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기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산기지는 1595년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의 후방병참기지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청군, 일본군, 미군이 주둔하며 군사 기지 역할을 해왔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군 사령부가 위치했으며, 1945년 미군이 접수한 후 주한미군 사령부로 사용되었다. 2003년 한미 양국은 용산기지의 평택 이전을 합의했고, 2018년 주한미군사령부의 평택 이전이 완료되었다. 현재는 용산기지 부지를 용산공원으로 조성하는 계획이 진행 중이며, 과거 주둔 부대와 시설, 환경 문제, 평가 및 전망에 대한 정보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용산구 - 효창공원
효창공원은 조선 시대 문효세자의 묘에서 시작하여 일제강점기에는 일본군 시설이 있었고, 현재는 독립운동가들의 묘역을 중심으로 공원, 운동 시설, 기념관 등이 공존하며 사적 제330호로 지정되었다. - 서울 용산구 - 용산가족공원
용산가족공원은 임진왜란 이후 군사 기지로 사용되다가 주한 미군 기지로 사용되던 부지를 서울특별시에서 인수하여 조성한 공원으로, 잔디밭, 연못, 산책로를 갖추고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며 국립중앙박물관과 인접해 있다. - 주한 미국 육군의 기지 - 캠프 킴
캠프 킴은 서울 용산에 위치한 주한미군 기지로, 서울시가 부지 매입 후 행정타운 조성을 계획했으나, 현재는 다양한 주한미군 부대가 주둔하고 있다. - 주한 미국 육군의 기지 - 캠프 코이너
캠프 코이너는 바르버 미니몰과 코이너 미니몰을 포함한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이 미니몰들에는 세탁소와 안토니의 피자를 포함한 다양한 상점들이 입점해 있다. - 1952년 설립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1952년 설립 - 한국성서대학교
한국성서대학교는 1952년 한국성서학원으로 설립되어 여러 차례 교명 변경을 거쳐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으며, 서울 노원구에 위치하며 학부,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고, 7개국 대학과 학술 교류 협정을 체결하고 있다.
용산기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 용산 미국 육군 기지 |
다른 이름 | U.S. Army Garrison Yongsan 용산기지 龍山基地 |
별칭 | The Army's Home in Korea |
위치 | 서울특별시 용산구 |
소속 | 태평양 시설 관리 사령부 미국 육군 시설 관리 사령부 |
관할 | 미국 제8군 |
모토 | Sustain, Support, Defend! We are The Army's Home in Korea! |
색상 | 빨강 녹색 검정 금색 |
웹사이트 | 미국 육군 용산 기지 |
역사 | |
설립일 | 2006년 10월 |
사용 | 청나라군(1882~1895) 일본 제국 육군(1895~1945) 주한 미군(1953~2022) |
해체 예정 | 2027년 |
규모 | |
면적 | 약 2.5km²(630 에이커) |
기타 | |
개방 | 부분 개방 |
2. 역사
용산 기지는 전통적으로 군사 시설이 있던 곳이다. 1882년 임오군란 당시 청나라 군대가 이곳을 사용했고, 이후 서울시가 확장되면서 용산 기지를 둘러싸게 되었다.
1945년 일본이 패망하면서 미군이 일본의 군사 시설이 있던 이곳을 접수했고, 보병 제7사단을 주둔시켰다. 1949년 미군은 병력을 철수했다가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다시 복귀했고, 1953년 8월 15일에 이곳에 재입주하였다.[72] 이후 용산 기지는 주한미군이 용산 미군기지(USAG-용산)로 사용해 왔으며, 주한미군 기지 관리 사령부 태평양 지역의 감독을 받았다.[1]
1992년 11월, 골프장을 포함한 약 297,000제곱미터(77에이커)의 토지가 용산가족공원과 국립중앙박물관 부지로 서울시에 반환되었다.
