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담은 스위스 슈비츠주, 장크트갈렌주, 취리히주 사이에 위치한 지역으로, 빙하기 빙퇴석 위에 건설되었다. 취리히 호수를 가로지르는 둑길과 다리가 있으며, 1360년에 처음 건설된 역사적인 목교가 여러 번 재건되었다. 1878년 석조 둑길과 다리가 건설되었으며, 2001년에는 목조 인도교가 추가되었다. 제담은 교통량이 많아 교통 체증 완화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선사 시대 호수 횡단의 유적이 발견된 문화유산 지역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스의 교통 - 스위스 철도
스위스 연방 철도는 스위스의 국영 철도 회사로, 광범위한 철도망을 운영하며 국내외 여러 국가와의 철도 연계를 통해 다양한 열차 서비스를 제공하고, 유레일 패스 및 스위스 패스와 연계하여 페리 이용도 가능하며, 특유의 디자인으로 유명한 몬데인 제작 시계를 역에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 스위스의 교통 - IC2000
IC2000은 피닌파리나가 디자인하고 다양한 종류의 객차와 안전 및 편의 시설을 갖춘 1999년 싱가포르 MRT에 도입된 전동차로, 한국 철도 시스템 개선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 취리히주의 건축물 - 취리히 공항
취리히 공항은 스위스 취리히에 위치한 국제 허브 공항으로, 세 개의 터미널과 활주로를 갖추고 다양한 항공사들이 취항하여 전 세계 여러 도시와 연결되는 광범위한 노선망을 제공하며, 철도, 버스, 도로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통해 접근이 용이하다. - 취리히주의 건축물 - 임그뤼에네 공원
임그뤼에네 공원은 스위스 취리히 호와 질 계곡이 내려다보이는 치머베르크 고원에 위치한 "녹색 속의 공원"으로, 아델과 고틀리프 두트바일러 부부가 사유지를 기증하여 조성되었으며 현재는 레스토랑, 목욕탕, 박물관, 넓은 잔디밭, 어린이 놀이터 등 다양한 시설과 문화 행사를 제공한다. - 슈비츠주의 국가중요문화재 - 아인지델른 수도원
아인지델른 수도원은 934년 에버하르트에 의해 스위스 아인지델른에 설립된 베네딕토회 수도원으로, 중세 시대부터 학문과 경건함으로 명성을 얻어 유럽의 주요 순례지 중 하나이며, 현재는 스위스 국가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어 교육적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 슈비츠주의 국가중요문화재 - 후르덴
후르덴은 취리히 호수 남쪽 둑에 위치한 반도로 선사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사적 유산을 간직한 곳이며, 로마 시대 목조 다리 건설, 중세 시대 페리 운영, 후르덴 운하 완공 등을 거쳐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 및 스위스 국가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제담 | |
---|---|
위치 정보 | |
![]() | |
일반 정보 | |
위치 | 취리히호 |
연결 지역 | 슈비츠주 및 장크트갈렌주의 라퍼스빌-요나 |
건설 목적 | 호수 통과 |
주요 도로 | Hauptstrasse 8 |
길이 | 1 킬로미터 |
역사 | |
초기 역사 | 기원전 1500년경 얕은 물 횡단 (다리 또는 보트) |
로마 시대 | 서기 200년경 나무 다리 |
중세 시대 | 1358년 폭풍으로 파괴된 나무 다리 |
현대 | 1873년 제방 도로 건설 시작 |
완공 | 1878년 |
교통 | |
철도 | 제담역 (라우반-린트 철도) |
도로 | A53 고속도로 연결 |
추가 정보 | |
명칭 유래 | "Seedamm" (호수 제방) |
중요성 | 지역 교통 및 관광에 중요 |
관리 | 슈비츠주 및 장크트갈렌주 |
2. 지리
제담은 슈비츠주, 장크트갈렌주 및 취리히주의 세 스위스 주 사이에 위치한 빙하기 빙퇴석 위에 건설되었다. 이 빙퇴석은 호수의 남쪽 기슭에서 돌출된 반도를 형성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작은 섬인 후르덴 마을과 호수의 라퍼스빌 쪽, 취리히 호수와 상부 오버제를 나누는 얕은 물 부분이 있다. 이 얕은 수역을 가로지르는 둑길과 두 개의 다리는 길이가 1km이며 도로와 철도를 운행한다. 현대적인 둑길과 다리의 동쪽에는 라퍼스빌-후르덴 목교(2001년에 건설)가 있다. 이 다리는 기원전 1500년경 동쪽과 서쪽 호숫가 사이의 첫 번째 다리를 재건한 것이다. 남서쪽에 위치한 프라우엔빈켈은 각각 뤼첼라우섬과 우페나우섬 사이에 있는 후르덴과 페피콘 사이의 동쪽 취리히 호수 호반에 있는 제담 지역 주변에 위치한 늪지대이다.[1]
제담은 1360년에 처음 완공되어 여러 번 재건된 역사적인 목교를 전신으로 하며, 수세기 동안 ''야콥스베그''라 불리는 오래된 순례길의 일부였다.[1]
제담은 스위스의 슈비츠주 (후르덴)와 장크트갈렌주 (라퍼스빌)를 연결한다. 후르덴 마을은 취리히 호수의 남쪽 해안에서 뻗어 나온 반도에 위치해 있다. 이 반도는 약 17,000년 전 빙하기 빙하 (린트 빙하)에 의해 형성된 말단 퇴석이다. 후르덴 반도와 제담은 취리히 호수의 본류 부분을 그 상류 부분인 오버제와 구분한다. 제담은 얕은 수역을 가로지른다.
