무를 마치는 방법은 크게 5가지로 나뉜다. 이 중 불행적 제대(Bad Conduct Discharge)와 불명예 제대(Dishonorable Discharge)는 징계 면직 처분에 해당한다. 일반 제대(General Discharge)는 복무 기간 만료 전에 개인적인 사정으로 인해 군 복무를 그만두는 것을 의미한다.[15]

제대증을 들고 있는 군인을 묘사한 제1차 세계 대전 포스터.


미국 군대의 제대 유형은 다음과 같다.

# 명예 제대(Honorable Discharge)

# 일반 제대(General Discharge)

# 비명예 제대(Other Than Honorable Discharge)

# 불행적 제대(Bad Conduct Discharge)

# 불명예 제대(Dishonorable Discharge)

명예 전역을 받으려면, 군 복무자는 복무 기간 동안 좋은 평가를 받아야 한다. 대부분의 의무 수행 기준을 충족하고, 큰 위법 행위 없이 복무 기간을 채운 군인은 일반적으로 명예 전역을 받는다.[19]

하지만 위법 행위로 인한 전역이 아니라면, 명예 전역을 받기 위해 반드시 정해진 복무 기간을 채울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임무 수행 중 부상이나 질병으로 인해 더 이상 복무할 수 없게 된 군인도, 다른 기준을 충족한다면 명예 전역으로 분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인원 감축(RIF)으로 인해 강제 전역 대상이 된 군인도 복무 중 행동이 기준을 충족했다면 명예 전역을 받을 수 있다. 명예 전역을 받은 사람은 특정 조건 하에 미군에 다시 입대할 수 있다.

육군 규정 635-200, 9-4항에 따르면, "이 조항에 따라 전역하는 군인의 복무는 명예 전역 또는 명예로운 조건으로 분류된다. 단, 군인이 초급 단계에 있고, 복무 특성에 대한 기술이 필요 없는 경우는 예외이다. 육군 규정 600-85, 6-4항에 정의된 제한적 사용 증거를 정부가 최종 전역 과정에 처음으로 도입하는 경우에는 명예 전역이 의무화된다."[20]

징계 해고는 선량한 질서와 규율을 해치는 행위에 대해 부과된다.

불명예 제대(Bad Conduct Discharge, BCD)는 군사 재판 (특별 또는 일반)을 통해서만 부사관에게 징계로 내려질 수 있다.[25] 불명예 제대는 군사 교도소에서의 구금 기간을 동반할 수 있다. 제대 자체는 항소 심사 절차가 완료된 후, 또는 징역형이 포함된 제대의 경우 형 집행과 항소 심사 절차가 모두 완료된 후에 발급된다.

불명예 제대를 받으면 대부분의 퇴역 군인 혜택을 잃게 되며, 일반 군사 재판을 통해 제대된 사람은 장애 보상금도 받을 수 없다. 다만, 이러한 퇴역 군인들도 의료 서비스는 받을 수 있지만, 재향 군인청(VA)을 통해서는 받을 수 없다.[19]

국방부에 따르면, 2014년에 전역한 약 20만 7천 명의 군인 중 1만 8천 명 이상(9%)이 불명예 전역 처리되었으며, 4,143명(2.0%)이 명예롭지 못한 전역, 637명(0.31%)이 불량 행위 전역, 157명(0.08%)이 불명예 전역을 받았다. 2000년부터 2014년까지 총 35만 2천 명이 일반 제대에서 불명예 제대에 이르는 다양한 제대 서류를 받았다.[29]

임관 장교는 군사 재판에서 계급이 강등되거나 불명예 제대 처분을 받을 수 없다. 장교가 일반 군사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으면, "해임" 처분을 받을 수 있는데, 이는 부사관의 불명예 제대와 동일한 결과를 가져오며, 장교가 만족스럽게 복무했던 마지막 계급으로 강등되는 것을 포함한다. 미국 재무부 결정에 따르면, 장교가 불명예 제대가 아닌 해임을 당하더라도 "불명예스러운 조건으로 군에서 제대"라는 문구는 일반 군사 재판에 의해 장교에게 내려진 해임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불명예스러운 조건으로 해임된 장교는 불명예 제대를 받은 사람과 마찬가지로 연방 법률에 따라 총기나 탄약을 소지할 수 없다.[30]

