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H. 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임스 H. 콘은 1938년 아칸소주에서 태어나, 흑인 해방 신학을 정립한 미국의 신학자이다. 그는 흑인 해방의 관점에서 성경을 해석하고, 억압받는 사람들의 경험을 신학의 중심으로 삼았다. 《흑인 신학과 흑인 권력》, 《억압받는 자의 하느님》등의 저서를 통해 흑인 신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유니온 신학대학원에서 40명 이상의 흑인 박사 과정 학생들을 지도했다. 그의 신학은 여성주의 신학, 마르크스주의 등과도 연관되었으며, 2018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방 신학자 - 로즈메리 래드퍼드 류터
로즈메리 래드퍼드 류터는 2022년에 사망한 미국의 페미니스트 신학자이자 작가로, 여성의 경험을 신학에 포함시키고 가부장적 기독교를 비판하며 36권의 저서와 600편 이상의 논문을 저술했다. - 해방 신학자 - 레오나르도 보프
레오나르도 보프는 라틴 아메리카 해방 신학의 주요 인물로, 사회 정의와 생태 문제에 대한 입장을 표명하며 인권 옹호와 국제 정치 시스템 개혁을 지지한 브라질의 신학자, 철학자, 작가이다. - 감리교 신학자 - 존 캅
존 캅은 일본에서 태어나 미국에서 교육받고 과정철학을 연구한 신학자이자 철학자로, 클레어몬트에서 과정연구센터를 설립하여 과정신학과 철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생태신학, 종교 다원주의, 지속 가능한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제 간 연구를 수행하고 사회 정의와 환경 보호를 위한 활동을 펼쳤다. - 감리교 신학자 - 스탠리 하우어워스
스탠리 하우어워스는 서사 신학과 탈자유주의 신학에 기반하여 신학적, 철학적 관점을 제시하며 교회 공동체의 중요성, 기독교 평화주의 옹호, 신학과 윤리의 통합을 주장하는 미국의 신학자이자 윤리학자이다. - 미국의 기독교 신학자 - 윌리엄 뎀스키
윌리엄 뎀스키는 수학, 철학, 신학 분야의 학위를 가진 미국의 학자이자 지적 설계 운동의 주요 인물로서, '특정 복잡성' 개념을 제시하며 지적 설계를 옹호하는 주장을 펼치지만, 과학계에서는 논리적 모순과 증거 부족으로 비판받고 있다. - 미국의 기독교 신학자 - 한스 프라이
한스 프라이는 독일 출신의 미국 신학자이자 종교학자로, 나치 독일을 피해 미국으로 이주하여 예일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교수로 재직하며 서사 신학, 문자적 읽기, 기독론 등 다양한 신학적 사상을 전개했으며, 1988년 뇌졸중으로 사망했다.
제임스 H. 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제임스 H. 콘 |
원어 이름 | James Hal Cone |
존칭 | 목사 |
출생 | 1938년 8월 5일 |
출생지 | 포다이스, 아칸소주, 미국 |
사망 | 2018년 4월 28일 (향년 79세) |
사망지 | 뉴욕, 미국 |
종교 | |
종교 | 기독교 (감리교) |
교단 | 아프리카 감리교 성공회 |
학력 | |
학력 | 필랜더 스미스 칼리지 개럿-복음주의 신학교 노스웨스턴 대학교 |
학위 논문 제목 | 칼 바르트 신학에서의 인간 교리 |
학위 논문 연도 | 1965년 |
학문적 전통 | 흑인 해방 신학 |
경력 | |
직장 | 필랜더 스미스 칼리지 애드리안 칼리지 유니언 신학대학 |
영향 | |
영향 받은 인물 | 칼 바르트 윌리엄 호던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맬컴 엑스 제임스 볼드윈 파울 틸리히 |
주요 저서 | |
주요 저서 | 《해방의 흑인 신학》(1970년) |
주요 사상 | |
주요 사상 | 흑인 해방 신학 |
수상 | |
수상 | 그라베마이어 상 (2018년) |
2. 생애와 경력
제임스 H. 콘은 카를 마르크스에게 영향을 받아 흑인 중심의 신학적 주제에 초점을 두었다. 그는 백인 중심의 미국 신학계에 큰 충격을 준 ''<기독교와 흑인 파워>''(Christianity and Black Power)를 시작으로, ''<예수와 흑인혁명>''(Black Theology and Black Power), ''<눌린 자의 하느님>''( God of the Oppressed), ''<나의 혼을 돌이키며>''(My Soul Looks Back) 등의 책을 냈다.
