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대장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대장경은 1714년 이후 영국의 총리 목록과 거의 일치하지만, 일부 예외가 존재한다. 1714년부터 1922년까지 총리직을 겸임한 제1대장경은 굵게 표시되었으며, 재임 기간의 일부 동안만 총리로 여겨졌던 사람은 굵은 기울임꼴로 표시되었다. 1922년 이후에는 영국의 총리 직책과 제1대장경 직책은 항상 동일인이 맡았다. 17세기 초부터 재무부 운영은 위원회에 의해 위임되었으며, 1714년부터는 상시 위원회 체제로 운영되었다. 18세기 중반부터 재무부 제1장관은 총리로 여겨지게 되었고, 1905년에 왕실 칙허장에 처음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다우닝가 10번지는 재무부 제1경의 공식 관저이며, 체커스는 총리의 공식 별장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14년 설립 - 피렌체 국립도서관
피렌체 국립도서관은 1714년 안토니오 말리아베키의 장서 기증으로 설립되어 이탈리아 출판물 납본을 통해 방대한 자료를 소장하고 있으며, 아르노강 범람 피해 이후 복구 및 디지털 컬렉션 구축으로 현대적인 국립 도서관 시스템의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 - 영국 대장부 - 잉글랜드 은행
잉글랜드 은행은 1694년 영국 정부의 군사비 조달을 위해 설립되어 정부 대출 및 국채 관리 업무를 수행하다가 19세기 이후 중앙은행으로서 통화정책 결정, 금융 안정 유지, 금융기관 감독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1997년 통화정책 독립성을 확보하는 등 여러 금융 위기를 거치면서 역할과 책임이 변화해 온 중앙은행이다. - 영국 대장부 - 영국의 재무장관
영국의 재무장관은 재무부의 수장으로서 정부의 경제 및 재정 정책을 총괄하고, 각 부처별 지출 한도 설정, 연간 예산 책정, 금융 정책 역할 수행, 재무부 위원회 구성원, 제2 재무경 겸임, 11 다우닝가에 공식 거주지를 가지며 하원 의원과 조폐국장을 겸임한다. - 영국의 각료 - 부장관 (영국)
- 영국의 각료 - 대법관 (영국)
영국 대법관은 11세기부터 시작된 영국 최고위 관직 중 하나로, 초기에는 국왕 서기장으로서 행정 및 자문 역할을 수행하며 막강한 권한을 행사했으나, 점차 권한 축소를 거쳐 현재는 법무부 장관으로서 법률 사무를 관장한다.
제1대장경 | |
---|---|
직위 개요 | |
직위명 | 제1대장경 |
영어 명칭 | First Lord of the Treasury |
관저 | 다우닝 가 10번지 |
웹사이트 | Gov.uk |
상세 정보 | |
국가 | 영국 |
담당 기관 | 대장경 위원회 |
임명권자 | 국왕 |
임명 방식 | 총리를 당연직으로 임명 |
임기 | 국왕 폐하의 뜻에 따라 |
봉급 | (정보 없음) |
보고 대상 | (정보 없음) |
현직자 | |
현직자 | 키어 스타머 경 |
취임일 | 2024년 7월 5일 |
역사 | |
기원 | 1126년 (대장경) 1612년 6월 17일 (대장경 위원회 최초 설립) 1714년 10월 13일 (대장경 위원회 항구화) |
최초 임명 | 나이절 (대장경) 제1대 노샘프턴 백작 헨리 하워드 (위원회 초대 경) 제1대 핼리팩스 백작 찰스 몬태규 (위원회 항구화) |
관련 직위 | |
겸임 직위 | 총리 |
차관 | 제2대장경 |
관련 기관 | |
소재지 | 웨스트민스터 |
문장 | |
![]() | |
이미지 | |
![]() |
2. 역대 제1대장경
1714년 이후 제1대장경 목록은 영국의 총리 목록과 거의 일치하지만, 일부 예외도 존재한다.[5] 솔즈베리 후작은 1885~1886년, 1887~1892년, 1895~1902년에 총리였지만 제1대장경은 아니었다.[6]
2. 1. 1714년 ~ 1922년
이름 | 취임 | 퇴임 | 정당 | |
---|---|---|---|---|
style="background-color: " | | 핼리팩스 백작 | 1714년 10월 13일 | 1715년 5월 19일 | 휘그당 |
style="background-color: " | | 칼라일 백작 | 1715년 5월 23일 | 1715년 10월 10일 | 휘그당 |
style="background-color: " | | 로버트 월폴 | 1715년 10월 10일 | 1717년 4월 12일 | 휘그당 |
style="background-color: " | | 스탠호프 백작 | 1717년 4월 12일 | 1718년 3월 21일 | 휘그당 |
style="background-color: " | | 선더랜드 백작 | 1718년 3월 21일 | 1721년 4월 3일 | 휘그당 |
style="background-color: " | | 로버트 월폴 경 | 1721년 4월 3일 | 1742년 2월 11일 | 휘그당 |
style="background-color: " | | 윌밍턴 백작 | 1742년 2월 16일 | 1743년 7월 2일 | 휘그당 |
style="background-color: " | | 헨리 펠럼 | 1743년 8월 27일 | 1746년 2월 10일 | 휘그당 |
