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3함대 (일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함대 (일본)는 일본 제국 해군의 함대였다. 1903년 경계 및 순찰을 위해 처음 편성되어 러일 전쟁, 신해 혁명, 제1차 세계 대전, 중일 전쟁, 태평양 전쟁 등 다양한 시기에 여러 차례 재편성되었다. 특히 태평양 전쟁 시기에는 항공모함 기동 부대로 운용되었으며, 주요 해전에서 활약했으나 1944년 레이테 만 해전을 마지막으로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일 전쟁에 참전한 일본의 함대 - 제1함대 (일본)
    제1함대 (일본)는 1903년 창설되어 러일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중일 전쟁,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며 일본 해군의 주요 전력으로 활동하다가 1944년 해체되었다.
  • 러일 전쟁에 참전한 일본의 함대 - 제2함대 (일본)
    제2함대는 일본 제국 해군이 창설한 기동 함대로, 러일 전쟁부터 태평양 전쟁까지 참전하며 핵심 전력으로 활동했으나, 주요 해전에서 큰 손실을 입고 1945년 해체되었다.
  • 1915년 폐지 - 경남일보
    경남일보는 1909년 진주에서 창간된 한국 최초의 주식회사 형태 언론사이자 지방 신문으로,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언론통폐합 등을 거치며 민족의식 고취와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 1915년 폐지 - 엑스포지션 파크 (피츠버그)
    1882년부터 1915년까지 피츠버그에 존재했던 엑스포지션 파크는 피츠버그 파이리츠 전신 홈구장으로, 홍수로 인해 재건축과 이전이 잦았으며, 최초의 월드 시리즈 개최, 페더럴 리그 홈구장 사용 후 철거되어 현재는 역사 표지가 설치되어 있다.
  • 1905년 폐지 - 영월군
    영월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에 둘러싸여 동강과 서강이 흐르고, 단종 유배지와 장릉, 김삿갓 유적지 등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지가 있는 고생대 지층의 카르스트 지형과 지하자원이 풍부한 지역이었으나 석탄 산업 쇠퇴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 1905년 폐지 - 시위대 (대한제국)
    시위대는 1895년 고종의 칙령으로 창설된 대한제국의 국왕 호위 군대였으나 을미사변 이후 해산, 아관파천 이후 재창설, 친위대와 통합, 1907년 군대 해산령에 따라 해산되었고, 해산에 반발한 병력은 의병에 합류하여 항일 의병 운동에 기여했다.
제3함대 (일본)
제3함대 (일본 해군)
제3함대에 배속되었던 순양함 이쓰쿠시마
제3함대에 배속되었던 순양함 이쓰쿠시마
개요
활동 기간1903년 12월 28일 ~ 1905년 12월 20일
1908년 12월 24일 ~ 1915년 12월 25일
1915년 12월 25일 ~ 1922년 12월 1일
1932년 2월 2일 ~ 1939년 11월 15일
1941년 4월 10일 ~ 1942년 3월 10일
1942년 7월 14일 ~ 1944년 11월 15일
국가일본
소속일본 제국 해군
종류특설 함대
참전러일 전쟁
중일 전쟁
태평양 전쟁
지휘관
주요 지휘관알 수 없음

2. 역사

1903년 12월 대본영 직할로 경비·초계를 담당하기 위해 노후 함선을 모아 제3함대를 편성했다.[6] 1904년 3월부터 연합함대에 편입되었다. 함대 행동을 상정하지 않은 잡동사니 부대였기 때문에 "우스꽝스러운 함대"라고 조롱받았지만, 러일 전쟁에서 육군 부대의 진저우 상륙 지원, 일본해 해전 당일의 적 발견 및 정보 보고 등 일본의 승리에 크게 기여했다.[6] 사할린 작전 상륙 지원 시에는 재편성되었다.[6] 1905년 12월 연합함대 해산과 동시에 해산되었다.[6]