콘의 신학은 어린 시절 아칸소주의 가난한 흑인 동네 비어든에서의 성령체험을 바탕으로 흑인의 삶과 절망, 희망을 신학적 재료로 사용했다는 점에서 자전적이며 실천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자신의 처지와 가난을 소중하게 간직한 간증의 신학자였다.[1]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제임스 H. 콘은 1938년 8월 5일 아칸소주 포다이스에서 태어나 아칸소주 비어든의 인종 차별이 심한 마을에서 성장했다.[1] 콘과 그의 가족은 비어든에 있는 마케도니아 아프리카 감리교 감독 교회에 다녔다. 그는 쇼터 칼리지 (1954–1956)를 다녔으며, 1958년 필랜더 스미스 칼리지에서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 그곳에서 제임스 보약과 앨리스 보약의 지도를 받았는데, 콘은 2018년 회고록 ''Said I Wasn't Gonna Tell Nobody''에서 그들이 자신의 인간성을 존중해준 최초의 백인이었다고 썼다. 그는 교구 목회를 하지 않기로 결정했지만, 그들의 조언에 따라 1961년 가렛-에반젤리칼 신학대학원에서 신학 학사 학위를, 1963년과 1965년에 노스웨스턴 대학교와의 공동 프로그램에서 각각 문학 석사 및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 그는 대부분의 북부 백인들이 보약 부부처럼 자신을 존중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았다. 그러나 그는 낯선 신학자, 논쟁, 성서 연구 방법론을 배우는 것에 흥미를 느꼈다. 가렛의 백인 신학자 윌리엄 호던의 권유와 지원으로 신학 박사 과정에 지원하여 합격했다.[1]필랜더 스미스 칼리지의 종교 및 철학 교수였던 제임스와 앨리스 보약은 그가 자신의 잠재력을 믿도록 도왔으며, 신정론과 흑인들의 고통에 대한 그의 관심을 심화시켰다. 그는 가렛 학자 윌리엄 E. 호던을 멘토이자 조언자, 그리고 영향력 있는 스승으로 만났다. 필립 왓슨 교수는 그에게 영어 작문 집중 보충 학습을 하도록 동기를 부여했으며, 동료 레스터 B. 셰러는 이에 큰 도움을 주었다.[1]
2. 2. 교수 활동
그는 필랜더 스미스 칼리지, 애드리안 칼리지에서 신학과 종교를 가르쳤고, 1970년부터는 뉴욕 시의 유니언 신학대학원에서 가르쳤으며, 1977년에는 조직신학 분야의 저명한 찰스 A. 브리그스 석좌 교수로 임명되었다.[7] 2018년에는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7]2. 3. 개인사
제임스 H. 콘은 1958년 로즈 햄튼과 결혼하여 1977년에 이혼했다. 슬하에 두 아들 마이클과 찰스를 두었다. 1979년 손드라 깁슨과 재혼했으나, 깁슨은 1983년에 사망했다.[8][9][10] 슬하에 두 딸 크리스탈과 로빈을 두었다. 콘은 2018년 4월 28일에 사망했다.[8][9][10]3. 신학
제임스 H. 콘은 카를 마르크스 등에게 영향을 받아 흑인 중심의 신학적 주제에 초점을 두었다. 그는 <기독교와 흑인 파워>(Christianity and Black Power)를 발표하여 백인 중심의 미국 신학계에 충격을 주었고, 이후 <예수와 흑인혁명>(Black Theology and Black Power), <눌린 자의 하느님>( God of the Oppressed), <나의 혼을 돌이키며>(My Soul Looks Back) 등을 저술했다.
