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5포병단 (미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5포병단은 미국 육군의 포병 부대로,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냉전 시기에 걸쳐 활동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북아프리카 전역, 시칠리아 침공 등에 참전했고, 한국 전쟁에서는 대한민국 제2군단을 지원하여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 냉전 기간에는 독일을 중심으로 유럽 각지에 포병 분견대를 파견하여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회원국의 부대를 지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단 - 제2병참단
    제2병참단은 과거 미 육군 병참 지원 부대로, 2차 세계 대전, 냉전 시대 서독, 그리고 1980년대 한국에서 활동하며 여러 예하 부대를 거느리고 해체와 재소집을 반복했다.
  •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단 - 제4통신단 (미국)
    제4통신단 (미국)은 미국 육군의 통신 부대로, 태평양 전쟁 참전 및 주유·주한 미군 지원 임무를 수행하다가 1975년 해산되었다.
제5포병단 (미국)
기본 정보
이름제5포병단
원어 이름Fifth Artillery Group
제5 미국 육군 포병단 DUI
DUI
활동 기간1942년 9월 5일 ~ 1945년 10월 22일
1946년 8월 1일 ~ 1955년 3월 28일
1962년 7월 22일 ~ 1988년 10월 15일
병과야전포병대
역할알 수 없음
규모알 수 없음
명령 체계알 수 없음
본부알 수 없음
별명5th USAAG
표어"First to Battle" (최초의 전투)
알 수 없음
군가알 수 없음
마스코트알 수 없음
장비알 수 없음
기념일알 수 없음
장식알 수 없음
훈장알 수 없음
웹사이트알 수 없음
지휘관알 수 없음
주요 지휘관알 수 없음
참전
참전 전투제2차 세계 대전: 유럽 전구
한국 전쟁

2. 역사

제5기갑사단의 사단 포병대 본부가 1942년 9월 5일 캘리포니아주 캠프 영에서 제5기갑포병단으로 재편성되면서 제5포병단의 역사가 시작되었다.[1] 이후 제5포병단은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냉전 시기를 거치며 여러 차례 재편성과 해산을 반복했다.

1942년 12월 14일 캘리포니아주 인디오에서 뉴저지주 캠프 킬머로 이동한 제5기갑포병단은 12월 19일부터 이듬해 1월 12일까지 뉴욕 승선항만에서 USS 에릭슨을 타고 북아프리카 전선으로 파견되어 카사블랑카로 이동했다. 북아프리카 도착 후에는 튀니지 전역에 참전했고, 이후 제2군단 배속부대로서 허스키 작전에 투입되었다.[1] 1943년 11월 제5야전포병단으로 재편성되었고, 12월에는 영국 스코틀랜드로 이동하여 1944년 6월까지 주둔했다.[1] 이후 비공식적인 로레인 전역에서 제20(XX)군단의 군단 전력으로 배속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1945년 10월 22일 메사추세츠주 캠프 마일스 스탠디시에서 동원해제에 따라 해산되었다.[1]

1946년 8월 1일, 오클라호마주 포트 실에서 제5포병단이 재창설되었다. 한국 전쟁 중에는 1952년 3월 26일 대한민국 제2군단에 대한 화력 지원 공로로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으며,[3] 1952년 12월부터 1953년 4월까지 우수한 근무 실적을 인정받아 우수부대표창을 받았다. 한국 전쟁 휴전 후, 1955년 3월 28일까지 대한민국에 주둔하다가 해산되었다.

1962년 7월 22일, 포트 실에서 제5포병단으로 재편성되어 다시 소집되었다. 1963년 2월에는 독일로 배치되어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회원국인 독일, 네덜란드, 벨기에의 포병대대를 지원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한 달 뒤에는 제514포병단에 배속되어 벨기에 제1군단과 영국 제1군단, 제2연합전술공군을 지원했다.[2] 1967년 7월 1일에는 제548포병단으로 전속되었다.[2] 1972년에는 제8미사일분견대가 제5포병단으로 전속되었고,[2] 1978년 10월에는 제59병기여단에 배속되었다.[2] 1988년 10월 15일, 독일에서 해산되었다.[2]

2. 1. 제2차 세계 대전

전쟁부가 전술사령부 부대에 별동대대를 배속시켜 운영할 때의 효율을 알아보려는 실험에 따라, 제5기갑사단의 사단 포병대 본부가 캘리포니아주의 캠프 영에서 1942년 9월 5일에 제5기갑포병단으로 재편성되었다.[1]

