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미니 8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미니 8호는 1966년 3월 16일 발사된 유인 우주 비행으로, 닐 암스트롱이 선장, 데이비드 스콧이 파일럿을 맡았다. 이 임무는 아폴로 계획을 위한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우주 랑데부 및 도킹, 우주 유영을 목표로 했다. 제미니 8호는 아제나 표적기와 도킹에 성공했으나, 도킹 27분 후 제어 불능 상태가 되어 비상 착륙했다. 사고 원인은 궤도 자세 제어 시스템의 문제로 추정되며, 이 사건으로 인해 NASA와 맥도넬 에어크래프트의 절차가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6년 재진입한 우주선 - 제미니 10호
    제미니 10호는 1966년 7월에 발사된 미국의 유인 우주 비행으로, 궤도상 랑데부, 도킹, 우주 유영, 과학 실험을 수행하고 70시간 10분간 비행 후 대서양에 착수했다.
  • 1966년 재진입한 우주선 - 제미니 9A호
    제미니 9A호는 제미니 계획의 일환으로 발사된 유인 우주선으로, 아제나 표적기 대신 증강형 표적 도킹 어댑터와의 랑데부를 시도했으나 도킹에 실패했으며, 우주 유영 또한 계획대로 진행되지 못했고, 지구 궤도 45회 비행 후 지구로 귀환했다.
  • 닐 암스트롱 - 아폴로 11호
    아폴로 11호는 1969년 미국 NASA에서 발사된 유인 우주선으로, 인류 최초로 달에 착륙하여 닐 암스트롱과 버즈 올드린이 달 표면을 탐사하고 월석을 채집했으며, 냉전 시대 우주 경쟁에서 미국의 우위 확보와 과학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 닐 암스트롱 - 로저스 위원회 보고서
    로저스 위원회 보고서는 챌린저 우주왕복선 폭발 사고 원인 조사 및 재발 방지를 위해 구성된 위원회의 보고서로, 사고 원인 분석, 부적절한 발사 결정 과정, O-링 결함 등을 밝혀내고 NASA의 안전 문화 결함과 의사소통 부족을 지적하며 안전 개선 권고 사항을 제시하여 NASA의 우주 왕복선 프로그램 운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66년 발사한 우주선 - 제미니 10호
    제미니 10호는 1966년 7월에 발사된 미국의 유인 우주 비행으로, 궤도상 랑데부, 도킹, 우주 유영, 과학 실험을 수행하고 70시간 10분간 비행 후 대서양에 착수했다.
  • 1966년 발사한 우주선 - 제미니 11호
    제미니 11호는 아폴로 계획을 지원하기 위해 발사된 미국의 유인 우주 미션으로, 첫 궤도 랑데부, 아제나 로켓 엔진을 이용한 궤도 진입, 우주 유영, 인공 중력 실험, 그리고 자동화된 컴퓨터 제어 대기권 재진입 시도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
제미니 8호
기본 정보
제미니 8호, 아제나 표적기와의 랑데부
제미니 8호, 아제나 표적기와의 정지 궤도 유지 훈련
제미니 8호 휘장
제미니 8호 휘장
임무 유형우주 랑데부
우주선 도킹
선외 활동 (실패)
운영 기관NASA
COSPAR ID1966-020A
SATCAT2105
임무 기간10시간 41분 26초
비행 거리293,206 킬로미터
궤도 회전수6회
우주선제미니 SC8
제작사맥도넬
발사 질량3,789 킬로그램
발사일1966년 3월 16일 16:41:02 UTC
발사 로켓타이탄 II GLV, s/n 62-12563
발사 장소케이프 커내버럴 LC-19
착륙일1966년 3월 17일 03:22:28 UTC
착륙 지점북위 25° 14', 동경 136° 0'
궤도 기준점1966년 3월 16일
궤도 기준지구 중심
궤도 영역지구 저궤도
궤도 근지점261 킬로미터
궤도 원지점270 킬로미터
궤도 경사28.9 도
궤도 주기89.81 분
원점gee
도킹 정보
도킹 대상아제나 표적 위성 GATV-5003
도킹 형식도킹
도킹 날짜1966년 3월 16일 23:14 UTC
분리 날짜1966년 3월 16일 ~23:45 UTC
도킹 시간~30분
승무원 정보
승무원 수2명
승무원닐 암스트롱
데이비드 스콧
제미니 8호 주요 승무원 사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스콧, 암스트롱
임무 연대표
이전 임무제미니 6A호
다음 임무제미니 9A호
프로그램
프로그램제미니 계획