콘의 신학은 흑인 해방의 관점에서 성경과 신학을 해석하며, 자신의 삶을 신학적 소재로 삼았다. 그는 아칸소 주 비어든에서의 성령 체험을 바탕으로 흑인의 삶, 절망, 희망을 신학적 재료로 사용했다. 콘은 흑인 신학과 신앙이 백인들의 것과 같을 수 없다는 전제에서 출발하며, 신학을 "억압받는 흑인들이 자유를 쟁취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것들을 해석학적으로 밝히는 작업"으로 정의했다.[21] 그는 신학자가 하나님의 백성들의 억압과 해방 경험을 그리스도의 고통과 부활의 맥락에서 재해석하고, 하나님의 해방 사업에 참여하는 행동을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콘은 탈출기, 예언자, 예수를 흑인 신학에서 해방의 의미를 정의하는 세 가지 요소로 보았다. 그의 신학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경험과 삶에서 비롯된 신학적 질문에서 시작하며, 흑인 교회의 역할과 인종차별을 통합한다. 그는 칼 바르트가 흑인 학생들에게 의미를 가질 수 없다고 생각했으며, 흑인 민권 투쟁에 대한 좌절감, 말콤 X와 흑인 권력 운동, 마틴 루터 킹 주니어에게서 영감을 받았다.
콘은 성경뿐 아니라 영가, 블루스, 데이비드 워커, 헨리 맥닐 터너, W. E. B. 듀보이스 등 아프리카계 미국 사상가들의 저술을 신학적 작업에 활용했다. 그의 신학은 마르크스주의 분석 및 지식 사회학과의 대화, 흑인 여성들의 비판에 대한 대응으로 발전하며 여성주의 신학의 발전을 촉진했다.[11]
콘은 파울 틸리히처럼 신학이 특정 역사적 맥락과 관련이 있다고 강조하며, 흑인 억압 경험의 맥락에서 해방 신학을 정립했다. 그는 복음서의 핵심을 예수의 가난하고 억압받는 자들과의 동일시, 부활을 궁극적인 해방 행위로 해석한다. 콘은 하나님의 "흑인성"과의 동일시를 주장하며, 하나님은 억압받는 자들의 경험과 동일시되거나 인종차별주의의 하나님이라고 말한다. 그는 흑인이라는 것이 피부색이 아닌 소외된 자들과 함께하는 마음, 영혼, 정신, 몸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1977년 콘은 인종 및 국가 집단을 넘어선 전 세계적인 인류애를 강조했지만,[13] 1998년에는 백인 교회와 백인 남성에 대한 비판을 유지했다.
3. 1. 해석학
콘의 신학적 방법론은 해방신학의 해석학적 방법과 함께한다. 특히 그는 칼 막스에게서 영향을 받았다. 지식사회학은 그의 학문에 많은 도움을 주었으며, 특별히 흑인 중심의 신학적 주제에 초점을 두었다. 그는 <기독교와 흑인 파워>(Christianity and Black Power)를 발표하여 백인 중심의 미국 신학계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이후 <예수와 흑인혁명>(Black Theology and Black Power), <눌린 자의 하느님>( God of the Oppressed), <나의 혼을 돌이키며>(My Soul Looks Back)를 저술했다.콘은 흑인을 해방하는 관점에서 성경과 신학의 해석학을 시도했다. 그는 자신의 삶을 철저하게 신학적 소재로 사용하였다. 콘의 신학은 철저하게 자전적이며 실천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는 어린 시절 아칸소 주의 가난한 흑인 동네 비어든에서의 성령 체험을 했다. 그리고 그 흑인의 삶과 절망, 희망을 바탕으로 한 경험을 콘텍스트로 신학적 재료로 사용해왔다. 그는 거의 모든 신학자들의 영광을 포기하고 자신의 처지와 가난을 소중한 것으로 간직한 간증의 신학자였다.
