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욱은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오제 중 한 명으로, 황제의 손자이자 창의의 아들이다. 그는 초나라, 월나라, 진나라, 조위 등 여러 왕조의 시조로 여겨진다. 전욱은 통치 기간 동안 역법, 점성술, 종교 개혁을 통해 무속 신앙을 억제하고 가부장제를 지지했으며, 하늘과 인간의 소통을 막아 신과 인간을 구별했다는 신화와 관련이 있다. 또한 전욱은 고구려 왕들이 자신의 성씨인 '고'를 황제의 손자인 고양의 후손임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했다는 기록을 통해 한국과의 연관성을 보이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5세기 통치자 - 에안나툼
에안나툼은 기원전 25세기경 라가시를 통치하며 수메르 지역을 정복하고 키시 왕 칭호를 사용한 강력한 왕으로, 움마와의 분쟁, 건축물 건설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기원전 25세기 통치자 - 루갈안네문두
루갈안네문두는 수메르 왕 목록에 등장하는 아다브의 왕으로, "사방의 왕"이라 칭하며 광대한 제국을 건설했다고 주장하는 비문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대 학자들은 이를 문학적 허구로 간주하며, 그의 통치 후 아다브는 공격받아 함락되었다고 한다. - 기원전 26세기 통치자 - 메산네파다
메산네파다는 기원전 26세기경 우르를 통치하며 정치적, 경제적 번영을 이끌고 키시의 왕 칭호를 사용한 수메르 왕조의 시조로, 그의 업적은 아안네파다의 헌납 명판과 투말 비문, 그리고 "우르의 보물"을 통해 알 수 있다. - 기원전 26세기 통치자 - 엔메바라게시
엔메바라게시는 기원전 3천년기 초중반에 활동한 수메르 키시 제1왕조의 왕으로, 엘람 원정과 우루크 침공 기록이 있으며 길가메시와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 삼황오제 - 복희
복희는 고대 중국 신화 속 인물로, 여와와 함께 인류의 조상으로 숭배받으며, 팔괘를 창시하고 문자를 만들었으며 다양한 문화를 창조하고 전파한 인물로 여겨진다. - 삼황오제 - 신농
신농은 중국 신화에서 농업과 의학의 시조로 묘사되는 문화 영웅으로, 농업 기술과 약초 지식을 전파하고 한의학의 기초를 마련했으며 동아시아에서 농업과 의학의 신으로 숭배받지만 역사적 실존 여부는 불분명하다. 
| 전욱 | |
|---|---|
| 기본 정보 | |
![]()  | |
| 칭호 | 전욱 (顓頊) | 
| 존칭 | 고양씨 (高陽氏) | 
| 로마자 표기 | 병음: Zhuānxū 웨이드-자일스: Chuan-hsü  | 
| 아버지 | 창의 | 
| 어머니 | 창푸 (昌僕) | 
| 자녀 | 궁찬 (窮蟬) | 
| 전임 | 소호 금천씨 | 
| 후임 | 제곡 고신씨 | 
| 생애 | |
| 추정 통치 기간 | 기원전 2514년경 ~ 기원전 2436년경 | 
2. 생애와 가계
전욱은 황제의 손자이자 창의의 아들로, 조용하고 지혜로운 인물이었다. 그는 백성을 다스리는 데 능숙했으며, 하늘의 이치를 본받아 백성을 교화하고 제사를 성실히 지냈다. 그의 통치 영역은 북쪽으로는 유릉, 남쪽으로는 교지, 서쪽으로는 유사, 동쪽으로는 반목에 이르렀으며, 해와 달이 비추는 모든 곳의 사람들이 그에게 복종했다.
전욱은 사람들이 신과 관계하는 것을 싫어하여, 손자인 중과 여에게 명하여 하늘로 통하는 길을 막아 신과 인간을 구별하게 했다.[4][5][6]
2. 1. 출생과 가계
