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SK F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주 SK FC는 1982년 창단된 대한민국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유공 코끼리 축구단으로 시작하여 부천, 제주를 거치며 연고지를 변경했다. 1989년 K리그 우승, 2010년 K리그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현재는 김학범 감독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제주월드컵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며, 감규리, 한라할방, 백록이를 마스코트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주특별자치도의 스포츠 - 제주오라종합경기장 야구장
제주오라종합경기장 야구장은 1983년 전국체육대회를 위해 대우건설이 제주도에 기부 채납한 야구장으로, 넓은 규모와 잔디 언덕 관람석이 특징이며, 과거 프로 야구 경기와 전지훈련 장소로 활용되었고, 현재는 퓨처스 리그 및 아마추어 야구 경기가 주로 열린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스포츠 - 렛츠런파크 제주
렛츠런파크 제주는 제주마와 한라마 경주가 열리는 곳으로, 총 1600m 길이의 모래 주로에서 시계방향으로 경주가 진행되며, 천연기념물인 제주마 보호 및 육성을 목적으로 운영된다. - SK스포츠 - SK 와이번스
SK 와이번스는 쌍방울 레이더스 해체 후 2000년 창단된 프로야구단으로, 2000년대 후반 김성근 감독 시절 왕조를 이루며 세 번의 한국시리즈 우승과 2018년 트레이 힐만 감독 체제에서 우승을 추가했으나, 2021년 신세계그룹에 인수되어 SSG 랜더스로 구단명을 변경했다. - SK스포츠 - 서울 SK 나이츠
서울 SK 나이츠는 1997년 창단된 프로 농구단으로, KBL 챔피언 결정전에서 세 번, 정규리그에서 두 번 우승했으며, 서장훈, 김선형, 최준용, 자밀 워니 등이 주요 선수이고 문경은과 전희철의 등번호는 영구 결번으로 지정되어 있다. - K리그1 우승 구단 - FC 서울
FC 서울은 1983년 창단하여 럭키금성 황소 축구단으로 시작, 서울로 연고지를 이전하여 K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한 대한민국 프로축구단이다. - K리그1 우승 구단 - 성남 FC
1988년 창단되어 K리그 3연패와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이뤘으나 시민구단 전환 후 재정적 어려움과 구단 매각 논란을 겪고 있는 대한민국 프로축구단이 성남 FC이다.
제주 SK FC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풀 네임 | 제주 SK FC |
영문 명칭 | Jeju SK Football Club |
이전 명칭 | 유공 코끼리 축구단 (1982~1995) |
마스코트 | 감규리, 한라할방 |
창단연도 | 1982년 12월 17일 |
연고지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연맹 | 한국프로축구연맹 |
경기장 | 제주월드컵경기장 |
수용인원 | 29,791명 |
소유주 | SK에너지 |
구단주 | 김준 |
대표이사 | 구차용 |
단장 | 김현희 |
감독 | 김학범 |
리그 | K리그1 |
시즌 | 2024시즌 |
순위 | 7위 |
현재 시즌 | 제주 유나이티드 FC 2024 시즌 |
웹사이트 | 공식 홈페이지 |
유니폼 | |
![]() | |
![]() | |
우승 기록 | |
K리그1 | 1 |
FA컵 | 1 |
2. 역사
2. 1. 창단과 첫 우승 (1982–1989)
1982년 12월 17일 '''유공 코끼리 축구단'''이라는 명칭으로 대한민국의 두 번째 프로축구단으로 창단되었다. 1983년 한국 프로축구 원년 수퍼리그에 서울, 인천, 경기 지방을 연고로 하여 참가하였으며 할렐루야 독수리의 해체로 현재 대한민국의 축구단 중 가장 오래된 프로축구단이다. 전후기 리그제로 시행된 1984 시즌에 전기리그를 우승하였지만 챔피언결정전에서 후기리그 우승 팀이 대우에게 져서 준우승에 머물렀다.광역지역연고제가 시작된 1987년부터 인천, 경기를 연고지로 활동하였으며 당대 최고의 명장인 김정남 감독이 1985 시즌부터 재임을 하였지만 도리어 1986년 FIFA 월드컵, 1986년 아시안 게임, 1988년 하계 올림픽에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차출되어 도리어 전력 약화 요인이 되어 좋은 성적을 내지 못하였다. 하지만 1989 시즌에 김정남 감독이 차출 없이 감독 역할을 수행하고 노수진, 황보관, 이광종, 조윤환, 최윤겸, 하재훈, 테드 등의 활약으로 클럽 역사상 최초로 K리그 정규리그 우승을 달성하였다.