2. 승무원

정규 승무원은 선장 닐 암스트롱과 파일럿 데이비드 스콧이었다. 백업 승무원은 선장 찰스 콘라드와 파일럿 리처드 고든으로, 이들은 제미니 11호의 정규 승무원이 되었다.[1] 지원 승무원으로 케이프 커내버럴 캡콤 월터 커닝햄, 휴스턴 캡콤 제임스 로웰이 있었다.

2. 1. 정규 승무원

첫 비행파일럿데이비드 스콧
첫 비행


2. 2. 백업 승무원

찰스 콘라드가 선장, 리처드 고든이 파일럿을 맡았다. 이들은 제미니 11호의 정규 승무원이 되었다.[1]

지위비행사
선장피트 콘래드
파일럿리처드 고든


2. 3. 지원 승무원

역할이름비고
케이프 커내버럴 캡콤월터 커닝햄[1]
휴스턴 캡콤제임스 로웰[2]
케네디 우주 센터 통신 담당관월터 커닝햄[3]
휴스턴 통신 담당관짐 러블[4]


3. 임무 개요

제미니 8호의 발사


제미니 8호는 아폴로 계획의 달 비행 계획을 위한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궤도상에서의 랑데부 및 도킹, 우주 유영을 목적으로 발사되었다.

1966년 3월 16일 UTC 15:00:03에 케이프커내버럴 공군 기지 LC-14 발사대에서 아제나 표적기(GATV-5003)가 발사되었다. 이 표적기는 고도 약 300 km, 궤도 주기 90분의 궤도에 진입하였다. 제미니 8호는 같은 날 16:41:02 UTC에 타이탄 II GLV에 의해 LC-19 발사대에서 발사되었다.

제미니 8호는 발사 후 약 6시간에 걸쳐 아제나 표적기 GATV-5003에 접근하여 도킹에 성공하였다. 그러나 도킹 후 27분 만에 궤도 자세 제어 시스템(OAMS)의 고장으로 예상치 못한 회전이 발생하여, 긴급히 도킹을 해제하고 재진입용 자세 제어 엔진을 사용하여 회전을 멈추었다.

이 사고로 인해 역분사 엔진을 사용하게 되면서, 제미니 8호는 긴급 재돌입을 하게 되었다. 원래 계획되었던 대서양 대신 오키나와 제도 동쪽 태평양 해상에 1966년 3월 17일 03:22:28 UTC에 착수하였다. 제미니 8호는 착수 3시간 후 구축함 ''USS 레오나드 F. 메이슨''에 의해 회수되었다.[1] 미국 국방성은 제미니 8호 지원에 인원 9,655명, 항공기 96기, 함정 16척을 투입하였다.

제미니 8호는 현재 오하이오주 와파코네타의 닐 암스트롱 항공 우주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3. 1. 목표

아폴로 계획의 달 착륙 임무를 위한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제미니 8호의 주요 목표는 궤도상에서의 랑데부 및 도킹, 그리고 우주 유영이었다.

1966년 3월 16일 발사된 아제나 표적기와 궤도상에서 랑데부 및 도킹을 수행하는 것이 핵심 목표였다. 이는 역사상 최초로 두 우주선 간의 도킹을 성공시키는 것이었다.[2] 원래는 4번의 도킹이 계획되어 있었다.[2]

조종사 데이비드 스콧은 2시간 10분 동안 우주 유영을 할 계획이었다. 지구를 1.5바퀴 도는 동안, 스콧은 제미니 우주선의 어댑터 전면에서 핵 유제 방사선 실험을 회수하고, 아제나에 미세 유성체 실험을 활성화할 예정이었다. 그런 다음 제미니로 돌아가 작업 패널의 볼트를 풀고 조이는 방식으로 최소 반응 동력 도구를 테스트할 예정이었다.[2]