전욱은 황제와 그의 아내 뢰조의 손자이며, 아버지 창의의 아들이었다. 그의 어머니는 사마천에 따르면 촉산씨(蜀山氏) 출신의 창복(昌僕)이며, 《죽서기년》에 따르면 여추(女樞)였다. 전욱은 또한 《산해경》에서 한류(韓流)의 아들로도 언급된다.[4] 그러나 가장 마지막에 쓰여진 의심스러운 부분인 해내경(海內經)에 기록되어 있다.전욱은 중국 역사 속 많은 왕조의 시조로 여겨졌으며, 여기에는 초나라와 월나라의 미씨, 진나라의 영씨, 그리고 조위의 조씨가 포함된다.[5][6] 아버지는 창의, 어머니는 촉산씨의 딸 창복이다. 창의는 황제의 아들이므로 전욱은 황제의 손자가 된다. 아들로는 궁선(순의 6세 조상), 5세 손(『한서』율력지에서. 『사기』하 본기에서는 아들)으로는 곤(우의 아버지)이 있다. 제위를 곡에게 양위했다. 후손으로는 女脩|여수중국어, 그 손자인 대비가 있으며, 중국을 통일한 진나라, 전국 시대의 조나라는 이 자손이라고 전해진다. 또한 『사기』 초세가에서는 춘추 전국 시대의 초나라의 조상은 전욱이라고 한다. 안휘대학 소장 전국 죽간에 따르면 老童|노동중국어도 전욱의 아들이라고 한다.
『사기』 오제본기에서는 전욱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전욱 고양은 황제의 손자이자 창의의 아들이다. 조용하고 깊어 모략이 있고, 사리에 밝고 일을 안다. 재능을 길러 땅을 다스리고, 때에 맞춰 하늘의 이치를 본받고, 귀신을 의지하여 의를 정하고, 기를 다스려 교화하고, 정성스럽게 제사를 지냈다. 북쪽으로는 유릉에 이르고, 남쪽으로는 교지에 이르고, 서쪽으로는 류사에 이르고, 동쪽으로는 반목에 이르렀다. 움직이는 것과 움직이지 않는 것, 크고 작은 신, 해와 달이 비추는 모든 곳에서 복종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 
『사기』 오제본기에는 "귀신을 의지하여 의를 정하고, 기를 다스려 교화하고, 정성스럽게 제사를 지냈다"라고 하여, 귀신을 신봉하고, 부정을 꺼려 제사를 지낸 제왕으로 기록되어 있다. 또한 "조용하고 깊어 모략이 있고, 사리에 밝고 일을 안다"라고 하여, 사리에 밝고, 조용하고 얌전한 인물로 묘사되어 있다.
전욱은 사람들이 신과 관계하는 것을 싫어하여, 손자인 중과 여에게 명하여 하늘로 통하는 길을 막아, 신과 인간을 구별하게 했다고 한다.
2. 2. 통치와 업적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황제가 죽은 후 전욱의 숙부 소호는 왕으로 즉위하지 않았다. 대신 가오양이 그의 아버지와 모든 숙부들을 제치고 부족의 새로운 지도자로 선택되었으며, 연호는 전욱이었다.[7] 전욱은 염제의 후손인 공공을 물리쳤다.그러나 죽서기년의 기록에 따르면 전욱은 10세에 숙부인 소호의 조수가 되었고, 20세에 왕이 되었다.[8] 10세에 소호와 함께 시(氏)족을 이끌고 동쪽으로 이주하여 현재의 산둥성에 정착했으며, 이곳에서 동이족과의 통혼을 통해 그들의 부족 영향력을 확대하고 증대시켰다고 전해진다.
그는 또한 구려(九黎) 민족의 종교 개혁과 관련이 있었으며, 그들이 행하던 마법을 금지했다.[2][3]
전욱은 토지신과 곡물신에 대한 제사 관행을 도입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는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몰락할 때까지 중국 정부에 필수적인 요소였다.[9] 그는 통일된 역법, 점성술, 종교 개혁을 통해 무속 신앙에 반대하고, 가부장제 (이전의 모계 사회와 반대되는)를 지지했으며, 근친 간의 결혼을 금지했다. ''죽서기년''은 또한 그가 "구름에 대한 답(承雲)"으로 알려진 가장 초기의 음악 작품 중 하나를 작곡했다고 전한다.[10]
전욱의 뒤를 이어 그의 사촌이자 소호의 손자인 고가 즉위했다. ''사기''에 따르면 전욱 또는 전욱의 후손은 재능 없는 아들(不才子)을 두었는데, 이 아들은 도올(梼杌, 문자 그대로: "나무토막-그루터기; 얼간이")으로 조롱받았다. 전욱의 다른 두 후손도 언급되었는데, 한 명은 전욱의 아들인 궁선(窮蟬)으로, 여기서 순이 나왔고, 다른 한 명은 곤으로, 우왕의 아버지였다. 요 또한 곤이 무능하고 파괴적이라고 비판했다. 궁선은 평민이었지만, 그의 몰락에 대한 기록은 없다. 전욱의 다른 여덟 명의 후손은 이름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명성이 좋았으며, 후에 순을 위해 일했다.