1905년 12월 20일부터 중국 대륙의 자국민 보호를 위해 편성된 남청함대는 양쯔강 유역, 남청, 타이완 연안의 순항 경비를 담당했다. 1908년 12월 24일, 남청함대는 제2대 제3함대로 개명되었다. 제3함대(2대)는 순양함, 통보함, 포함 7척 이내로 구성되었고(필요에 따라 구축대 부속), 대만, 펑후 열도, 양쯔강 유역 및 그 이남의 청국 연안 순항 경비를 담당했다. 사령부는 두지 않았고, 지휘관은 사령관, 참모는 2명으로 참모장은 없었다. 신해혁명 발생에 따라 하천 포함과 구축대가 증강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 중화민국 정부는 중립을 선언했다. 이에 따라 항양력이 있는 순양함은 일본 국내로 퇴거하고, 항양력이 없는 하천 포함 3척(토바, 후시미, 스미다)은 상하이에 집결 후 1914년 8월 24일부로 무장 해제되어 사세보 진수부 예비함이 되고 제3함대에서 제외되었다. 이후 제3함대에는 장갑 순양함 닛신과 카스가가 편입되었다.

2. 1. 초대 (1903년 ~ 1905년)

1903년 12월 28일 제3함대가 처음 창설되었을 때, 최전선 전투 임무에는 구식으로 간주되는 선박을 관리하기 위해 대본영에 의해 창설된 행정 부대였다.[1] 이 함대는 노후함을 중심으로 편제되어 주로 훈련과 해안 경비 임무를 담당했다. 1904년 3월부터 연합함대에 편입되었다. 처음에는 함대 작전을 상정하지 않은 오합지졸 부대를 위한 '해학적 함대'라는 야유를 받았다.[1] 그러나 러일 전쟁 기간 동안, 육군 부대의 진저우 상륙 지원, 내항하는 발트 함대 탐지를 위한 인도차이나 수색, 쓰시마 해전 당일의 적정을 정찰 보고하는 등 일본의 승리에 크게 공헌했다.[5] 사할린 전투의 상륙 지원 시 재편되었다. 1905년 12월 20일 연합함대 해산식과 동시에 해산되었다.[5]

사령관재임 기간전임후임비고
1
중장
가타오카 시치로
1903년 12월 28일1905년 12월 20일사령관
다케시키 진수부
사령관
제1함대



계급이름재임 기간
1소장시즈카 나카무라1903년 12월 28일1905년 1월 12일
2중장사이토 고시1905년 1월 12일1905년 11월 2일
X해체1905년 12월 20일1915년 12월 13일


2. 2. 2대 (1908년 ~ 1915년)

1905년 12월부터 일본 본토에 제1함대, 제2함대를 상설하고, 중국 대륙에는 일본인 보호를 명목으로 남청함대를 편성하여 파견하였다. 이 남청함대를 개명한 것이 2세대 제3함대이다. 이후 해외 파견 부대와 마찬가지로 사령부를 두지 않았고, 지휘관은 사령관이었으며, 참모도 2명이었기 때문에 참모장은 정해져 있지 않았다.[5] 신해 혁명이 발발하자 하천 포함을 크게 강화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중화민국 정부는 중립을 선언했기 때문에 순양이 가능한 순양함은 일본으로 퇴각하고, 원양 능력이 없는 하천 포함은 상하이에 집결 후 무장이 해제되고, 제3함대는 해산되었다.[5]

제3함대는 1908년 12월 24일 신해혁명 동안 중국 본토에서 일본의 이익(민간인 및 재산)을 보호하고 (필요한 경우) 긴급 대피를 수행하기 위해 원정군으로 부활했다. 주된 활동 지역이 남중국해였기 때문에 "남중국 함대"라는 별명이 붙었다. 소속 순양함들은 양쯔강 및 중국의 다른 주요 강을 순찰했으며, 본부는 상하이 일본 조계에 있었다. 1915년 12월 25일에 해체되었다.[5]

2. 3. 3대 (1915년 ~ 1922년)

제1차 세계 대전에 대응한 임전 편제로 남쪽으로 진출한 제2함대의 부재중 부대로 편제되었다. 따라서 세계 대전 초반에는 눈에 띄는 움직임은 없었지만, 1917년 러시아 혁명이 일어나자, 러시아 제압을 위해 연해주 방면에서 주력 부대가 되었다. 육군의 시베리아 출병에 호응하여 선단 호위를 담당했다. 또한 니콜라옙스크 사건 발발 시 구호 부대를 파견했지만, 실패로 돌아갔다.[1] 미카사는 이 함대의 일원으로 진출했을 때 좌초 사고를 일으켰다.[1] 제1차 세계 대전의 종결로 시베리아 출병이 중지되고, 워싱턴 해군 군축 회의에 따른 구식 전함 폐기를 위해 해산했다.

