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501군사정보여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501군사정보여단은 미국 육군 정보보안사령부(INSCOM) 예하의 군사정보여단으로, 한국에서 임무를 수행한다. 한국 전쟁 중인 1950년 10월 13일에 제501통신정찰단으로 창설되어, 통신 정찰 임무를 수행했다. 이후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1986년 여단으로 승격되었으며, 아프가니스탄에서 작전 지원 임무를 수행하기도 했다. 현재는 험프리스 기지를 중심으로 여러 예하 부대를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육군의 군사정보여단 - 제500군사정보여단
    제500군사정보여단은 1952년 창설되어 극동사령부 예하 한국 전쟁 참전 부대 지원으로 시작, 냉전 시대 소련 및 공산권 정보 수집 및 분석을 거쳐 현재 미 육군 태평양 사령부 지원과 한반도 안보에 기여하는 미국 육군 정보 부대이다.
  • 미국 육군의 군사정보여단 - 제201원정군사정보여단
    제201원정군사정보여단은 1987년 창설된 미국 육군의 군사정보여단으로, 제2차 세계 대전, 6.25 전쟁, 이라크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등 다양한 전역에 참전했다.
  • 1957년 폐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화선전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화선전성은 1948년 북한 내각에 설치되어 문화예술 정책을 총괄하다 1957년 폐지되었으며, 허정숙이 초대 문화선전상을 맡아 로동신문, 민주조선, 국립민족예술극장 등을 통해 문화예술을 체제 선전과 인민 교화의 도구로 활용했다.
  • 1957년 폐지 - 제7공군
    제7공군은 한반도 방어를 임무로 하는 미국 태평양 공군 예하 부대로, 오산 공군기지 등을 중심으로 전투기를 운용하며 한반도 유사시 작전 수행 및 연합 작전을 수행하고, 사령관은 주한 미군 부사령관 등을 겸임한다.
  • 평택시 소재의 관공서 - 평택해양경찰서
    평택해양경찰서는 서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으로 여러 부서와 파출소, 출장소를 관할하며 해상 치안 유지, 해양 사고 구조 및 예방, 해양 환경 보호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이다.
  • 평택시 소재의 관공서 - 제7항공통신전대
    제7항공통신전대는 대한민국 공군 유일의 정보통신 부대로, 항공 작전, 훈련, 행사 지원, 통신 건설 및 사이버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투 부대를 지원하며, 1955년 창설되어 현재의 명칭으로 개편되었고, 전술이동통신대대, 통신전자정비대대, 기지지원대대로 구성되어 있다.
제501군사정보여단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부대 이름제501군사정보여단
원어 이름501st Military Intelligence Brigade
별명Red Dragons (붉은 용)
표어Strike with fire (불로 타격한다)
창설일1950년 10월 20일
해체일1957년 10월 15일 (해체 후 재창설)
재창설일1978년 1월 1일
소속 국가미국
소속 군미국 육군
병과군사정보대
종류군사정보여단
역할북한에 대한 첩보, 감시, 정찰
규모5개 대대
명령 체계미국 육군 정보보안사령부
주둔지경기도 평택시 캠프 험프리스
부대 색상붉은색과 검은색
마스코트드래곤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지휘관
여단장대령 Brian Tinklepaugh
주임원사CSM Michael Dawley
부대 휘장
견장 패치
부대 표식[[File:501 MI BDE DUI.png|100px]]
전투 및 훈장
참전6.25 전쟁
훈장대한민국 대통령 부대표창, 부대표창

2. 역사

1950년 10월 13일, 501 통신정찰대대 본부중대(HHC)로서 정규군에 편성되어, 같은 해 10월 20일 버지니아주 캠프 피케트에서 활동을 개시하고 미국 육군 보안국(ASA)에 배속되었다. 1951년 5월 28일, 501대대는 한국 부산으로 이동하기 위해 캘리포니아주 캠프 스토우먼으로 이동했다.[1]

1951년 6월 25일 부산에 도착하여 인천으로의 해상 수송을 기다리며 부산 집결지역에서 나흘을 보냈다. 501대대는 7월 1일 인천에 도착했고, 대대 본부는 서울 경기중학교의 전쟁으로 피해 입은 본관 건물로 이동했다. 7월 15일까지 501대대는 한국 내 모든 ASA 부대의 행정 및 작전 통제권을 인수했다.[1]