콘은 흑인들의 신학과 신앙이 그들을 노예로 만든 백인들의 신학과 신앙과 결코 같을 수 없다는 전제를 갖고 출발한다. 콘에게 있어 신학은 "하느님의 백성, 특히 억압 속에 살아왔던 흑인들이 세상 속에서 자유를 쟁취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것들을 해석학적으로 밝히는 작업" 이었다. 그는 신학자란 자신의 영광이 아닌 하나님의 백성들의 억압과 해방 경험을 그리스도의 고통과 부활의 맥락 속에서 재해석하고, 하나님의 해방 사업에 참여하는 행동(praxis)이 어떤 것인가 명료하게 밝혀 주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콘의 신학이 해방 전통에 서 있는 다른 신학자들과 구분되는 지점은 고통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방식이다. 콘이 1969년에 낸 대표작인 "눌린 자의 하느님"은 이화여대 현영학 교수가 번역한 이래 <흑인 영가와 블루스>(The Spirituals and the Blues)도 나왔다.[21]
콘은 "탈출기, 예언자들, 그리고 예수—이 세 가지가 흑인 신학에서 해방의 의미를 정의했다."라고 하였다. 제임스 콘의 신학적 해석학, 즉 해석의 렌즈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경험과 그의 삶에서 비롯된 신학적 질문에서 시작한다. 그는 자신의 삶에서 흑인 교회의 강력한 역할과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겪은 인종차별을 통합한다. 콘에게 있어, 그가 대학원에서 공부한 신학자들은 그의 질문에 의미 있는 답을 제공하지 못했다. 이러한 불일치는 그가 아칸소 주 리틀록에 있는 필랜더 스미스 대학교에서 신학을 가르치면서 더욱 분명해졌다. 콘은 다음과 같이 적었다. "칼 바르트는 아칸소, 루이지애나, 미시시피의 목화밭에서 온 흑인 학생들에게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었을까? 그들은 흑인을 무(無)로 정의한 사회에서 자신들의 삶의 구조를 바꾸려고 했다."
콘의 신학은 또한 흑인 민권 투쟁에 대한 좌절감에서 상당한 영감을 받았다. 그는 북미의 흑인 기독교인들이 흑인들을 억압하는 시스템의 기꺼운 일부였던 "백인 교회"를 따라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다. 이에 따라 그의 신학은 말콤 X와 흑인 권력 운동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마틴 루터 킹 주니어 역시 중요한 영향력을 미쳤다. 콘은 킹을 그 용어가 존재하기 전부터 해방 신학자로 묘사한다. 콘은 "나는 자기 혐오에 빠진 흑인 기독교인들을 흑인 그리스도의 혁명적인 제자로 바꾸는 사명을 띠고 있었다."라고 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흑인 교회는 실패에도 불구하고 흑인들에게 가치감을 준다."
3. 2. 방법론
콘은 성경으로의 회귀, 특히 탈출기-시나이 반도 전통, 예언자, 예수의 삶과 가르침과 같은 해방적인 요소를 활용하여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경험이 제기하는 질문에 답하려 했다.[11] 그러나 성경만이 그의 신학을 형성하는 유일한 원천은 아니었다. 다른 흑인 신학자 및 종교 학자(그의 형제 세실 포함)의 비판에 대응하여, 콘은 노예 영가, 블루스, 데이비드 워커, 헨리 맥닐 터너, W. E. B. 듀보이스와 같은 저명한 아프리카계 미국 사상가들의 저술을 포함하여 그의 신학적 작업을 위해 아프리카계 미국 기독교 공동체 고유의 자원을 더 많이 사용하기 시작했다.[11]그의 신학은 흑인 여성들의 비판에 대한 대응으로 더욱 발전하여 콘이 젠더 문제를 더 두드러지게 고려하고 여성주의 신학의 발전을 촉진했으며, 마르크스주의 분석 및 지식 사회학과의 대화 속에서도 발전했다.[11] 그는 자신의 어린 시절 아칸소 주의 가난한 흑인 동네 비어든에서의 성령체험을 바탕으로 흑인의 삶과 절망, 희망을 담은 경험을 신학적 재료로 사용해왔다.