12월 14일, 캘리포니아주 인디오에서 뉴저지주 캠프 킬머로 옮겨갔다. 12월 19일부터 이듬해 1월 12일까지 뉴욕 승선항만에서 USS 에릭슨을 타고 북아프리카 전선에 투입되기 위해 카사블랑카로 항해하였다. 북아프리카 대륙에 도착한 뒤, 튀니지 전역에 참전하였다. 북아프리카 전역이 끝난 후에는 이탈리아를 침공하기 위해 제2군단 배속부대로서 허스키 작전에 투입되었다.[1]

제5포병단은 허스키 작전 초기 단계에는 제3보병사단에 배속되었다. 제62기갑야전포병대대가 7월 10일에 강습제대로 차출되었고, 남은 제58, 65기갑야전포병대대는 사단을 지원하였다.[1]

1943년 11월, 제5야전포병단으로 재편성되었고, 그 해 12월에 영국 스코틀랜드로 넘어가 1944년 6월까지 주둔하였다.[1]

비공식적인 로레인 전역에서 제20(XX)군단의 군단 전력으로 배속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승전 이후, 미국 본토로 귀국하고 메사추세츠주 캠프 마일스 스탠디시에서 1945년 10월 22일에 동원해제에 따라 해산하였다.[1]

2. 2. 한국 전쟁

1946년 8월 1일, 오클라호마주 포트 실에서 재창설되었다.

1952년 3월 26일, 대한민국 제2군단에 대한 화력 지원 공로로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수여받았다.[3] 1952년 12월부터 1953년 4월까지는 우수한 근무 실적을 인정받아 우수부대표창을 받았다.

한국 전쟁이 휴전된 후, 1955년 3월 28일까지 대한민국에 주둔하다가 해산되었다.

2. 3. 냉전과 주독 미군

1962년 7월 22일, 포트 실에서 제5포병단으로 재편성되어 재소집되었다. 1963년 2월, 독일로 배치되어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회원국인 독일, 네덜란드, 벨기에의 포병대대를 지원하는 임무를 수행하기 시작하였다. 한달 뒤, 제514포병단에 배속되어 벨기에 제1군단과 영국 제1군단, 제2연합전술공군을 지원하였다.[2]

1967년 7월 1일, 제548포병단으로 전속되었다.[2]

1972년, 고등무기지원사령부(AWSCOM)와 특수탄약지원사령부(SASCOM)가 특수탄약지원여단으로 합쳐졌을때, 제8미사일분견대가 제5포병단로 전속하였다.[2]

1978년 10월, 제59병기여단에 배속되었다.[2]

1988년 10월 15일, 독일에서 해산하였다.[2]

3. 주요 참전 전투 및 작전

제5포병단은 제2차 세계 대전6.25 전쟁에 참전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에는 1942년 북아프리카 전선에 투입되어 튀니지 전역에 참전하였고, 이후 허스키 작전에 투입되었다.[1] 1943년에는 영국 스코틀랜드로 이동하여 주둔하였고, 비공식적으로 로레인 전역에 참전하였다.[1]

6.25 전쟁에는 대한민국 제2군단을 지원하여 1952년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고, 1952년 12월부터 1953년 4월까지 우수한 근무 실적을 인정받아 우수부대표창을 받았다.[3] 이후 1955년 3월 28일까지 한국에 주둔하였다.

스트리머내역

제2차 세계 대전
(유럽-아프리카-지중해 전구)


3. 1. 제2차 세계 대전

전쟁부는 전술사령부 부대에 별동대대를 배속시켜 운영할 때의 효율을 알아보고자 실험하였다. 그 결과, 캘리포니아주 캠프 영에서 1942년 9월 5일에 제5기갑사단의 사단 포병대 본부가 제5기갑포병단으로 재편성되었다.[1]

1942년 12월 14일, 캘리포니아주 인디오에서 뉴저지주 캠프 킬머로 이동하였다. 12월 19일부터 이듬해 1월 12일까지 뉴욕 승선항만에서 을 타고 북아프리카 전선으로 투입되기 위해 카사블랑카로 항해하였다. 북아프리카 대륙에 도착한 뒤, 튀니지 전역에 참전하였다. 북아프리카 전역이 끝난 후에는 이탈리아를 침공하기 위해 제2군단 배속부대로서 허스키 작전에 투입되었다.[1]

제5포병단은 허스키 작전 초기 단계에는 제3보병사단에 배속되었다. 제62기갑야전포병대대가 7월 10일에 강습제대로 차출되었고, 남은 제58, 65기갑야전포병대대는 사단을 지원하였다.[1]

