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해병군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해병군수단은 미국 해병대의 군수 지원 부대로, 1958년 5월 1일 오키나와현 캠프 커트니에서 제3전력근무연대로 창설되었다. 베트남 전쟁 참전, 걸프 전쟁, 테러와의 전쟁 등 다양한 작전에 참여했으며, 2005년 10월 28일 현재의 명칭으로 개편되었다. 제3해병기동군을 지원하며, 전투 지원, 보급, 정비, 물자 배분, 장비 배치, 조달 관리를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걸프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단 - 제7군단지원단
제7군단지원단은 미국 육군의 전투 지원 부대로,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걸프 전쟁 등에서 물자 수송, 탄약 보급, 의료 지원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여러 차례 재창설되었다. - 걸프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단 - 제3인사단
제3인사단은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사단으로,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 등에 참전했으며 해체와 재창설을 거쳐 걸프 전쟁에도 참여했으나, 2009년에 최종 해체되었다. -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에 참전한 미국의 단 - 제164전구비행장작전단
제164전구비행장작전단은 대한민국 공군 및 주한 미군 관련 군사 조직으로, 베트남 전쟁 참전, 한미 연합 작전 지원, 이라크 및 아프가니스탄 전쟁 참전 등의 작전 임무를 수행해 왔으며 현재는 캠프 험프리스에 주둔하고 있다. -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에 참전한 미국의 단 - 제1특전단
제1특전단은 미국 육군 특수 부대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된 부대의 후신이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특수 작전 임무를 수행하고, 현재는 다양한 대대와 한국 주둔 부대를 포함하여 대테러 작전을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제3해병군수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창설일 | 1958년 5월 1일 |
소속 | 미국 해병대 |
종류 | 군수 |
역할 | 다기능 전투근무지원 |
규모 | 단 |
상위 부대 | 제3해병원정군 |
주둔지 | 오키나와현 캠프 스매들리 버틀러 |
표어 | Sustaining the Pacific (태평양을 지원한다) |
지휘관 | |
사령관 | 준장 애덤 L. 찰클리 |
주임원사 | 원사 데니스 R. 터너 |
주임병조장 | 병조장 네이선 K. 천 |
참전 | |
주요 전투 | 베트남 전쟁 사막 폭풍 작전 항구적 자유 작전 |
2. 역사
1958년 5월 1일, 오키나와현 캠프 커트니에서 함대해병군, 제3해병사단, 제3전력근무연대로 창설되었다. 1961년 11월에는 캠프 스키란으로 이전하였다.
1965년 8월, 베트남 전쟁 개입으로 제3해병사단이 오키나와에서 분리되어 태평양 해병함대군 사령관의 작전 통제를 받게 되었고, 일부 예하부대가 1966년까지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였다. 1966년 12월 29일, 캠프 스키란의 해병구역은 캠프 포스터로 변경되었다.
1976년 3월 6일, 태평양 함대해병군 제3전력근무지원단으로 개편되었다. 1978년 10월에는 오키나와 마키미나토 보급지구로 이전하였으며, 1980년 1월 21일 마키미나토 보급지구는 캠프 킨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90년대에 들어 예하부대가 여러 작전에 파견되기 시작하였다. 걸프 전쟁의 사막 방패 작전과 사막 폭풍 작전(1990년 8월 ~ 1991년 4월), 필리핀의 격한철야 작전, 방글라데시의 바다천사 작전, 이라크의 안심제공 작전(1991년 4월 ~ 7월), 소말리아의 희망회복 작전(1992년 12월 ~ 1993년 5월)에 참가하였다.
테러와의 전쟁 시작 후, 이라크 자유 작전과 항구적 자유 작전에 참가하였다. 2004년 12월부터 2005년 2월까지는 쓰나미 피해를 입은 스리랑카와 태국을 위한 통합원조 작전에 약 3개월간 참가하였다.
2005년 10월 28일, 제3해병군수단으로 개편되었다.
2. 1. 창설 초기와 베트남 전쟁 (1958년 ~ 1975년)
1958년 5월 1일, 오키나와현 캠프 커트니에서 함대해병군, 제3해병사단, 제3전력근무연대로 창설되었다. 1961년 11월, 캠프 스키란으로 이전하였다.1965년 8월,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으로 제3해병사단이 오키나와에서 떨어져 태평양 해병함대군 사령관의 작전 통제를 받게 되었고, 예하부대 일부가 1966년까지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였다. 1965년 대부분의 기간 동안, 다낭의 제3전력근무연대 군수지원부대는 제3해병사단과 제1해병항공단 소속 약 38,000명의 해병대원에게 군수 지원을 제공했다.[1] 남베트남 장비 노후화로 인해, 태평양 함대 해병대 사령관은 서태평양 지역에서 5단계 정비 및 장비 재건을 수행할 권한을 부여받았다. 1966년부터 1970년까지, 제3전력근무연대는 5단계 정비를 자체적으로 수행하고, 나머지 부분은 장비를 미국으로 반환하는 대신 외주를 주는 방향으로 자금 지원과 지침을 받았는데, 이는 베트남 전쟁의 훌륭한 군수 결정 중 하나로 입증되었다.[2][3] 1966년 12월 29일, 제3전력근무연대가 위치한 캠프 스키란은 캠프 포스터로 이름이 바뀌었다.