2. 2. 서울 동대문운동장 시대 (1991–1995)
1990년 12월 서울로 연고지 이전 승인을 받고[2] 1991 시즌부터 동대문운동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여 기존 일화 천마, LG 치타스와 함께 서울 연고 구단이 되었다. 1987년 8개 팀 프로 리그 실현설 당시 서울 연고 물망에 올랐으나[3] 무산된 바 있다.김정남 감독이 1992 시즌 중도 사임하고 박성화 감독이 부임하였지만, 수비 축구라는 기존의 팀 컬러를 쇄신하지는 못하였다. 이 기간 동안 유공의 주축 선수는 황보관, 조정현, 김봉길, 하재훈, 허기태, 이광종, 강철, 이임생 등이었다.
특히 이 기간 동대문운동장을 공동 홈구장으로 하는 일화 천마, LG 치타스와 많은 경기가 벌어졌는데, 그 중 1994년 11월 9일에 열린 일화 천마와의 경기가 백미로 꼽힌다. 당시 유공은 9월까지 5위권에 머물며 우승 경쟁에서 멀어져 있었으나, 9월 24일 전주 원정 경기 승리를 기점으로 5연승을 거두며 선두 일화를 맹추격했다. 이 경기에서 유공은 골키퍼 샤샤의 데뷔전 맹활약과 일화의 자책골, 허기태의 추가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이 결과로 유공은 마지막 한 경기만을 남겨둔 채 승점 1점 차로 일화 천마를 바싹 뒤쫓아 역전 우승의 희망을 이어갔지만, 아쉽게도 클럽 통산 두 번째 준우승에 머물렀다.
1994년 10월 말 박성화 감독과의 계약이 만료되면서 구단은 팀 컬러 쇄신을 위해 1990년 FIFA 월드컵에서 카메룬 돌풍을 일으킨 발레리 네폼냐시 감독을 신임 감독으로 선임하였다. 1995 시즌부터 미드필더들의 짧은 패스 위주로 재미있는 축구를 구사하는 일명 '니포축구'의 서막을 올리기 시작하였다.
2. 3. 서울 목동운동장과 부천 시대 (1996–2005)
1996년 2002년 FIFA 월드컵 유치와 관련, 한국프로축구연맹과 정부가 서울 연고 공동화 정책을 시행하면서 일화 천마, LG 치타스와 함께 서울에서 연고지를 이전해야 했다.[4][5][6] 이에 1996년 1월 서울의 위성 도시인 부천으로 연고지를 변경하고, 팀 명칭을 부천 유공으로 변경하였다.[7] 당시 부천종합운동장 건설 중이었기 때문에, 서울 최서단에 있는 목동운동장을 1996년부터 2000년까지 임시 홈구장으로 사용했다.1997년 10월 1일, 모기업인 유공의 사명 변경으로 팀 명칭을 부천 SK로 변경했다.[8] 2001년 부천종합운동장이 완공되면서 홈구장을 이전하여 본격적인 부천 시대를 열었다. 이 시기에는 조성환, 강철, 이임생, 윤정춘, 윤정환, 이원식, 남기일, 이을용, 곽경근 등이 주요 선수로 활약했다.
