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성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성곤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다. 인창고등학교 3학년 때 기량이 급성장하여 주목받았고, 2015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kt 위즈에 2차 2라운드 14순위로 입단했다. 2020년에는 상무 야구단에서 군 복무를 마쳤으며, 2022년 SSG 랜더스로 이적했다. 2014년 아시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와 2016년 U-23 야구 월드컵 국가대표로 선발되어 활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창고등학교 (경기) 동문 - 이태균 (야구 선수)
    이태균은 인창초, 인창중, 인창고, 성균관대학교를 졸업한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다.
  • 인창고등학교 (경기) 동문 - 윤석민 (1985년)
    윤석민은 2004년 두산 베어스에 입단하여 여러 팀에서 내야수로 활동한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며, 은퇴 후에는 시흥 울브스에서 타격코치로 활동 중이다.
  • 서울역삼초등학교 동문 - 이병헌 (2003년)
    두산 베어스 소속 프로 야구 선수인 이병헌(2003년)은 2022년 데뷔 후 3시즌 동안 122경기에 출전하여 6승 1패, 27홀드, 평균자책점 3.42를 기록했으며, 2024년에는 괄목할 만한 성적 향상을 보였다.
  • 서울역삼초등학교 동문 - 엄상백
    엄상백은 2015년 KT 위즈에 입단하여 프로 생활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프로 야구 선수로, 상무 야구단을 거쳐 KT 위즈로 복귀했으며, 2024년에는 FA 계약을 통해 한화 이글스로 이적한 투수이다.
  • 휘문중학교 동문 - 홍사용
    홍사용은 노작, 소아, 백우라는 호를 사용한 한국의 시인이자 극작가로, 민족주의적 낭만파 시인으로 평가받으며 일제강점기 친일 활동을 하지 않았고, 휘문의숙 재학 중 3.1 운동에 참여, 문예지 창간, 극단 활동, 희곡 창작 등의 활동을 했다.
  • 휘문중학교 동문 - 김훈 (소설가)
    김훈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언론인으로, 1994년 등단 후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한 소설들을 발표하며 문명을 얻었고, 간결하고 힘 있는 문체와 인물 내면 묘사가 특징이며, 여러 문학상을 수상했고, 언론인으로 활동하다가 전업 작가가 되었다.
정성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선수명정성곤
원어명Jung Sung-Gon
국적대한민국
출신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신장181
체중80
수비 위치투수
투구
타석
프로 입단 연도2015년
드래프트 순위2015년 2차 2라운드(kt 위즈)
첫 출장KBO / 2015년 4월 14일
수원 대 두산전 구원
마지막 경기KBO / 2023년 9월 2일
문학 대 KIA전 구원
계약금1억원
연봉5,500만원 (2023년)
경력kt 위즈 (2015년 ~ 2022년)
상무 야구단 (2020년 ~ 2021년)
SSG 랜더스 (2022년 ~ 2024년)
국가대표
23세 이하 월드컵2016년 몬테레이
아시아청소년야구2014년 방콕
메달 기록
정성곤
정성곤
23세 이하 야구 월드컵동메달: 2016 몬테레이
아시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금메달: 2014 방콕

2. 아마추어 시절

인창고등학교 3학년 때인 2014년 후기 주말 리그부터 기량이 급상승하며 스카우터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6월 22일 상우고전에서 7이닝 14탈삼진, 무피안타를 기록했고 7회 콜드 게임으로 노히트 노런을 달성했다. 8월 22일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경동고를 상대로 9이닝 14탈삼진, 1실점 완투승을 기록하며 고교 좌완 최강자로 떠올랐다.

3. 프로 경력

2015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2차 2라운드 전체 14순위로 kt 위즈에 입단하였다.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선발과 불펜을 오가며 활동했지만, 잦은 부상과 기복으로 좋은 성적을 내지 못했다. 2020년 상무 야구단에 입단하여 군 복무를 수행했고, 2022년 5월 22일 SSG 랜더스 소속이었던 이채호와 1:1 트레이드를 통해 이적하였다.[1]

3. 1. kt 위즈 시절

2015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2차 2라운드 전체 14순위로 kt 위즈에 입단하였다.

2015년 시즌 선발진에 포함되며 20경기에 출전했으나, 2승 6패, 평균자책점 8.53으로 부진했다.

2016년 시즌 초 선발로 활약하다가 6월부터 불펜으로 보직이 변경되었다. 8월 25일 다시 선발로 복귀했으나, 기복이 심한 모습을 보였다. 28경기 등판, 7패, 평균자책점 5.83을 기록했다.

2017년 시즌 김진욱 감독 체제에서 좌완 선발의 희소성으로 꾸준히 선발 기회를 얻었지만, 3승 12패, 평균자책점 8.11로 부진했다. 특히 5월 5일 한화전에서는 5이닝 15피안타(1피홈런), 12실점으로 KBO 리그 역대 한 경기 최다 실점 공동 4위에 올랐다.

2018년 시즌 왼쪽 팔꿈치 통증과 발목 부상으로 7월 31일에야 1군 경기에 출전했다. 후반기 24경기에서 모두 불펜으로 등판하여 1승, 5홀드, 평균자책점 2.96을 기록했다.

3. 2. 상무 야구단 시절

2020년상무 야구단에 입단하여 군 복무를 수행했다.

3. 3. SSG 랜더스 시절

2022년 5월 22일 SSG 랜더스 소속이었던 이채호와 1:1 트레이드를 통해 이적하였다.[1]

4. 국가대표 경력

2014년 아시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국가대표로 뽑혔다. 필리핀과의 4강전에서 3.2이닝 1피안타, 8탈삼진, 무실점으로 승리 투수가 되었고, 일본과의 결승전에서는 선발 엄상백에 이어 구원 등판하여 1.2이닝 무피안타, 무실점 세이브를 기록하며 한국의 아시아 정상 재등극에 기여했다.[1]

2016년 시즌 후에는 제1회 U-23 야구 월드컵 국가대표로 선발되었다. 파나마와의 3-4위 순위 결정전에서 선발로 나와 9이닝 4피안타, 4탈삼진, 3실점으로 완투승을 거두며 한국의 동메달 획득에 크게 기여했다.

5. 출신 학교

6. 통산 기록

연도팀명평균자책점경기완투완봉승률타자이닝피안타피홈런볼넷사구탈삼진실점자책점
2015kt8.53200026000.250300588112511415855
20165.83280007000.00030466⅓724336465243
20178.112600312000.200511107⅔15120416729997
20182.96240010051.00010424⅓2331102388
20195.535200338110.50024853⅔647222403633
2022SSG10.1320000000.000132⅔1131333
202310.186000000-294⅓8270395
통산7시즌6.93158009288160.24315093174004916816228265244


  •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