제3함대는 "남중국 함대" 해산과 같은 날에 재편성되었으며, 초기에는 영일 동맹 조건에 따라 제1차 세계 대전에 대한 일본의 기여를 보충하기 위한 훈련 부대로 활동했다.[2] 러시아 혁명이 러시아 공산주의 세력에 의해 선포되자, 제3함대의 임무는 반볼셰비키 세력을 지원하기 위한 일본 육군의 시베리아 출병을 위해 러시아 해안을 순찰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2] 1922년 12월 1일에 제3함대는 해산되었으며, 함선 중 다수는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 조건에 따라 거의 즉시 폐기되었다.[2]

2. 4. 4대 (1932년 ~ 1939년)

노무라 길삼랑
野村吉三郎1932년 2월 2일1932년 6월 28일요코스카 진수부
사령장관요코스카 진수부
사령장관1932년 4월 29일 홍구 공원 폭탄 테러로 눈을 다쳐 해임되었다.2
중장
사콘지 세이조
左近司政三1932년 6월 28일1932년 12월 1일사세보 진수부
사령장관3
중장
요나이 미쓰마사
米内光政1932년 12월 1일1933년 9월 15일진해 경비부
사령관해군 참모부
부속4
중장
이마무라 노부지로
1933년 9월 15일1934년 11월 15일사세보 진수부
사령장관5
중장
백무원오
百武源吾1934년 11월 15일1935년 12월 1일마이즈루 진수부
사령관사세보 진수부
사령장관6
중장
오이카와 고시로
及川古志郎1935년 12월 1일1936년 12월 1일해군 항공본부
장관7
대장
하세가와 기요시
長谷川清1936년 12월 1일1938년 4월 25일해군성
차관요코스카 진수부
사령장관1937년 10월 20일 이후에는 중국 방면 함대의 사령관도 겸임8중장
오이카와 고시로
及川古志郎1938년 4월 25일1939년 11월 15일해군 항공본부
부장중국 방면 함대
사령관중국 방면 함대 사령관도 겸임


2. 5. 5대 (1941년 ~ 1942년)

1941년 4월 10일, 필리핀 침공이라는 특정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남방 작전 함대"라는 명칭과 함께 제3함대가 다시 창설되었다.[5] 진주만 공격 당시, 제3함대의 본부는 팔라우에 있었으며, 이후 자바, 보르네오 및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다른 섬들에 대한 침공으로 임무가 확대되었다.[5] 1942년 3월 10일, 남서 방면 함대의 지휘 아래 제2 남방 작전 함대에게 임무가 인계되었다.[5]

2. 6. 6대 (1942년 ~ 1944년)

미드웨이 해전의 참패 직후인 1942년 7월 14일, 제3함대는 미국 해군의 유사 부대를 본떠 항공모함 기동 부대로 창설되었다. 이 부대는 신형 항공모함 翔鶴|쇼카쿠|일본어와 瑞鶴|즈이카쿠|일본어를 중심으로 편성되었다. 제3함대는 산타크루즈 제도 해전에서 미 해군 항공모함 를 격침시켰지만, 일본 해군 최고의 조종사들을 잃는 대가를 치른 피로스의 승리를 거두었다.[5]

1944년 3월 이후, 제3함대는 기본적으로 제2함대와 통합되었고, 새로 취역한 大鳳|다이호|일본어를 포함하여 3척의 항공모함과 350대 이상의 항공기를 잃는 참담한 필리핀 해 해전을 겪었다.[5]

1944년 10월, 제3함대는 일본이 점령한 필리핀에 대한 레이테 만 해전의 연합군 상륙을 격퇴하기 위한 3개 부대 작전에서 "북부 부대"로 지정되었다. 제3함대 항공모함은 108대의 항공기만 남기고 모든 항공기를 철수시켜 미국 주도의 함대를 상륙 수송선을 보호하는 곳에서 멀리 유인하도록 했다. 10척의 미 해군 항공모함과 600~1,000대의 항공기를 포함한 대규모 함대를 마주한 제3함대는 10월 25~26일 엔가뇨 곶 해전에서 4척의 항공모함, 1척의 경순양함, 1척의 구축함을 잃었다. 제3함대는 사실상 해체되었고, 1944년 12월 15일에 공식적으로 해산되었다.[5]

3. 지휘부

'''역대 참모장'''