라퍼스빌-후르덴 목교는 제담의 동쪽에 위치해 있다. 늪지 지형인 프라우엔빈켈은 후르덴의 서쪽과 후르덴과 패피콘 사이의 호수 남쪽 기슭에 위치해 있다. 뤼첼라우섬과 우페나우섬은 프라우엔빈켈 근처에 위치해 있다.
선사 시대 호수 횡단의 유적이 제담의 다리 중 하나에 위치한 고고학 유적지인 프라이엔바흐-후르덴 로스호른에서 발견되었다.
3. 역사
1873년 스위스 연방 의회는 현재의 석조 둑길과 다리 건설을 승인했다. 1875년에 건설이 시작되어 1878년에 완료되었고, 같은 해에 기존 목교는 철거되었다. 건설 비용은 1462000CHF이었으며, 그 중 1100000CHF은 라퍼스빌 시에서 지불했다. 같은 해 취리히제-고트하르트 철도는 라퍼스빌 기차역에서 제담을 경유하는 철도 노선을 개통했다.[5][6]
1939년과 1951년, 현재 제담 둑길은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보강되었다. 제담의 다리 부분은 더 작은 선박이 그 아래로 지나갈 수 있도록 하지만, 취리히 호수의 하반부와 상반부 사이의 주요 운송 채널은 1942/43년에 건설된 후르덴 선박 운하를 통과한다. 후르덴 선박 운하는 후르덴 반도 기슭을 절단하여 만들어졌으며, 이로 인해 후르덴 마을은 인공 섬에 위치하게 되었다. 운하는 도로와 철도를 모두 운반하는 슈테르넨브뤼케로 연결된다. 2010년 3월부터 11월까지 40톤 트럭이 제담을 건널 수 있도록 보수 공사가 진행되었다.[5][6]
2001년에는 둑길 옆에 새로운 목조 인도교가 만들어졌다. 이 다리는 라퍼스빌과 1551년에 지어진 인근 하일리크 휘슬리 다리 예배당을 연결하는 역사적인 호수 다리와 거의 같은 장소에 지어졌다. 아인지델른 수도원까지 이어지는 이 길은 ''야콥스베크''라 불리며, 수세기 동안 오래된 순례길의 일부였다.