2. 4. 제주 시대 (2006–현재)
2006년 2월 2일, 모기업 SK 에너지는 한국프로축구연맹의 승인을 받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로 연고지 이전을 확정하고, 클럽 명칭을 "'''제주 유나이티드 FC'''"로 변경했다.[9] 당시 K리그 구단들이 수도권에 밀집되어 있어, 프로축구 시장 확대를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인천광역시에 있던 SK저유소 내 클럽하우스 부지 매각으로 인한 비용 절감을 위해 서귀포시의 지원을 약속받고 연고지 이전을 결정했다. 이 과정에서 부천 연고 이전 당시 부천시와 서포터즈와의 합의 없이 하루 만에 이전을 결정하여 부천 SK 서포터즈 연합 헤르메스, K리그 서포터즈 클럽 연합, 붉은악마 제주지회 등이 항의 성명을 발표했다.[10] 반면, 제주도축구협회장과 제주도민들은 제주를 연고지로 하는 프로축구단 창단에 환영의 뜻을 표했다.[11] 당시 제주에는 프로 스포츠 구단이 전무했고, 월드컵 경기장 활용을 위해서도 프로축구 클럽 창단이 필요한 상황이었다.제주 입성 첫 해인 2006년, 클럽하우스 부재와 원정 경기 이동 문제 등으로 컨디션 난조를 겪으며 좋지 못한 성적을 기록했다. 2007년 11월 3일, 정해성 감독이 국가대표팀 수석 코치직을 수락하며 사임했고,[9] 2008년 1월 알툴 감독이 부임했다. 알툴 감독은 패싱 플레이를 앞세운 축구를 선보였으나, 2008 K리그 10위, 2009 K리그 중하위권에 머무르다 2009년 10월 14일 자진 사퇴했다.[12] 이후 조진호 코치가 감독 대행을 맡았다.
2009년 10월 30일, 박경훈 전 U-17 대표팀 감독이 신임 감독으로 취임했다.[13] 2010 시즌을 앞두고 강민수, 이동식을 수원으로 보내고 박현범, 배기종을 영입, FC 서울의 이상협, 김호준, 중국 슈퍼리그 창사 진더의 김은중을 영입하는 등 팀 재건에 힘썼다. 그 결과, 2010 시즌 K리그 준우승을 차지하며 2006년 연고지 이전 후 가장 성공적인 시즌을 보냈다.
2011년 신영록, 최원권, 강수일을 영입했으나, 구자철의 VfL 볼프스부르크 이적으로 전력 약화가 우려되었다. AFC 챔피언스리그 E조 예선에서 2승 1무 3패(승점 7점)로 탈락했다.
2014 시즌, 제주는 상위 스플릿 라운드에 진출했고, 박경훈 감독이 물러나고 조성환 2군 감독이 신임 감독으로 내정되었다. 2016년 10월 14일, AFC 챔피언스리그 출전 자격 요건(P급 지도자 자격증) 문제로 김인수 감독이 선임되고 조성환 감독은 수석 코치로 보직을 변경했다. 이후 리그 3위를 기록, 6년 만에 AFC 챔피언스리그 진출에 성공했다. 전북 현대 모터스의 AFC 징계로 조별리그에 직행하게 되었고, K리그 클래식 4위였던 울산 현대가 제주의 ACL PO 티켓을 승계했다. 안현범은 K리그 영플레이어상을, 정운은 K리그 베스트 11에 선정되었다.
2017 AFC 챔피언스리그를 대비, 조용형, 진성욱, 박진포, 이창근, 김원일, 최현태, 프레데리크 멘디, 이찬동 등을 영입했다. 2017 AFC 챔피언스리그 H조 예선에서 3승 1무 2패(승점 10점)로 16강에 진출했으나, 우라와 레즈에 합계 2-3으로 패하며 탈락했다.
2019 시즌 초반 부진으로 조성환 감독과 결별 후 최윤겸 감독을 선임하고, 윤일록, 최규백 등을 영입, 윤빛가람이 전역해 합류했지만 리그 최하위로 창단 첫 2부 리그 강등을 겪었다.[14]
2020 시즌, 남기일 감독 부임 후 K리그2에서 우승하며 K리그1으로 승격했다.
