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르바섬 해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르바섬 해전은 1560년 오스만 제국 해군과 유럽 기독교 동맹 해군 간에 벌어진 해전이다. 오스만 제국은 1538년 프레베자 해전 승리에 이어 제르바섬 해전에서도 승리하여 지중해 해상권을 장악했다. 기독교 동맹은 스페인, 베네치아 공화국 등을 중심으로 결성되었으며, 트리폴리 수복을 목표로 했으나, 오스만 제국 함대의 기습으로 인해 참패했다. 전투 결과, 기독교 동맹의 함선 다수가 파괴되거나 나포되었고,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오스만 제국은 이 승리를 통해 지중해 지배력을 강화했으며, 1565년 몰타를 공격했으나 점령에는 실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60년 분쟁 - 오케하자마 전투
오케하자마 전투는 1560년 오다 노부나가가 이마가와 요시모토를 기습하여 승리한 전투로, 이마가와 가문을 몰락시키고 오다 노부나가의 세력 확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오스만 제국이 참가한 해전 - 프레베자 해전
프레베자 해전은 1538년 오스만 제국 함대가 신성 동맹 함대를 격파하여 지중해 제해권을 장악하고 동지중해 주도권을 확립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해전이다. - 오스만 제국이 참가한 해전 - 존키오 해전
1499년 8월 이오니아 해의 존키오 곶에서 벌어진 존키오 해전은 케말 레이스가 이끄는 오스만 함대가 안토니오 그리마니가 지휘하는 베네치아 함대를 격파하며 오스만 제국의 승리로 끝난 해전으로, 오스만 제국의 해군력 성장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이다.
제르바섬 해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시기 | 1560년 5월 9일 ~ 1560년 5월 14일 |
장소 | 튀니지 연안의 제르바 섬 근처 |
결과 | 오스만 제국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 세력 1 | 제노바 공화국 스페인 제국 나폴리 및 시칠리아 부왕령 교황령 사보이 공국 몰타 기사단 |
교전 세력 2 | 오스만 제국 |
지휘관 및 지도자 | |
지휘관 1 | 조반니 안드레아 도리아 후안 데 라 세르다 돈 알바로 데 산데 |
지휘관 2 | 피얄리 파샤 드라구트 |
병력 규모 | |
병력 1 | 갤리선 54척 기타 선박 66척 '다른 자료': 총 200척의 선박 |
병력 2 | 갤리선 및 갤리엇 86척 |
피해 규모 | |
피해 1 | 60척의 선박 침몰 또는 나포 9,000 ~ 18,000명 사망 (공성전 중) 5,000명 포로 |
피해 2 | 미상 |
2. 배경
1538년 프레베자 해전에서 오스만 제국 해군이 신성 동맹 함대를 격파하고, 1541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가 주도한 알제 원정이 실패로 돌아가면서 지중해에서의 오스만 제국의 영향력은 크게 확대되었다. 이에 스페인과 베네치아 공화국을 비롯한 유럽 해양 세력들은 오스만 제국과 북아프리카의 바르바리 해적들을 심각한 위협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의 공세는 계속되어, 1551년에는 몰타 기사단이 지키던 트리폴리가 피알레 파샤에게 점령당했으며, 투르구트 레이스가 이곳의 베이(총독)로 임명되었다. 또한 1558년에는 피알레 파샤와 투르구트 레이스가 발레아레스 제도를 침공하고 스페인 연안을 습격하는 등 위협 수위를 높였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여 스페인의 펠리페 2세 국왕은 교황 바오로 4세에게 호소하여 빼앗긴 트리폴리를 되찾기 위한 유럽 연합 함대 편성을 추진하게 되었고, 이는 제르바섬 해전으로 이어지는 배경이 되었다.