1943년 11월, 제5야전포병단으로 재편성되었고, 그 해 12월에 영국 스코틀랜드로 넘어가 1944년 6월까지 주둔하였다.[1]

비공식적인 로레인 전역에서 제20(XX)군단의 군단 전력으로 배속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승리한 이후, 미국 본토로 귀국하였고 메사추세츠주 캠프 마일스 스탠디시에서 1945년 10월 22일에 동원해제에 따라 해산하였다.[1]

스트리머내역

제2차 세계 대전
(유럽-아프리카-지중해 전구)


3. 2. 한국 전쟁

대한민국 제2군단에 대한 충실한 화력지원 공로로 1952년 3월 26일 대통령 부대 표창을 수여받았다.[3] 1952년 12월부터 1953년 4월까지의 우수한 근무 실적을 인정받아 우수부대표창도 수여받았다.

6.25 전쟁 휴전 이후 1955년 3월 28일까지 한국에 주둔하였다.

4. 부대 편성

제5포병단은 창설 이후 여러 전쟁과 분쟁 지역에서 다양한 부대에 화력 지원 임무를 수행했다.
제2차 세계 대전1942년 9월 5일, 전쟁부의 실험에 따라 캘리포니아주 캠프 영에서 제5기갑사단의 사단 포병대 본부가 제5기갑포병단으로 재편성되었다.[1]

부대
제17기갑야전포병대대 (1943년 3월 16일)[1]
제58기갑야전포병대대 (1943년 1월 25일)[1]
제62기갑야전포병대대 (1943년 1월 25일)[1]
제65기갑야전포병대대 (1942년 9월 5일 ~ 1943년 2월 중순)[1]


한국 전쟁1952년 3월 26일, 6.25 전쟁 당시 대한민국 제2군단에 대한 화력 지원 공로로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3]


  • 제1야전포병관측대대
  • 제17야전포병대대
  • 제145야전포병대대
  • 제955야전포병대대
  • 제235야전포병관측대대

냉전1962년 7월 22일, 포트 실에서 제5포병단으로 재편성되어 재소집되었다. 1963년 2월, 독일로 배치되어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회원국인 독일, 네덜란드, 벨기에의 포병대대를 지원하는 임무를 수행하기 시작하였다.

부대활동 기간지원 대상비고
제35포병분견대1978년 재소집 ~ 1988년 해산Hohenkirchen, 독일 제26thRakArt대대
제42포병분견대Barnstorf, 독일 제25지대공유도탄대대
제43포병분견대뒤렌, 프랑스 제13미사일Wing
제51포병분견대브레멘, 독일 제24지대공유도탄대대 (FlaRak)
제52포병분견대Burbach, 독일 제22지대공유도탄대대
제66포병분견대Möhnesee, 독일 제21지대공유도탄대대
제501포병분견대Kilianstaetten, 독일 제231지대공유도탄대대
제507포병분견대Grefrath, 프랑스 제9미사일Wing
제508포병분견대?, 네덜란드 제2유도탄단(2nd GGW)
제590포병분견대1967년 3월 ~ 1978년Voerden, 1978년에 제5포병분견대로 서수 변경
제5포병분견대1978년 재소집 ~ 1988년 해산1960년대, 네덜란드 제1유도탄단(1st GGW) 지원, 1970년대, 네덜란드 제12유도탄단(12th GGW) 지원
제357포병분견대(배속)


4. 1. 제2차 세계 대전

전쟁부의 실험에 의해 제5기갑사단의 사단 포병대 본부가 캘리포니아주 캠프 영에서 1942년 9월 5일에 제5기갑포병단으로 재편성되었다.[1]

1942년 12월 14일, 캘리포니아주 인디오에서 뉴저지주 캠프 킬머로 이동하여 12월 19일부터 1943년 1월 12일까지 뉴욕 승선항만에서 배를 타고 북아프리카 전선으로 투입되기 위해 카사블랑카로 항해하였다.[1] 북아프리카 대륙에 도착한 뒤, 튀니지 전역에 참전하였다.[1] 북아프리카 전역이 끝난 후에는 이탈리아를 침공하기 위해 제2군단 배속부대로서 허스키 작전에 투입되었다.[1]

제5포병단은 허스키 작전 초기 단계에는 제3보병사단에 배속되었다.[1] 1943년 7월 10일에 제62기갑야전포병대대가 강습제대로 차출되고, 남은 제58, 65기갑야전포병대대는 사단을 지원하였다.[1]