제주 SK 연고지 역사 | ||
클럽명칭 | 연고지 | 기간 |
---|---|---|
유공 코끼리 | 서울+인천+경기 | 19831 |
서울 | 1984–19861 | |
인천+경기 | 1987–1990 | |
서울: 동대문운동장 | 1991–1995 | |
부천 유공 | 서울: 목동운동장2 | 1996-1997.09 |
부천 SK | 서울: 목동운동장2 | 1997.10–2000 |
부천 | 2001–2005 | |
제주 유나이티드 FC | 제주 서귀포 | 2006–2024 |
1. 1983년에서 1986년은 구단마다 연고지를 가지고 있긴 하였지만 홈 앤드 어웨이가 아닌 투어 형식으로 리그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연고지 이전이 사실상 무의미하다. | ||
2. 서울연고공동화정책 시행으로 1996년 서울에서 부천으로 연고지 이전을 했지만 부천종합운동장이 공사중인 관계로 2000년까지 서울 목동운동장에서 전 홈경기를 개최하였다. |
2024년 현재 제주 SK FC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3. 선수
번호 포지션 이름 1 GK 김동준 2 DF 허강준 4 DF 송주훈 5 MF 이탈로/Italo Moreira Barcelospt 6 MF 김정민 8 MF 김건웅 9 FW 유리/Yuri Jonathan Vitor Coelhopt 10 FW 헤이스/Isnairo Reis Silva Moraispt 11 MF 남태희 13 DF 정운 14 FW 서진수 15 DF 홍준호 16 DF 김태환 19 FW 김주공 21 GK 안찬기 22 DF 안태현 23 DF 임창우 25 MF 원희도 26 DF 임채민 28 MF 김재민 29 FW 김현우 30 MF 최영준 35 MF 조인정 38 DF 곽승민 73 FW 갈레고/Jeferson Fernando Isidiopt MF 권순호 FW 지상욱 FW 제갈재민 MF 오재혁
3.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현재 제주 SK FC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번호 | 포지션 | 이름 |
---|---|---|
1 | GK | 김동준 |
2 | DF | 허강준 |
4 | DF | 송주훈 |
5 | MF | 이탈로/Italo Moreira Barcelospt |
6 | MF | 김정민 |
8 | MF | 김건웅 |
9 | FW | 유리/Yuri Jonathan Vitor Coelhopt |
10 | FW | 헤이스/Isnairo Reis Silva Moraispt |
11 | MF | 남태희 |
13 | DF | 정운 |
14 | FW | 서진수 |
15 | DF | 홍준호 |
16 | DF | 김태환 |
19 | FW | 김주공 |
21 | GK | 안찬기 |
22 | DF | 안태현 |
23 | DF | 임창우 |
25 | MF | 원희도 |
26 | DF | 임채민 |
28 | MF | 김재민 |
29 | FW | 김현우 |
30 | MF | 최영준 |
35 | MF | 조인정 |
38 | DF | 곽승민 |
73 | FW | 갈레고/Jeferson Fernando Isidiopt |
MF | 권순호 | |
FW | 지상욱 | |
FW | 제갈재민 | |
MF | 오재혁 |
3. 2. 임대 및 군 복무 선수
거제시민축구단으로 임대된 선수와 김천 상무에서 군 복무 중인 선수 명단이다.