2. 1. 오스만 제국의 지중해 진출
1538년 프레베자 해전에서 바르바로스 하이렛딘 파샤가 이끄는 오스만 제국 해군에게 유럽 연합 함대가 패배하였다. 이후 1541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가 주도한 대규모 알제 원정마저 기상 악화로 인해 별다른 성과 없이 실패로 돌아갔다.이러한 상황 속에서 지중해의 주요 해상 세력이었던 스페인과 베네치아 공화국은 오스만 제국과 북아프리카의 바르바리 해적들을 심각한 위협으로 여기게 되었다. 1551년 8월에는 오스만 제독 피얄레 파샤가 몰타 기사단이 지키던 트리폴리를 점령하였고, 쉴레이만 1세 술탄은 투르구트 레이스를 트리폴리의 베이(총독)로 임명하여 오스만 제국의 속주로 삼았다.
오스만 제국의 공세는 계속되어, 1558년에는 피얄레 파샤가 발레아레스 제도를 침공하였고, 투르구트 레이스와 함께 스페인의 지중해 연안을 습격하여 약탈하였다. 이에 스페인의 펠리페 2세 국왕은 교황 바오로 4세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빼앗긴 트리폴리를 되찾기 위한 유럽 연합 함대 편성을 추진하게 되었다.
2. 2. 기독교 동맹의 결성
1538년 프레베자 해전에서 바르바로스 하이렛딘 파샤가 이끄는 오스만 제국 함대에 유럽의 신성 동맹 연합 함대가 패배하고, 1541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가 주도한 대규모 알제 원정마저 기상 악화 등으로 실패로 돌아가면서 지중해의 정세는 오스만 제국에게 유리하게 흘러갔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스페인과 베네치아 공화국을 중심으로 한 유럽 세력은 오스만 제국과 북아프리카의 바르바리 해적들을 점차 큰 위협으로 여기게 되었다.실제로 1558년, 오스만 제국의 피알레 파샤는 발레아레스 제도를 침공했고, 투르구트 레이스와 함께 스페인의 지중해 연안을 습격하며 위협을 가시화했다. 이에 스페인의 펠리페 2세 국왕은 교황 바오로 4세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오스만 세력에게 빼앗긴 트리폴리를 되찾기 위한 유럽 연합 함대 편성을 추진했다. 트리폴리는 본래 몰타 기사단의 영토였으나, 1551년 8월 피알레 파샤에게 점령당한 이후 쉴레이만 1세 술탄에 의해 투르구트 레이스가 베이(총독)로 임명되어 통치하는 오스만 제국의 속주가 된 상태였다.
3. 전투 준비
기독교 동맹 함대는 제노바 공화국, 토스카나 대공국, 교황령, 성 요한 기사단 등이 참여하여 결성되었으며, 메시나에서 조반니 안드레아 도리아 제독의 지휘 아래 집결했다.[33][8][9] 함대의 정확한 규모에 대해서는 사료마다 기록이 다르지만,[34][21] 일반적으로 갤리선 50여 척과 다수의 보조 선박으로 구성된 것으로 추정된다.[5][6][21][22]
함대는 메시나를 출발하여 몰타로 향했으나, 악천후를 만나 2개월 동안 정박해야 했고 이 기간 동안 질병으로 인해 약 2,000명의 병력을 잃었다.[33][17] 1560년 2월 10일, 함대는 트리폴리를 목표로 다시 출항했지만,[34] 현지에서 식수 부족, 질병 확산, 악천후 등 여러 문제에 부딪혀 원래 목표를 포기하고 3월 7일 제르바 섬으로 후퇴했다.[26] 기독교 동맹군은 제르바 섬을 신속하게 점령하고 후안 데 라 세르다, 메디나셀리 공작의 지시에 따라 요새 건설을 시작했다.