군사 재판에서 장교에게 유죄 판결을 내렸지만 해임을 포함하지 않는 형을 선고하는 경우, 해당 장교가 소속된 군의 장관은 장교를 해당 군의 장교 명단에서 삭제할 수 있다. 이러한 제대는 징벌적이라기보다는 행정적인 것으로 간주된다.[31]

입대 수준 제대(ELS, Entry level separation)는 180일 미만의 군 복무를 마치기 전, 또는 복무 180일 이전에 제대 조치가 시작된 개인에게 주어진다. 이러한 행정적 제대 사유는 대부분 신병 훈련 기간에 발생한다. 이러한 유형의 제대는 복무를 좋거나 나쁘다고 평가하지 않는다. 즉, 제대하는 개인이 복무를 평가하기에 충분한 기간을 복무하지 못했기 때문에 복무에 대한 특징이 없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유형의 제대는 임신, 훈련 성과 또는 의료 문제와 같은 사유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ELS를 받은 개인은 특정 조건 하에 군대에 다시 입대할 수 있다.

2021년 국방수권법 초안 작성 중, 하원은 엘레인 루리아 하원 의원의 수정안을 통과시켰는데, 이는 미국 군대가 2001년 이후 비특성 제대 사유의 오용을 받은 군인의 수에 대한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요구하는 내용이었다.[18] 그러나 이 수정안은 상원에서 삭제되었다.

3. 1. 제대 유형

미국군의 제대 유형은 다음과 같다.

  • 명예전역(Honorable Discharge)
  • 일반전역(General Discharge)
  • 비명예제대(Other Than Honorable Discharge)
  • 불량품행전역(Bad Conduct Discharge)
  • 불명예전역(Dishonorable Discharge)


이 중 불행적전역과 불명예전역은 징계처분에 해당한다.[15]

대부분의 경우, 미군 복무를 마치는 것은 제대가 아니라 전역이다.[15] 미국 군대에 입대하면 보통 8년의 의무 복무 기간이 주어지며, 현역과 예비군 복무를 조합하여 복무한다.[16] 8년 미만으로 현역에서 자진 전역하는 경우, 남은 기간은 개인 예비군(IRR)에서 채운다. 20년 이상 복무한 군인은 퇴역하여 퇴역 예비군으로 전출된다. 심각한 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제대 대신 의학적 퇴역을 한다.[17]

일반적인 제대 사유는 다음과 같다 (행정 위원회 심리 유무와 관계없음):[15]

제대 사유
복무 기간 만료 (ETS)
체력 기준 미달
최대 연령 제한 도달
최고 연한 (계급 내 최대 허용 시간 도달, 진급 미선발)
장애, 부양, 또는 어려움
임신/육아
인격 장애
장애로 간주되지 않는 건강 상태
군 복무를 방해하는 신체적 또는 정신적 상태로, 임시 또는 영구 장애 퇴역자 명단에 포함됨
정부의 편의/장관 권한 (예: 자금 삭감으로 인한 자발적 감축)
군 복무 부적합
위법 행위 – 경미한 징계 위반
위법 행위 – 약물 사용, 소지 또는 유통
위법 행위 – 심각한 범죄 행위
초기 수준의 수행 및 행위
사임 (장교에게만 가능)
병력 감축 (RIF)
초급 전역 (ELS). 복무 첫 180일 이내에 제대하고, 군인의 기록에 위법 행위가 없는 경우.
징벌적 제대 (특수 군사 재판 또는 일반 군사 재판에서만 발부되는 불량 행위 제대 (BCD), 일반 군사 재판에서만 발부되는 불명예 제대)



위의 사유로 행정적으로 제대하는 경우, 군인은 일반적으로 명예 제대, 일반 (명예로운 조건 하) 제대, 또는 명예롭지 않은 조건 하 (UOTHC) 제대 복무 특성을 받는다.

명예 제대를 받으려면, 복무에 대해 양호에서 우수 등급을 받아야 한다. 의무 수행 및 개인 행위에 대한 요구 기준을 충족하거나 초과하고, 복무 기간을 완료한 군인은 일반적으로 명예 제대를 받는다. 불명예 제대 (DD)는 심각한 범죄 (예: 적 앞에서 탈영, 마약 유통, 성폭행, 살인 등)에 대한 군사 재판에서 군 판사 또는 배심원단에 의해 유죄 판결을 받은 후에만 내려질 수 있는 징벌적 제대이다.