4. 스태프
4. 1. 코칭 스태프
wikitable
4. 2. 경영진
5. 기록과 통계
5. 1. 우승 기록
5. 2. 시즌 결과
시즌 | K리그 | FA컵 | 리그컵 | 챔피언스리그 | 클럽월드컵 | ||||||
---|---|---|---|---|---|---|---|---|---|---|---|
디비전 | 순위 | 대회 | 순위 | 대회 | 순위 | 대회 | 순위 | 대회 | 순위 | ||
1983 | 1부 | 3 | - | - | - | - | - | - | - | - | |
1984 | 1부 | 2 | - | - | - | - | - | - | - | - | |
1985 | 1부 | 5 | - | - | - | - | - | - | - | - | |
1986 | 1부 | 4 | - | - | 프로선수권 | 3 | - | - | - | - | |
1987 | 1부 | 3 | - | - | - | - | - | - | - | - | |
1988 | 1부 | 3 | - | - | - | - | - | - | - | - | |
1989 | 1부 | 1 | - | - | - | - | - | - | - | - | |
1990 | 1부 | 4 | - | - | - | - | - | - | - | - | |
1991 | 1부 | 4 | - | - | - | - | - | - | - | - | |
1992 | 1부 | 6 | - | - | 아디다스컵 | 4 | - | - | - | - | |
1993 | 1부 | 5 | - | - | 아디다스컵 | 6 | - | - | - | - | |
1994 | 1부 | 2 | - | - | 아디다스컵 | 1 | - | - | - | - | |
1995 | 1부 | 4 | - | - | 아디다스컵 | 5 | - | - | - | - | |
1996 | 1부 | 4 | FA컵 | 3 | 아디다스컵 | 1 | - | - | - | - | |
1997 | 1부 | 10 | FA컵 | 8강 | 아디다스컵 | 5 | - | - | - | - | |
프로스펙스컵 | B조 | ||||||||||
1998 | 1부 | 7 | FA컵 | 16강 | 아디다스컵 | 2 | - | - | - | - | |
필립모리스컵 | 2 | ||||||||||
1999 | 1부 | 3 | FA컵 | 8강 | 아디다스컵 | 8 | - | - | - | - | |
대한화재컵 | A조 | ||||||||||
2000 | 1부 | 2 | FA컵 | 3 | 아디다스컵 | 9 | - | - | - | - | |
대한화재컵 | 1 | ||||||||||
2001 | 1부 | 7 | FA컵 | 16강 | 아디다스컵 | B조 | - | - | - | - | |
2002 | 1부 | 8 | FA컵 | 16강 | 아디다스컵 | A조 | - | - | - | - | |
2003 | 1부 | 12 | FA컵 | 3 | - | - | - | - | - | - | |
2004 | 1부 | 13 | FA컵 | 2 | 삼성하우젠컵 | 11 | - | - | - | - | |
2005 | 1부 | 5 | FA컵 | 16강 | 삼성하우젠컵 | 4 | - | - | - | - | |
2006 | 1부 | 13 | FA컵 | 32강 | 삼성하우젠컵 | 8 | - | - | - | - | |
2007 | 1부 | 11 | FA컵 | 3 | 삼성하우젠컵 | A조 | - | - | - | - | |
2008 | 1부 | 10 | FA컵 | 32강 | 삼성하우젠컵 | A조 | - | - | - | - | |
2009 | 1부 | 14 | FA컵 | 8강 | 피스컵 | 8강 | - | - | - | - | |
2010 | 1부 | 2 | FA컵 | 3 | 포스코컵 | 8강 | - | - | - | - | |
2011 | 1부 | 9 | FA컵 | 16강 | 러시앤캐시컵 | 8강 | 챔피언스리그 | E조 | - | - | |
2012 | 1부 | 6 | FA컵 | 3 | - | - | - | - | - | - | |
2013 | 1부 | 9 | FA컵 | 3 | - | - | - | - | - | - | |
2014 | 1부 | 5 | FA컵 | 32강 | - | - | - | - | - | - | |
2015 | 1부 | 6 | FA컵 | 8강 | - | - | - | - | - | - | |
2016 | 1부 | 3 | FA컵 | 32강 | - | - | - | - | - | - | |
2017 | 1부 | 2 | FA컵 | 16강 | - | - | 챔피언스리그 | 16강 | - | - | |
2018 | 1부 | 5 | FA컵 | 8강 | - | - | 챔피언스리그 | G조 | - | - | |