한편, 오스만 제국의 피알리 파샤 제독이 이끄는 갤리선과 갤리엇 약 86척 규모의 함대가[10][27][34] 이스탄불에서 출항하여 1560년 5월 11일 제르바 섬에 도착했다. 기독교 동맹군은 오스만 함대의 등장을 전혀 예상하지 못했기 때문에 크게 놀랐다.[10][27][34]
3. 1. 기독교 동맹 함대
기독교 동맹 함대는 제노바 공화국, 토스카나 대공국, 교황령, 성 요한 기사단을 중심으로 결성되었다.[8][9][24][25] 함대는 메시나에서 집결했으며, 제노바 공화국의 조반니 안드레아 도리아(1530–1606) 제독이 지휘관을 맡았다. 그는 유명한 제독 안드레아 도리아(1466–1560)의 재종손자이다.[33][17]함대의 정확한 규모에 대해서는 사료마다 기록이 달라 논란이 있다. 역사가 윌리엄 H. 프레스콧은 제르바 원정에 대한 기록들이 너무 모순적이어서 통일된 결론을 내리기 어렵다고 지적했다.[34][21] 다양한 기록에 나타난 함대 규모는 다음과 같다.
출처/기록 | 갤리선 | 기타 선박 | 총합 (추정) | 비고 |
---|---|---|---|---|
초기 항해 기록[33] | 54척 | 66척 | 120척 | |
역사가 통설 | 50~60척 | 40~60척 (소형 선박) | 90~120척 | |
자코모 보시오[5][21] | 54척 | - | - | 성 요한 기사단 공식 역사가 |
페르낭 브로델[6][22] | 54척 | 36척 (보급선/보조선) | 90척 | |
카르멜 테스타 (상세 기록)[7][23] | 54척 | 7척 브리그선, 17척 프리깃, 2척 갤리온, 28척 상선, 12척 소형정 | 120척 | 성 요한 기사단 소장 자료 참조 |
매튜 카[1][17] | - | - | 200척 |
함대는 메시나를 떠나 먼저 몰타로 향했으나, 악천후로 인해 2개월간 발이 묶였다. 이 기간 동안 약 2,000명의 병력이 질병으로 사망하는 손실을 입었다.[33][17]
1560년 2월 10일, 함대는 트리폴리를 목표로 출항했다.[34] 함대에 탑승한 병력의 정확한 수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페르낭 브로델은 10,000명에서 12,000명, 카르멜 테스타는 14,000명으로 추산한다. 20,000명 이상이라는 이전의 추정치는 당시 갤리선의 수송 능력을 고려할 때 과장된 것으로 보인다.
원정대는 트리폴리에서 멀지 않은 곳에 상륙했지만, 식수 부족, 질병 확산, 악천후 등으로 인해 원래 목표를 포기해야 했다. 결국 3월 7일, 함대는 중간 기착지였던 제르바 섬으로 후퇴하여 신속하게 섬을 점령했다.[26] 당시 후안 데 라 세르다, 메디나셀리 공작은 제르바 섬에 요새를 건설하라는 명령을 내렸고, 건설 작업이 시작되었다.