1956년 1월 28일, 501 통신정찰대대는 501 ASA 대대로 재지정되었다. 1965년 7월 1일, 501 ASA 대대는 비활성화되었고, 그 인원과 임무는 ASA 내 전 세계적 재편성의 일환으로 전술 부대 지원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TDA 조직인 508 USASA 대대로 이관되었다.[1]

1978년 1월 1일, 501 ASA 대대 본부중대(HHC)는 501 군사정보대대 본부중대로 재지정되어 한국 용산에서 활동을 개시했다. 이 대대는 1977년 4월 1일 캠프 코이너에서 편성된 임시 501 군사정보대대(임시)를 대체했으며, 이는 개별 분야를 하나의 조직으로 통합한 육군 정보부 내 주요 재편성의 일환이었다.[1]

501 군사정보여단 예하 524 군사정보대대는 아프가니스탄에서 작전 영구 자유 작전 지원을 위해 부대를 파병하여 NATO와 대한민국 육군 부대 간 작전을 지원했다. 이들 부대의 마지막 병력은 2013년 초에 귀환했다.

2. 1. 한국 전쟁

한국 전쟁 발발 4개월 뒤인 1950년 10월 13일, 미국 육군 보안국(ASA)은 한반도 전역에 전개한 모든 ASA 부대를 통제하기 위한 부대를 구상하였다. 1주일 뒤인 10월 20일에 미국 본토 버지니아주 캠프 피케트에서 제501통신정찰단을 창설하였다.[1]

1951년 5월 28일, 제501통신정찰단은 캘리포니아주 캠프 스톤먼으로 이동하여 한반도로 가는 수송선을 타고 약 6월 25일에 부산항에 도착하였다. 7월 1일, 인천항으로 이동하여 7월 15일에 서울 경기중학교 주 건물에 지휘소를 설치하고 임무를 시작하였다.[1]

1953년 7월 적대 행위가 끝날 때까지, 제501통신정찰단에는 3개 대대와 5개 중대가 배속되어 있었다. 예하 부대에 수여된 수많은 표창 외에도, 제501통신정찰단은 공로부대표창(1951년 7월 1일~1953년 7월 27일),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표창(1951년 7월 15일~1953년 4월 30일)을 받았으며 6개 작전에 참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1]

2. 2. 전쟁 이후

1953년 7월, 제501군사정보여단의 예하 조직은 3개 대대와 5개 중대로 재편성되었다.[1] 1956년 1월 28일, 제501통신정찰단은 제501육군보안청단으로 개편되었다.[1] 1957년 10월 15일, 제501육군보안국단은 해체되었고, 그 인원과 임무는 제508보안단에 계승되었다.[1]

1977년 4월 1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캠프 코이너에서 임시로 재소집되었다.[1] 1978년 1월 1일, 보안국이 정보보안사령부(INSCOM)로 대체됨에 따라 제501보안국단은 제501군사정보단으로 재구성되었다.[1] 1986년 10월 16일, 육군 가이드라인에 따라 여단으로 승격되었다.[1]

3. 부대 구성

제501군사정보여단의 현재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

한국 전쟁 당시 제501통신정찰단 예하 부대(1953년 7월 정전 협정 체결 시까지)는 다음과 같다.[1]

부대명역할
제351통신정찰중대제8군 지원
제352통신정찰중대제8군 지원
제303통신정찰대대
제326통신정찰중대제1(I)군단 지원
제304통신정찰대대
제329통신정찰중대제9(IX)군단 지원
제301통신정찰대대
제330통신정찰중대제10(X)군단 지원


3. 1. 현재


  • 캠프 험프리스 주둔 부대
  • * 제3군사정보대대 (항공 첩보)
  • * 제524군사정보대대
  • * 제532군사정보대대 (작전)
  • * 제719군사정보대대 (지원)
  • 캘리포니아주 캠프 파커스 주둔 부대
  • * 제368군사정보대대 (연방 예비군)

'''제501군사정보여단''' 사령부 및 사령부 중대는 캠프 험프리스에 있다.