3. 3. 맥락 신학
콘은 파울 틸리히와 같이 신학이 보편적인 것이 아니라 특정한 역사적 맥락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는 흑인 억압 경험의 맥락에서 해방 신학을 정립하며, 복음서의 핵심을 예수의 가난하고 억압받는 자들과의 동일시, 부활을 궁극적인 해방 행위로 해석한다.[21]콘은 신학적 분석의 일환으로, 하나님의 "흑인성"과의 동일시를 주장한다. 흑인 신학은 하나님을 모든 민족의 하나님으로 묘사하여 흑인의 자기 결정권을 억누르는 어떤 개념의 하나님도 거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나님은 억압받는 자들의 경험이 하나님의 경험이 될 정도로 그들과 동일시되거나, 아니면 인종차별주의의 하나님이라는 것이다. 하나님의 흑인성은 하나님이 억압받는 상황을 하나님의 상황으로 만드셨다는 의미이다. 이것이 성경 계시의 본질이며, 이스라엘 노예를 하나님의 백성으로 선택하고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억압받는 자가 되심으로써, 인류는 인간이 굴욕과 고통을 겪는 곳에서 하나님을 알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해방은 사후에 추가되는 것이 아니라 신성한 활동의 본질이다.[12]
하지만 콘은 흑인 권력 운동과 연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인종에만 완전히 집중하지 않았다. 그는 "미국에서 흑인이라는 것은 피부색과 거의 관련이 없다. 흑인이라는 것은 당신의 마음, 당신의 영혼, 당신의 정신, 당신의 몸이 소외된 자들과 함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말한다. 1977년 콘은 더 보편적인 비전을 가지고 다음과 같이 썼다.
> 나는 흑인 신학자와 흑인 교회 사람들이 미국의 백인 인종차별에 대한 단순한 반발을 넘어 전 세계의 새롭게 사회적으로 구성된 인류에 대한 우리의 비전을 확장해야 할 때가 왔다고 생각한다. ... 인류는 전체이며 인종 및 국가 집단으로 분리될 수 없다.
3. 4. 초기 영향
콘은 부모님을 가장 중요한 초기 영향으로 꼽았다.[1] 그의 아버지는 초등학교 6학년 교육밖에 받지 못했지만, 생명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아칸소주 비어든 교육 위원회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필란더 스미스 칼리지의 종교 및 철학 교수인 제임스와 앨리스 보약은 그가 자신의 잠재력을 믿도록 도왔으며, 신정론과 흑인들의 고통에 대한 그의 관심을 심화시켰다. 그는 가렛 학자 윌리엄 E. 호던을 멘토, 조언자, 영향력 있는 스승으로 만났다. 필립 왓슨 교수는 그에게 영어 작문 집중 보충 학습을 하도록 동기를 부여했다. 동료 레스터 B. 셰러는 이에 큰 도움을 주었다. 셰러는 콘의 초기 저서의 원고를 편집하는 자원봉사를 했고, 콘의 아내 로즈는 그 원고를 타자했지만 콘은 둘 다 자신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불평했다.[1] 콘은 칼 바르트에 대한 박사 학위 논문을 썼다. 1965년 애틀랜타의 모어하우스 칼리지 총장인 벤자민 메이스와의 아침 식사 자리에서 그는 가르침과 학문이 자신의 진정한 소명임을 확신했다. 사회학자 C. 에릭 링컨은 그의 초기 저서(『흑인 신학과 흑인 권력』 및 『해방의 흑인 신학』)의 출판사를 찾아주었는데, 이 책들은 바르트, 니버, 틸리히와 같은 주류 개신교 신학자들을 해체하는 동시에 리처드 앨런(1816년 AME 교회의 창립자), 흑인 노예 폐지론자 목사 헨리 하이랜드 가넷, 다니엘 페인, 헨리 맥닐 터너("신은 흑인이다")와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말콤 X, 제임스 볼드윈 그리고 흑인 권력 및 흑인 예술 운동의 다른 인물들을 활용하려 했다.[1]4. 비판