임관 장교는 군사 재판에서 계급이 강등될 수 없으며, 불명예 제대나 불명예 퇴역 처분을 받을 수도 없다. 장교가 일반 군사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으면, 해당 장교의 형벌에는 "해임"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부사관에게 불명예 퇴역과 동일한 결과를 가져오고, 장교가 만족스럽게 복무했던 마지막 계급으로의 강등을 포함한다.

3. 2. 제대 심사 및 항소 절차

미국 군대에서 제대 후, 군인(또는 사망한 경우 유족)은 부여된 제대 종류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32] 전역 과정에서의 오류, 부당함, 불공정성에 대한 증거를 제출해야 한다. 대부분의 이의 제기는 기각되지만,[33] 명예로운 전역이 부당하게 거부되었음을 증명할 수 있는 경우에만 변경이 허용된다.

전역 후 15년 이내에는 DD-293 양식을, 15년이 넘은 경우에는 DD-149 양식을 제출해야 한다. 이 양식들은 내용이 상당히 다르며, 각각 전역 심사 위원회(DRB)와 군 기록 수정 위원회(BCMR)에 제출된다.[32] 이 절차에 대한 법률은 에 규정되어 있다.

군사 재판에서 선고된 모든 징벌적 면직은 각 군의 군사 항소 법원에 의해 자동으로 검토된다. 이 법원들은 육군 형사 항소 법원(ACCA), 공군 형사 항소 법원(AFCCA), 해군-해병대 형사 항소 법원(NMCCCA) 및 해안 경비대 형사 항소 법원(CGCCA)이다. 이 법원은 항소 군사 판사로 구성되어 중급 항소 법원으로 기능하며, 법적 오류와 유죄 판결의 사실적 근거에 대해 모두 de novo 심사를 할 권한을 갖는다.

정부 또는 피고가 이 항소 결과에 불만을 품는 경우, 유죄 판결 또는 형량은 군사 항소 법원(CAAF)에 항소할 수 있다. 이 법원은 재량적 심사 권한을 가지며, 어떤 경우에는 심사 청원을 거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법원은 모든 사형 사건 또는 각 군의 군법무관(Judge Advocate General)에서 항소 심사를 위해 인증한 사건을 심리해야 한다. CAAF의 소송 당사자는 미국 대법원에 항소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권리는 CAAF가 심리한 사건에만 적용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군사 재판 사건에서 CAAF는 해당 법원의 심사 청원 기각이 상위 항소를 방지하므로 최종심 법원이다.

징벌적 면직을 받고 선고된 구금을 완료한 군인은 일반적으로 항소 법원의 최종 심리가 있을 때까지 항소 휴가에 배치된다. 여기에는 모든 사건이 자동으로 심사되기 때문에 군사 재판에서 유죄를 인정한 구성원도 포함된다. 구성원은 현역으로 간주되며 항소 휴가 중 군사 통일 법전의 적용을 받는다. 구성원은 완전한 의료 혜택 및 현역의 기타 특권을 받을 자격이 있지만, 급여나 수당을 받지 않으며 모든 군사적 의무에서 면제된다.

군사 재판에서 징벌적 면직을 선고받고 항소 심사 절차가 완료되기 전에 사망한 군인은 명예로운 조건으로 현역에서 사망한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면 그들의 유족은 다른 군인의 가족이 받을 자격이 있는 모든 권리와 혜택을 받을 자격이 있다.

전역이 최종 결정되면, 일반, 초급/미특성, 그리고 불명예 제대(UOTHC 또는 OTH)는 각 군의 제대 심사 위원회를 통해 상향 조정에 대해 항소할 수 있다. 그러나 항소는 분리일로부터 15년 이내에 제기되어야 하며, 복무 특성이 오류나 부당함의 결과였다는 것을 보여야 한다. 특별 군사 재판에 의해 내려진 불량 행위 제대(BCD)는 관용의 행위로만 상향 조정될 수 있다. 제대 심사 위원회는 또한 제대 사유에 대한 변경 요청(DD 214의 블록 28)을 고려할 수 있다. 제대 심사 위원회는 재입대 자격(RE) 또는 분리 지정자(SPD) 코드 변경 요청을 단독으로 고려하지 않지만, 제대 등급이 상향 조정될 경우 새로운 복무 특성 및/또는 제대 사유에 따라 변경되는 경우가 많다.