계급성명취임일이임일추가 설명
대좌나카무라 시즈카1903년 12월 28일1905년 1월 11일러일 전쟁
대좌사이토 고시1905년 1월 12일1905년 11월 2일러일 전쟁, 함대 해산
소장시마다 시케타로1932년 2월 2일
대좌이다 히사쓰네1913년 9월 13일1914년 5월 27일
중좌요시카와 안페이1914년 8월 8일
소장다카키 시치타로1915년 12월 13일1916년 4월 1일
대좌히라가 도쿠타로1916년 4월 1일1917년 3월 19일1916년 4월 1일 ~ 8월 1일 대리
대좌이다 히사쓰네1917년 3월 19일1917년 12월 1일
소장사이토 시치고로1917년 12월 1일
소장후루카와 신자부로1918년 12월 1일
소장우치다 도라사부로1919년 6월 10일
소장다구치 히사모리1920년 11월 20일
소장고마쓰 나오키1921년 12월 1일1922년 12월 1일함대 해산
소장기쿠노 시게루1932년 6월 28일
소장미쓰이 세이사부로1933년 4월 1일
소장다카스 시로1933년 11월 15일
소장곤도 에이지로1934년 11월 15일
소장이와무라 세이이치1935년 12월 2일
소장스기야마 로쿠조1936년 11월 16일1937년 10월 20일지나방면함대 창설[1], 지나방면함대 참모장 겸임
소장구사카 진이치1938년 4월 25일지나방면함대 참모장 겸임
소장이노우에 나루미1939년 10월 23일1939년 11월 15일[1]지나방면함대 참모장 겸임, 제1견지함대로 개명됨
소장나카무라 도시히사1941년 4월 10일1942년 3월 10일태평양 전쟁, 부대 개명 후에도 유임
소장구사카 류노스케1942년 7월 14일태평양 전쟁
소장야마다 사다요시1942년 11월 23일태평양 전쟁
소장고무라 게이조1943년 12월 6일1944년 10월 1일태평양 전쟁, 1944년 3월 1일 제1기동함대 참모장 겸임
소장기무라 스에오1944년 10월 2일1944년 11월 15일태평양 전쟁, 제1기동함대 참모장 겸임, 함대 해체


3. 1. 역대 사령장관

제3함대 사령장관 (第三艦隊司令長官|다이산칸타이 시레이초칸일본어)
계급성명취임일이임일추가 설명
중장가타오카 시치로1903년 12월 28일1905년 12월 20일러일 전쟁 참전, 함대 해체
소장데라가키 이조1908년 12월 24일1910년 11월 31일남청함대에서 개명, 남청함대 사령관에서 유임
소장가와시마 레이지로1910년 12월 1일|
소장나와 마타하치로1912년 4월 20일|
소장쓰치야 미쓰카네1914년 3월 25일|
중장다카라베 다케시1915년 2월 5일1915년 12월 25일함대 해체
중장무라카미 가쿠이치1915년 12월 13일1917년 4월 6일
중장아리마 료키쓰1917년 4월 6일|
중장구로이 데이지로1918년 12월 1일|
중장노마구치 가네오 1919년 12월 1일|
중장오구리 고자부로1920년 12월 1일|
중장스즈키 간타로1921년 12월 1일|
중장나카노 나오에1922년 7월 27일1922년 12월 1일함대 해체
중장노무라 기치사부로1932년 2월 2일|
중장사콘지 세이조1932년 6월 28일|
중장요나이 미쓰마사1932년 12월 1일|
중장이마무라 노부지로1933년 9월 15일|
중장햐쿠다케 겐고1934년 11월 15일|
중장오이카와 고시로1935년 12월 1일|
중장하세가와 기요시1936년 12월 1일1938년 4월 24일중일 전쟁 발발, 지나방면함대로 전속[5], 1937년 10월 20일 지나방면함대 사령장관 겸임[5]
중장오이카와 고시로1938년 4월 25일1939년 11월 15일지나방면함대 사령장관 겸임[5], 제1견지함대로 개명.
중장다카하시 이보1941년 4월 10일1942년 3월 10일개명 후에도 유임
중장나구모 주이치1942년 7월 14일|
중장오자와 지사부로1942년 11월 11일1944년 11월 15일1944년 3월 1일, 제1기동함대 사령장관 겸임, 함대 해체