델로레스 윌리엄스를 비롯한 여성주의 신학자들은 제임스 H. 콘의 신학에 대해 남성 중심적 언어 사용과 흑인 여성의 경험을 포함하지 않은 점을 비판했다.[14] 또한, 흑인 경험을 반영하는 자료에 더 의존해야 한다는 점, 해방 맥락에서 화해를 강조하지 않은 점, 그의 신론과 정의론에 대한 아이디어 등도 비판받았다.[14] 찰스 H. 롱을 비롯한 흑인 종교 연구 학회 창립 멤버들은 콘의 흑인 신학이 흑인 경험과 이질적인 서구의 발명품이라고 주장하며 비판했다.[14]
4. 1. 여성주의 비판
델로레스 윌리엄스는 여성주의 신학자로서, 콘이 남성 중심적인 언어를 사용하고 그의 자료에 흑인 여성의 경험을 포함시키지 않은 점을 비판했다. 윌리엄스는 1993년 저서 ''황야의 자매들''(Sisters in the Wilderness)의 각주에서 콘이 자신의 저서를 재출판하면서 배타적인 언어를 수정했고, 이전 언어의 문제점을 인정했음을 밝혔다.[1] 그러나 윌리엄스는 콘이 여전히 자신의 방법론에서 아프리카계 미국 여성의 경험을 사용하지 않으며, 따라서 그의 저작의 성차별주의 문제를 여전히 다루어야 한다고 주장한다.[1]4. 2. 다른 학문적 비판
흑인 경험을 일반적으로 반영하는 자료에 더 많이 의존해야 한다는 점, 해방의 맥락에서 화해에 대한 강조 부족, 그리고 그의 신론과 정의론에 대한 아이디어에 대한 비판이 있었다.[14] 찰스 H. 롱과 흑인 종교 연구 학회의 다른 창립 멤버들은 콘의 작업에 대한 비판가였다. 롱은 흑인 신학을 거부하며 신학 자체가 흑인 경험과는 이질적인 서구의 발명품이라고 주장했다. 다른 사람들은 그의 흑인 권력 지지, 화해에 대한 무관심, 그리고 학문적 점수를 얻는 것에 대한 관심에 반대했다.5. 정치적 논평과 논쟁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 운동 당시, 버락 오바마 후보의 목사였던 제러마이아 라이트가 제임스 콘의 신학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언급하면서, 콘의 신학적 측면과 일부 발언은 정치적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15]
일부 흑인 신학 학자들은 라이트 목사의 논란이 된 발언이 흑인 신학 전체를 대변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고 지적했다.[16] 콘은 이러한 논란에 대해, 자신이 노예제와 인종 차별에 반대하는 어떠한 행동도 하지 않은 역사적인 백인 교회와 종파에 대해 쓴 것이며, 특정 백인 개인을 겨냥한 것은 아니라고 해명했다.[17]
6. 교육자로서의 활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콘은 필랜더 스미스 대학과 애드리안 대학에서 신학과 종교를 가르쳤다. 그의 멘토인 C. 에릭 링컨의 권유로 1969년 뉴욕 시의 유니언 신학대학원에서 조교수로 채용되었다. 2018년 사망할 때까지 그곳에 머물렀으며, 결국 전임 교수가 되었다. 콘은 미국의 신학 교육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3] 1969년 콘이 부임하기 전까지 유니언 신학대학원은 1836년 설립 이후 흑인 학생을 박사 과정에 입학시킨 적이 없었다. 유니언 신학대학원에서 재직하는 동안 콘은 40명 이상의 흑인 박사 과정 학생들을 지도했다. 여기에는 드와이트 홉킨스, 여성주의 신학의 창시자인 딜로리스 윌리엄스, 재클린 그랜트, 켈리 브라운 더글러스가 포함된다. 그는 또한 모스크 7번과 이슬람 국가의 전 장관인 콘래드 틸라드를 가르쳤다.[3] 그는 다른 대학교와 학회에서 수많은 강연을 했다.