2019 | 1부 | 12 | FA컵 | 16강 | - | - | - | - | - | - | |
2020 | 2부 | 1 | FA컵 | 16강 | - | - | - | - | - | - | |
2021 | 1부 | 4 | FA컵 | 3R | - | - | - | - | - | - | |
2022 | 1부 | 5 | FA컵 | 16강 | - | - | - | - | - | - | |
2023 | 1부 | 9 | FA컵 | 4강 | - | - | - | - | - | - | |
2024 | 1부 | 7 | FA컵 | 4강 | - | - | - | - | - | - |
6. 구단 역대 인물
6. 1. 역대 선수
역대 제주 SK FC 소속이었던 선수들에 대해서는 해당 분류를 참고하라.6. 1. 1. 결번
12번은 서포터즈 풍백을 위해 헌정되었다.6. 2. 역대 감독
제주 유나이티드 FC(이하 제주)의 역대 감독들은 구단의 역사와 함께 다양한 족적을 남겼다. 초대 감독인 이종환 감독은 1983년부터 1985년까지 팀을 이끌었으며, 구단 최초로 시즌 도중 사퇴한 감독으로 기록되었다. 2대 감독인 김정남 감독은 1985년부터 1992년까지 재임하며 구단 최초로 K리그 우승을 이끌었다.1992년 박성화가 감독 대행을 거쳐 3대 감독으로 승격하여 1994년까지 팀을 지휘했다. 1995년에는 구단 최초의 외국인 감독인 발레리 네폼냐시 감독이 부임하여 1998년까지 팀을 이끌었다. 이후 조윤환이 감독 대행을 거쳐 5대 감독으로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재임했다. 최윤겸 감독은 2001년 감독 대행을 거쳐 정식 감독으로 승격, 2002년까지 팀을 이끌었다.
2004년부터 2007년까지는 정해성 감독이 팀을 맡았고, 2008년에는 아르투르 베르나르지스 감독이 부임하여 2009년까지 지휘했다. 2009년부터 2014년까지는 박경훈 감독이 팀을 이끌었다.
2014년에는 조성환 감독이 부임했으나, 2016년 AFC 챔피언스리그 출전을 위해 김인수 감독이 선임되고 수석 코치로 보직을 변경했다. 구단은 공식적으로 김인수를 13대 감독, 조성환을 12대와 14대 감독으로 기록하고 있다. 조성환 감독은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다시 팀을 이끌었다.
2019년에는 최윤겸 감독이 다시 부임하여 그해 말까지 팀을 지휘했고, 2020년부터 2023년까지는 남기일 감독이 팀을 이끌며 K리그2 2020 우승과 K리그1 승격을 이끌었다. 2023년에는 정조국 감독 대행을 거쳐, 2024년부터 김학범 감독이 현재까지 팀을 이끌고 있다.
순번 | 이름 | 취임일자 | 사임일자 | 재임시즌 | 비고 |
---|---|---|---|---|---|
1대 | 이종환 | 1982/04/20 | 1985/07/21 | 1983–1985 | align=left| |
2대 | 김정남 | 1985/07/21 | 1992/05/12 | 1985–1992 | align=left| |
대행 | 박영환 | 1986/??/?? | 1986/??/?? | 1986 | align=left| |
대행 | 최종덕 | 1988/07/13 | 1988/09/14 | 1988 | align=left| |
대행 | 박성화 | 1992/05/12 | 1992/12/19 | 1992 | rowspan="2" align=left| |
3대 | 1992/12/20 | 1994/10/29 | 1993–1994 | ||
대행 | 조윤환 | 1994/10/30 | 1994/12/31 | 1994 | align=left| |
4대 | 발레리 네폼냐시/Валерий Непомнящийru | 1995/01/01 | 1998/10/31 | 1995–1998 | align=left| |
대행 | 조윤환 | 1998/11/01 | 1998/12/31 | 1998 | rowspan="2" align=left| |
5대 | 1999/01/01 | 2001/08/14 | 1999–2001 | ||
대행 | 최윤겸한국어 | 2001/08/14 | 2001/08/31 | 2001 | rowspan="2" align=left| |
6대 | 2001/09/01 | 2002/09/01 | 2001–2002 | ||
7대 | 트나즈 트르판/Tınaz Tırpantr | 2002/09/02 | 2003/05/14 | 2002–2003 | align=left| |
대행 | 하재훈 | 2003/05/14 | 2003/07/18 | 2003 | rowspan="2" align=left| |
8대 | 2003/07/19 | 2003/12/31 | 2003 | ||
9대 | 정해성 | 2004/01/01 | 2007/11/03 | 2004–2007 | align=left| |