우주 유영 동안, 닐 암스트롱이 아제나에서 분리된 후 스콧은 우주선 어댑터 뒷면에 보관된 우주선 외 활동 지원 팩(ESP)을 착용하고 테스트할 예정이었다. ESP는 자체 산소 공급 장치, 기동 장치용 프레온 추진제, 그리고 연장된 끈을 갖춘 배낭이었다. 그는 제미니와 아제나 우주선과 함께 대형을 이루어 여러 기동을 연습할 예정이었다.[2]

그러나 추진기 고장으로 인한 비상 상황으로 인해 도킹 해제 후, 우주 유영이나 재도킹 시험은 취소되었다.[1]

3. 2. 임무 변수

3. 3. 아제나 표적기와의 도킹



제미니 8호는 달 비행 계획을 위한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궤도상에서의 랑데부 및 도킹을 목적으로 하였다.

1966년 3월 16일 15:00:03 UTC에 케이프커내버럴 공군 기지 LC-14 발사대에서 아틀라스 로켓으로 아제나 표적기(GATV-5003)가 발사되었다. 제미니 8호의 랑데부 및 도킹 대상인 이 아제나 표적기는 발사 후 고도 약 300 km, 궤도 주기 90분의 궤도에 진입하였다.

제미니 8호는 LC-19 발사대에서 1966년 3월 16일 16:41:02 UTC에 타이탄 II GLV에 의해서 발사되었다. 제미니 8호는 발사 1시간 34분 후에 궤도 수정을 개시해, 약 6시간에 걸쳐 아제나 표적기 GATV-5003에 접근했다. 제미니 8호는 GATV-5003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 후, 초속 8 cm 의 저속으로 접근을 개시했다. 발사 6시간 33분 후인 23:14 (UTC)에 제미니 8호는 GATV-5003과의 도킹에 성공하였다.

그러나, 도킹 27분 후인 23:45 (UTC) 쯤에 예기치 못한 스핀이 발생해 제어가 곤란해졌다. 이 때문에 도킹을 해제했지만, 제미니 8호의 자세 제어는 비정상적이었고, 스핀의 회복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것은 궤도 자세 제어 시스템(OAMS)의 부조에 의한 것이며, 선장 암스트롱은 OAMS의 사용을 정지하고 재진입용 자세제어 엔진을 긴급 조작하는 것으로써 스핀을 제어하는 것에 성공했다.

4. 비행 과정

1966년 3월 16일 UTC 15시 00분 03초, 케이프커내버럴 공군 기지 LC-14 발사대에서 아제나 표적기(GATV-5003)가 발사되었다. 약 1시간 40분 뒤인 16시 41분 02초에는 타이탄 II GLV 로켓에 의해 제미니 8호가 LC-19 발사대에서 발사되었다.[3][4] 제미니 8호는 발사 후 약 6시간 만에 아제나 표적기 GATV-5003과 도킹에 성공했다.

그러나 도킹 27분 후, 궤도 자세 제어 시스템(OAMS)의 8번 추력기 고장으로 인해 예기치 못한 스핀이 발생했다. 선장 닐 암스트롱은 OAMS 사용을 중지하고 재진입용 자세 제어 엔진(RCS)을 긴급 조작하여 스핀을 멈추는 데 성공했다. 이 과정에서 재진입용 연료를 상당량 소비하게 되어, 우주 유영이나 재도킹 시험은 취소되었다.

제미니 8호는 원래 대서양에 착수할 예정이었지만, 긴급 상황으로 인해 오키나와 제도 동쪽 800km 해상에 1966년 3월 17일 03시 22분 28초 UTC에 착수했다. 착수 3시간 후, 제미니 8호는 대기하고 있던 구축함 ''USS 레오나드 F. 메이슨''(USS Leonard F. Mason, DD-852)에 의해 회수되었다.[9] 미국 국방성은 제미니 8호 지원을 위해 인원 9,655명, 항공기 96기, 함정 16척을 투입하였다.

4. 1. 아제나 표적기 발사

1966년 3월 16일 15:00:03 UTC에 케이프커내버럴 공군 기지 LC-14 발사대에서 아틀라스 로켓으로 아제나 표적기(GATV-5003)가 발사되었다. 제미니 8호의 랑데부 및 도킹 대상인 이 아제나 표적기는 발사 후 고도 약 300 km, 궤도 주기 90분의 궤도에 진입하였다.