7. 주요 저서
제목 | 출판 연도 |
---|---|
흑인 신학과 흑인 권력(Black Theology and Black Power) | 1969년 |
해방의 흑인 신학(A Black Theology of Liberation) | 1970년 |
영가와 블루스: 해석(The Spirituals and the Blues: An Interpretation) | 1972년 |
억압받는 자의 하느님(God of the Oppressed) | 1975년 |
내 백성을 위하여: 흑인 신학과 흑인 교회 (우리는 어디에 있었고 어디로 가고 있는가?)(For My People: Black Theology and the Black Church (Where Have We Been and Where Are We Going?)) | 1984년 |
[http://jamesconesspeakingthetruth.wordpress.com/ 진실을 말하기: 에큐메니즘, 해방, 그리고 흑인 신학]''(Speaking the Truth: Ecumenism, Liberation, and Black Theology) | 1986년 |
마틴, 말콤 그리고 아메리카: 꿈인가 악몽인가?(Martin & Malcolm & America: A Dream or a Nightmare?) | 1992년 |
신앙의 위험: 해방 흑인 신학의 출현, 1968-1998(Risks of Faith: The Emergence of a Black Theology of Liberation, 1968-1998) | 1999년 |
십자가와 린칭 나무(The Cross and the Lynching Tree) | 2011년 |
내 영혼이 뒤돌아본다(My Soul Looks Back) | 1982년 |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겠다고 말했지: 흑인 신학자가 되기까지(Said I wasn't gonna tell nobody : the making of a Black theologian) | 2018년 |
제임스 H. 콘은 <기독교와 흑인 파워>(Christianity and Black Power)를 발표하여 백인 중심의 미국 신학계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이후에도 흑인 신학과 관련된 여러 저서를 발표했다.[1]
참조
[1]
뉴스
Former Adrian College Professor, Author Remembered
https://www.lenconne[...]
GateHouse Media
2019-03-09
[2]
웹사이트
Dr. Cain Hope Felder
https://www.destiny-[...]
Destiny – Pride
2019-03-11
[3]
웹사이트
KING Talks: KING Talks Ep8 | Rev. Conrad Tillard
https://kingmovement[...]
[4]
뉴스
Conference on Black Theology Unites Scholars and Pastors
https://www.nytimes.[...]
2019-03-11
[5]
뉴스
Rev. Wright Reclaims the Spotlight
https://www.forbes.c[...]
2019-03-10
[6]
웹사이트
James H. Cone
http://www.utsnyc.ed[...]
Union Theological Seminary
2019-03-10
[7]
뉴스
Dr. James H. Cone Elected to the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https://sojo.net/art[...]
2018-04-20
[8]
웹사이트
In Memoriam: Dr. James Hal Cone
https://utsnyc.edu/j[...]
Union Theological Seminary
2018-04-28
[9]
뉴스
Who Was James Come? Founder of Black Liberation Theology Dies
http://www.newsweek.[...]
2018-04-28
[10]
뉴스
James H. Cone, Founder of Black Liberation Theology Dies at 79
https://www.npr.org/[...]
NPR
2018-04-28
[11]
기타
[12]
서적
Black Theology and Black Power
[13]
간행물
The Road Ahead in Theology – Revisited
https://www.religion[...]
2019-03-10
[14]
기타
[15]
Youtube
Video: Jeremiah Wright discusses his Cone inspiration and Black Liberation Theology
aNTGRL0OJWQ
[16]
웹사이트
Diversified religion: Barack Obama's former pastor's remarks spur consideration
http://www.newsvirgi[...]
2009-07-04
[17]
논문
God opposes the proud: James Cone, white theologians, and Proverbs 3:34
2020
[18]
기타
[19]
기타
[20]
웹사이트
Union Theological Seminary - James H. Cone
http://www.utsnyc.ed[...]
[21]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