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해병원정군은 1969년 11월 8일 오키나와에서 창설된 미국 해병대 군단급 부대이다. 1988년 제1해병원정군으로 재지정되었으며, 지시가 있을 경우 해병 항공 지상 임무 부대로 배치되어 우발적 상황 대응 및 주요 전구 전쟁 지원 임무를 수행한다. 제1해병사단, 제3해병항공단, 제1해병군수단으로 구성되며, 걸프 전쟁, 소말리아 희망 회복 작전, 이라크 자유 작전 등 다양한 작전에 참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걸프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군단 - 제7군단 (미국) 제7군단은 제1차 세계 대전부터 걸프 전쟁까지 참전한 미국 육군의 군단으로, 노르망디 상륙 작전, 서독 방어, 이라크군 격파 등 주요 작전에 참여했으나 냉전 종식 후 해체되었다.
걸프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군단 - 제18공수군단 제18공수군단은 미국 육군의 군단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걸프 전쟁 등 다양한 작전에 참여했으며, 현재는 노스캐롤라이나주 포트 리버티에 본부를 두고 여러 사단을 예하 부대로 둔다.
미국 해병대의 군단 - 제5상륙군단 제5상륙군단은 1943년 창설되어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여 타라와, 사이판, 이오지마 전투 등에서 활약했으며, 1946년 해체된 미국 해병대 군단이다.
미국 해병대의 군단 - 제2해병원정군 제2해병원정군은 노스캐롤라이나주 캠프 르쥔에 본부를 둔 미국 해병대의 해병 원정군으로, 필요에 따라 다양한 규모의 해병 항공-지상 합동 부대를 구성하여 운용되며, 여러 작전에 참여하여 다양한 훈장을 수여받았다.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에 참전한 미국의 군단 - 제1군단 (미국) 제1군단은 미국 육군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군단 중 하나로, 남북 전쟁부터 한국 전쟁까지 주요 전쟁에 참전했으며, 현재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안보를 위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에 참전한 미국의 군단 - 제18공수군단 제18공수군단은 미국 육군의 군단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걸프 전쟁 등 다양한 작전에 참여했으며, 현재는 노스캐롤라이나주 포트 리버티에 본부를 두고 여러 사단을 예하 부대로 둔다.
조지프 F. 던퍼드 주니어(대장) 앤서니 지니(대장) 마이클 헤이지(대장) 제임스 T. 콘웨이(대장) 제임스 매티스(대장) 존 F. 새틀러(대장)
별칭 및 상징
별명
(정보 없음)
상징
(정보 없음)
모토
(정보 없음)
색상
(정보 없음)
군가
(정보 없음)
마스코트
(정보 없음)
전투 및 작전
참전
사막 폭풍 작전 세계 대테러 전쟁 항구적 자유 작전 이라크 전쟁 이라크 침공 제1차 팔루자 전투 제2차 팔루자 전투
기념
기념일
(정보 없음)
2. 역사
1969년11월 8일, 미국 점령하의 오키나와의 오키나와에서 제1해병원정군이 창설되었다. 1970년8월 18일에는 제1해병수륙양용군(Marine Amphibious Force, '''I MAF''')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71년4월에는 사령부가 캘리포니아주 캠프 펜들턴으로 이전했다. 1988년2월 5일, 부대명은 다시 제1해병원정군으로 변경되었다.[1]
제1해병원정군은 미국 태평양 해병대 예하의 2개 해병원정군 중 하나로, 제3함대와 협력하여 태평양 동부에서 지상에 전개된 해병대 부대를 관할한다. 태평양 서부는 제7함대와 협력하는 제3해병원정군이 관할한다.
제1해병원정군에는 지상 부대로 제1해병사단, 항공 부대로 제3해병항공단, 후방 지원 부대로 제1해병병참군 등이 편성되어 있다. 또한 예하에는 제1해병원정여단 및 10번대의 해병대원정대가 편제되어 있다.
2. 1. 명칭 유래 (Etymology)
로마 숫자 지정자 발음에서 로마 숫자 1을 나타내는 대문자 "I"는 "원(One)"으로 정확하게 발음한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은 이 숫자를 "퍼스트(First)"로 잘못 발음하거나, 의도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글자 "I"처럼 "아이(Eye)"로 발음하기도 한다.[1]
해병대 군단에 해당하는 조직인 MEF를 지정하기 위해 로마 숫자를 사용하는 관례는 미국 남북 전쟁 당시 시작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미국 육군의 관행에서 비롯되었다. 육군은 군단(2개 이상의 사단과 지원 부대, 때로는 별도의 여단, 연대, 그룹 또는 대대를 포함하며, 모두 중장 지휘관이 지휘하는 통합 군단 본부 산하에 있음)을 로마 숫자로 표기한다. 군단은 "야전군" 또는 번호가 매겨지거나 이름이 붙여진 육군(예: 제1 미국 육군 또는 포토맥 군)의 최상위 하위 부대이다.[1]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제4 해병 여단은 미국 육군 제2 보병 사단의 일부로, 미국 육군 제1 군단, 미국 원정군에 배속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해병대가 6개 사단과 5개 비행단으로 확장되면서 해병대는 두 개의 "상륙 군단", 즉 제1 해병 상륙 군단(나중에 제3 해병 상륙 군단으로 재지정)과 제5 상륙 군단을 창설하여 육군에서 시작된 관례를 이어갔다. 현대 해병 원정군(MEF)(한때 해병 "상륙" 부대, 또는 MAB로 알려짐)은 로마 숫자로 지정된 군단에 해당하는 조직으로서 미 해병대의 유산을 이어가고 있다.[1]
3. 임무 (Mission)
지시가 있을 경우, 제1해병원정군은 해병 항공 지상 임무 부대(MAGTF)로 배치되어, 우발적 상황 대응 또는 주요 전구 전쟁을 위한 전투 사령관(COCOM)의 요구 사항을 지원하며 운용된다. 적절한 증원을 통해, 합동 임무 부대(JTF)의 핵심 요소 역할을 수행한다. 전투 준비가 완료된 MAGTF를 준비하고 배치하여 COCOM의 주둔 및 위기 대응을 지원하며, 필요에 따라 해군 및 COCOM의 계획을 지원한다.[1]
4. 편성 (Structure)
제1해병원정군 조직도 (2024년 3월, 확대하려면 클릭)
제1해병원정군은 제1해병사단(지상전 부대), 제3해병항공단(항공전 부대), 제1해병군수단(병참전 부대)으로 구성된다. 지휘 부대는 제1해병원정군사령부단이며, 예하에 제1정보대대, 제9통신대대, 제1무선대대, 제1항공함포연락중대가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