제미니 8호 발사를 위해 아제나 표적 기체가 아틀라스 로켓에 실려 발사되고 있다.


제미니 8호와의 도킹 준비를 위해 아틀라스 로켓으로 우주에 발사되는 아제나 표적 위성


제미니 8호용 아제나 표적 위성 제원
표적 위성GATV-5003
NSSDC ID:1966-019A
질량3175kg
발사장LC-14
발사일1966년 3월 16일
발사 시간15:00:03 UTC
제1 근지점299.1km
제1 원지점299.7km
궤도 회전 시간90.47분
궤도 경사각28.86
대기권 재진입1967년 9월 15일



5개월 전, NASA는 제미니 6호를 위해 아제나 표적 위성을 발사했지만, 궤도 진입 시 아제나의 엔진이 폭발하여 아틀라스-아제나 로켓 발사가 실패하면서 계획을 재조정해야 했다. 이후 모든 것이 완벽하게 진행되어, 아제나는 고도 298킬로미터의 원궤도에 진입하여 자동 제어로 도킹을 위한 정확한 고도로 궤도 수정을 하고 있었다.

4. 2. 제미니 8호 발사

1966년 3월 16일 15:00:03 UTC에 케이프커내버럴 공군 기지 LC-14 발사대에서 아틀라스 로켓으로 아제나 표적기(GATV-5003)가 발사되었다. 제미니 8호의 랑데부 및 도킹 대상이었던 이 아제나 표적기는 발사 후 고도 약 300km, 궤도 주기 90분의 궤도에 진입하였다.

제미니 8호는 LC-19 발사대에서 1966년 3월 16일 16:41:02 UTC에 타이탄 II GLV에 의해서 발사되었다. 제미니 8호의 원래 궤도는 근지점 159.9km, 원지점 271.9km, 궤도 주기 88.83분의 타원 궤도였다. 발사 1시간 34분 후에 궤도 수정을 시작해, 약 6시간에 걸쳐 아제나 표적기 GATV-5003에 접근했다. GATV-5003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 후, 초속 8 cm 의 저속으로 접근을 시작하여 발사 6시간 33분 후에 도킹에 성공하였다.

5개월 전, NASA는 제미니 6호를 위해 아제나 표적 기체를 발사했지만, 아제나의 엔진이 궤도 진입 중 폭발하여 아틀라스-아제나 발사가 실패했고, 임무가 재조정되었다. 다음 시도는 성공하여 아제나는 161nmi의 원형 궤도에 진입하여 도킹에 적합한 자세를 잡았다.

제미니-타이탄 발사체가 1966년 3월 16일 ''제미니 8호''를 궤도로 올리고 있다.


제미니 우주선은 1966년 3월 16일 오전 10시 41분 02초(동부 표준시), 개조된 타이탄 II 로켓에 의해 86by 궤도로 발사되었다. 이는 로버트 H. 고다드 박사가 세계 최초의 액체 연료 로켓을 발사한 지 40주년이 되는 날이었다. 제미니 8호의 발사는 정상적으로 진행되었으며, 타이탄 II나 우주선에서 심각한 이상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scope="col" |제미니 8호 아제나 정보
표적 기체GATV-5003
NSSDC ID:1966-019A
질량
발사 기지LC-14
발사일1966년 3월 16일
발사 시간15:00:03 UTC
첫 번째 근지점
첫 번째 원지점
주기90.47분
경사각28.86
재진입1967년 9월 15일


4. 3. 랑데부 및 도킹

1966년 3월 16일 15:00:03 UTC에 케이프커내버럴 공군 기지 LC-14 발사대에서 아제나 표적기(GATV-5003)가 발사되었다. 제미니 8호의 랑데부 및 도킹 대상인 이 아제나 표적기는 발사 후 고도 약 300 km, 궤도 주기 90분의 궤도에 진입하였다.

제미니 8호는 LC-19 발사대에서 1966년 3월 16일 16:41:02 UTC에 타이탄 II GLV에 의해서 발사되었다. 제미니 8호는 발사 1시간 34분 후에 궤도 수정을 개시해, 약 6시간에 걸쳐 아제나 표적기 GATV-5003에 접근했다. 제미니 8호는 GATV-5003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 후, 초속 8 cm 의 저속으로 접근을 개시했다. 발사 6시간 33분 후인 23:14 (UTC)에 제미니 8호는 GATV-5003과의 도킹에 성공하였다.[1] 그러나, 도킹 27분 후인 23:45 (UTC)경에[1] 예기치 못한 스핀이 발생해 제어가 곤란해졌다.