『사기』 오제본기에는 "귀신을 의지하여 의를 정하고, 기를 다스려 교화하고, 정성스럽게 제사를 지냈다"라고 하여, 귀신을 신봉하고, 부정을 꺼려 제사를 지낸 제왕으로 기록되어 있다. 또한 "조용하고 깊어 모략이 있고, 사리에 밝고 일을 안다"라고 하여, 사리에 밝고, 조용하고 얌전한 인물로 묘사되어 있다.
전욱은 사람들이 신과 관계하는 것을 싫어하여, 손자인 중과 여에게 명하여 하늘로 통하는 길을 막아, 신과 인간을 구별하게 했다고 한다.
3. 전욱력과 문화적 영향
《죽서기년》에는 전욱이 즉위 13년에 "역법 계산과 천체의 윤곽(歷象)을 만들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1]
전욱이 진나라의 시조로 여겨졌기 때문에, 진 시황제는 새로운 역법 체계인 "전욱력"(顓頊曆)을 전욱의 이름을 따서 명명하였다.
4. 신화 속 전욱
전욱은 황제의 손자로, 아버지는 창의, 어머니는 촉산씨의 딸 창복이다. 태일과 함께 북극성의 신으로 여겨지기도 하는데, 태일은 북극성의 원시 신이다. 삼황오제는 태일이 동쪽에서 인간 세상으로 보냈다고 전해지며, 인간 세상에서의 역할이 끝나면 북극성의 신으로서 본래 역할로 돌아간다고 여겨졌다.
『사기』 오제본기에 따르면, 전욱은 "조용하고 깊어 모략이 있고, 사리에 밝고 일을 안다."라고 묘사되어 있으며, "귀신을 의지하여 의를 정하고, 기를 다스려 교화하고, 정성스럽게 제사를 지냈다"라고 하여, 귀신을 신봉하고 제사를 중시한 제왕으로 기록되어 있다.
전욱은 사람들이 신과 관계하는 것을 싫어하여, 손자인 중과 여에게 명하여 하늘로 통하는 길을 막아 신과 인간을 구별하게 했다고 한다.
전욱의 아들로는 궁선(순의 6세 조상)이 있으며, 5세 손으로는 곤(우의 아버지)이 있다. 제위는 곡에게 물려주었다. 후손으로는 女脩|여수중국어와 그의 손자 대비가 있으며, 진나라, 전국 시대의 조나라가 이 자손이라고 전해진다. 또한 『사기』 초세가에서는 춘추 전국 시대의 초나라의 조상이 전욱이라고 하며, 안휘대학 소장 전국 죽간에 따르면 老童|노동중국어도 전욱의 아들이라고 한다.
4. 1. 천지분리 신화
전욱은 일반적으로 신화 속 '천지분리(絕地天通)'와 연관된다.[1] 상서의 여형(呂刑) 편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우리는 묘(苗)가… 백성을 혼란에 빠뜨리는 가혹한 형벌을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상제, 즉 최고 통치자… 백성을 살펴보고 그들에게 덕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았다. 죄 없는 사람들을 불쌍히 여긴 8월의 군주(皇帝)…는 묘족을 멸족시켰다. "그 후 그는 중(重)과 이(黎)에게 하늘과 땅 사이의 소통을 끊어 오르내리는 일이 없도록 명했다." 이 일이 완료된 후 질서가 회복되었고 백성은 덕을 되찾았다.
여러 중국의 신화학자들은 이 신화를 사회 계층화의 증가에 대한 묘사 또는 상징으로 해석했다.[1] '천지분리' 이전, 양사오 문화 시대에는 모든 가정이 무당을 소유하거나 고용할 수 있었다.[1] 그러나 룽산 문화 시대에는 소수의 사람들만이 무당을 고용할 수 있었는데, 이는 하늘을 오르내리는 능력의 독점을 시사한다.[1] 이런 의미에서 이 신화는 중국 문화에서 사회 계층화의 시작을 나타낼 수 있다.[1]