3. 2. 한국 전쟁 당시

한국 전쟁 발발 4개월 뒤인 1950년 10월 13일, 미국 육군 보안국(ASA)은 한반도 전역에 전개한 모든 ASA 부대를 통제하기 위한 부대를 구상하였다. 1주일 뒤인 10월 20일에 미국 본토 버지니아주 캠프 피케트에서 제501통신정찰단을 창설하였다.[1]

제501통신정찰단은 이듬해 1951년 5월 28일에 캘리포니아주 캠프 스톤먼으로 이동하여 그곳에서 한반도로 가는 수송선을 타고 약 6월 25일에 부산항에 도착하였다. 7월 1일, 다시 배를 타고 인천항으로 이동하여 7월 15일에 서울 경기중학교 주건물에 지휘소를 설치하고 임무를 시작하였다.[1]

1953년 7월 정전 협정 체결 시까지, 3개 대대와 5개 중대가 제501통신정찰단에 배속되어 있었다. 예하 부대에 수여된 수많은 표창 외에도, 제501통신정찰단은 공로부대표창(1951년 7월 1일~1953년 7월 27일),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표창(1951년 7월 15일~1953년 4월 30일)을 받았으며 6개 작전에 참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1]

당시 제501통신정찰단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았다.[1]

부대명역할
제351통신정찰중대제8군 지원
제352통신정찰중대제8군 지원
제303통신정찰대대
제326통신정찰중대제1(I)군단 지원
제304통신정찰대대
제329통신정찰중대제9(IX)군단 지원
제301통신정찰대대
제330통신정찰중대제10(X)군단 지원


4. 계보


  • 1950년 10월 13일, 정규군에 제501통신정찰단(501st Communication Reconnaissance Group) 본부 및 본부중대로 배정되었다.
  • 1956년 7월 1일, 제501육군보안청단(501st Army Security Agency Group) 본부 및 본부중대로 재편성되었다.
  • 1978년 1월 1일, 제501군사정보단(501st Military Intelligence Group) 본부 및 본부중대로 재편성되었다.
  • 1986년 10월 16일, 제501군사정보여단(501st Military Intelligence Brigade) 본부 및 본부중대로 재편성되었다.[1]
  • 1992년 10월 16일, 제501군사정보여단 본부 및 본부분견대로 재편성되었다.
  • 1995년 11월 16일, 제501군사정보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로 재편성되었다.

5. 주요 활동 및 임무

501st Military Intelligence Brigade영어는 한반도 내에서 다양한 정보 수집 및 분석 임무를 수행한다.

501 군사정보여단은 1950년 10월 13일, 501 통신정찰대대(501st Communication Reconnaissance Group) 본부중대(HHC)로 창설되어 버지니아주 캠프 피켓에서 활동을 시작했다.[1] 1951년 5월 28일, 한국 전쟁 발발로 부산으로 이동하였고, 7월 1일 인천에 도착하여 서울 경기중학교에 본부를 설치했다. 7월 15일, 한국 내 모든 육군 보안국(ASA) 부대의 행정 및 작전 통제권을 인수했다.[1]

1953년 7월 휴전 협정 체결 시까지 3개 대대와 5개 중대를 지휘하며 6개 작전에 참여했다. 이 기간 동안 공로부대표창(1951년 7월 1일~1953년 7월 27일)과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표창(1951년 7월 15일~1953년 4월 30일)을 수상했다.[1]

1956년 1월 28일, 501 통신정찰대대는 501 ASA 대대로 재지정되었다. 1965년 7월 1일 해체되었고, 인원과 임무는 508 USASA 대대로 이관되었다.[1]

1978년 1월 1일, 501 ASA 대대 본부중대는 501 군사정보대대(501st Military Intelligence Group) 본부중대로 재지정되어 한국 용산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1986년 10월 16일, 여단으로 승격되었다.[1]

예하 524 군사정보대대는 아프가니스탄에서 작전 영구 자유 작전 지원을 위해 부대를 파병하여 NATO와 대한민국 육군 부대 간 작전을 지원했다. 이들 부대의 마지막 병력은 2013년 초에 귀환했다.

6. 수상 내역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1951년 7월 15일 ~ 1953년 4월 30일미국 육군부 일반명령 제53-76호[2]


공로부대표창1951년 7월 1일 ~ 1953년 7월 27일미국 육군부 일반명령 제53-78호[3]


참조

[1] 웹사이트 501ST MI BDE History http://8tharmy.korea[...] 2014-12-30
[2] 웹인용 General Orders No. 76 https://armypubs.arm[...] Department of Army 2023-08-21
[3] 웹인용 General Orders No. 78 https://armypubs.arm[...] Department of Army 2019-1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