style="background-color: " | | 바스 백작 | 1746년 2월 10일 | 1746년 2월 12일 | 휘그당 |
style="background-color: " | | 헨리 펠럼 | 1746년 2월 12일 | 1754년 3월 6일 | 휘그당 |
style="background-color: " | | 뉴캐슬 공작 | 1754년 3월 16일 | 1756년 11월 16일 | 휘그당 |
style="background-color: " | | 데번셔 공작 | 1756년 11월 16일 | 1757년 6월 8일 | 휘그당 |
style="background-color: " | | 월데그레이브 백작 | 1757년 6월 8일 | 1757년 6월 12일 | 휘그당 |
style="background-color: " | | 데번셔 공작 | 1757년 6월 12일 | 1757년 6월 25일 | 휘그당 |
style="background-color: " | | 뉴캐슬 공작 | 1757년 7월 2일 | 1762년 5월 26일 | 휘그당 |
style="background-color: " | | 뷰트 백작 | 1762년 5월 26일 | 1763년 4월 16일 | 토리당 |
style="background-color: " | | 조지 그렌빌 | 1763년 4월 16일 | 1765년 7월 13일 | 휘그당 |
style="background-color: " | | 로킹엄 후작 | 1765년 7월 13일 | 1766년 7월 30일 | 휘그당 |
style="background-color: " | | '그래프턴 공작' | 1766년 7월 30일 | 1770년 1월 28일 | 휘그당 |
style="background-color: " | | 노스 경 | 1770년 1월 28일 | 1782년 3월 22일 | 토리당 |
style="background-color: " | | 로킹엄 후작 | 1782년 3월 27일 | 1782년 7월 1일 | 휘그당 |
style="background-color: " | | 셸번 백작 | 1782년 7월 4일 | 1783년 4월 2일 | 휘그당 |
style="background-color: " | | 포틀랜드 공작 | 1783년 4월 2일 | 1783년 12월 19일 | 휘그당 |
style="background-color: " | | 소 피트 | 1783년 12월 19일 | 1801년 3월 14일 | 토리당 |
style="background-color: " | | 헨리 애딩턴 | 1801년 3월 17일 | 1804년 5월 10일 | 토리당 |
style="background-color: " | | 소 피트 | 1804년 5월 10일 | 1806년 1월 23일 | 토리당 |
style="background-color: " | | 그렌빌 경 | 1806년 2월 11일 | 1807년 3월 31일 | 휘그당 |
style="background-color: " | | 포틀랜드 공작 | 1807년 3월 31일 | 1809년 10월 4일 | 휘그당 |
style="background-color: " | | 스펜서 퍼시벌 | 1809년 10월 4일 | 1812년 5월 11일 | 토리당 |
style="background-color: " | | 리버풀 백작 | 1812년 6월 9일 | 1827년 4월 10일 | 토리당 |
style="background-color: " | | 조지 캐닝 | 1827년 4월 10일 | 1827년 8월 8일 | 토리당 |
style="background-color: " | | 고드리치 자작 | 1827년 8월 31일 | 1828년 1월 22일 | 토리당 |
style="background-color: " | | 웰링턴 공작 | 1828년 1월 22일 | 1830년 11월 22일 | 토리당 |
style="background-color: " | | 그레이 백작 | 1830년 11월 22일 | 1834년 7월 16일 | 휘그당 |
style="background-color: " | | 멜버른 자작 | 1834년 7월 16일 | 1834년 11월 14일 | 휘그당 |
style="background-color: " | | 웰링턴 공작 | 1834년 11월 14일 | 1834년 12월 10일 | 토리당 |
style="background-color: " | | 로버트 필 경 | 1834년 12월 10일 | 1835년 4월 8일 | 토리당 |
style="background-color: " | | 멜버른 자작 | 1835년 4월 18일 | 1841년 8월 30일 | 휘그당 |
style="background-color: " | | 로버트 필 경 | 1841년 8월 30일 | 1846년 6월 29일 | 보수당 |
style="background-color: " | | 러셀 경 | 1846년 6월 30일 | 1852년 2월 23일 | 휘그당 |
style="background-color: " | | 더비 백작 | 1852년 2월 23일 | 1852년 12월 19일 | 보수당 |
style="background-color: " | | 애버딘 백작 | 1852년 12월 19일 | 1855년 2월 6일 | 피일파 |
style="background-color: " | | 팜스턴 자작 | 1855년 2월 6일 | 1858년 2월 20일 | 자유당 |