21세기 초, 매일 약 75대의 여객열차와 24,000대의 차량이 둑길과 라퍼스빌-요나 마을을 통과했으며, 2016년 기준으로는 평균 26,000대의 차량이 통행했다.[7] 라퍼스빌-요나는 러시아워 동안 도로와 철도의 교통 체증을 완화하기 위해 이동 요금 시범 프로젝트에 스위스 최초로 참여할 예정이다.[7]
3. 1. 초기 역사
역사적인 목교는 1360년에 처음 완공되어 여러 번 재건되었으며, 제담의 전신이었다. 이 연결 도로는 수세기 동안 ''야콥스베그''라고 불리는 오래된 순례길의 일부였다.[1]
1873년 스위스 연방 의회는 오늘날의 석조 둑길과 다리의 건설을 승인했다. 건설 공사는 1875년에 시작되어 1878년에 완료되었으며, 같은 해에 기존의 목교가 철거되었다. 건설 비용은 1462000CHF이었으며, 이 중 1100000CHF은 라퍼스빌 시에서 지불했다. 1878년 취리히제-고트하르트 철도는 라퍼스빌 기차역에서 제담을 경유하는 철도 노선을 개통했다.[1]
1939년과 1951년에 현재 "제담"이라고 불리는 둑길은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강화되었다. 제담의 다리 구간은 작은 선박이 통과할 수 있지만, 취리히 호수의 하부와 상부 사이의 주요 해운 항로는 1942/43년에 후르덴 반도의 기저부를 관통하여 건설된 후르덴 선박 운하를 통과하며, 이로 인해 후르덴 마을은 인공 섬에 위치하게 되었다. 이 운하는 도로와 철도를 모두 운반하는 "슈테른브뤼케"에 의해 가로질러진다. 이 둑길은 40톤 트럭이 제담을 건널 수 있도록 2010년 3월부터 11월까지 보수 공사를 거쳤다.[1]
3. 2. 철도 연결
1873년 스위스 연방 의회는 오늘날의 석조 둑길과 다리 건설을 승인했다. 건설 작업은 1875년에 시작되어 1878년에 완료되었으며, 같은 해에 기존 목조 다리가 제거되었다. 1878년 취리히제-고트하르트 철도는 라퍼스빌 기차역에서 제담을 경유하는 철도 노선을 개통했다.[5][6]
1939년과 1951년, 현재 제담 둑길이라고 불리는 이 둑길은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보강되었다. 제담의 다리 부분은 더 작은 선박이 그 아래로 지나갈 수 있도록 하지만, 취리히 호수의 하반부와 상반부 사이의 주요 운송 채널은 1942/43년에 후르덴 반도 기슭을 통해 절단되어 만들어진 후르덴 선박 운하를 통과한다. 이로 인해 후르덴 마을은 인공 섬에 위치하게 되었다. 후르덴 선박 운하는 도로와 철도를 모두 운반하는 슈테르넨브뤼케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5][6]
21세기 초에는 매일 약 75대의 여객열차가 둑길을 통과했다.[7]
3. 3. 현대의 발전
1873년 스위스 연방 의회는 오늘날의 석조 둑길과 다리 건설을 승인했다. 건설 작업은 1875년에 시작되어 1878년에 완료되었으며(같은 해에 기존 목조 다리가 제거됨), 건설 비용은 총 1462000CHF이며 그 중 1100000CHF은 라퍼스빌 시에서 지불했다.[5] 1878년 취리히제-고트하르트 철도는 라퍼스빌 기차역에서 제담을 경유하는 철도 노선을 개통했다. 1939년과 1951년에 현재 제담 둑길이라고 불리는 이 둑길은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보강되었다. 제담의 다리 부분은 더 작은 선박이 그 아래로 지나갈 수 있도록 하지만, 취리히 호수의 하반부와 상반부 사이의 주요 운송 채널은 후르덴 선박 운하를 통과한다. 1942/43년에 후르덴 반도 기슭을 통해 절단되어 후르덴 마을을 인공 섬에 배치했다. 이 운하는 도로와 철도를 모두 운반하는 슈테르넨브뤼케에 걸쳐 있다. 이 둑길은 40톤 트럭이 제담을 건널 수 있도록 2010년 3월과 11월 사이에 개조되었다.[6]
2001년에는 교차로의 처음 840m에 대해 둑길 옆에 새로운 목조 인도교가 만들어졌다. 그것은 라퍼스빌과 1551년에 지어진 인근 하일리크 휘슬리 다리 예배당을 연결하는 역사적인 호수 다리와 거의 같은 장소에 지어졌다. 이른바 야콥스베크에서 아인지델른 수도원까지의 연결은 수세기 동안 오래된 순례길의 일부였다.
21세기 초에는 매일 약 75대의 여객열차와 24,000대의 차량이 둑길과 라퍼스빌-요나 마을을 통과했으며, 2016년 기준으로 평균 26,000대의 차량이 통행했다.[7] 러시아워 동안 도로와 철도의 교통 체증을 완화하기 위해 라퍼스빌-요나는 이동 요금에 대한 시범 프로젝트에 스위스 최초의 도시로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7]
3. 4. 순례길
제담의 전신은 1360년에 처음 완공되어 여러 번 재건된 역사적인 목교였다. 수세기 동안 이 연결 도로는 소위 야콥스베그, 즉 오래된 순례길의 일부였다.