2003년 4월, 한국과 미국은 용산 기지를 서울 중심부 밖으로 조기 이전하기로 합의했다.[9] 2008년 8월,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아시아 마지막 방문의 일환으로 용산 기지에서 연설하면서, 미국은 한국에 군대를 계속 주둔시키는 한편 일부 기지를 한국에 반환할 것이라고 말했다.[23][32] 2009년 2월,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은 첫 해외 공식 방문에서 용산 기지에 있는 연합군사령부 사령부를 방문했다.[25]
2009년 ''코리아타임스''는 국방부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하여 한국과 미국이 2014년까지 용산에 있는 미군 본부를 경기도 평택의 확장된 군 기지로 이전하는 데 합의했다고 보도했으나, 이 계획은 여러 차례 연기되었다.[10]
한국은 서울이 비무장지대(DMZ)에서 불과 약 65km 떨어져 있기에, 전통적으로 이 기지를 미군이 서울을 포기하는 것에 대한 보험으로 여겨왔다. 이전 계획과 DMZ 근처 미군 철수 계획의 일환으로, 모든 미군은 한강 북쪽에서 철수할 것이나, 2014년 12월 한국과 미국 간의 합의에 따라 미군 1개 여단이 "한강 북쪽"에 남아 있도록 허용되었는데, 이는 현재 미군 케이시 캠프( 동두천시)에 있거나 그 근처에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주한 미국 대사관은 미군이 비울 예정인 토지의 일부에 새로운 대사관 청사를 건설할 수 있다.
주한미군(USFK) 관계자와 한국 민간인 등 수많은 사람들이 용산기지에서 생활하고 일해 왔기에, 용산기지는 한국 사회와 발전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역사학자들은 용산의 역사를 기록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음악, 예술, 요리, 의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용산이 미친 영향을 추적하여 용산 레거시(Yongsan Legacy) 프로젝트에 담고 있다.[60]
2. 1. 조선 및 대한제국 시기
이곳은 1595년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의 후방병참기지로 건설되었다고 하며, 1882년 임오군란을 진압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선에 파병된 청군 3천 명이 주둔하였다.[61] 1884년 갑신정변 때는 일본군이 주둔했다. 이후 일본이 청일전쟁, 러일전쟁에서 승리하면서 한반도에 일본군을 진주시키기 시작했고, 그중 20사단을 이곳 용산에 주둔시키게 되었다. 20사단이 주둔한 이곳은 향후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일제 조선군 본부가 위치하게 된다.2. 2. 일제강점기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한반도에 일본군을 주둔시키기 시작했다. 1904년 러일 전쟁 당시 일본군은 용산의 토지 약 300만 평을 매입하여 병영을 설치했다. 일본군 20사단이 용산에 주둔하였으며,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일제 조선군 본부가 위치하였다. 이 기지는 일본 제국 육군의 주둔지로 사용되었고, 조선군 사령부 등이 설치되었다.[61]임진왜란 때 일본군의 후방병참기지가 건설되었다고 하며, 1882년 임오군란을 진압하기 위해 조선에 파병된 청군 3천 명이 주둔했고, 1884년 갑신정변 때는 일본군이 주둔했다. 13세기 고려 말기에 몽골군이 용산을 병참기지로 이용했다는 기록도 있다.[61]
2. 3. 미군정 및 대한민국 시기
1945년 일본이 패망하면서 미군이 일본의 군사 시설이 있던 이곳을 접수했고, 보병 제7사단을 주둔시켰다. 1949년 미군은 병력을 철수했다가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다시 복귀했고, 1953년 8월 15일에 이곳에 재입주하였다.[72]용산 기지는 주한미군이 용산 미군기지(USAG-용산)로 사용해 왔으며, 주한미군 기지 관리 사령부 태평양 지역의 감독을 받았다.[1]
1992년 11월, 골프장을 포함한 약 297,000제곱미터(77에이커)의 토지가 용산가족공원과 국립중앙박물관 부지로 서울시에 반환되었다.