4. 2. 북극성의 신
전욱은 태일과 함께 북극성의 신으로 언급되는데, 태일은 북극성의 원시 신이다. 삼황오제는 태일이 동쪽에서 인간 세상으로 보냈다고 전해지며, 인간 세상에서의 역할이 끝나면 북극성의 신으로서 본래 역할로 돌아간다고 여겨졌다.5. 한국과의 관계
삼국사기에 따르면, 고구려 왕들은 황제의 손자인 고양과 증손자인 고신의 후손이라고 여겨 성씨를 '고' (한자: 高)로 하였다.[17][18][19][20][21]
5. 1. 고구려 시조 전설
삼국사기에 따르면, 고구려 왕들은 자신의 성씨를 "고"(한자: 高)로 하였는데, 이는 그들이 황제의 손자였던 고양(한자: 高陽)과 황제의 증손자였던 고신(한자: 高辛)의 후손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17][18][19][20][21]『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제6과 『삼국사기』 백제본기 제6에 따르면, 고구려왕은 중국황제의 손자인 고양씨, 중국황제의 증손자인 고신씨의 자손을 칭했다.[23][24][25][26][27]
『일주서』「왕회해」는 고대 중국의 소수 민족과 그 분포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며, 진의 공조에 의한 주석이 붙어 있는데, 「고이」에 대해 "고이 동북 이 고구려"라고 주석하여 고구려를 고이족의 자손으로 보고 있다. 이로부터 중국 학계는 고구려의 선조인 고이족과 고양씨를 연결시켜 고이족의 기원을 고양씨로 확정하고, "난생 신화, 조우관(새의 깃털로 장식된 모자)의 풍습, Gwisin|귀신영어 사상 등이 공통된다"고 하며 고구려를 고양씨의 자손이라고 주장한다.[28] 중국 학계는 또 다른 증거로 『진서』「모용운재기」를 언급하며, 모용운의 조부인 고화는 고구려족이지만 고양씨의 후손이기 때문에 고씨를 사용했으며, 모용운의 본래 이름은 "고운"이라는 기사이다. 중국 학계는 "고양씨→고이족→고구려족"으로 연결하여 고구려의 조상은 고이족이며, 더 거슬러 올라가면 고양씨로 보고 있다.[28]
5. 2. 고구려와 고이족
『삼국사기』중국어 고구려본기 제6과 『삼국사기』중국어 백제본기 제6에 따르면, 고구려왕은 중국황제(黃帝)의 손자인 고양씨, 중국황제(黃帝)의 증손자인 고신씨의 자손을 칭했다.[23][24][25][26][27]『일주서』중국어「왕회해」는 고대 중국의 소수 민족과 그 분포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며, 진의 공조에 의한 주석이 붙어 있는데, 「고이」에 대해 "고이 동북 이 고구려"라고 주석하여 고구려를 고이족의 자손으로 보고 있다. 이로부터 중국 학계는 고구려의 선조인 고이족과 고양씨를 연결시켜 고이족의 기원을 고양씨로 확정하고, "난생 신화, 조우관(새의 깃털로 장식된 모자)의 풍습, Gwisin|귀신영어 사상 등이 공통된다"고 하며 고구려를 고양씨의 자손이라고 주장한다.[28] 중국 학계는 또 다른 증거로 『진서』중국어「모용운재기」를 언급하며, 모용운의 조부인 고화는 고구려족이지만 고양씨의 후손이기 때문에 고씨를 사용했으며, 모용운의 본래 이름은 "고운"이라는 기사이다. 중국 학계는 "고양씨→고이족→고구려족"으로 연결하여 고구려의 조상은 고이족이며, 더 거슬러 올라가면 고양씨로 보고 있다.[28]
참조
[1] 
서적
 