제대 후 15년 이상이 경과한 경우, 항소는 해당 군의 군사/해군 기록 정정 위원회(BCM/NR)로 보내야 한다. BCM/NR은 광범위한 항소 및 정정 요청을 심리하며, 현역, 예비군, 주 방위군, 퇴역 및 제대 군인 모두가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항소는 오류나 부당함이 발생한 지 3년 이내에 제기되어야 하지만, 예외가 종종 발생한다.

4. 영국

영국군 구성원은 제대 전 복무 의무를 완수해야 하며, 그렇지 않고 탈영하면 형사 유죄 판결을 받을 수 있다.[3] 정규군 복무 후에는 보통 예비군 복무 의무가 있으며, 기간은 복무, 계급, 계약 유형, 1980년 예비군법 또는 1996년 예비군법 적용 여부에 따라 다르다.[4]

전역 유형은 다음과 같다.


  • 정상 전역자: 복무 만료, 전역 통지, 또는 감원 조치로 전역.[5]
  • 조기 전역자: 강제 전역하거나, 4년 미만 복무 후 본인 요청으로 전역.[5][6]
  • 의학적 퇴직/전역: 의학적 사유로 복무 종료. 의무 심의에서 복무 종료 권고.[7]

4. 1. 영국 육군

영국 육군 군인은 전역 시 부대 복지 장교, 연대 경력 관리 장교, 연대 상사(RSM), 연대 행정 장교, 지휘관(CO), 부대 재정착 정보 직원 중 최소 한 명과 면담해야 한다.

4. 2. 영국 해군

영국 해군과 영국 해병대 소속 군인이 의무 퇴직 대상이 아니지만, 복무 기간 만료 전에 군을 떠나고 싶을 때 '조기 종료'를 신청할 수 있다. 이는 ''BR 3 - 해군 인사 관리'' 제54장에 명시된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8] 훈련된 전력의 장교는 임관 종료에 대한 권고가 해군성의 검토를 받아야 한다.[8]

장교는 브리타니아 해군 사관학교 졸업 전 조기 경력 종료 훈련(PTCT) 시점까지 퇴교(자발적 훈련 철회)를 신청할 수 있다.[9] 부사관 및 기타 계급은 6개월 복무 후 또는 18세가 되면 "법적 전역 권리"를 갖는다.[9] 해군 군의관 위원회(NSMBOS)가 "영구적으로 완전한 해군 복무에 부적합"하다고 판단하면, "의병 제대"될 수 있다.[10]

"사임"은 임관 종료를 뜻하는 일반적인 용어이지만, 해군에서는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장교는 법적으로 임관을 사임할 권리가 없지만, 지휘관 재량과 해군성 허가 하에 정상 참작 상황에서 사임이 허용될 수 있다. 사임은 군과 모든 관계를 끊고 싶을 때 적절하며, 군의 최선의 이익이 해군성에서 사임을 수락하는 주요 고려 사항이다. 사임하는 장교는 예비군 복무 의무는 없지만, 퇴직 급여 및 재정착 지원금 등 혜택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다른 유형의 제대는 다음과 같다.

  • 훈련 강제 중단(CWFT): 장교 성과가 기준에 미치지 못할 경우 발동될 수 있다. 브리타니아 해군 사관학교 또는 영국 해병대 특공대 훈련 센터 훈련 중인 장교와 하부 계급에서 진급하여 초기 훈련을 완료하지 못한 장교 후보자도 대상이 된다. 전문 훈련 조종사는 비행 임무에서 정지된다.[11]
  • 행정 제대: 성과 또는 품행이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장교는 현역 목록에서 제대될 수 있다.
  • 장교의 통제를 벗어난 사유로 인한 무능력
  • 장교의 통제 내 사유로 인한 부적합: "기질적 부적합"(TU) 사유로 제대될 수 있다. RN BR3 핸드북은 TU를 "개인이 군 생활의 기본적이지만 독특한 요구 사항에 적응하지 못하는 지속적이고 명백한 실패"로 정의한다.[12]
  • 비위행위
  • 파면: 군기 법률에 따라 범죄로 기소된 장교. 예외적인 경우 "불명예 제대"될 수 있다.[13]
  • 인도적 제대: 특별한 개인적 상황으로 인해 제대를 원하는 부사관에게 허가된다.[14]


일반 불명예 제대는 경미하거나 중간 정도의 비행을 저지르거나, 만족스럽게 복무했지만 군인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과를 보인 군인에게 주어진다.[19] 지휘관은 제대 조치 사유를 서면으로 공개하고, 복무를 일반적인 것으로 특징짓도록 권고하는 이유를 설명해야 한다. 약물 관련 범죄의 경우, 변호사 선임 및 지지 진술 권리에 대해 조언을 받는다.