style="background-color: " | | 더비 백작 | 1858년 2월 20일 | 1859년 6월 12일 | 보수당 |
style="background-color: " | | 팜스턴 자작 | 1859년 6월 12일 | 1865년 10월 18일 | 자유당 |
style="background-color: " | | 러셀 백작 | 1865년 10월 29일 | 1866년 6월 28일 | 자유당 |
style="background-color: " | | 더비 백작 | 1866년 6월 28일 | 1868년 2월 27일 | 보수당 |
style="background-color: " | | 벤저민 디즈레일리 | 1868년 2월 27일 | 1868년 12월 3일 | 보수당 |
style="background-color: " | | 윌리엄 유어트 글래드스턴 | 1868년 12월 3일 | 1874년 2월 20일 | 자유당 |
style="background-color: " | | 벤저민 디즈레일리 | 1874년 2월 20일 | 1880년 4월 23일 | 보수당 |
style="background-color: " | | 윌리엄 유어트 글래드스턴 | 1880년 4월 23일 | 1885년 6월 23일 | 자유당 |
style="background-color: " | | 이데슬리 백작 | 1885년 6월 29일 | 1886년 2월 1일 | 보수당 |
style="background-color: " | | 윌리엄 유어트 글래드스턴 | 1886년 2월 1일 | 1886년 7월 25일 | 자유당 |
style="background-color: " | | 솔즈베리 후작 | 1886년 8월 3일 | 1887년 1월 14일 | 보수당 |
style="background-color: " | | 윌리엄 헨리 스미스 | 1887년 1월 14일 | 1891년 10월 6일 | 보수당 |
style="background-color: " | | 아서 밸푸어 | 1891년 10월 6일 | 1892년 8월 15일 | 보수당 |
style="background-color: " | | 윌리엄 유어트 글래드스턴 | 1892년 8월 15일 | 1894년 3월 5일 | 자유당 |
style="background-color: " | | 로즈베리 백작 | 1894년 3월 5일 | 1895년 6월 25일 | 자유당 |
style="background-color: " | | '아서 밸푸어' | 1895년 6월 25일 | 1905년 12월 5일 | 보수당 |
style="background-color: " | | 헨리 캠벨배너먼 | 1905년 12월 5일 | 1908년 4월 3일 | 자유당 |
style="background-color: " | | H. H. 아스퀴스 | 1908년 4월 8일 | 1916년 12월 5일 | 자유당 |
style="background-color: " | |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 1916년 12월 6일 | 1922년 10월 19일 | 자유당 |
2. 2. 1922년 이후
1922년 이후로는 총리 직책과 제1대장경 직책은 항상 동일인이 맡았다.3. 재무부 운영 방식의 변화
17세기 초부터 재무부 운영은 한 개인이 아닌 위원회에 의해 위임되는 경우가 많았다. 1714년부터는 상시 위원회 체제로 운영되었다. 이 시기부터 위원들은 재무부 장관으로 불렸으며, 서열을 나타내기 위해 서수를 사용했다.[5] 18세기 중반, 로버트 월폴 (휘그당) 시점부터 재무부 제1장관은 국가를 운영하는 내각의 자연스러운 수장으로 여겨졌고, 비공식적으로 총리로 불렸다.
1841년 이전에는 재무부 제1장관이 귀족이 아니면 재무부 장관직을 겸임할 수 없었다. 이 경우 재무부 제2장관이 재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1841년 이후에는 총리가 재무부 장관을 겸하지 않는 경우 항상 재무부 제2장관이 재무부 장관직을 맡았다. 관례상 재무부의 다른 장관들은 하원의 정부 원내총무를 겸임한다.
윌리엄 피트는 총리가 "재정을 책임지는 사람이어야 한다"고 말했다.[6]
4. 공식 관저
다우닝가 10번지는 재무부 제1경의 공식 관저이며, 총리 집무실은 아니다.[1] 체커스는 버킹엄셔에 있는 시골 저택으로 총리의 공식 별장이다. 주말과 휴가용으로 사용되지만, 다른 정부 고위 관계자들도 이 관저를 사용해 왔다.
참조
[1]
간행물
First Lord of the Treasury
https://www.gov.uk/g[...]
gov.uk
2018-03-22
[2]
웹사이트
各国の元首名等一覧表
https://www.mofa.go.[...]
2023-08-31
[3]
웹사이트
閣僚リストを教えて下さい
https://web.archive.[...]
2023-08-25
[4]
웹사이트
仙谷大臣記者会見要旨
https://www.cao.go.j[...]
2023-08-31
[5]
문서
[6]
웹사이트
The power of the Prime Minister
http://www.historyan[...]
History & Policy
201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