2003년 4월, 한국과 미국은 용산 기지를 서울 중심부 밖으로 조기 이전하기로 합의했다.[9]
2008년 8월,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아시아 마지막 방문의 일환으로 용산 기지의 콜리어 필드 하우스에서 주한미군 및 한국군 장병, 가족, 민간 직원들에게 연설했다.[23][32] 부시 대통령은 연설에서 "이 한반도에서 총성이 멎고 휴전 협정이 체결된 지 55년이 지났고, 그 이후로 우리 군대는 평화를 유지해 왔습니다. 우리 두 나라는 강력한 동맹을 구축했습니다."라고 말했다.[23] 그는 또한 미국은 한국에 군대를 계속 주둔시키는 한편 일부 기지를 한국에 반환할 것이라고 말했다.[32]
2009년 2월,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은 첫 해외 공식 방문에서 용산 기지에 있는 연합군사령부 사령부에서 고위 미군 및 한국군 지휘관들을 방문했다.[25]
2009년 ''코리아타임스''는 국방부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하여 한국과 미국이 2014년까지 용산에 있는 미군 본부를 경기도 평택의 확장된 군 기지로 이전하는 데 합의했다고 보도했다.[10] 이 계획은 2018년으로 연기되었다.[11] 2018년 추산에 따르면 이전은 2019년 또는 2020년에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12][13]
한국은 전통적으로 이 기지를 미군이 서울을 포기하는 것에 대한 보험으로 여겨왔다. 서울은 비무장지대(DMZ)에서 불과 약 65km 떨어져 있다. 이전 계획과 DMZ 근처 미군 철수 계획의 일환으로, 모든 미군은 한강 북쪽에서 철수할 것이다. 2014년 12월 한국과 미국 간의 합의에 따라 미군 1개 여단이 "한강 북쪽"에 남아 있도록 허용되었는데, 이는 현재 미군 케이시 캠프( 동두천시)에 있거나 그 근처에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주한 미국 대사관은 미군이 비울 예정인 토지의 일부, 아마도 코이너 캠프에 새로운 대사관 청사를 건설할 수 있다. 대부분의 주한 미국 대사관 직원들은 용산 기지에 거의 완전히 둘러싸여 있고 직접 접근할 수 있는 대사관 주택 단지에 거주한다.
주둔지의 주요 주택 지역[41]에는 로링 빌리지, 로이드 L. 버크 타워, 와킨스 리지, 크지조프스키 힐스가 있다.[42]
이름 | 설명 |
---|---|
로링 빌리지 | 16개의 주택 구조물 (각각 여러 주택 단위 포함), 한국 전쟁 중 전공으로 사후에 명예훈장을 받은 미 공군 찰스 로링 소령[22]의 이름을 따서 명명. |
로이드 L. 버크 타워 | 2개의 5층 타워, 3개, 4개, 5개의 침실이 있는 단위와 야외 바비큐장, 농구장, 지하 주차 시설. 한국 전쟁 중 전공으로 명예훈장을 받은 육군 로이드 L. 버크 중위[22]의 이름을 따서 명명. |
와킨스 리지 | 23개의 주택 구조물 (각각 여러 주택 단위 포함), 한국 전쟁 중 전공으로 사후에 명예훈장을 받은 육군 트래비스 와킨스 상사[22]의 이름을 따서 명명. |
크지조프스키 힐스 | 10개의 주택 구조물 (각각 여러 주택 단위 포함), 한국 전쟁 중 전공으로 사후에 명예훈장을 받은 육군 에드워드 크지조프스키 대위[22]의 이름을 따서 명명. |
동반하지 않은 군인은 병영, 독신 병사 숙소(BEQ), 고참 병사 숙소(SEQ) 또는 독신 장교 숙소(BOQ)와 같은 부대 내 독신자 숙소에 배정된다. 부대 내 숙소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 동반하지 않은 군인은 부대 외부 숙소에 배정된다.