史記,五帝本記
 
[2] 
서적
 
李志敏 中國通史
 
[3] 
서적
 
Taichiming Cha, Mong China History and Heritage Preservation
 
[4] 
서적
 
山海經,海內經
 
[5] 
서적
 
Ts'ao P'i Transcendent: the Political Culture of Dynasty-Founding in China at the End of the Han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2-04-01
 
[6] 
웹사이트
 
'House of Chinn. "History"'
 
http://houseofchinn.[...] 
[7] 
서적
 
Great Chinese emperors: tales of wise and benevolent rule
 
https://books.google[...] 
Asiapac Books Pte Ltd
 
2012-04-01
 
[8] 
서적
 
今本竹書紀年,五帝紀
 
[9] 
간행물
 
ChinaKnowledge
 
http://www.chinaknow[...] 
Tübingen
 
2018-05-01
 
[10] 
서적
 
今本竹書紀年,五帝紀
 
[11] 
서적
 
今本竹書紀年,五帝紀
 
[12] 
서적
 
Book of Rites
 
[13] 
서적
 
Lushi Chunqiu
 
[14] 
서적
 
'Myths of Ancient China'
 
Asiapac
 
[1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From the Origins of Civilization to 221 BC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서적
 
三國史記 卷第二十八 百濟本紀 第六
 
http://db.history.go[...]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Database
 
[17] 
서적
 
三國史記 卷第十八 髙句麗本紀 第六
 
http://db.history.go[...]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Database
 
[18] 
서적
 
한국인문고전연구소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사기 의자왕 義慈王
 
http://terms.naver.c[...] 
한국인문고전연구소
 
[19] 
서적
 
한국인문고전연구소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사기 광개토왕 廣開土王
 
http://terms.naver.c[...] 
한국인문고전연구소
 
[20] 
학술지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21] 
인용구
 
[22] 
서적
 
中国の神話伝説〈上〉
 
青土社
 
1993-04-01
 
[23] 
뉴스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東アジア文化交渉学会
 
2014
 
[24] 
뉴스
 
三國史記 卷第二十八 百濟本紀 第六
 
http://db.history.go[...] 
国史編纂委員会
 
[25] 
뉴스
 
三國史記 卷第十八 髙句麗本紀 第六
 
http://db.history.go[...] 
国史編纂委員会
 
[26] 
뉴스
 
의자왕 義慈王
 
http://terms.naver.c[...] 
韓国人文古典研究所
 
[27] 
뉴스
 
광개토왕 廣開土王
 
https://terms.naver.[...] 
韓国人文古典研究所
 
[28] 
뉴스
 
"고구려는 조기 중국의 소수민족정권입니다.”
 
https://www.khan.co.[...] 
2014-1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전욱 황제. [[오량사당]]의 벽화 기저부의 문지방 문지르기, [[한나라]].](https://cdn.onul.works/wiki/no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