제미니 8호와 아제나 차량의 도킹


첫 번째 궤도 수정은 발사 후 1시간 34분 후에 이루어졌다. 비행사들은 궤도 자세 제어 시스템(OAMS)을 5초 동안 분사하여 원지점을 약간 낮췄다. 두 번째 수정은 궤도의 원지점 근처에서 이루어졌으며, 속도를 15m/s 증가시켜 원지점과 근지점 모두를 상승시켰다. 세 번째 수정은 태평양 상공에서 이루어졌으며, 횡 방향 분사로 18m/s 가속하여 궤도면을 남쪽으로 기울였다. 멕시코 상공에 접어들었을 때, 휴스턴의 통신 담당관 짐 러벨은, 추가로 0.79m/s 가속하는 마지막 궤도 수정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랑데부용 레이더는, 거리 322km 지점에서 아제나의 모습을 포착했다. 발사 후 3시간 48분 10초 후, 비행사들은 추가로 로켓을 분사하여 아제나보다 고도가 28km 낮은 원형 궤도로 진입했다. 처음으로 아제나를 육안으로 확인한 것은 거리 141km 지점이었으며, 102km까지 접근했을 때 컴퓨터에 의한 자동 조종으로 전환했다.

랑데부 당시 제미니 8호가 촬영한 아제나 표적 위성


그 후 수 차례의 미세 조정을 통해 거리 46m까지 접근했으며, 상대 속도는 0이 되었다. 비행사들은 30분 동안 아제나를 육안으로 점검했고, 발사의 충격에 의한 손상은 전혀 발견되지 않아, 관제실은 도킹을 수행하도록 지시했다. 암스트롱은 8cm/s로 아제나에 접근을 시작했다. 몇 분 안에 아제나의 도킹 장치의 걸쇠가 걸리고, 녹색 램프가 켜져 도킹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냈다. "관제실, 도킹이 완료되었습니다! 정말 부드럽게 진행되었어요"라고 스콧은 무선으로 지상에 보고했다.[1]

4. 4. 추진기 고장 및 비상 상황

아제나 표적기와 도킹 27분 후, 제미니 8호는 예기치 못한 스핀에 휘말려 제어가 어려워졌다. 이 때문에 도킹을 해제했지만, 제미니 8호의 자세 제어는 비정상적인 상태로 스핀이 멈추지 않았다. 이는 궤도 자세 제어 시스템(OAMS)의 문제 때문이었으며, 선장 닐 암스트롱은 OAMS 사용을 중지하고 재진입용 자세 제어 엔진을 긴급 조작하여 스핀을 멈추는 데 성공했다.[6]

제미니 OAMS 및 재진입 제어 시스템 추력기 위치


지상에서는 아제나의 자세 제어 시스템 오작동을 의심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미션 통제 센터는 무선 통신 두절 직전에 우주비행사들에게 아제나에 이상이 발생하면 즉시 도킹을 중단하라고 경고했다.

아제나가 저장된 명령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아제나는 결합된 우주선을 오른쪽으로 90° 회전하도록 지시했다. 스콧은 우주선이 회전하는 것을 알아차리고, 암스트롱은 제미니의 OAMS 추력기를 사용하여 회전을 멈추려 했지만, 회전은 멈춘 후 즉시 다시 시작되었다. 제미니 8호는 이때 지상 통신 범위를 벗어난 상태였다.

암스트롱은 OAMS 연료가 30%까지 떨어졌다고 보고하며 문제의 원인이 자체 우주선에 있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 회전 속도가 빨라지면서 우주선 손상이나 아제나의 파열 또는 폭발 가능성까지 우려되자, 승무원들은 아제나로부터 분리하기로 결정했다. 스콧은 아제나 제어를 지상 명령으로 전환했고, 암스트롱은 분리를 위해 결합된 우주선을 안정시키려고 노력했다. 스콧이 분리 버튼을 누르자, 암스트롱은 장시간 추력기 분사를 통해 아제나로부터 멀어졌다.

