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69공병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169공병단은 미국 육군의 공병단으로, 한국 전쟁과 이라크 전쟁에 참전했다. 1950년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제1군단을 지원했으며, 1955년 미국으로 귀환했다. 2000년대에는 제1기병사단의 공병단으로서 이라크 자유 작전에 참여했고, 2007년 이라크에서의 마지막 순환 배치를 마치고 해산되었다. 부대는 여러 차례 편제 개편을 거쳤으며, 한국 전쟁과 이라크 전쟁에 다양한 공병대대가 배속되었다. 이라크 참전 공로로 육군 공훈부대표창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단 - 제44공병건설단
제44공병건설단은 미국 육군의 공병 건설 부대로,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등에 참전하여 기반 시설 건설을 지원했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단 - 제5포병단 (미국)
제5포병단은 1942년 창설된 미국 육군의 포병 부대로,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에 참전하고 냉전 시기 서독에 배치되어 NATO 회원국 포병대대를 지원했다.
제1169공병단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제1169공병단 |
원어 이름 | 1169th Engineer Group |
활동 기간 | ? ~ 2007년 11월 |
국가 | 미국 |
소속 | 미국 육군 앨라배마 국가방위군 |
병과 | 공병 |
표어 | Defend Liberty |
표어 설명 | 자유를 지킨다 |
참전 | |
참전 | 6.25 전쟁 이라크 전쟁 |
2. 역사
2. 1. 한국 전쟁 (1950년 ~ 1955년)
1950년 9월 13일부터 그해 11월까지 제1군단 직속 공병단으로 지원하고, 제16전투공병단으로 교체되었다. 1951년 2월 28일에 다시 한국 전쟁에 참가하고 1955년 1월 20일, 한반도를 떠나 앨라배마주로 돌아갔다.2. 2. 이라크 전쟁 (2000년대)

제1169공병단은 제1기병사단의 공병단으로서 이라크에 배치되어 사단을 지원하였다.[2][3][4] 2006년 5월 13일, 제1169공병단 본부중대원 85명이 귀환하였다.[1] 2007년에는 이라크 자유 작전을 마지막 순환 배치를 마치고 9월 19일 수요일에 귀국하였으며, 모듈러 부대 편제 도입 및 미국 육군의 변혁에 따라 제1169공병단은 11월 헌츠빌에서 해산하였다.[2][3][4]
2. 3. 부대 편성 변화
제1169공병단은 창설 이후 여러 차례 편제 개편을 겪었다. 1951년에는 3개의 전투공병대대를 예하에 두었으며, 1989년에는 전투공병대대와 교량 중대 등으로 구성되었다. 2007년 해산 직전에는 제20공병대대를 예하 부대로 두고 있었다.3. 역대 지휘관
4. 주요 참전 부대
4. 1. 한국 전쟁
- 제14공병전투대대
- 제151공병전투대대
- 제1092공병전투대대
4. 2. 이라크 전쟁
제20공병대대는 2006년부터 2007년 11월까지 이라크 전쟁에 참전하였다.[5]4. 3. 1989년 편제
5. 상훈
육군 공훈부대표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