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외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족외혼은 유전적으로 가깝게 관련되지 않은 개인 간의 결혼을 의미하며, 근친 교배에 반대되는 개념이다. 생물학적으로는 유전적 결함을 가진 자녀의 위험을 줄이는 이점이 있으며, 문화적으로는 특정 집단 밖에서의 결혼을 의미한다. 문화적 족외혼은 다양한 이론으로 설명되며, 집단 간의 동맹을 강화하고 사회 통합을 이루는 기능을 한다. 언어적 족외혼은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간의 결혼을 의미하며, 한국 사회에서도 족외혼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혼인의 종류 - 단혼
단혼 또는 일부일처제는 한 번에 한 사람하고만 결혼하거나 성관계를 갖는 것으로, 중혼 또는 다처제와 대조되며, 사회적, 성적, 유전적 형태로 세분화될 수 있고, 현대 사회 대부분의 국가에서 법적으로 시행되며, 여성 권리 운동의 옹호를 받는다. - 혼인의 종류 - 사실혼
사실혼은 혼인신고 없이 부부로서 생활하는 관계를 의미하며, 대한민국 법률에서는 재산분할 및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하지만, 법률혼과 비교하여 자녀의 친권, 상속, 세금 등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 다문화주의 - 다민족 국가
다민족 국가는 두 개 이상의 민족 집단이 상당한 규모로 공존하는 국가를 의미하며, 각국의 역사적 배경과 사회·정치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민족 간 통합 및 갈등, 소수 민족 권리, 국가 정체성 확립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다문화주의 - 다민족
다민족은 사회가 다양한 민족 집단으로 구성된 상태를 의미하며,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 정치, 사회, 문화에 영향을 미치고 복잡한 쟁점을 야기한다.
족외혼 | |
---|---|
사회 | |
정의 | 특정 사회 집단 외부의 사람과 결혼해야 하는 사회적 약정 |
결혼 | |
유형 | 이중 족외혼 삼중 족외혼 사중 족외혼 |
설명 | 문화인류학에서는 족외혼이란 한 개인이 자신의 사회 집단 구성원과 결혼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함 |
기타 설명 | 족외혼 규칙은 인류 역사 전반에 걸쳐 다양한 사회에서 발견됨 족외혼은 근친상간에 대한 금지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 족외혼은 사회적 결속을 강화하고 이질적인 집단 간의 협력을 촉진할 수 있음 |
관련 법률 | 민법 제809조 (대한민국) |
2. 생물학적 족외혼
족외혼은 유전적으로 가깝지 않은 두 사람이 결혼하는 것으로, 근친 교배에 반대되는 이교배이다. 이는 자손이 결함 있는 유전자를 물려받을 위험을 줄여준다. 낸시 윌름슨 손힐은 인간이 직계 가족과 번식하거나 매력을 느끼지 않는 경향은 진화적으로 적응적인 현상이라고 설명한다.[2]
구 아미쉬 사회에서는 근친 교배로 인해 "신생아 및 신생아 후 사망률"이 증가한다.[3] 프랑스 인구 집단에서는 사촌 간 결혼으로 시스틴증 발병률이 더 높다.[4]
2. 1. 근친 교배와의 관계
족외혼은 유전적으로 가깝지 않은 두 사람이 결혼하는 것으로, 근친 교배와 반대되는 이교배이다. 낸시 윌름슨 손힐은 인간이 직계 가족과 번식하거나 매력을 느끼지 않으려는 경향은 열성 유전자 결합으로 인한 유전적 결함을 가진 자녀 출산 위험을 줄이는 진화적 적응 현상이라고 설명한다.[2]2. 1. 1. 근친 교배의 위험성