2. 4. 용산기지 이전 및 반환
2003년 대한민국과 미국은 용산기지를 서울특별시 외곽으로 이전하기로 합의하였다.[9] 2004년 용산기지와 그곳에 주둔하는 미군 장병 약 8천 명을 경기도 평택시 캠프 험프리스로 이전하는 계획이 확정되었다.[62] [63] 이전 계획은 여러 차례 연기되었으나,[64] 2017년 주한미8군사령부,[65] 2018년 주한미군사령부가 평택으로 이전하며 본격화되었다.[66] 2022년 한미연합군사령부까지 캠프 험프리스로 이전하면서 용산기지의 주요 기능 이전은 완료되었다.[70]캠프 코이너, 캠프 킴 등을 포함한 용산 기지 부지는 서울특별시에 단계적으로 반환될 예정이다.[75] 2018년 국토교통부, 서울시청, 용산구청은 용산기지 부지를 용산국립공원으로 조성하기 위한 시민 투어를 시작하였다.[76] 다만, 주한 미국 대사관 예정 부지, 드래곤 힐 로지, 헬기장, 출입 및 방호 시설은 미국 측이 계속 사용할 예정이다.[75]
3. 시설
용산 기지는 이태원로를 기준으로 북쪽의 '메인 포스트'와 남쪽의 '사우스 포스트'로 나뉜다. 메인 포스트 북쪽 끝자락에는 캠프 코이너가 있고, 인근에 캠프 킴이 있다. 용산 기지는 2.55km2 면적 안에 44만m²의 건물 부지와 드래곤 힐 로지 호텔, 골프장 등이 있었다.[39]
용산 기지의 오래된 벽돌 건물들은 대부분 과거 일본군 건물이며, 현재는 미군, 특히 제8군 사령부 건물로 사용되고 있다. 제8군 사령부 맞은편에는 1970년대 초에 건설된 한미연합군사령부와 주한미군 사령부가 있다. 이 건물에는 유엔군사령관, 연합군사령관, 주한미군사령관이 상주한다.
기지 내에는 여러 가족 주택 지역, 대형 PX[14]와 미군 교환소[15], 미 육군 가족 및 사기, 복지 및 레크리에이션 시설[16], 식당, 실내외 스포츠 시설, 도서관, 볼링장, 스케이트보드 공원, 미니 골프장, 병원, 치과, 국방부 산하 학교 3곳, (USO), 어린이 발달 센터, 실내외 수영장, 자동차 정비 센터, 셀프 주유소가 있다.[39] 또한, 주한미군 및 그 가족, 손님들을 위해 미 육군이 군사 레크리에이션 센터로 운영하는 드래곤 힐 로지도 있다.[17]
2003년에는 교통 체증 해소를 위해 이태원로 위에 2차선 고가도로가 건설되었다.[18]
한국 전쟁 중 명예훈장을 받은 존 콜리어 병장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22] 콜리어 필드 하우스[21]는 기지의 주요 체력 단련 시설이다. 이 스포츠 단지는 용산 남부 기지에 있으며 농구, 래켓볼, 배구, 야구, 소프트볼, 에어로빅, 웨이트 트레이닝 시설을 갖추고 있다. 또한, 지역 사회 행사와 타운홀 미팅에도 사용된다.[23]
마당과 가로수가 있는 단독주택형 교외식 주택 지역과 기지 전체에 있는 작은 숲 지역은 시설 주변의 고도로 도시화된 지역과 뚜렷한 대조를 보인다.
한국전쟁기념관은 기지에 바로 인접해 있다. 이 박물관 건설 전에는 이 땅이 한국군 사령부의 일부였고, 미국 육군 시설과 약간만 분리되어 있었으며, 둘 다 원래 일본군 주둔지의 일부였다. 기지 외부, 기지 동쪽에는 서구식 쇼핑과 유흥이 있는 이태원 상업 지구가 있다. 용산 서쪽에는 삼각지역과 용산전자상가가 있다.
기지 출입구에서 출입이 통제되지만, 2017년 12월 22일까지 용산 기지에서 북한의 선전물(전단과 CD)이 대량으로 투하되는 경우가 있었다. 미군은 직접 선전물을 취급하지 말고 제8군 G2X(방첩부대)에 보고하라는 경고를 받았다.[24]
3. 1. 캠프 코이너
캠프 코이너는 용산 기지의 북쪽 외곽에 있는 구역으로, 과거 제17항공여단 본부와 제8헌병여단이 있었다. 2008년 개편 이후, 제17항공여단은 해산되었고, 제8헌병여단은 하와이주의 Schofield Barracks|스코필드 막사영어로 옮겨갔다. 현재는 작은 쇼핑센터와 복지 시설이 있다.[39]캠프 코이너는 한국 전쟁에서 은성훈장을 받은 랜덜 코이너 중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캠프 내에는 장교 클럽, 부사관 클럽, 병사 클럽이 있었다.