일반 불명예 제대를 받은 사람은 GI 법안 참여 자격, 재향 군인 위원회 복무, 명예 제대가 요구되는 기타 프로그램과 같은 많은 재향 군인 혜택 또는 자격을 잃을 위험이 있다. 재입대 자격을 잃을 수 있지만, 장애 및 건강 관리와 같은 대부분 또는 모든 "표준" VA 혜택은 계속 받을 수 있다.[22]

일리노이 인권법과 같은 연방 및 주 법률[23]은 재향 군인이 불명예 제대를 받지 않는 한, 군 복무로부터의 불리한 제대를 이유로 주택 또는 고용에서 차별을 금지한다.

제럴드 포드 대통령은 대통령령 4313호[24]에 의해 베트남 전쟁 거부 군인들이 대통령 사면을 받고 징벌적 제대에서 사면 제대로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절차를 만들었다. 국외로 떠난 사람들의 귀환 경로도 마련했다. 군인이 대체 복무의 특정 요건을 충족하면, 징병제도에서 완료 증명서도 받게 되었다.

5. 중국

중국에서는 입대 후 군대에 적응하지 못하는 등의 이유로 제대하는 경우 여러 징벌이 가해진다. 2019년, 입대 직후 제대를 신청한 대학생에게는 벌금 외에도 2년간 국내외 교통기관 이용 제한, 부동산 구매, 대출 계약 및 보험 가입, 사업 개업, 대학 및 중등 교육 기관 입학 금지, 향후 정부 기관 및 국영 기업 취업 불가 등의 징벌이 부과되었다.[36]

6. 일본

(출력 없음)

7. 국제 비교

미국 군대에서 불명예 제대(Dishonorable Discharge)는 가장 불명예스러운 제대 유형이다. 이는 일반 군사재판에서만 선고될 수 있으며, 반역죄, 간첩 행위, 탈영, 성폭행, 살인 등 극도로 심각한 범죄를 저지른 경우에 내려진다.[19]

불명예 제대를 받으면 과거 복무와 관계없이 거의 모든 혜택이 박탈되며, 군대에서 매우 수치스러운 것으로 간주된다. 불명예 제대는 일반적으로 군 교도소 수감 선고와 함께 이루어지며, 항소 절차가 완료된 후 공식적으로 발부된다. 드물게 군사 재판에서 사형을 선고하는 경우, 사형 집행 전날 불명예 제대가 부여된다.

대부분의 주에서 불명예 제대는 중죄 유죄 판결과 동일하게 간주되어 많은 시민권을 잃게 된다. 불명예 제대를 받은 참전 용사는 총기 소유, 정부 일자리 취업, 정부 지원 및 대출을 받을 수 없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투표, 공직 출마, 배심원 봉사도 할 수 없다.[26] 또한, 정부 지원과 은행 대출이 어려워 고등 교육을 받거나 민간 일자리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27][19]

미국 법전에 따르면 불명예 제대를 받은 사람은 탄약, 총기, 폭발물 소지가 금지된다.[28] 1968년 총기 규제법에 따라, 불명예 제대는 연방 총기 면허 소지자로부터 총기를 구매하기 위한 ATF 양식 4473의 자격 박탈 질문에 해당하며, 브래디 권총 폭력 방지법에 따른 신원 조회에서 거부될 가능성이 크다.

미국 군대는 군 경력을 중요하게 여기며, 다음 5가지 사유에 따라 군 복무를 마치게 된다.

# 명예 제대(Honorable Discharge)

# 일반 제대(General Discharge)

# 비명예 제대(Other Than Honorable Discharge)

# 불행적 제대(Bad Conduct Discharge)

# 불명예 제대(Dishonorable Discharge)

이 중 "불행적 제대"와 "불명예 제대"는 징계 면직 처분이다. "일반 제대"는 복무 기간 만료 전 개인적인 사정으로 인한 제대를 의미한다.