한편, 오스만 제국의 피알리 파샤 제독이 이끄는 갤리선과 갤리엇 86척 규모의 함대가 이스탄불에서 출항하여 1560년 5월 11일 제르바 섬에 도착했다. 기독교 동맹군은 오스만 함대의 등장을 전혀 예상하지 못했기 때문에 크게 놀라고 당황했다.[34][10][27]
3. 2. 오스만 제국 함대
오스만 제국 해군 함대는 피알리 파샤 해군 사령관의 지휘 아래 약 86척의 갤리선과 갤리엇선으로 구성되어 이스탄불에서 출항했다.[10][27][34] 오스만 함대는 1560년 5월 11일 제르바 섬에 도착했는데, 이는 기독교 동맹 측이 전혀 예상하지 못한 기습이었기에 그들을 매우 놀라게 했다.[10][27][34]4. 전투 과정
오스만 제국 함대의 기습으로 시작된 전투는 단 몇 시간 만에 기독교 연합 함대의 결정적인 패배로 끝났다. 기독교 함대의 갤리선 중 절반 이상이 오스만 제국 해군에게 격침되거나 나포되는 큰 피해를 입었다.[11][12][28][29]
살아남은 기독교 병사들은 제르바 섬에 완공된 요새로 후퇴했다. 그러나 곧 피알리 파샤와, 전투 시작 사흘 뒤 합류한 투르구트 레이스가 이끄는 오스만 군대가 요새를 포위하고 공격을 시작했다.[13] 기독교 함대 지휘관이었던 조반니 안드레아 도리아를 포함한 일부는 소형 선박을 이용해 포위망을 뚫고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
요새에 남은 수비대는 약 3개월 동안 치열한 공방전을 벌였으나, 결국 오스만 군대의 공세를 막아내지 못하고 항복했다. 이로써 제르바섬 해전은 오스만 제국의 압도적인 승리로 막을 내렸다. 당시 포로로 잡힌 스페인 지휘관 돈 알바로 데 산데는 이후 오지에 드 부스베크의 중재로 몸값을 지불하고 석방되었으며, 1565년 몰타 공방전에서 다시 오스만 제국과 싸우게 된다.[13][30]
4. 1. 제르바 섬 상륙과 요새 건설
1560년 연합 기독교 세력이 집결시킨 함대의 정확한 규모에 대해서는 자료마다 차이가 있어 통일된 기록을 찾기 어렵다고 역사가 윌리엄 H. 프레스콧은 지적했다.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갤리선 50척에서 60척, 소형 선박 40척에서 60척 규모로 추정한다. 성 요한 기사단의 공식 역사가 자코모 보시오는 갤리선 54척을 기록했으며,[5] 페르낭 브로델 역시 군함 54척과 보급선 36척을 언급했다.[6] 성 요한 기사단 기록 보관소 자료를 연구한 카르멜 테스타는 갤리선 54척, 브리그 7척, 프리깃 17척, 갤리온 2척, 상선 28척, 소형 선박 12척으로 더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했다.[7] 이 함대는 제노바 공화국, 토스카나 대공국, 교황령, 성 요한 기사단의 연합으로 구성되었다.[8][9] 매튜 카는 기독교 연합 함대의 총 선박 수를 200척으로 보기도 한다.[1]함대는 제노바 공화국의 제독 안드레아 도리아의 조카인 조반니 안드레아 도리아의 지휘 아래 메시나에 집결했다.[33] 함대는 먼저 몰타로 항해했으나 악천후로 인해 2개월간 발이 묶였고, 이 기간 동안 질병으로 약 2,000명의 병력을 잃었다.
1560년 2월 10일, 함대는 트리폴리를 향해 출항했다. 탑승한 병력의 정확한 수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브로델은 10,000명에서 12,000명, 테스타는 14,000명으로 추산한다. 이전의 20,000명 이상이라는 추정치는 16세기 갤리선의 수송 능력을 고려할 때 과장된 것으로 보인다.