3. 2. 캠프 킴
캠프 킴은 용산기지 인근에 있는 군영이다. 제1통신여단, 주한 미군 특수작전사령부가 이곳에 있었다. 또한, 연합 서비스 조직(USO), 육군 및 공군 면세점(AAFES)도 캠프 킴에 있었다.[57] [58]USO 시설은 식당, 여행 및 티켓 사무소, 미덕 개발 프로그램, 이웃돕기 프로그램, 대형 스크린 TV 라운지로 구성되어 있었다. 미덕 개발 프로그램과 이웃돕기 프로그램은 한국 학생들에게 영어를 가르쳐 문화 간 이해를 돕는 사회 봉사 프로그램이었다.
3. 3. 브라이언 올굿 육군 지역병원
브라이언 올굿 육군 지역병원(Brian Allgood Army Community Hospital영어)은 용산기지 남쪽에 있었으며, 제65의무여단의 제121전투지원병원(121st CSH영어)에서 운영하였다. 2018년 11월 15일, 캠프 험프리스에 새로운 브라이언 올굿 육군지역병원이 개원하면서 이전하였다.[78]
1971년 6월 14일, 캠프 마켓에 주둔하던 제121후송병원은 부지 축소로 인해 용산기지 남부에 새로 지은 305병상 규모의 병원으로 이전하였다.[79] 1994년 4월 16일, 제121후송병원은 제121종합병원으로 개편되었다.
2008년 6월 30일, 이라크 전쟁에서 순직한 브라이언 D. 올굿 대령(Brian D. Allgood)의 이름을 따서 병원 이름을 변경하였다. 올굿 대령은 2004년 6월부터 2006년 6월까지 서울 육군병원에서 근무한 후, 이라크 다국적군(MNF-I)의 외과장으로 이라크에 배치되었다. 2007년 1월 20일, 올굿 대령과 부상병을 태운 UH-60 블랙호크 헬기가 로켓 공격으로 격추되어 사망하였다.[80]
3. 4. 국방부 부속학교
서울미국인고등학교(SAHS)는 용산기지 안에 설립되어 1959년에 개교하였으며, 2019년 6월 3일에 공식적으로 폐교하였다.[81] 용산기지에는 서울미국인중학교(SAMS)와 서울미국인초등학교(SAES)도 있었다.[54]2008년, 학생 수 증가에 따라 SAMS 캠퍼스에 약 약 733.93m2 규모의 교실 건물이 신축되었다.[55] 새 건물의 6개 교실(각각 약 84m2)은 최대 170명의 국방부 교육지원학교 학생들을 수용할 수 있다.[55] SAES 캠퍼스는 7개의 건물과 식당으로 구성되어 있다.[54] 본관에는 초등 교실, 정보센터, 돌핀 극장, 컴퓨터 실이 있다. 3학년, 4학년, 5학년 교실과 일부 유치원 교실은 별도 건물에 위치해 있다.[54] SAES는 DoDDS에서 가장 큰 학교 중 하나이며, 학업 성취도가 매우 높은 학교로 평가받고 있다. 서울미국인초등학교에는 약 1,100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며, 90명 이상의 교사, 20명의 교육 보조원, 10명의 사무직원으로 구성된 교직원들이 있다.[54] 학교 교육과정은 미국 국가 표준을 기반으로 하며, 미술, 음악, 체육, 컴퓨터, 한국 문화 등의 특별 수업이 포함되어 있다.[54]
4. 주둔 부대 (과거)
- 주한 미군 사령부
- 한미연합군사령부
- 유엔사령부
- 주한 육군 계약사령부
- 제8군 본부 및 본부대대, 한국군 지원대대
- 제501군사정보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
- 미국군 네트워크 주한 본부[82]
- 미국 육군 공병대 극동지부 본부
- 제1통신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
- 제175재무관리소
- 제19헌병대대 범죄수사분견대 한국 지부사무실
- 제25수송대대

5. 환경 문제
Seoul영어특별시는 2004년부터 녹사평역 등 용산기지 인근 지역의 높은 벤젠 및 총 석유계 탄화수소(TPH) 오염을 정화하려고 노력해왔다.[56]
6. 평가 및 전망
용산기지는 대한민국 안보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으나, 도시 발전을 저해하고 환경 오염을 유발한다는 비판도 받아왔다. 기지 이전 및 부지 반환은 한미동맹을 재조정하고, 서울 시민들에게 새로운 공간을 제공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용산기지 부지의 공원화 과정에서 역사성을 보존하고, 시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해야 한다.