3. 2. 역대 참모장

계급성명취임일이임일추가 설명
대좌나카무라 시즈카1903년 12월 28일1905년 1월 11일러일 전쟁
대좌사이토 고시1905년 1월 12일1905년 11월 2일러일 전쟁, 함대 해산
소장시마다 시케타로1932년 2월 2일
대좌이다 히사쓰네1913년 9월 13일1914년 5월 27일
중좌요시카와 안페이1914년 8월 8일
소장다카키 시치타로1915년 12월 13일1916년 4월 1일
대좌히라가 도쿠타로1916년 4월 1일1917년 3월 19일1916년 4월 1일 ~ 8월 1일 대리(心得)
대좌이다 히사쓰네1917년 3월 19일1917년 12월 1일
소장사이토 시치고로1917년 12월 1일
소장후루카와 신자부로1918년 12월 1일
소장우치다 도라사부로1919년 6월 10일
소장다구치 히사모리1920년 11월 20일
소장고마쓰 나오키1921년 12월 1일1922년 12월 1일함대 해산
소장기쿠노 시게루1932년 6월 28일
소장미쓰이 세이사부로1933년 4월 1일
소장다카스 시로1933년 11월 15일
소장곤도 에이지로1934년 11월 15일
소장이와무라 세이이치1935년 12월 2일
소장스기야마 로쿠조1936년 11월 16일1937년 10월 20일지나방면함대 창설[1], 지나방면함대 참모장 겸임
소장구사카 진이치1938년 4월 25일지나방면함대 참모장 겸임
소장이노우에 나루미1939년 10월 23일1939년 11월 15일[1]지나방면함대 참모장 겸임, 제1견지함대로 개명됨
소장나카무라 도시히사1941년 4월 10일1942년 3월 10일태평양 전쟁, 부대 개명 후에도 유임
소장구사카 류노스케1942년 7월 14일태평양 전쟁
소장야마다 사다요시1942년 11월 23일태평양 전쟁
소장고무라 게이조1943년 12월 6일1944년 10월 1일태평양 전쟁, 1944년 3월 1일 제1기동함대 참모장 겸임
소장기무라 스에오1944년 10월 2일1944년 11월 15일태평양 전쟁, 제1기동함대 참모장 겸임, 함대 해체


4. 전투 서열

1941년 4월 10일, 필리핀 공략 부대로서 제3함대가 편성되었다.[2] 6월 초부터 제3함대는 제2견지함대의 지휘하에 "해협부대"가 되어 남중국해 연안 봉쇄에 종사했다. 또한 남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진주 "후호 작전"과 관련하여 제5수뢰전대와 제2근거지대가 신미 마사카즈 제2견지함대 사령장관 지휘하의 "후호 작전 부대"에 편입되었다.

8월 하순 육해군 협정으로 필리핀과 말레이 반도 동시 진공이 결정되었다. 비도 작전에서는 루손섬 공략을 육군이, 민다나오섬을 해군이 공략하고, 해군이 육군 수송선단의 호위를 담당했다. 10월 1일, 제3함대 기함이 될 중순양함 아시가라가 제2견지함대로부터 인계되어 제16전대에 편입되었다.

남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진주 후 신편된 남견함대(7월 31일 신편, 사령장관 히라타 노보루 해군 중장)가 10월 20일자로 연합함대에 편입되어 말레이 부대로서 말레이 반도를 공략하게 되었지만, 제3함대 사령장관과의 선후임 관계상 오자와 지사부로 해군 중장이 남견함대 사령장관으로 임명되었다. 제1단계 작전에서는 남방 부대 지휘관 곤도 노부타케 제2함대 사령장관이 작전 전반을 총지휘하고, 비도 부대 지휘관(비도 공략 성공 후에는 란인 부대 지휘관) 다카하시 이와오 제3함대 사령장관이 비도 부대/란인 부대로서 필리핀 방면 작전란인 작전을, 말레이 부대 지휘관 오자와 지사부로 남견함대 사령장관이 말레이 작전을 담당・지휘하게 되었다.