원정대는 트리폴리에서 멀지 않은 곳에 상륙했지만, 식수 부족, 질병 확산, 악천후 등으로 인해 원래 목표였던 트리폴리 공략을 포기해야 했다. 결국 3월 7일, 함대는 제르바 섬으로 후퇴하여 섬을 신속하게 점령했다. 후안 데 라 세르다, 메디나셀리 공작은 이곳에 요새를 건설하라고 명령했고, 즉시 건설 작업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기독교 연합군이 요새 건설에 한창이던 1560년 5월 11일, 피얄레 파샤가 이끄는 오스만 제국 함대(갤리선과 갤리엇 약 86척)가 이스탄불에서 출항하여 예고 없이 제르바 섬에 도착했다. 이는 전혀 예상치 못한 기습이었기에 기독교 세력은 크게 놀라고 당황했다.[34][10]
4. 2. 오스만 함대의 기습
오스만 제국 해군 함대 소속 갤리선과 갤리엇 86척은 피알리 파샤 해군 사령관의 지시에 따라 이스탄불에서 출항했다. 오스만 함대는 1560년 5월 11일, 제르바 섬에 도착했는데, 기독교 동맹 함대는 이를 전혀 예상하지 못하여 크게 놀라고 당황했다.[34]전투는 단 몇 시간 만에 끝났으며, 기독교 동맹 함대의 갤리선 중 약 절반이 오스만 함대에 나포되거나 침몰당했다. 기독교 측의 피해 규모에 대해서는 역사가들마다 추산이 다르다. 앤더슨은 사상자 수를 총 18,000명으로 추산했지만,[11][28] 길마틴은 이보다 적은 약 9,000명으로 추산하며, 이 중 약 3분의 2는 노를 젓는 노잡이였을 것으로 보았다.[12][29]
살아남은 기독교 동맹 병사들은 전투 며칠 전에 완공된 요새로 후퇴했다. 피알리 파샤와 투르구트 레이스(전투 시작 사흘 뒤 합류)가 이끄는 오스만 군대는 즉시 요새를 포위하고 공격을 시작했다.[13] 그러나 오스만 군대가 도착하기 전에 기독교 동맹 함대의 지휘관이었던 조반니 안드레아 도리아는 소형 선박을 이용해 포위된 섬을 빠져나갔다.[13]

3개월간의 치열한 공방전 끝에 요새의 수비대는 결국 항복했다. 피알리 파샤는 약 5,000명의 포로를 이스탄불로 끌고 갔는데, 포로 중에는 조반니 안드레아 도리아가 탈출한 후 기독교 군대의 지휘를 맡았던 스페인 사령관 돈 알바로 데 산데도 포함되어 있었다.[13]
요새 함락 당시 돈 알바로 데 산데의 행적에 대해서는 기록이 다소 엇갈린다. 당시 콘스탄티노플에 주재하던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대사 오기에르 드 뷔스베크는 그의 저서 ''터키 서한''(Legationis Turcicae epistolae quatuor|레가티오니스 투르키카이 에피스톨라이 콰투오르la)에서, 데 산데가 저항이 더 이상 무의미하다고 판단하여 작은 배로 탈출을 시도했으나 곧 오스만 군대에 붙잡혔다고 기록했다.[13][30] 반면, 역사가 페르낭 브로델 등은 데 산데가 7월 29일에 병사들을 이끌고 용감하게 돌격하다가 포로가 되었다고 설명한다. 오기에르 드 뷔스베크의 중재 노력 덕분에 돈 알바로 데 산데는 몇 년 후 몸값을 지불하고 풀려날 수 있었으며, 1565년 몰타 대포위전에 참전하여 다시 오스만 군대와 맞서 싸웠다.[13]
4. 3. 요새 포위전
해전은 몇 시간 만에 끝났으며, 기독교 동맹 함대의 갤리선 중 절반 이상이 오스만 제국 해군에게 격침되거나 나포되었다.[11][28] 생존한 병사들은 전투 며칠 전에 완공된 요새로 피신했다.곧 피알리 파샤와 투르구트 레이스(전투 시작 3일 만에 합류)가 이끄는 오스만 군대가 요새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일부 병력은 조반니 안드레아 도리아가 이끄는 소형 선박을 타고 탈출에 성공했다. 3개월 동안 이어진 공방전 끝에, 요새를 지키던 기독교 동맹 수비대는 결국 오스만 군대에게 항복했다.
오스만 군대는 약 5,000명에 달하는 포로를 이스탄불로 압송했다. 이 중에는 조반니 안드레아 도리아가 탈출한 후 기독교 군대의 지휘를 맡았던 스페인 지휘관 돈 알바로 데 산데(Don Alvaro de Sande)도 포함되어 있었다. 돈 알바로 데 산데의 체포 경위에 대해서는 기록이 엇갈린다. 당시 이스탄불 주재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군주국 대사였던 오지에 드 부스베크(Ogier de Busbecq)는 그의 저서 Türk Mektupları|터키 서한tur에서, 데 산데가 저항의 무익함을 깨닫고 작은 배로 탈출하려다 붙잡혔다고 기록했다.[13][30] 반면, 페르낭 브로델과 같은 다른 기록에서는 그가 7월 29일에 돌격을 감행하다가 포로가 되었다고 설명한다.