2017년까지 행정 인원 200여 명을 제외하고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의 캠프 험프리스로 전부 이전할 계획이었으나,[73] 2018년 여름에 유엔사령부와 주한미군사령부 직원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650명과 그 가족이 캠프 험프리스로 이주하고, 2021년 여름까지 이전을 완료한다는 계획으로 수정되었다.[74]
부대 이전에 따라 캠프 코이너, 캠프 킴 등을 포함하여 용산 기지의 부지는 서울특별시에 단계적으로 반환될 예정이다. 다만, 미국 대사관 예정 부지, 드래곤 힐 로지, 헬기장, 출입 및 방호 시설은 미국 측이 계속 사용할 예정이다.[75]
2018년 11월 2일, 국토교통부, 서울시청과 용산구청은 용산기지 토지를 용산국립공원으로 조성하기에 앞서 시민들에게 용산기지를 체험시켜 국립공원화에 대한 공감대를 모으기 위해, 설치 당시부터 공공에 개방되지 않았던 기지의 일부를 114년 만에 민간인을 대상으로 순환버스를 통해 기지 투어를 실행하였다. 일본 조선군이 터를 잡으면서 세운 역사적인 건축물을 관람할 수 있게 된 것이다. 2018년 12월부터 월 2회씩 용산문화원 웹사이트를 통한 예약제로 시행하고, 주한 미군과 협의를 거쳐 매주 1회로 격차를 줄인다는 방침을 세웠다. 11월 2일부터 연말까지 6차례 시행되었다.[76]
2018년 11월 15일, 주한 미군 사령부는 미국 국방부 교육처와 협력하여 용산기지 안의 서울 미국인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전체를 2018-2019학년도 과정을 마치면 폐교할 예정이라고 보도하였다.[77] 2019년 예정대로 폐교되었다.[71]
주한미군(USFK) 관계자와 한국 민간인 등 수많은 사람들이 용산기지에서 생활하고 일해 왔기에, 용산기지는 한국 사회와 발전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역사학자들은 용산의 역사를 기록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음악, 예술, 요리, 의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용산이 미친 영향을 추적하여 용산 레거시(Yongsan Legacy) 프로젝트에 담고 있다. 이는 물리적인 흔적이 사라진 후에도 그 역사가 잊히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60]
참조
[1]
웹사이트
IMCOM Pacific
http://imcom.pac.arm[...]
Imcom.pac.army.mil
2010-10-24
[2]
웹사이트
New U.S. Base not entirely out of range of North Korea threats
https://www.usatoday[...]
[3]
뉴스
U.S. Forces Korea opens new headquarters in Pyeongtaek
http://english.yonha[...]
2018-08-24
[4]
뉴스
US Forces Korea leaves Yongsan for new headquarters
http://www.hani.co.k[...]
The Hankyoreh
2018-08-24
[5]
뉴스
Relocation of US forces going into full swing
https://www.koreatim[...]
2018-08-24
[6]
뉴스
US military begins work to relocate base
https://www.koreatim[...]
2018-08-24
[7]
뉴스
After 10-year delay, USFK starts relocation from Yongsan Garrison
http://english.hani.[...]
The Hankyoreh
2018-08-24
[8]
뉴스
The End of Small-Town America, in the Heart of Seoul
https://www.wsj.com/[...]
2019-09-03
[9]
뉴스
Today in Korean history
http://www.globalpos[...]
2014-04-16
[10]
뉴스
Yongsan Garrison to Be Relocated by 2014
https://www.koreatim[...]
2013-12-29
[11]
뉴스
Relocation of US Army bases to Pyeongtaek delayed to 2018
https://www.koreatim[...]
2018-08-24
[12]
뉴스
Pyeongtaek era begins for 8th US Army
https://www.koreatim[...]
2018-08-24
[13]
뉴스
US military leaves rich history, environmental concerns as Yongsan move gains momentum
https://www.stripes.[...]
2018-08-24
[14]
웹사이트
Yongsan Commissary
http://www.commissar[...]
Commissaries.com
2010-10-24
[15]
웹사이트
U.S. Army Garrison Yongsan (Seoul, South Korea)
http://yongsan.korea[...]