아제나의 무게가 없어지자 제미니는 더 빠르게 회전하기 시작했다. 우주비행사들은 문제의 원인이 제미니에 있음을 깨달았다. 회전 속도가 초당 296도에 달했고, 암스트롱은 OAMS를 끄고 제미니 코에 있는 재진입 제어 시스템(RCS) 추력기를 사용하여 회전을 멈추기로 결정했다. 이 사건은 시작부터 종료까지 거의 30분 동안 지속되었다.[6]

우주선이 지상 통신선 ''코스탈 센트리 퀘벡''의 통신 범위에 들어온 후, 승무원은 각 OAMS 추력기를 테스트했고, 8번 추력기가 고착되었음을 발견했다. 회전을 멈추는 데 재진입 기동 연료의 거의 75%가 사용되었고, 어떤 이유로든 재진입 제어 시스템이 발사되면 임무 규칙에 따라 비행을 중단해야 했다. 따라서 제미니 8호는 즉시 비상 착륙을 준비했다.

스콧은 우주선이 회전하는 동안 암스트롱의 행동을 칭찬하며 "그는 훌륭했다. 그는 시스템을 너무 잘 알고 있었다. 그는 극심한 상황에서 해결책을 찾고, 해결책을 활성화했다...그와 함께 비행하게 되어 운이 좋았다"라고 말했다.[7]

4. 5. 귀환 및 착수

역분사 엔진을 사용함에 따라, 제미니 8호는 대기권에 긴급 재돌입을 하게 되었다. 우주 유영이나 재도킹 시험은 취소되었다. 제미니 8호는 본래 대서양에 착수할 예정(항공모함 ''USS 복서''가 대기 중이었음)이었지만, 대서양이 아닌 오키나와 제도 동쪽의 태평양 해상을 목표로 착수하게 되었다. 제미니 8호는 1966년 3월 17일 03:22:28 UTC오키나와 동쪽 800km의 해상에 착수하였다.[8] 착수 3시간 후에 대기하고 있던 구축함 ''USS 레오나드 F. 메이슨''(USS Leonard F. Mason, DD-852)에 의해서 회수되었다.[9] 미국 국방성은 제미니 8호를 지원하기 위해 인원 9,655명과 항공기 96기, 함정 16척을 투입하였다.

우주선은 제2 회수 부대의 활동 범위 내에 착수시키기 위해 궤도를 1바퀴 돈 후 대기권에 재진입하기로 결정되었다. 당초에는 대서양에 착수할 예정이었으나, 이곳에 도달하는 것은 3일 후였다. 때문에 회수선 "레너드 F. 메이슨(USS Leonard F. Mason)"은 오키나와 동방 800km, 요코스카 남방 1000km에 새롭게 설정된 착수점을 향해 출발했다.

재진입을 시작한 것은 중국 상공으로, NASA의 통신 기지국 범위 밖이었다.

항공기도 파견되었고, 조종사 중 한 명인 미국 공군 레스 슈나이더(Les Schneider) 기장은 우주선이 정확한 시간과 장소에 강하했는지 자세히 관찰했다. 제미니를 발견하자, 비행기에서 미국 공군 낙하산 구조대(United States Air Force Pararescue)의 글렌 M. 무어(Glenn M. Moore), 엘드리치 M. 닐(Eldridge M. Neal), 래리 D. 휴엣(Larry D. Huyett)[18] 3명의 구조대원이 뛰어내려, 우주선에 튜브를 부착했다. 착수 3시간 후, 레너드 F. 메이슨은 우주선을 함상으로 끌어올렸다. 비행사들은 피로했지만 무사히 생환했다.

사고 조사의 일환으로, 지상 관제관은 그 후 수일 동안 아제나에 명령을 보내 연료와 전원이 소진될 때까지 다양한 궤도 조작을 실시하여 검사했다.

이로부터 4개월 후, 제미니 10호의 비행사들은 폐기된 아제나와 랑데부하여, 마이클 콜린스 비행사는 유성진 수집기를 회수하는 데 성공했다.