오지에 드 부스베크의 노력 덕분에 돈 알바로 데 산데는 몇 년 후 몸값을 지불하고 석방될 수 있었다. 그는 이후 1565년 몰타 공방전에 참전하여 다시 오스만 제국 군대와 싸웠다.
해전에서의 기독교 측 사상자 규모에 대해서는 앤더슨이 총 18,000명으로 추산한 반면,[11][28] 길마틴(또는 그리머틴)은 약 9,000명으로 더 적게 추산했으며, 이 중 약 3분의 1[12]에서 절반[29] 가량은 노잡이였을 것으로 보았다.
5. 전투의 영향
제르바섬 해전은 1538년 프레베자 해전에 이은 오스만 제국의 결정적인 승리로, 지중해에서 오스만 제국의 해상 우위를 확립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 승리는 프레베자 해전 이후 22년간 강화되어 온 오스만 해군의 지중해 지배력이 정점에 달했음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평가받는다.[14][31]
반면, 스페인은 이 전투에서 숙련된 선원 600명과 아르케부스 사수 2,400명을 잃는 등[14][31] 대체하기 어려운 해군 인력을 대거 상실하며 해군력에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지중해의 세력 균형과 1565년 몰타 공방전 등 이후 사건들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전투 후 승리한 오스만군이 패배한 스페인군의 해골로 구조물을 세웠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15][32]
5. 1. 오스만 제국의 지중해 제해권 강화
1538년 프레베자 해전에 이어 제르바섬 해전에서도 승리한 오스만 제국은 지중해 해상권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 이 승리는 프레베자 해전 이후 22년간 강화되어 온 오스만 해군의 지중해 지배력이 정점에 달했음을 보여주는 사건이었다.반면, 스페인 함대는 이 전투에서 숙련된 선원 600명과 아르케부스 사수 2,400명을 잃는 등 큰 인력 손실을 겪었다. 이들은 쉽게 대체할 수 없는 중요한 병력이었기에 스페인 해군력에 큰 타격을 주었다.[14][31]
제르바섬 해전의 결과로 몰타 해협이 오스만 제국에 열리게 되었다. 이는 1565년 오스만 제국이 몰타섬을 공격하는 몰타 공방전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당시 몰타섬은 1522년 로도스섬을 오스만 제국에 빼앗긴 후 이주해 온 성 요한 기사단(몰타 기사단)의 새로운 근거지였다. 그러나 오스만 제국은 이 공방전에서 몰타섬 점령에는 실패했다.

한편, 승리한 오스만 제국군이 패배한 스페인 수비대의 해골을 모아 피라미드 형태의 구조물을 세웠다는 주장이 있다. '해골의 탑'(Borj el Jamajem)이라 불린 이 구조물은 19세기 후반까지 존재했다. 현재는 과거 구조물이 있던 후무트수크(Homt Souk)의 보르지 가지 무스타파(Borj Ghazi Mustafa)에 작은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15][32]
5. 2. 스페인의 몰락과 몰타 공방전
1538년 프레베자 해전과 제르바 해전에서의 연이은 승리로 오스만 제국은 지중해 해상권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 제르바 해전의 승리는 22년 전 프레베자 해전 이후 커져가던 오스만 해군의 지중해 지배력이 정점에 달했음을 보여주는 사건이었다.반면, 스페인 해군은 이 전투에서 큰 타격을 입었다. 특히 숙련된 선원 600명과 아르케부스 해병 2,400명을 잃었는데, 이는 쉽게 대체할 수 없는 인력 손실이었다.[14][31]
제르바 해전 이후 몰타 해협이 사실상 무방비 상태가 되면서, 오스만 제국은 1565년 몰타 섬을 침공하여 몰타 기사단의 새로운 본거지를 공격했다. 몰타 기사단은 1522년 로도스 공방전에서 패배하여 로도스섬을 오스만 제국에 빼앗긴 뒤 몰타 섬으로 이전한 상태였다. 그러나 오스만 제국의 몰타 침공은 실패로 끝났다.