Yongsan.korea.army.mil
2010-10-24
[16]
웹사이트
Home
http://www.armymwr.c[...]
ArmyMWR.com
2010-10-24
[17]
웹사이트
Dragon Hill Lodge
http://www.dragonhil[...]
Dragon Hill Lodge
2010-10-24
[18]
웹아카이브
https://web.archive.[...]
2012-02-22
[19]
웹사이트
Hannam Village sold to Daishin Securities at $540 mil
https://www.koreatim[...]
[20]
웹사이트
Yongsan Readiness Center adjusts newcomer orientation program
http://www.army.mil/[...]
Army.mil
2010-10-24
[21]
웹아카이브
https://web.archive.[...]
2009-02-01
[22]
웹사이트
Medal of Honor Recipients – Korean War
http://www.history.a[...]
History.army.mil
2010-10-24
[23]
웹사이트
President visits Korea, thanks troops
http://www.army.mil/[...]
Army.mil
2010-10-24
[24]
뉴스
US military warns about North Korean propaganda at Yongsan Garrison
https://www.armytime[...]
Army Times
2017-12-22
[25]
웹사이트
Clinton visits Yongsan Garrison
https://web.archive.[...]
Yongsan.korea.army-mil.net
2009-02-27
[26]
웹사이트
United States Forces Korea | Secretary of State visits CFC's White House
http://www.usfk.mil/[...]
Usfk.mil
2017-09
[27]
웹사이트
Yongsan claims $750K ACOE prize
http://www.army.mil/[...]
Army.mil
2010-10-24
[28]
웹사이트
Yongsan wins ACOE honors
http://www.army.mil/[...]
Army.mil
2010-10-24
[29]
웹사이트
Commander's Corner: Army Community of Excellence
http://www.army.mil/[...]
Army.mil
2010-10-24
[30]
웹사이트
Army Honors Top Installations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0-10-24
[31]
웹사이트
http://www.imcom.arm[...]
2012-02-00
[32]
웹사이트
Bush visits troops at Yongsan – News
http://www.stripes.c[...]
2010-10-24
[33]
웹사이트
IMCOM-Pacific
http://imcom.korea.a[...]
Imcom.korea.army.mil
2010-10-24
[34]
웹사이트
http://imcom.korea.a[...]
[35]
웹사이트
Defense.gov News Release: General Officer Announcements
http://www.defenseli[...]
Defenselink.mil
2009-03-12
[36]
웹사이트
Yongsan 'road map' leads to Army community honor – News
http://www.stripes.c[...]
2010-10-24
[37]
웹사이트
USAG Yongsan
http://yongsan.korea[...]
Yongsan.korea.army.mil
2010-10-24
[38]
웹사이트
http://www.imcom.arm[...]
2012-02-00
[39]
웹사이트
Error! | U.S. Army Garrison Yongsan (Seoul, South Korea)
http://yongsan.korea[...]
2022-02-03
[40]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imcom.arm[...]
2022-01-17
[41]
웹사이트
Army Garrison-Yongsan Housing Division
http://yongsan.korea[...]
Yongsan.korea.army.mil
2010-10-24
[42]
웹사이트
16 teams may be on hand for Taegu Christmas tournament – Sports
http://www.stripes.c[...]
2010-10-24
[43]
웹사이트
Yongsan celebrates opening of two new U.S.-operated high-rises – News
http://www.stripes.c[...]
2010-10-24
[44]
웹아카이브
http://www.tioh.hqda[...]
2008-05-31
[45]
웹사이트
Army Leaders Sign Covenant with Families
http://www.army.mil/[...]
Army.mil
2007-10-17
[46]
웹사이트
U.S. Army Hospital Renamed in Honor of Col. Brian D. Allgood
http://www.army.mil/[...]
Army.mil
2008-07-22
[47]
웹사이트
Internet
http://www.seoul.ame[...]
[48]
웹사이트
Welcome to our Web site!
http://www.seoul.ame[...]
[49]
웹사이트
Home and Away: Iraq and Afghanistan War Casualties
http://edition.cnn.c[...]
CNN
2010-10-24
[50]
웹사이트
Wednesday, January 24
http://edition.cnn.c[...]