1943년 11월, 제5야전포병단으로 재편성되고, 그 해 12월에 영국 스코틀랜드로 넘어가 1944년 6월까지 주둔하였다.[1] 비공적인 로레인 전역에서 제20(XX)군단의 군단 전력으로 배속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승전 이후, 미국 본토로 귀국하고 메사추세츠주 캠프 마일스 스탠디시에서 1945년 10월 22일에 동원해제에 따라 해산하였다.[1]

부대
제17기갑야전포병대대 (1943년 3월 16일)[1]
제58기갑야전포병대대 (1943년 1월 25일)[1]
제62기갑야전포병대대 (1943년 1월 25일)[1]
제65기갑야전포병대대 (1942년 9월 5일 ~ 1943년 2월 중순)[1]


4. 2. 한국 전쟁

1952년 3월 26일, 대한민국 제2군단에 충실한 화력지원을 한 공로로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수여받았다.[3] 1952년 12월부터 1953년 4월까지의 근무실태가 높게 평가되어 우수부대표창을 수여받았다.

6.25 전쟁이 휴전된 이후, 1955년 3월 28일까지 주둔하고 해산하였다.

  • 제1야전포병관측대대
  • 제17야전포병대대
  • 제145야전포병대대
  • 제955야전포병대대
  • 제235야전포병관측대대

4. 3. 냉전

1962년 7월 22일, 포트 실에서 제5포병단으로 재편성되어 재소집되었다. 1963년 2월, 독일로 배치되어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회원국인 독일, 네덜란드, 벨기에의 포병대대를 지원하는 임무를 수행하기 시작하였다. 한달 뒤, 제514포병단에 배속되어 벨기에 제1군단과 영국 제1군단, 제2연합전술공군을 지원하였다.[2]

1967년 7월 1일, 제548포병단으로 전속되었다.[2]

1972년, 고등무기지원사령부(AWSCOM)와 특수탄약지원사령부(SASCOM)가 특수탄약지원여단으로 합쳐졌을때, 제8미사일분견대가 제5포병단로 전속하였다.[2]

1978년 10월, 제59병기여단에 배속되었다.[2]

1988년 10월 15일, 독일에서 해산하였다.[2]

부대활동 기간지원 대상비고
제35포병분견대1978년 재소집 ~ 1988년 해산Hohenkirchen, 독일 제26thRakArt대대
제42포병분견대Barnstorf, 독일 제25지대공유도탄대대
제43포병분견대뒤렌, 프랑스 제13미사일Wing
제51포병분견대브레멘, 독일 제24지대공유도탄대대 (FlaRak)
제52포병분견대Burbach, 독일 제22지대공유도탄대대
제66포병분견대Möhnesee, 독일 제21지대공유도탄대대
제501포병분견대Kilianstaetten, 독일 제231지대공유도탄대대
제507포병분견대Grefrath, 프랑스 제9미사일Wing
제508포병분견대?, 네덜란드 제2유도탄단(2nd GGW)
제590포병분견대1967년 3월 ~ 1978년Voerden, 1978년에 제5포병분견대로 서수 변경
제5포병분견대1978년 재소집 ~ 1988년 해산1960년대, 네덜란드 제1유도탄단(1st GGW) 지원, 1970년대, 네덜란드 제12유도탄단(12th GGW) 지원
제357포병분견대(배속)


5. 역대 지휘관


  • John Murphy Willems|존 머피 윌렘스영어 대령
  • Newton W Jones|뉴턴 W. 존스영어 대령
  • Raymond C. Conder|레이먼드 C. 컨더영어 대령
  • John E. Theimer|존 E. 테이머영어 대령

6. 포상

1952년 3월 26일, 대한민국 제2군단에 충실한 화력지원을 한 공로로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수여받았다.[3] 그리고 1952년 12월부터 1953년 4월까지의 근무 실태가 높게 평가되어 육군 공로부대표창을 수여받았다.

스트리머내역명령서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
한국, 1952년 1월 7일 ~ 9월 15일일반명령 제31호, 1953년 3월 26일[3]

육군 공로부대표창
한국, 1952년 12월 ~ 1953년 4월


참조

[1] 웹인용 Fifth Artillery Group - Distinctive Unit Insignia https://tioh.army.mi[...] The Institute of Heraldry 2023-07-21
[2] 웹인용 8th Missile Det. (FAD) Darp/Havelte, NL US Army 1960-1992 http://8thmissiledet[...] 2021-02-11
[3] 웹인용 General Ordres No. 31 https://armypubs.arm[...] Department of the army 2023-07-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