한편, 승리한 오스만군이 패배한 스페인 수비대의 해골로 피라미드 형태의 무덤을 쌓았다는 주장이 있다. 이 해골 무덤은 19세기 후반까지 존재했으며, 현재는 무덤이 있던 후음트 수크의 보르지 엘 케비르 자리에 작은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15][32]
5. 3. 해골 피라미드
승리한 오스만군은 패배한 스페인 수비병들의 해골로 피라미드를 세웠다고 전해진다. 이 피라미드는 19세기 후반까지 존재했으며, 현재는 피라미드가 있던 훔트 엘 수크(Houmt Souk)의 보르지 엘 케비르(Borj El Kébir) 자리에 작은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15][32]
참조
[1]
서적
Blood and Faith: The Purging of Muslim Spain
https://books.google[...]
The New Press
2009
[2]
서적
Admirals of the World: A Biographical Dictionary, 1500 to the Present
McFarland
2009
[3]
웹사이트
Ted Thornton's History of the Middle East Database
http://www.nmhschool[...]
2006-02-20
[4]
서적
Naval Strategy and Power in the Mediterranean: Past, Present and Future
Routledge
2013-11-05
[5]
서적
History of the Knights of St. John
1643
[6]
서적
The Mediterranean and the Mediterranean World in the Age of Philip II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1995
[7]
서적
Romegas
Midsea Books, Malta
2002
[8]
웹사이트
Battle of Djerba
http://www.dallog.co[...]
2015-06-26
[9]
서적
Naval Wars in the Levant 1559–1853
https://hdl.handle.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
서적
Gunpowder and Galley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974
[11]
기타
Anderson op cit.
[12]
기타
Guilmartin op cit.
[13]
서적
Life and Letters
Slatkine Reprints, Geneva
1971
[14]
서적
Galleons and Galleys: Gunpowder and the Changing Face of Warfare at Sea, 1300-1650
Cassell
2002
[15]
서적
Skulls and Skeletons: Human Bone Collections and Accumulations
McFarland
2001
[16]
서적
Naval Strategy and Power in the Mediterranean: Past, Present and Fu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1-05
[17]
서적
Blood and Faith: The Purging of Muslim Spain
https://books.google[...]
The New Press
2009
[18]
서적
Admirals of the World: A Biographical Dictionary, 1500 to the Present
McFarland
2009
[19]
웹사이트
Ted Thornton's History of the Middle East Database
http://www.nmhschool[...]
[20]
서적
Naval Strategy and Power in the Mediterranean: Past, Present and Fu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1-05
[21]
서적
History of the Knights of St. John
1643
[22]
서적
The Mediterranean and the Mediterranean World in the Age of Philip II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1995
[23]
서적
Romegas
Midsea Books, Malta
2002
[24]
웹사이트
Battle of Djerba
http://www.dallog.co[...]
[25]
서적
Naval Wars in the Levant 1559-1853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1952
[26]
서적
地中海 IV出来事・政治・人間I
藤原書店
1994
[27]
서적
Gunpowder and Galley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974
[28]
기타
Anderson op cit.
[29]
기타
Guilmartin op cit.
[30]
서적
Life and Letters
Slatkine Reprints, Geneva
1971
[31]
서적
Galleons and Galleys: Gunpowder and the Changing Face of Warfare at Sea, 1300-1650
Cassell
2002
[32]
서적
Skulls and Skeletons: Human Bone Collections and Accumulations
McFarland
2001
[33]
문서
[34]
서적
Gunpowder and Galley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97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