족외혼은 유전적으로 가깝지 않은 두 사람이 결혼하는 것을 의미하며, 근친 교배와 반대되는 이교배에 해당한다. 이는 자손이 결함이 있는 유전자를 물려받을 위험을 줄여준다. 낸시 윌름슨 손힐은 인간이 직계 가족과 번식하거나 매력을 느끼지 않는 경향은 진화적으로 적응적인 현상이라고 설명한다. 이는 열성 유전자 결합으로 인한 유전적 결함을 가진 자녀 출산 위험을 줄이기 때문이다.[2]구 아미쉬 사회에서는 근친 교배로 인해 "신생아 및 신생아 후 사망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3] 프랑스 특정 인구 집단에서는 사촌 간 결혼으로 인해 일반 인구보다 시스틴증 발병률이 더 높게 나타난다.[4]
2. 1. 2. 족외혼의 이점
족외혼은 종종 유전적으로 가깝게 관련되지 않은 두 개인이 서로 결혼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근친 교배와 반대되는 이교배이다. 이교배는 자손이 결함이 있는 유전자의 두 사본을 물려받을 위험을 줄여 유전적 다양성을 높인다. 낸시 윌름슨 손힐은 인간이 직계 가족과 번식하거나 매력을 느끼지 않으려는 경향은 열성 유전자로 인한 유전적 결함을 가진 자녀의 위험을 줄이는 진화적 적응이라고 설명한다.[2]구 아미쉬 사회에서는 근친 교배가 신생아 및 신생아 후 사망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3] 프랑스 인구 집단에서는 사촌 간의 자녀에게서 시스틴증 발병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난다.[4]
3. 문화적 족외혼
문화적 족외혼은 개인이 속한 특정 집단 밖에서 결혼하는 관습이다.
3. 1. 족외혼의 기원 및 이론
문화적 족외혼은 개인이 속한 특정 집단 밖에서 결혼하는 관습이다. 따라서 사람들은 가까운 혈족 관계뿐만 아니라 토템 씨족 등 다른 집단 밖에서 결혼해야 할 수도 있다.연구자들은 족외혼의 기원을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이론을 제시했다. 에드바르드 베스터마르크는 근친상간에 대한 혐오를, J. F. 맥레넌[5]은 여성 부족으로 인한 납치 결혼을, 에밀 뒤르켐[6]은 토테미즘과의 연관성을 주장했다. 힌두교의 일부에서는 고트라 밖에서만 결혼할 수 있다. 모건(Morgan)[7]은 혈족 간 결혼을 막기 위해, 프레이저(Frazer)[8]는 가족 집단의 생존을 위해 족외혼이 시작되었다고 보았다. 클로드 레비-스트로스는 집단 간 동맹 구축을 위한 "동맹 이론"[9]을 제시했다.
3. 1. 1. 에드바르드 베스터마르크(Edvard Westermarck)
에드바르드 베스터마르크는 혈족 또는 가까운 친족 간의 결혼에 대한 혐오가 근친상간에 대한 부모의 억제와 함께 나타났다고 말했다. 유전적 관점에서 볼 때, 가까운 친족과의 교배에 대한 혐오는 선천성 질환을 줄인다. 만약 한 사람이 결함 있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면, 집단 밖에서 교배하는 것은 그의 배우자가 다른 기능적 유형의 유전자를 가질 가능성을 높이고 그들의 자녀가 결함을 겪지 않을 수 있다. 타가 교배는 이형접합성의 조건을 선호하며, 이는 주어진 유전자의 두 개의 동일하지 않은 사본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3. 1. 2. J. F. 맥레넌(J. F. McLennan)
J. F. 맥레넌은 족외혼이 원래 소규모 집단 내의 여성 부족 때문에 발생했다고 주장한다. 남성들은 납치 결혼을 포함하여 다른 집단에서 아내를 구해야 했고, 족외혼은 문화적 관습으로 발전했다.[5]3. 1. 3. 에밀 뒤르켐(Émile Durkheim)
에밀 뒤르켐[6]은 족외혼이 토테미즘에서 파생된다고 보았다. 그는 사람들이 토템 씨족의 피에 대한 종교적 존경심을 가지고 있으며, 씨족 토템은 신이고 특히 피, 즉 신성한 물질에 존재한다고 생각했다.3. 1. 4. 힌두교의 고트라(Gotra)
힌두교의 샥티교와 같은 일부 형태에서는, 사람들은 멀리 떨어져 관련되어 있을 수 있지만 같은 지역에 살거나 같은 지역에 조상의 고향을 가지고 있는 전통적인 집단인 고트라 밖에서만 결혼할 수 있다.[6]3. 1. 5. 모건(Morgan)
모건(Morgan)[7]은 족외혼이 혈족 간의 결혼, 특히 이전의 난잡한 상태에서 흔했던 형제와 자매 간의 결혼을 막기 위해 도입되었다고 주장한다.3. 1. 6. 프레이저(Frazer)