제3함대를 주축으로 하는 비도 부대는 팔라우 제도에서 개전을 기다렸다. 라몬 만 상륙 지원, 레가스피 공략 작전에 종사했다. 초기 비도 공략 작전이 성공하자 연합함대는 12월 26일자로 제2기 병력 배치의 발동을 명령했다. 이에 따라 비도 부대의 대부분과 말레이 부대의 일부 부대가 란인 부대로 개편되어 란인 작전에 종사했다. 제3함대 사령장관 다카하시 이와오 중장은 란인 부대 지휘관이 되었다. 제3함대의 일부 병력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비도 부대로서 필리핀 공략 작전에 종사했다. 이 비도 부대(경순양함 구마, 부설함 야에야마, 2개 특별 근거지대 등)에서 제3남견함대가 신편되어 비도 방면 작전을 담당하게 되었다.

1941년 12월 8일 당시 제3함대의 주요 부대 및 기함은 다음과 같다.

부대주요 함선
필리핀 부대
제32특별근거지대
구레 진수부제1, 2특별육전대
사세보 진수부연합특별육전대, 제1특별육전대


4. 1. 러일 전쟁

1903년 12월 28일 임시 편제로 신규 편성된 제3함대는 대본영 직할로 경계 및 순찰 임무를 위해 노후함을 중심으로 편성되었다. 1904년 3월부터 연합함대에 편입되었다. 함대 작전을 상정하지 않은 부대를 위한 '해학적 함대'라는 야유를 받았지만,[1] 육군 부대의 진저우 상륙 지원, 내항하는 발트 함대 탐지를 위한 인도차이나 수색, 쓰시마 해전 당일 적정 정찰 및 보고를 통해 일본의 승리에 크게 공헌했다. 사할린 전투 상륙 지원 시 재편되었으며, 1905년 12월 20일 연합함대 해산과 동시에 해산되었다.

4. 2. 남청함대

1905년 12월부터 일본 본토에 제1함대, 제2함대를 상설하고, 중국 대륙에는 일본인 보호를 명목으로 "남청함대"(南清艦隊)를 편성하여 파견했다. 이 남청함대를 개명한 것이 2세대 제3함대이다. 이후 해외 파견 부대와 마찬가지로 사령부를 두지 않았고, 지휘관은 사령관이었으며, 참모도 2명이었기 때문에 참모장은 정해져 있지 않았다. 신해 혁명이 발발함에 따라 하천 포함을 크게 강화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중화민국 정부는 중립을 선언했기 때문에 순양이 가능한 순양함은 일본으로 퇴각하고, 원양 능력이 없는 하천 포함은 상하이에 집결 후 무장이 해제되고, 제3함대는 해산되었다.[7]

1908년 12월 24일 신해혁명 동안 중국 본토에서 일본의 이익(민간인 및 재산)을 보호하고 (필요한 경우) 긴급 대피를 수행하기 위해 제3함대는 원정군으로 부활했다. 주된 활동 지역이 남중국해였기 때문에 "남중국 함대"라는 별명이 붙었다. 소속 순양함들은 양쯔강 및 중국의 다른 주요 강을 순찰했으며, 본부는 상하이 일본 조계에 있었다. 1915년 12월 25일에 해체되었다.[7]

4. 3. 1915년 12월 25일

가타오카 시치로 중장이 지휘한 제3함대는 1915년 12월 25일에 해체되었다. 당시 제3함대의 부대별 구성은 다음과 같다.

부대구성 함선
제5전대카시마, 히젠, 시키시마
제6전대쓰시마, 니이타카, 아키츠시마, 아카시
제3수뢰전대카스가, 제5구축대, 제14구축대


4. 4. 중일 전쟁

1937년 7월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 해군은 제3함대를 증강하였다.[4][5] 같은 해 10월 20일, 제4함대가 재소집되고 지나방면함대가 창설되면서 제3함대 사령관이 지나방면함대 사령관 직책을 겸임하였다.[6][7]

4. 4. 1. 제1차 상하이 사변 이후

1932년 2월 2일, 노무라 기치사부로 중장이 이끄는 제3함대는 제1견외함대, 제3전대, 제1수뢰전대, 제1항공전대를 편성하여 재소집되었다.[16] 1933년 5월 20일, 제3함대는 제10전대, 제11전대, 제5수뢰전대로 재편성되었다. 1937년 7월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제3함대는 증강되었다. 같은 해 10월 20일, 제4함대가 재소집되고 지나방면함대가 창설되면서 제3함대 사령관이 지나방면함대 사령관을 겸임하였다. 1938년 2월 1일, 제5함대가 지나방면함대 소속으로 창설되었다.

중일 전쟁 이외의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지나방면함대를 축소하면서, 중국 전구에 집중하도록 지나방면함대에 양쯔강 삼각주 지대의 제13전대, 상하이 특별근거지대 등의 부대가 전속되었다.

