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르주 당부아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르주 당부아즈는 1460년 쇼몽쉬르루아르에서 태어나 루이 12세 치세에 추기경이자 재상으로 활동한 인물이다. 그는 루앙 대주교를 거쳐 1498년 추기경에 서임되었으며, 이탈리아 전쟁에서 프랑스의 군사적, 외교적 성공을 이끌었다. 또한, 루앙 대성당의 버터 탑 건축을 지원하고 교황 선출을 시도하기도 했다. 캉브레 동맹에 참여했으나, 1510년 리옹에서 사망했다. 그는 문학과 예술을 후원했으며, 행정 능력으로 "Let George do it"이라는 관용구의 유래와 관련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앙 대교구장 - 교황 클레멘스 6세
교황 클레멘스 6세는 1342년부터 1352년까지 재위하며 흑사병 시기 유대인 학살을 비난하고 아비뇽 교황청을 강화했으며, 십자군을 선포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 루앙 대교구장 - 위그 (루앙 주교)
7세기 프랑크 왕국 출신 귀족 성직자인 위그는 722년 루앙 대주교로 임명되어 파리, 바르 교구를 관할하고 퐁트넬레, 쥬미에제 수도원 원장직을 겸하며 카를 마르텔과의 관계를 통해 루앙 교구의 권한을 강화하고 프랑크 왕실 성당 관리 역할도 수행한 베네딕토회 수도사이다.
조르주 당부아즈 | |
---|---|
기본 정보 | |
직함 | 가톨릭 추기경 |
직함 | 루앙 대주교 |
![]() | |
출생일 | 1460년 |
출생지 | 쇼몽쉬르루아르 쇼몽 성 |
사망일 | 1510년 5월 25일 |
사망지 | 리옹, 프랑스 |
매장지 | 루앙 대성당 |
다른 직함 | 산 시스토 베키오 추기경 (1498-1510) |
이전 직함 | 나르본 대주교 (1482-1484) 몽토방 주교 (1484-1491) |
교구 정보 | |
교구 | 루앙 |
임명 | 1493년 |
임기 종료 | 1510년 |
이전 | 로베르 4세 드 크루아마르 |
이후 | 조르주 2세 당부아즈 |
서품 | 알 수 없음 |
서품자 | 알 수 없음 |
축성 | 1489년 |
축성자 | 알 수 없음 |
추기경 정보 | |
서임일 | 1498년 9월 17일 |
서임자 | 교황 알렉산데르 6세 |
계급 | 추기경 사제 |
2. 생애
조르주 당부아즈는 당부아즈 가문 출신으로, 그의 생애는 다음과 같다.
쇼몽쉬르루아르의 쇼몽 성에서 태어났으며,[1] 14세에 몽토방 주교구 주교가 되었고, 루이 11세는 그를 알모너로 임명했다.[1]
에티엔 드 베스의 정책을 계승하여 이탈리아에서 프랑스의 힘을 키우고자 밀라노 공국 정복을 목표로 삼았다. 1499년 2월 9일, 교황 알렉산데르 6세가 관여한 베네치아와의 조약을 체결하였다. 1499년 10월 6일, 루이 12세와 함께 밀라노에 입성하여 점령 지역을 정리한 후 11월에 프랑스로 돌아왔다. 1500년 3월, 루도비코 스포르차가 반란을 일으키자, 밀라노 공국을 재점령하고 스포르차를 포로로 잡아 프랑스로 압송했다. 1501년 초, 나폴리 왕국 정복을 위해 이탈리아로 돌아왔고, 10월에는 트렌트에 대사로 파견되었다.
루앙 대성당의 버터 탑 건축 당시, 사순절 기간에 램프에 기름 대신 버터를 태우는 것을 허용하여 각 교구로부터 6 드니르 투르누아(Six deniers Tournois)의 기금을 모았다.[8]
교황 알렉산데르 6세 사망 후, 1503년 9월 교황 선거에서 교황이 되기를 희망했으나, 교황 비오 3세가 선출되었고, 한 달 만에 치러진 또 다른 콘클라베에서도 교황 율리오 2세가 선출되었다.[4]
블루아 조약 (1504년)과 1508년 베네치아에 대항한 캉브레 동맹 협상에 참여했다. 1509년 루이 12세와 함께 이탈리아로 갔다.
1510년 리옹에서 통풍으로 사망했다. 그의 시신은 루앙 대성당으로 옮겨졌고, 성당 내에 그를 기리는 무덤이 세워졌다. 그는 가이용 성 건축을 명하는 등 문학과 예술의 후원자였다.
2. 1. 어린 시절
쇼몽쉬르루아르의 쇼몽 성에서 태어났다.[1]그는 14세에 몽토방 주교구 주교 자리를 얻었고, 루이 11세는 그를 알모너로 임명했다.[1]
2. 2. 이탈리아 전쟁
에티엔 드 베스의 정책을 계승한 당부아즈는 이탈리아에서 프랑스의 힘을 키우고자 밀라노 공국 정복을 목표로 삼았다. 1499년 2월 9일, 교황 알렉산데르 6세가 관여한 베네치아와의 조약을 체결하였다. 1499년 10월 6일, 루이 12세와 함께 밀라노에 입성하여 점령 지역을 정리한 후 11월에 프랑스로 돌아왔다.1500년 3월, 루도비코 스포르차가 반란을 일으키자, 당부아즈는 밀라노 공국을 재점령하고 스포르차를 포로로 잡아 프랑스로 압송했다. 6월 23일 리옹 개선식에서 루이 12세에게 로멜로 백작 작위를 받았다. 1501년 초, 나폴리 왕국 정복을 위해 이탈리아로 돌아왔고, 10월에는 트렌트에 대사로 파견되었다.
