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상륙군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5상륙군단은 1943년 8월 25일 캘리포니아주 캠프 엘리어트에서 창설되어,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국 해병대 군단이다. 홀랜드 스미스와 헤리 쉬미트가 지휘했으며, 타라와, 사이판, 이오지마 전투 등에 참여했다. 1946년 1월 15일 해체되어 모든 전력은 함대해병군으로 정리되었다. 군단은 해병 보병 사단, 포병대, 수륙양용 궤도차량 부대, 그리고 다양한 지원 부대로 구성되었다. 또한, 대통령 부대 표창과 해군 부대 표창을 받았으며, 아시아-태평양 전역 훈장과 제2차 세계 대전 전승 훈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해병대의 군단 - 제2해병원정군
제2해병원정군은 노스캐롤라이나주 캠프 르쥔에 본부를 둔 미국 해병대의 해병 원정군으로, 필요에 따라 다양한 규모의 해병 항공-지상 합동 부대를 구성하여 운용되며, 여러 작전에 참여하여 다양한 훈장을 수여받았다. - 미국 해병대의 군단 - 제1해병원정군
제1해병원정군은 1969년 오키나와에서 창설되어 우발적 상황 대응 및 주요 전구 전쟁 지원 임무를 수행하며, 제1해병사단, 제3해병항공단, 제1해병군수단으로 구성되어 걸프 전쟁 등 다양한 작전에 참전했다. -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군단 - 제10군단 (미국)
제10군단은 미국 육군의 군단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태평양 전선과 인천 상륙 작전 등 주요 전투에 참여했으며, 냉전 시대에는 미국 본토 북서부 지역의 육군 예비군 부대 훈련을 담당하다 1968년 해체되었다. -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군단 - 제1군단 (미국)
제1군단은 미국 육군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군단 중 하나로, 남북 전쟁부터 한국 전쟁까지 주요 전쟁에 참전했으며, 현재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안보를 위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 1946년 해체된 단체 - 제2통신여단 (미국)
제2통신여단은 미국 육군의 통신여단으로, 유럽 및 아프리카 지역에서 통신 및 사이버 지원을 담당하며, 제2차 세계 대전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후 2017년부터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 직속 부대가 되었다. - 1946년 해체된 단체 - 제94군사경찰대대
제94군사경찰대대는 1945년 창설되어 다양한 시기에 활동한 미군 군사경찰 대대로, 현재 제19원정지원사령부 소속으로 대한민국 내 미군 기지에서 법 집행, 질서 유지, 보안 임무를 수행하며 한국 전쟁 공훈으로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두 차례 수상하였다.
제5상륙군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제5상륙군단 |
원어 명칭 | V Amphibious Corps |
약칭 | VAC |
활동 기간 | 1943년 8월 25일 – 1946년 2월 15일 |
소속 | [[파일:USMC logo.svg|25px]] 미국 해병대 |
역할 | 수륙 양용전 고위 지휘부 |
규모 | 군단 |
지휘 구조 | 비활성 |
전투 | |
참전 | 태평양 전쟁 |
2. 역사
1945년 당시 미국 해병대 제5상륙군단의 구조는 다음과 같이 네 개의 주요 예하 부대로 편성되었다.[1]
홀랜드 스미스, 해리 쉬미트 장군이 차례로 제5상륙군단을 지휘하였다.[1]
1943년 8월 25일, 캘리포니아주 캠프 엘리어트에서 태평양 함대 상륙군단을 기반으로 편성되어, 9월에 하와이 진주만으로 옮겨갔다.[1] 1944년 타라와와 사이판, 1945년 이오섬에 참전하였다.[1]
홀랜드 스미스, 해리 슈미트 장군이 차례로 지휘하였다.[2]
1946년 1월 15일, 군단은 폐지되어 모든 전력이 함대해병군으로 정리되었다.[3]
3. 구조
편제
4. 지휘부