1939년 11월 15일, 제3함대는 제1견지함대로 개편성되었다.[19]

4. 4. 2. 1937년 4월 1일

1937년 7월 중일 전쟁이 발발하면서 제3함대가 증강되었다.[1] 당시 제3함대의 편성은 다음과 같다.

함대포함 함선
제10전대해방함 이즈모, 경순양함 덴류, 다쓰타
제11전대포함 아타카, 도바, 세타, 가타타, 히라, 호즈, 아타미, 후타미, 부설함 야에야마, 구축함 구리, 쓰가, 하스
제5수뢰전대기함 유바리
제13구축대사나에, 구레타케, 와카타케
제16구축대가루카야, 후요, 유가오, 아사가오
부속포함 사가, 제1소해대


4. 4. 3. 지나 사변 이후

1932년 2월 2일, 노무라 기치사부로 중장이 이끄는 제3함대는 제1견외함대, 제3전대, 제1수뢰전대, 제1항공전대를 편성하여 재소집되었다.[1][2] 1933년 5월 20일, 함대평시편제표준에 따라 제3함대는 제10전대, 제11전대, 제5수뢰전대로 재편성되었다.[3]

1937년 7월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제3함대는 증강되었다.[4][5] 같은 해 10월 20일, 제4함대가 재소집되고 지나방면함대가 창설되면서 제3함대 사령관이 지나방면함대 사령관 직책을 겸임하였다.[6][7] 1938년 2월 1일, 제5함대가 지나방면함대 소속 부대로 창설되었다.[8]

중일 전쟁 이외의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3개 함대를 거느리는 지나방면함대를 축소하면서, 중국 전구에 집중하도록 지나방면함대에 양쯔강 삼각주 지대의 제13전대, 상하이 특별근거지대 등의 부대가 전속되었다.[9][10]

1939년 11월 15일, 제3함대는 제1견지함대로 개편되었다.[11][12]

1937년 7월 28일, 제3함대에 편입된 부대는 다음과 같다.

부대명구성
제9전대[17]중순양함 묘코, 경순양함 다마
제3수뢰전대경순 기타가미, 제23구축대(기쿠즈키, 미카즈키, 모치즈키, 유즈키), 제1수뢰대(오토리, 히요도리, 하야부사, 가사사기), 제21수뢰대(지도리, 마나즈루, 도모즈루, 하쓰카리)
제3항공전대[18]수상기모함 가모이, 제28구축대(아사나기, 유나기)


4. 5. 1941년 4월 10일

제3함대는 1941년 4월 10일, 필리핀 침공이라는 특정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남방 작전 함대"라는 명칭을 추가하여 다시 창설되었다.[1] 진주만 공격 당시, 본부는 팔라우에 있었으며, 자바, 보르네오네덜란드령 동인도의 다른 섬들에 대한 침공을 포함하도록 임무가 확대되었다.[1] 1942년 3월 10일, 남서 방면 함대의 지휘하에 제2 남방 작전 함대에게 임무가 인계되었다.[1]

4. 6. 태평양 전쟁

태평양 전쟁에서 제3함대는 필리핀 해전과 레이테 만 해전 등 여러 주요 전투에 참여했다.

1942년 7월 14일, 미드웨이 해전 직후 제3함대는 미국 해군의 항공모함 기동 부대를 본떠 재창설되었다. 이 부대는 쇼카쿠와 즈이카쿠를 중심으로 편성되어 산타크루즈 제도 해전에서 호넷을 격침시켰으나, 일본 해군 최고 조종사들을 잃는 큰 대가를 치렀다.

1944년 3월, 제3함대는 제2함대와 통합되었고, 필리핀 해전에서 항공모함 3척과 항공기 350대 이상을 잃는 참담한 피해를 보았다.

1944년 10월, 레이테 만 해전에서 제3함대는 "북부 부대"로 지정되어 연합군의 필리핀 상륙을 저지하는 작전에 투입되었다. 제3함대는 항공기 대부분을 철수시켜 미 함대를 유인했으나, 엔가뇨 곶 해전에서 항공모함 4척, 경순양함 1척, 구축함 1척을 잃고 사실상 해체되었다. 이후 1944년 12월 15일에 공식적으로 해산되었다.