2001년에는 교차로의 처음 840m에 대해 둑길 옆에 새로운 목조 인도교가 만들어졌다. 그것은 라퍼스빌과 1551년에 지어진 인근 하일리크 휘슬리 다리 예배당을 연결하는 역사적인 호수 다리와 거의 같은 장소에 지어졌다. 이른바 야콥스베크에서 아인지델른 수도원까지의 연결은 수세기 동안 오래된 순례길의 일부였다.
3. 5. 교통 문제와 해결 노력
1939년과 1951년에 현재 제담 둑길이라고 불리는 이 둑길은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보강되었다. 제담의 다리 부분은 더 작은 선박이 그 아래로 지나갈 수 있도록 하지만, 취리히 호수의 하반부와 상반부 사이의 주요 운송 채널은 1942/43년에 후르덴 반도 기슭을 통해 절단되어 만들어진 후르덴 선박 운하를 통과한다. 이로 인해 후르덴 마을은 인공 섬에 위치하게 되었다. 후르덴 선박 운하는 도로와 철도를 모두 운반하는 슈테르넨브뤼케에 걸쳐 있다. 이 둑길은 40톤 트럭이 제담을 건널 수 있도록 2010년 3월과 11월 사이에 개조되었다.[5][6]
21세기 초에는 매일 약 75대의 여객열차와 24,000대의 차량이 둑길과 라퍼스빌-요나 마을을 통과했으며, 2016년 기준으로 평균 26,000대의 차량이 통행했다.[7] 러시아워 동안 도로와 철도의 교통 체증을 완화하기 위해 라퍼스빌-요나는 이동 요금에 대한 시범 프로젝트에 스위스 최초의 도시로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7]
4. 문화유산
이 지역은 취리히제와 오버제 호수 지역 사이 제담 지협의 오버제 호숫가에 위치해 있으며, 프라이엔바흐-후르덴 로스호른, 프라이엔바흐-후르덴 제펠트, 제구벨 및 라퍼스빌-요나-테히니쿰[8]을 포함한 4개의 선사 시대 말뚝 주거 정착지 및 선사 시대 호수 교차점과 가깝다. 호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크기가 커졌기 때문에 원래 말뚝은 현재 406m의 호수 수위 아래 약 4m에서 7m 지점에 있다.
알프스 주변의 선사시대 말뚝 주거지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56개 스위스 유적지의 일부일 뿐만 아니라, 이 정착촌은 스위스 국가 및 지역 중요 문화재 목록에 국가 중요 A등급 대상으로 등재되어 있다.[9][10]
참조
[1]
웹사이트
Übersicht 1: Seedamm [Overview 1: Seedamm]]
https://www.csi-alps[...]
University of Bern
2024-05-20
[2]
웹사이트
Die Geschichte von Hurden
http://www.uch.ch/pf[...]
uch.ch
2014-08-18
[3]
뉴스
Seedamm wird saniert
http://www.tagesanze[...]
2010-03-09
[4]
웹사이트
FOKUS: Mobility Pricing soll Pendlerverkehr entlasten
http://www.srf.ch/se[...]
"10vor10"
2016-06-30
[5]
웹인용
Die Geschichte von Hurden
http://www.uch.ch/pf[...]
uch.ch
2014-08-18
[6]
뉴스
Seedamm wird saniert
http://www.tagesanze[...]
2010-03-09
[7]
웹인용
FOKUS: Mobility Pricing soll Pendlerverkehr entlasten
http://www.srf.ch/se[...]
"10vor10"
2016-06-30
[8]
웹인용
Sites Switzerland: ''Rapperswil-Jona–Technikum'' (CH-SG-02)
http://www.palafitte[...]
palafittes.org
2014-12-08
[9]
웹인용
A-Objekte KGS-Inventar (Kanton Schwyz)
http://www.bevoelker[...]
Schweizerische Eidgenossenschaft, Amt für Bevölkerungsschutz
2015-01-01
[10]
웹인용
A-Objekte KGS-Inventar (Kanton St. Gallen)
http://www.bevoelker[...]
Schweizerische Eidgenossenschaft, Amt für Bevölkerungsschutz
2015-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