직책 취임일 계급 성명 군단장 1943년 8월 25일 ~ 1944년 7월 11일 중장 홀랜드 스미스 군단장 1944년 7월 12일 ~ 1946년 2월 15일 소장 해리 슈미트 참모장 1943년 8월 ~ 1944년 8월 준장 Graves B. Erskine|그레이브스 B. 어스킨영어 참모장 1944년 8월 ~ 1945년 12월 준장 William W. Rogers|윌리엄 W. 로저스영어 참모장 1945년 12월 ~ 1946년 2월 준장 Dudley S. Brown|더들리 S. 브라운영어 군단 포병대 지휘관 준장 Thomas E. Bourke|토머스 E. 버크영어 군단 포병대 지휘관 1944년 7월 ~ 1945년 6월 대령 John S. Letcher|존 S. 레처영어 인사장교 중령 Albert F. Metze|앨버트 F. 메체영어 인사장교 1944년 10월 ~ 1946년 2월 대령 David A. Stafford|데이비드 A. 스태포드영어 정보장교 1943년 8월 ~ 1944년 10월 중령 St. Julien R. Marshall|세인트 줄리엔 R. 마셜영어 정보장교 대령 Thomas R. Yancey|토머스 R. 얀시영어 작전장교 1943년 8월 대령 존 C. 맥퀸 작전장교 1944년 8월 대령 에드워드 A. 크레이그 작전장교 1945년 4월 대령 월터 W. 웬싱어 군수장교 1943년 8월 ~ 1944년 4월 대령 Raymond E. Knapp|레이먼드 E. 냅영어 군수장교 대령 William F. Brown|윌리엄 F. 브라운영어
4. 1. 군단장
4. 2. 참모장
취임일 | 계급 | 성명 | 비고 |
---|---|---|---|
1943년 8월 | 준장 | Graves B. Erskine|그리브스 B. 에스킨영어 | 1944년 8월까지 역임. |
1944년 8월 | 준장 | William W. Rogers|윌리엄 W. 로저스영어 | 1945년 12월까지 역임. |
1945년 12월 | 준장 | Dudley S. Brown|두들리 S. 브라운영어 | 1946년 2월까지 역임. |
4. 3. 군단 포병대 지휘관
Thomas E. Bourke|토머스 E. 보크영어 준장[1]John S. Letcher|존 S. 레쳐영어 대령 (1944년 7월 - 1945년 6월)[1]
4. 4. 인사장교
Albert F. Metze|앨버트 F. 메즈영어 중령[1]David A. Stafford|데이비드 A. 스테포드영어 대령 (1944년 10월 ~ 1946년 2월)[1]
4. 5. 정보장교
- St. Julien R. Marshall|세인트 줄리엔 R. 마셜영어 중령: 1943년 8월 ~ 1944년 10월[1]
- Thomas R. Yancey|토머스 R. 얀시영어 대령 (미국 육군)[1]
4. 6. 작전장교
취임일 | 계급 | 성명 |
---|---|---|
1943년 8월 | 대령 | 존 C. 맥퀸 |
1944년 8월 | 대령 | 에드워드 A. 크레이그 |
1945년 4월 | 대령 | 월터 W. 웬싱어 |
4. 7. 군수장교
- Raymond E. Knapp|레이먼드 E. 냅영어 대령 (1943년 8월 ~ 1944년 4월)
- William F. Brown|윌리엄 F. 브라운영어 대령
5. 예하 부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제5상륙군단에 배속되었던 부대는 다음과 같다.[2]
해병대 | 육군 | 해군 |
---|---|---|
5. 1. 해병대
제2해병사단[2]제3해병사단[2]
제4해병사단[2]
제5해병사단[2]
상륙정찰대대 (중대에서 시작)[2]
5. 2. 육군
제7보병사단[2]제27보병사단[2]
제32보병사단[2]
제24(XXIV)군단 포병대[2]
5. 3. 해군
6. 참전 기록
1943년 8월 25일, 캘리포니아주 캠프 엘리어트에서 태평양 함대 상륙군단을 기반으로 편성되어, 9월에 하와이 진주만으로 옮겨갔다. 1944년 타라와와 사이판, 1945년 이오섬에 참전하였다.[3] 홀랜드 스미스, 헤리 쉬미트 장군이 차례로 지휘하였다. 1946년 1월 15일, 군단은 폐지되어 모든 전력이 함대해병군으로 정리되었다.
부대 표창 또는 훈장은 특정 행위에 대해 조직에 수여되는 상으로, 해당 행동에 참여한 부대 구성원은 수여된 부대 표창에 해당하는 리본을 제복에 착용할 수 있다.[3]
6. 1. 전투
1943년 8월 25일, 캘리포니아 주 캠프 엘리어트에서 태평양 함대 상륙군단을 기반으로 편성되어, 9월에 하와이 진주만으로 옮겨갔다. 1944년 타라와와 사이판, 1945년 이오섬에 참전하였다.[1]6. 2. 표창
제5상륙군단은 특정 행위에 대해 다음과 같은 훈장을 받았다.[3]기장 | 훈장 | 연도 | 추가 정보 |
---|---|---|---|
]] | 대통령 부대 표창 | 1945년 | 이오지마 전투 |
]] | 해군 부대 표창 | 1945년 | 이오지마 전투 |
]] | 아시아-태평양 전역 기장 (청동 별 4개 포함) | 1943년 ~ 1946년 | 길버트 제도, 마셜 제도, 마리아나 제도, 이오지마 전투 |
]] | 제2차 세계 대전 승리 기장 | 1943년 ~ 1946년 | 태평양 전쟁 |
참조
[1]
서적
USMC WWII OOB
[2]
서적
USMC WWII OOB
[3]
웹사이트
Battle Honors of the 6th Mar Div WWII
https://web.archive.[...]
2013-1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