10대 | 아르투르 베르나르지스/Artur Bernardespt | 2008/01/04 | 2009/10/14 | 2008–2009 | align=left| |
대행 | 조진호 | 2009/10/14 | 2009/10/29 | 2009 | align=left| |
11대 | 박경훈 | 2009/10/30 | 2014/12/03 | 2009–2014 | align=left| |
12대 | 조성환 | 2014/12/19 | 2016/10/14 | 2015–2016 | align=left| |
13대 | 김인수 | 2016/10/14 | 2016/12/15 | 2016 | align=left| |
14대 | 조성환 | 2016/12/30 | 2019/05/02 | 2017–2019 | align=left| |
15대 | 최윤겸 | 2019/05/03 | 2019/11/30 | 2019 | align=left| |
16대 | 남기일 | 2019/12/26 | 2023/09/26 | 2020–2023 | align=left| |
대행 | 정조국 | 2023/09/26 | 2023/12/04 | 2023 | align=left| |
17대 | 김학범 | 2023/12/05 | 2024- | align=left| | |
7. 스폰서
8. 경기장
홈 경기장은 제주월드컵경기장이다.
8. 1. 제주월드컵경기장
홈 경기장은 제주월드컵경기장이다.9. 클럽하우스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강정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부지 7999.9m²에 지하 1층, 지상 3층 연면적 4568.6m² 규모이다.[15]
10. 엠블럼과 마스코트
클럽 마스코트에는 '감규리', '한라할방', '백록이'가 있다. 감규리는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마스코트이며, 남다른 책임감으로 감규리 패밀리와 제주 SK를 이끌고 있다.
11. 유니폼
제주 SK FC는 2013년부터 2019년까지 키카 유니폼을 입었고, 2020년부터 푸마 유니폼을 입고 있다.
키카 (2013년 ~ 2019년) |
---|
푸마 (2020년 ~ 현재) |
---|
12. 클럽 관련 문화
참조
[1]
웹인용
한국프로축구연맹 공식 구단소개
http://www.kleague.c[...]
2013-03-09
[2]
뉴스
유공 연고지역 서울로 홍명보등 프로행 무산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0-12-15
[3]
뉴스
프로축구 3개팀 늘린다...8팀 목표 빠르면 이달대 확정 ,내년실시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1-08-22
[4]
뉴스
위원석의 하프타임-K리그서 '서울 더비'를 보고 싶다.
http://www.fntoday.c[...]
스포츠서울
2009-09-08
[5]
뉴스
서울 연고 이랜드 프로축구단 출범…FC서울과 '투톱'
http://sports.news.n[...]
한국경제신문
2014-05-01
[6]
저널
일화 유공 LG, 내년에 서울연고 없어
http://blog.naver.co[...]
[7]
뉴스
유공 연고지 부천으로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6-01-05
[8]
뉴스
부찬유공, 부천SK로 변경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7-10-02
[9]
뉴스
프로축구 부천 SK 연고지 제주로 옮겨
http://sports.news.n[...]
동아일보
2006-02-03
[10]
뉴스
붉은악마 제주지회 항의성명
http://reddevil.or.k[...]
붉은악마 웹사이트
2006-02-05
[11]
뉴스
제주 프로축구단 유치 '대환영'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7-05-22
[12]
뉴스
제주 알툴 감독 사임, 조진호 감독 대행 체제
http://sports.media.[...]
마이데일리
2009-10-17
[13]
뉴스
제주 박경훈 감독, "명가 재건을 이끌겠다"
https://news.naver.c[...]
스포탈코리아
2009-10-30
[14]
뉴스
제주, 결국 창단 첫 2부리그 강등 굴욕
https://sports.donga[...]
[15]
웹인용
클럽하우스
https://www.jeju-ut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