4. 6. 1. 1941년 12월 8일

필리핀 공략 부대로서 1941년 4월 10일에 편성되었다.[2] 제3함대는 6월 초부터 제2견지함대의 지휘하에 들어가 "해협부대"가 되어 남중국해 연안의 봉쇄에 종사했다. 또한 남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진주 "후호 작전"과 관련하여 제5수뢰전대와 제2근거지대가 "후호 작전 부대"(지휘관 신미 마사카즈 제2견지함대 사령장관)에 편입되었다.

8월 하순의 육해군 협정으로 필리핀과 말레이반도의 동시 진공이 결정되었다. 비도 작전에서는 루손섬 공략을 육군이, 민다나오섬을 해군이 공략하게 되었고, 해군이 육군 수송선단의 호위를 담당하게 되었다. 10월 1일에는 제3함대 기함이 되기 위해 중순양함 아시가라가 제2견지함대로부터 인계되어 제16전대에 편입되었다.

남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진주 후에 신편된 남견함대 (7월 31일 신편, 사령장관 히라타 노보루 해군 중장)가 10월 20일자로 연합함대에 편입되어 말레이 부대로서 말레이반도를 공략하게 되었지만, 제3함대 사령장관과의 선임・후임 관계상 오자와 지사부로 해군 중장이 남견함대 사령장관으로 임명되었다. 제1단계 작전에서는 남방 부대 지휘관 곤도 노부타케 제2함대 사령장관이 작전 전반을 총지휘하고, 비도 부대 지휘관 (비도 공략 성공 후에는 란인 부대 지휘관) 다카하시 이와오 제3함대 사령장관이 비도 부대/란인 부대로서 필리핀 방면 작전과 란인 작전을, 말레이 부대 지휘관 오자와 지사부로 남견함대 사령장관이 말레이 작전을 담당・지휘하게 되었다.

제3함대를 기간으로 하는 비도 부대는 팔라우 제도에서 개전을 기다렸다. 라몬 만의 상륙 지원, 레가스피 공략 작전에 종사했다. 초기의 비도 공략 작전이 성공하자 연합함대는 12월 26일자로 제2기 병력 배치의 발동을 명령했다. 이 조치에 의해 비도 부대의 대부분과 말레이 부대의 일부 부대가 란인 부대로 개편되어 란인 작전에 종사했다. 제3함대 사령장관 다카하시 이와오 중장은 란인 부대 지휘관이 되었다. 제3함대의 일부 병력은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비도 부대로서 필리핀 공략 작전에 종사했다. 이 비도 부대 (경순양함 구마, 포설함 야에야마, 2개 특별 근거지대 등)에서 제3남견함대가 신편되어 비도 방면의 작전을 담당하게 되었다.

1941년 12월 8일 당시 제3함대의 주요 부대 및 기함은 다음과 같다.

부대주요 함선
필리핀 부대
제32특별근거지대
구레 진수부제1, 2특별육전대
사세보 진수부연합특별육전대, 제1특별육전대


참조

[1] 서적 The Russo-Japanese War
[2] 웹사이트 Administrative Order of Battle – 3rd Fleet, Combined Fleet, 7 December 1941 http://niehorster.or[...]
[3] 서적 Leyte, June 1944 – January 1945, vol. 12 of History of United States Naval Operations in World War II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Reprint edition 2004
[4] 서적 The Death of a Navy
[5] 웹사이트 Axis History Database
[6] 웹사이트 第4編 浦塩斯徳港の敵艦隊に対する作戦/第1章 第3艦隊の朝鮮海峡出動 C05110071600
[7] 웹사이트 付表及付図 C05110104100
[8] 서적 比島・マレー方面海軍進攻作戦
[9] 서적 比島・マレー方面海軍進攻作戦
[10] 문서 附属戦力として[[鳳翔]]も加わる
[11] 서적 ミッドウェー海戦
[12] 서적 南雲忠一 空母機動部隊を率いた悲劇の提督 PHP文庫
[13] 서적 空母機動部隊 新人物往来社
[14] 서적 大本営海軍部・聯合艦隊(3)昭和十八年二月まで
[15] 서적 空母機動部隊 新人物往来社
[16] 문서 사변 종결 후, 제1함대로 복귀
[17] 문서 1937년 7월 28일, 전속함.
[18] 문서 1937년 8월 27일, 제20전대를 재편성
[19] 문서 1943년 5월 1일, 전속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