CNN
2010-10-24
[51]
웹사이트
After a long wait, US military dedicates new $275 million hospital at Camp Humphreys
https://www.stripes.[...]
[52]
웹사이트
Seoul American High School
http://www.seoul-hs.[...]
Seoul-hs.pac.dodea.edu
2010-10-18
[53]
웹사이트
Seoul American High School
http://www.seoul-hs.[...]
Seoul-hs.pac.dodea.edu
2010-09-08
[54]
웹사이트
DoDEA: DoDDS-Korea, SAES
http://www.seoul-es.[...]
Seoul-es.pac.dodea.edu
[55]
웹사이트
http://yongsan.korea[...]
Yongsan.korea.army-mil.net
2008-08-27
[56]
뉴스
At Yongsan US military base, ground pollutants 500 times normal levels.
http://english.hani.[...]
Korea Exposé
2016-12-26
[57]
좌표
[58]
웹아카이브
USO Affiliates
http://affiliates.us[...]
[59]
웹사이트
132 seniors graduate from Seoul American High School
http://www.army.mil/[...]
2008-06-11
[60]
뉴스
Project to trace Yongsan's legacy
https://www.koreatim[...]
2017-05-23
[61]
뉴스
龍山基地(東亜日報)
http://japanese.dong[...]
[62]
뉴스
竜山米軍基地平沢移転2008→2012年に延期か
https://japanese.joi[...]
2006-12-14
[63]
뉴스
米国、在韓米軍基地移転の延期を要請
https://japanese.joi[...]
2008-10-23
[64]
뉴스
용산, 작은 지구촌 된다
http://article.joins[...]
2012-02-01
[65]
뉴스
米軍基地、64年ぶりに龍山を離れ平沢へ…完成時点は「韓米間で見解の相違」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17-07-12
[66]
뉴스
在韓米軍司令部 ソウルから移転へ=29日開館式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18-06-21
[67]
뉴스
在韓米軍司令部がソウルから移転 京畿道・平沢で新庁舎開館式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18-06-29
[68]
뉴스
龍山の韓米連合軍司令部、21年末までに移転の方針
https://www.donga.co[...]
東亜日報
2019-09-02
[69]
웹사이트
青瓦台、NSC会議後に「米軍基地早期返還」を公に要求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9-08-31
[70]
웹사이트
米韓連合司令部がソウルから80キロ南に移転
https://newsdig.tbs.[...]
2022-11-15
[71]
뉴스
성장현 용산구청장 "정부는 용산미군기지 공원화작업 잘 되고 있다 자신할 수 있나"
https://www.khan.co.[...]
경향신문
2022-02-01
[72]
뉴스
「龍山(용산)」이 서울 상징公園(공원)된다"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2021-02-22
[73]
뉴스
용산 미군 '세계최대 해외 미군기지'로 조성된 평택기지로 2017년 이전 완료]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9-02-15
[74]
뉴스
용산 주한미군사령부, 6월 하순 평택으로 이사 시작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9-02-15
[75]
뉴스
"용산공원 이대로라면 '반쪽공원'"…서울시, 추진계획 전면수정 요청
https://web.archive.[...]
뉴시스
2017-06-04
[76]
뉴스
USAG Yongsan opens gallery to the public after 114 years By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9-02-15
[77]
뉴스
USAG-Yongsan Schools to Close
http://www.usfk.mil/[...]
United States Forces Korea Public Affair Office
2019-02-15
[78]
뉴스
After a long wait, US military dedicates new $275 million hospital at Camp Humphreys
https://www.stripes.[...]
Stars and stripes
2021-02-22
[79]
문서
EUSA Chronology January 1 - June 30 1971
http://www.koreanvet[...]
2017-01-06
[80]
뉴스
U.S. Army Hospital Renamed in Honor of Col. Brian D. Allgood
https://www.army.mil[...]
제18의무사령부
2017-01-06
[81]
뉴스
재학·졸업생 1000여명 모여 '굿바이'… 용산 미국인학교 60년만에 문 닫다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19-06-04
[82]
뉴스
Armed Forces Network Yongsan: End of an era
https://www.army.mil[...]
United States Army Public Affairs
2016-1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