군대에 적응하지 못하는 등의 이유로 제대하는 경우 여러 징벌이 가해질 수 있다. 2019년, 입대 직후 제대를 신청한 대학생의 사례에서는 벌금 외에도 2년 동안 국내외 교통, 부동산 구매, 대출 및 보험 가입, 사업 개업, 대학 및 중등 교육 기관 입학 등이 금지되었으며, 정부 기관 및 국영 기업 취업이 제한되는 징벌이 부과되었다.[36]

참조

[1] 웹사이트 Types of Military Discharges - Understanding Discharge Ratings https://themilitaryw[...] 2018-12-30
[2] 웹사이트 Advancement http://navyadvanceme[...] Integrated Publishing 2012-02-17
[3] 웹사이트 ForcesWatch brief - Terms of Service in the UK Armed Forces http://www.parliamen[...] Parliament of the United Kingdom 2013-06-05
[4] 웹사이트 Reserve Forces Act 1980 http://www.legislati[...] Parliament of the United Kingdom 2013-06-05
[5] 웹사이트 Lifeforce: A practical guide for working with military veterans https://www.humber.n[...] 2018-12-30
[6] 웹사이트 JSP 534 The Tri-Service Resettlement and Employment Support Manual https://www.ctp.org.[...] 2018-12-30
[7] 웹사이트 A Welfare Guide for the Service Leaver - Transition to Civilian Life http://www.army.mod.[...] British Army
[8] 웹사이트 CHAPTER 54 - LEAVING THE SERVICE https://www.royalnav[...] 2018-12-30
[9] 문서 BR3, Part 7 - Section 1
[10] 문서 BR 3, Part 7 - Section 2
[11] 문서 BR3, Part 7 - Section 5
[12] 웹사이트 BR3, Part 7 - Annex 54D http://www.royalnavy[...] 2013-06
[1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ww.legislat[...] 2018-12-30
[14] 웹사이트 DOPMA/ROPMA Policy Reference Tool http://dopma-ropma.r[...] 2018-12-30
[15] 웹사이트 Military discharge in the United States https://www.vetverif[...] 2024-01-07
[16] 웹사이트 What is a Military Enlistment Contract? http://military.find[...] Thomson Reuters 2017-10-11
[17] 웹사이트 Military Disability Retirement http://www.military.[...] Military Advantage 2017-10-11
[18] 웹사이트 Congresswoman Elaine Luria Passes Amendment to FY21 NDAA to Require Study on Uncharacterized Discharges https://luria.house.[...] 2021-02-21
[19] 웹사이트 Types of Military Discharge and What they Mean for Veterans https://lawforvetera[...] 2024-01-07
[20] 서적 AR 635-200 Active Duty Enlisted Administrative Separations United States Army
[21] 문서 Active Duty Enlisted Administrative Separations http://www.apd.army.[...] 2005-06-06
[22] 웹사이트 Different types of military discharges explained http://www.eielson.a[...] 2016-09-02
[23] 문서 Illinois Human Rights Act http://www.ilga.gov/[...]
[24] 웹사이트 Presidential Proclamation 4313 http://www.presidenc[...] 2012-01-13
[25] 서적 The New Partridge Dictionary of Slang and Unconventional English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9-05-13
[26] 웹사이트 Oregon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Military discharge in the United States https://www.oregon.g[...]
[27] 웹사이트 Dishonorable Discharge: Everything You Need to Know https://www.military[...] 2024-01-07
[28] 웹사이트 Unlawful acts (18 U.S.C. §922(g)(6)) https://www.law.corn[...] 2012-03-26
[29] 뉴스 Some levels of military discharge can mean no benefits for former service members https://www.usnews.c[...] 2016-07-10
[30] 간행물 TD ATF-391 https://www.atf.gov/[...]
[31] 간행물 Goldsmith v. Clinton http://www.armfor.us[...]
[32] 간행물 The Veteran's Self-Help Guide to DISCHARGE UP-GRADING https://www.countyof[...] Kings County Veterans Service Office
[33] 웹사이트 About.com: How To Upgrade Your Military Discharge http://usmilitary.ab[...]
[34] 웹사이트 Army Regulation 635-5 Separation Documents http://www.apd.army.[...] 2011-11-29
[35] 간행물 Military Service Requirements for VA Loan Eligibility http://www.homeloans[...]
[36] 웹사이트 人民解放軍を辞めたらこうなる――過酷な処分内容を公表 中国 https://www.cnn.co.j[...] CNN 2021-0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