2. 2. 제3전력근무지원단 시절 (1976년 ~ 2005년)
1976년 3월 6일, 제3군수지원연대는 해병대의 전투근무지원을 위한 새로운 교리, 조직 및 구조를 시행하면서 제3전력근무지원단(3rd FSSG)으로 재편성되었다.[4] 재편 당시 사령부는 본부 및 지원대대, 정비대대, 지원대대, 수송대대, 의무대대, 공병지원대대, 그리고 4개의 치과 중대로 구성되었다.[4]이후 사령부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
부대 | 위치 |
---|---|
제3물자정비대대 | 캠프 킨저 |
제3치과대대 | 캠프 포스터 |
제3수송지원대대 | 캠프 포스터 |
제3의무대대 | 캠프 한센 |
제9공병지원대대 | 캠프 한센 |
전자정비중대(ELMACO) | 캠프 킨저, 캠프 한센 파견대 |
전투근무지원파견대 76 | 캠프 후지 |
전투근무지원파견대 36 | 해병대 이와쿠니 항공기지 |
전투근무지원단 3 | 해병대 하와이 기지 |
1978년 10월, 제3전력근무지원단은 오키나와의 마키미나토 보급지구로 이전했으며, 1980년 1월 21일 마키미나토 보급지구는 캠프 킨저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2. 3. 제3해병군수단으로 개편 (2005년 ~ 현재)
2005년 10월 28일, 제3군수지원단은 제3해병군수단으로 공식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는 제3해병사단 및 제4해병연대와의 협력 관계를 유지하면서, 해병대 특수 임무 부대(MAGTF) 전반에 걸쳐 향상된 군수 지원 능력을 제공하기 위한 조치였다.[1]2005년 1월 초, 제3해병군수단(3d FSSG)의 일부 병력은 쓰나미 구호 활동인 Operation Unified Assistance을 지원하기 위해 스리랑카와 인도네시아에 신속하게 배치되었다.[1]
2005년 10월 8일, 파키스탄 북서 변경주를 강타한 규모 7.6의 카슈미르 지진으로 거의 10만 명이 사망하고 약 300만 명의 파키스탄인이 집을 잃은 후, 제3해병 원정군은 제3해병군수단(3d FSSG)의 병력(약 240명의 해병대원과 수병)을 파견하여 인도주의적 구호팀을 구성했으며, 이 팀은 나중에 작전명 LIFELINE (파키스탄 지원 합동 의료 구호팀-3(CMRT-3))으로 명명되었다. CMRT-3는 파키스탄 히말라야 산기슭에 외과 병원을 설치하고 파키스탄 군대, NGO, 정부 기관 및 UN과 협력하여 생명을 구하고 복구 노력을 지원했다. 15,000명 이상의 파키스탄인이 치료를 받았고 2006년 3월 7일까지 약 2948348.00kg 이상의 구호 물품이 제공되었으며, CMRT-3는 일본 오키나와로 재배치되었다.[1]
3. 부대
1976년 당시 제3해병군수단은 다음과 같은 부대로 구성되어 있었다.[4]
부대 | 위치 |
---|---|
제3물자정비대대 | 캠프 킨저 |
제3치과대대 | 캠프 포스터 |
제3수송지원대대 | 캠프 포스터 |
제3의무대대 | 캠프 한센 |
제9공병지원대대 | 캠프 한센 |
전자정비중대(ELMACO) | 캠프 킨저 |
전자정비중대 파견 분대 | 캠프 한센 |
전투근무지원파견대 76 | 일본 캠프 후지 |
전투근무지원파견대 36 | 일본 MCAS 이와쿠니 |
전투근무지원단 3 | 해병대 하와이 기지 |
3. 1. 현재
2024년 3월 현재 제3해병군수단 구성은 다음과 같다.[6]부대 |
---|
제3전투군수연대 |
제37전투군수연대 |
제3정비대대 |
제3유지지원단(실험) |
제3의무대대 |
제3치과대대 |
제9공병지원대대 |
3. 2. 과거 부대 (1976년 기준)
부대 | 위치 |
---|---|
제3물자정비대대[4] | 캠프 킨저 |
제3치과대대[4] | 캠프 포스터 |
제3수송지원대대[4] | 캠프 포스터 |
제3의무대대[4] | 캠프 한센 |
제9공병지원대대[4] | 캠프 한센 |
전자정비중대(ELMACO)[4] | 캠프 킨저 |
전자정비중대 파견 분대[4] | 캠프 한센 |
전투근무지원파견대 76[4] | 일본 캠프 후지 |
전투근무지원파견대 36[4] | 일본 MCAS 이와쿠니 |
전투근무지원단 3[4] | 해병대 하와이 기지 |
4. 임무
제3해병기동군(III MEF)의 원정 특성과 전투력을 강화하고 보존하기 위해 전투 지원(CSS), 중간 수준의 보급, 야전 수준의 정비, 물자 배분, 장비 배치, 조달 관리를 수행하여 배치된 해병대 항공지상임무부대(MAGTF)를 지원하는 다기능 전투 지원 부대이다.[1]
5. 표창
해군부대표창
(Two Bronze Stars)

공훈부대표창
베트남 (Two Bronze Stars)
국가방위근무
(Two Bronze Stars)

테러와의 전쟁 복무훈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