5. 사고 원인 및 결과

제미니 8호의 사고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정전기 방전에 의한 전기적 단락이 가장 유력한 원인으로 추정되었다. 이로 인해 추진기는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도 계속 작동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의 재발을 막기 위해 우주선 설계가 변경되어 각 추진기는 독립적인 회로를 갖게 되었다.[10]

제미니 8호 승무원들이 MSC 기자 회견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크리스 크래프트의 저서 ''Flight: My Life in Mission Control''에 따르면, 우주선 귀환 후 엔지니어들은 OAMS 시스템을 분해하여 하나의 추진기가 계속 작동하게 만드는 단락 회로를 발견했다. 이들은 켜져야 할 때가 아니면 어떤 시스템에도 전원을 공급하지 말아야 한다는 중요한 교훈을 얻었다. OAMS는 단락 회로가 발생하면 우주 비행사가 회로 차단기를 열 때까지 계속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작동이 중지되는 방식으로 다시 배선되었다.

이 사고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조사 절차에도 영향을 미쳤다. 당시 NASA 부국장이었던 로버트 시먼스는 이 사건을 계기로 군의 사고 조사 방식을 참고하여 NASA의 문제 조사 절차를 검토했다. 그 결과 1966년 4월 14일, '관리 지침 8621.1, 임무 실패 조사 정책 및 절차'라는 새로운 절차가 공식화되었다. 이 지침은 NASA 부국장에게 주요 실패에 대해 독립적인 조사를 수행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11] 시먼스는 1967년 1월 27일 아폴로 1호 화재 사고 직후 이 새로운 절차를 처음으로 적용했다.

제미니 우주선 주 계약업체였던 맥도넬 항공기사(McDonnell Aircraft Corporation) 또한 절차를 변경했다. 사고 발생 당시 맥도넬의 최고 엔지니어들은 발사 후 텍사스주 휴스턴의 관제 센터로 이동 중이었는데, 이 때문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웠다. 이후 맥도넬은 엔지니어들을 전체 임무 기간 동안 휴스턴에 상주시키기로 결정했다.[12]

5. 1. 원인 조사

추진기 오작동에 대한 결정적인 이유는 발견되지 않았다. 가장 유력한 원인은 정전기 방전에 의한 전기적 단락으로 밝혀졌다. 추진기는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도 계속 전원이 공급되었다. 이 문제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우주선 설계를 변경하여 각 추진기가 독립적인 회로를 갖도록 했다.

이 사건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 부국장 로버트 시먼스 박사에게 군사적 사고 조사를 모델로 한 NASA의 문제 조사 절차를 검토하도록 영감을 주었다. 1966년 4월 14일, ''관리 지침 8621.1, 임무 실패 조사 정책 및 절차''에서 새로운 절차가 공식화되었다. 이 지침은 부국장에게 다양한 프로그램 사무소 관계자가 일반적으로 책임을 져야 하는 실패 조사 외에 주요 실패에 대한 독립적인 조사를 수행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했다. 이 지침은 다음과 같이 선언했다. "NASA는 우주 및 항공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주요 임무 실패의 원인을 조사하고 문서화하며, 그 결과로 얻은 발견과 권고 사항에 따라 적절한 시정 조치를 취하는 것을 정책으로 한다."[11]

제미니 우주선 주 계약업체인 맥도넬 항공기사(McDonnell Aircraft Corporation) 역시 절차를 변경했다. 사고 전, 맥도넬의 최고 엔지니어들은 발사를 위해 케이프커내버럴 공군 기지에 있었고, 임무의 나머지 기간 동안 텍사스주 휴스턴의 크리스토퍼 C. 크래프트 주니어 미션 통제 센터로 이동했다. 문제가 발생하는 동안 그들이 이동 중이었기 때문에 맥도넬 엔지니어들을 전체 임무 동안 휴스턴에 유지하기로 결정했다.[12]

5. 2. 결과 및 영향

추진기 오작동에 대한 결정적인 이유는 발견되지 않았다. 가장 유력한 원인은 정전기 방전에 의한 전기적 단락으로 밝혀졌다. 추진기는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도 계속 전원이 공급되었다. 이 문제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우주선 설계를 변경하여 각 추진기가 독립된 회로를 갖도록 했다.[10]

크리스 크래프트의 저서 ''Flight: My Life in Mission Control''에 따르면, 우주선 귀환 후 엔지니어들은 OAMS 시스템을 분해하여 하나의 추진기가 계속 작동하게 만드는 단락 회로를 발견했다. 이들은 켜져야 할 때가 아니면 어떤 시스템에도 전원을 공급하지 말아야 한다는 중요한 교훈을 얻었다. OAMS는 단락 회로가 발생하면 우주 비행사가 회로 차단기를 열 때까지 계속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작동이 중지되는 방식으로 다시 배선되었다.