2. 3. 버터 탑 건축
루앙 대성당의 버터 탑은 15세기 초에 세워졌다. 당부아즈는 사순절 기간에 램프에 기름 대신 버터를 태우는 것을 허용하여 각 교구로부터 6 드니르 투르누아(Six deniers Tournois)의 기금을 모았다.[8]2. 4. 교황 선출 시도
교황 알렉산데르 6세가 사망하자, 당부아즈는 1503년 9월 교황 선거에서 교황이 되기를 희망했다. 그는 로마 성문 앞에 프랑스군을 주둔시켜 추기경단에게 압력을 가하려 했으나, 자신의 영향력을 확신하여 군대를 해산시켰다. 그 결과, 이탈리아 출신 교황 비오 3세가 선출되었고, 한 달 만에 치러진 또 다른 콘클라베에서도 이탈리아 출신 교황 율리오 2세가 선출되었다.[4]2. 5. 캉브레 동맹
그는 블루아 조약 (1504년)과 1508년 베네치아에 대항한 캉브레 동맹 협상에 참여했다. 1509년 루이 12세와 함께 이탈리아로 갔다.2. 6. 사망
그는 블루아 조약 (1504년)과 베네치아 공화국에 대항한 1508년의 캉브레 동맹에서 교섭자 중 한 명이었다. 1509년에 그는 루이 12세와 함께 이탈리아에 동반했고, 돌아오는 도중에 리옹에서 복부에 심각한 통풍을 앓았다. 1510년 5월 25일 그곳에서 사망했다. 그의 시신은 루앙 대성당으로 옮겨졌고, 성당내에 그를 기리는 무릎을 꿇고 기도하는 자세로 있는 그의 조각상이 있는 화려한 무덤이 세워졌다. 그는 생애 동안 문학과 예술의 계몽된 후원자였으며, 루앙 인근 가이용 성 건축 명령을 내리기도 했다.3. 유산
조르주 당부아즈는 계몽적인 문학과 예술의 후원자였으며, 르네상스 문화의 후원자로 알려져 있다. 그의 뛰어난 행정 능력은 "Laissez faire à Georges" (Let George do it영어, "조르주에게 맡겨라")라는 유행어의 유래가 되었을 것이라는 설이 있다.[5] 앙부아즈 가문은 그의 명성으로 중요성을 얻게 되었다.[1]
3. 1. 문화 예술 후원
조르주 당부아즈는 평생 동안 계몽적인 문학과 예술의 후원자였으며, 루앙 근처의 가이용 성은 그의 명령에 따라 건설되었다. 그는 르네상스 문화의 후원자로 알려져 있다.3. 2. 행정적 유산
그의 뛰어난 행정 능력은 "Laissez faire à Georges" (Let George do it영어, "조르주에게 맡겨라")라는 유행어의 유래가 되었을 것이라는 설이 있다.[5] 이 표현은 17세기 중반 프랑스에서 처음 등장한 것으로 보이며, 20세기 미국의 "Let George do it"과의 관련성은 우연의 일치일 가능성이 높다.[6][7]3. 3. 가문
앙부아즈 가문은 조르주 당부아즈의 명성으로 중요성을 얻게 되었지만, 그의 조상들은 그들의 이름을 따온 앙부아즈 성을 몰수당했다.그의 조카 루이 당부아즈, 조르주 2세 당부아즈, 프랑수아 기욤 드 카스텔누 드 클레르몽-뤼데브 또한 추기경이 되었다.[1]
4. 평가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평가' 섹션 내용을 작성하겠습니다.)
5. 대중 문화
그의 뛰어난 행정 능력은 "Let George do it"(조르주에게 맡겨라)이라는 관용구의 유래가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9][5] 이 표현은 17세기 중반 프랑스에서 처음 등장한 것으로 보이며, 20세기 미국의 "Let George do it"과의 관련성은 우연의 일치일 가능성이 높다.[6][7]
참조
[1]
서적
The Pantropheon or a History of Food and its Preparation in Ancient Times
Paddington Press
[2]
웹사이트
The vanity bell of the Tour de Beurre, at Rouen Cathedral
https://www.normandy[...]
2022-11-14
[3]
웹사이트
La médaille commémorative de la
https://www.rouen-hi[...]
2022-11-14
[4]
웹사이트
Amboise, Georges I d' (1460-1510)
http://cardinals.fiu[...]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Libraries
2020-08-23
[5]
웹사이트
Laissez faire à Georges - RuedesFables.net
http://www.ruedesfab[...]
2017-03-04
[6]
웹사이트
"Laissez faire á Georges" and "Let George do it". A Case of Paremiological Polygenesis
https://cvc.cervante[...]
2017-11-17
[7]
웹사이트
Page:The American Language.djvu/324 - Wikisource, the free online library
https://en.wikisourc[...]
2021-07-04
[8]
서적
The Pantropheon or a History of Food and its Preparation in Ancient Times
https://archive.org/[...]
Paddington Press
[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ruedesfab[...]
2017-08-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