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백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백규는 남송 효종 재위 기간에 명주 지주, 연해제치사 등을 역임하고 광종 즉위 후 태보까지 오른 인물이다. 소희 2년 판대종정사에 임명되어 태사가 되었으며, 숭신군 절도사를 겸했다. 1202년 사망 후 숭왕으로 추봉되었다. 명주 지주와 연해제치사로 재직하며 일본과의 외교 관계를 맺었고, 해적을 토벌하고 무역을 진흥하는 등 선정을 베풀었다. 그의 후손 중에는 원나라 때의 문인화가 조맹부가 있다.

2. 생애

효종 재위 기간 중 명주 지주, 연해제치사, 현모각직학사, 용도각직학사를 역임했으며, 광종 즉위 후 소사에 승진했고, 이후 태보가 되었다. 1191년(소희 2년) 판대종정사에 임명되어 태사가 되었으며, 숭신군 절도사를 겸했다.[3]

1202년(가태 2년) 사망 후 숭왕으로 추봉되었다.

아들로 조사기, 조사규, 조사수, 조사설, 조사우, 조사고, 조사암, 조사미, 조사공의 9명이 있다. 또한, 동생인 효종의 제안으로 명주 시대부터 관계가 있던 같은 지역 출신 재상 사호의 막내아들인 사미견(사미원의 동생)에게 딸 신안군주를 시집보냈다[3]

남송 말부터 원 초에 걸쳐 활동한 정치가이자 문인인 조맹부는 조사수의 증손에 해당한다.

2. 1. 관직 생활

효종 재위 기간 중 명주 지주, 연해제치사, 현모각직학사, 용도각직학사를 역임했으며, 광종이 즉위하자 소사에 승진했고, 이후 태보가 되었다. 소희 2년 (1191년) 판대종정사에 임명되어 태사가 되었으며, 숭신군 절도사를 겸했다.[3]

2. 2. 일본과의 관계

건도 8년(일본의 조안 2년/1172년) 9월, 조백규는 명주지주(明州知州)·연해제치사(沿海制置使)의 임무를 맡고 있을 때 "일본 국왕"(고시라카와 법황) 및 "일본국 태정대신"(평청성) 앞으로 방물을 보냈다.[4] 건도 9년(조안 3년/1173년) 3월, 고시라카와 법황에게 답서를 명받았고, 키요모리로부터 "일본국 사문 정해 첩(日本国沙門静海諜) 대송국 명주 연해제치사 왕(大宋国明州沿海制置使王)"으로 시작하는 서신이 보내졌다.[5][6]

2. 3. 일화

융흥·건도(乾道) 연간에 명주지주(明州知州)·연해제치사(沿海制置使)로서 해적을 토벌하고 무역 진흥에 힘썼던 조백규는 어느 날 남방에 있는 진리부국(真里富国)의 상인이 명주에서 갑자기 사망하여 많은 재산을 남긴 사건을 겪었다. 명주의 관리는 법에 따라 상인이 남긴 재물을 몰수해야 한다고 건의했지만, 조백규는 "먼 곳에서 온 손님의 불행을 틈타 이익을 얻을 수는 없다"라며 상인의 유해를 관에 넣어 재물과 함께 고국으로 돌려보냈다.[3]

3. 가계

조백규는 원나라 때의 문인화가 조맹부의 조상으로, 그의 넷째 아들 조사수의 4대손이다. 효종 재위 기간 중 명주 지주, 연해제치사, 현모각직학사, 용도각직학사를 역임했으며, 광종이 즉위하자 소사에 승진했고, 이후 태보가 되었다. 소희 2년(1191년) 판대종정사에 임명되어 태사가 되었으며, 숭신군 절도사를 겸했다. 가태 2년(1202년) 사망하자, 숭왕으로 추봉되었다.

태조 - 진왕 조덕방 - 영국공 조유헌 - 신흥후 조종욱 - 화음후 조세장 - 경국공 조령화 - 수안희왕 조자칭 - 숭왕 조백규

3. 1. 가계도

조백규는 원나라 때의 문인화가 조맹부의 넷째 아들 조사수의 4대손이었다.[1]

이름비고
태조
진왕 조덕방
영국공 조유헌
신흥후 조종욱
화음후 조세장
경국공 조령화
수안희왕 조자칭
숭왕 조백규


3. 2. 아들

조백규는 조사기, 조사규, 조사수, 조사설, 조사우, 조사고, 조사암, 조사미, 조사공의 9명의 아들을 두었다. 동생인 효종의 제안으로 명주 시대부터 관계가 있던 같은 지역 출신 재상 사호의 막내아들 사미견(사미원의 동생)에게 딸 신안군주를 시집보냈다[3].

원나라 때의 문인화가 조맹부는 그의 넷째 아들 조사수의 4대손이었다.

3. 3. 기타

원나라 때의 문인화가 조맹부는 그의 넷째 아들 조사수의 4대손이었다.

참조

[1] 서적 宋史
[2] 서적 続資治通鑑
[3] 논문 宋代明州の史氏一族と東銭湖墓群 中国書店 2009-09-01
[4] 서적 玉葉・師守記
[5] 서적 異国諜状記・玉葉・百錬抄・師守記
[6] 논문 平清盛の対中国外交と大輪田泊 神戸大学文学部海港都市研究センター 2007-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