로버트 시먼스 당시 미국 항공우주국(NASA) 부국장은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가 주최한 축하 만찬에 참석 중이었는데, 당시 휴버트 험프리 부통령이 연설자로 참석해 있었다.[10] 이 사건은 시먼스에게 군사적 사고 조사를 모델로 한 NASA의 문제 조사 절차를 검토하도록 영감을 주었고, 1966년 4월 14일, ''관리 지침 8621.1, 임무 실패 조사 정책 및 절차''에서 새로운 절차를 공식화했다. 이는 부국장에게 다양한 프로그램 사무소 관계자가 일반적으로 책임을 져야 하는 실패 조사 외에 주요 실패에 대한 독립적인 조사를 수행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했다. 이 지침은 "NASA는 우주 및 항공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주요 임무 실패의 원인을 조사하고 문서화하며, 그 결과로 얻은 발견과 권고 사항에 따라 적절한 시정 조치를 취하는 것을 정책으로 한다."라고 선언했다.[11] 시먼스는 1967년 1월 27일 치명적인 아폴로 1호 우주선 화재 직후 이 새로운 절차를 처음으로 발동했다.

제미니 우주선 주 계약업체인 맥도넬 항공기사(McDonnell Aircraft Corporation) 역시 절차를 변경했다. 사고 전, 맥도넬의 최고 엔지니어들은 발사를 위해 케이프커내버럴 공군 기지에 있었고, 임무의 나머지 기간 동안 텍사스주 휴스턴의 크리스토퍼 C. 크래프트 주니어 미션 통제 센터로 이동했다. 문제가 발생하는 동안 그들이 이동 중이었기 때문에 맥도넬 엔지니어들을 전체 임무 동안 휴스턴에 유지하기로 결정했다.[12]

6.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SATCAT http://planet4589.or[...] Jonathan's Space Pages 2014-03-23
[2] 서적 On the Shoulders of Titans: A History of Project Gemini http://www.hq.nasa.g[...] NASA 1974-09-01
[3] 웹사이트 Civilians in Space http://www.fourmilab[...]
[4] 웹사이트 Space.com Joseph A Walker http://www.space.com[...] 2006-11-27
[5] 웹사이트 Valentina Vladimirovna Tereshkova http://www.adm.yar.r[...]
[6] 웹사이트 Boeing Frontiers Online https://www.boeing.c[...] Boeing.com 1966-03-16
[7] 에피소드 First Man on the Moon http://www.pbs.org/w[...] 2014-12-03
[8] 웹사이트 Gemini8 Crew and PJs http://www.nasaimage[...]
[9] 뉴스 Astronauts arrive on Okinawa http://www.stripes.c[...] 1966-03-19
[10] 저널 Project Apollo: The Tough Decisions https://history.nasa[...] NASA 2005-01-01
[11] 웹사이트 NASA Management Instruction 8621.1 April 14, 1966 http://www.hq.nasa.g[...] NASA 1967-04-05
[12] 웹사이트 On The Shoulders of Titans - Ch13-6 http://www.hq.nasa.g[...]
[13] 웹사이트 SATCAT http://planet4589.or[...] Jonathan's Space Pages
[14] 서적 On the Shoulders of Titans: A History of Project Gemini http://www.hq.nasa.g[...] NASA 1974-09-01
[15] 웹사이트 Civilians in Space http://www.fourmilab[...]
[16] 웹사이트 Space.com Joseph A Walker http://www.space.com[...]
[17] 웹사이트 Valentina Vladimirovna Tereshkova http://www.adm.yar.r[...]
[18] 웹사이트 Gemini8 Crew and PJs http://www.nasaimage[...]
[19] 저널 Project Apollo: The Tough Decisions http://history.nasa.[...] NASA
[20] 웹사이트 NASA Management Instruction 8621.1 April 14, 1966 http://www.hq.nasa.g[...] NASA 1967-04-05
[21] 웹사이트 On The Shoulders of Titans - Ch13-6 http://www.hq.nasa.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