프레이저(Frazer)[8]는 족외혼이 단일 가족이 더 큰 정치 집단이 되었을 때, 특히 가족 집단의 생존을 유지하기 위해 시작되었다고 말한다.3. 1. 7. 클로드 레비-스트로스(Claude Lévi-Strauss)의 동맹 이론
클로드 레비-스트로스는 작은 집단들이 다른 집단과 동맹을 구축하기 위해 구성원들이 밖에서 결혼하도록 강요해야 한다는 "동맹 이론"[9]을 도입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족외혼에 참여한 집단은 번성하고, 그렇지 않은 집단은 문자 그대로 또는 문화적, 경제적 교환을 위한 충분한 관계가 부족하여 불리한 입장에 놓여 결국 사라지게 된다. 남성이나 여성의 교환은 집단 간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했다.3. 2. 이중 족외혼 (Dual exogamy)
이중 족외혼은 두 집단이 서로 지속적으로 혼인하는 방식이다. 이는 여러 현대 사회와 고전 문학에 묘사된 많은 사회에서 전통적인 결혼 형태이며, 모계 또는 부계일 수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부족[10], 역사적으로 튀르크어족 사회[11][12], 코트디부아르의 타히 사회[13], 에스키모[14], 오비-우그리아족[15][16] 등에서 시행되었다.3. 2. 1. 이중 족외혼의 사회 통합 기능
이중 족외혼은 두 집단이 서로 지속적으로 혼인하는 방식으로, 수많은 현대 사회와 고전 문학에 묘사된 많은 사회에서 전통적인 결혼 형태이다. 모계 또는 부계일 수 있다. 일부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부족[10], 역사적으로 튀르크어족 사회[11][12], 코트디부아르의 타히 사회[13], 에스키모[14], 오비-우그리아족[15][16] 등에서 시행되었다. 부족 사회에서 이중 족외혼은 여러 세대에 걸쳐 지속되었으며, 처음에는 혈연이나 언어로 관련이 없던 집단을 궁극적으로 하나의 부족 또는 국가로 통합했다.4. 언어적 족외혼
언어 족외혼은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간에 결혼이 이루어지는 문화 족외혼의 한 형태이다.[18] 이 관습은 프랑스계 캐나다인 공동체[17]뿐만 아니라 아마존강 북서부의 원주민 집단, 예를 들어 투카노 부족 사이에서도 흔하게 나타난다.[18]
4. 1. 언어적 족외혼의 사례
언어 족외혼은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간에 결혼이 이루어지는 문화 족외혼의 한 형태이다. 이 관습은 프랑스계 캐나다인 공동체[17]뿐만 아니라 아마존강 북서부의 원주민 집단, 예를 들어 투카노 부족 사이에서도 흔하게 나타난다.[18]참조
[1]
간행물
New Zealand Slavonic Journal
Victoria University of Wellington
2002
[2]
서적
The Natural History of Inbreeding and Outbreeding: Theoretical and Empirical Perspective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3
[3]
논문
The effect of inbreeding on early childhood mortality: twelve generations of an Amish settlement
1999-05
[4]
논문
Inbreeding in recessive diseases
1977-09
[5]
논문
The Origin of Exogamy
https://zenodo.org/r[...]
[6]
서적
Totemism and Exogamy Vol. IV
https://books.google[...]
Cosimo Inc.
[7]
논문
Systems of Consanguinity and Affinity of the Human Family
Smithsonian Institution
[8]
서적
Totemism and Exogamy Vol. IV
https://books.google[...]
Cosimo Inc.
[9]
웹사이트
Alliance Theory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12-03-15
[10]
서적
Glimpses of Tribal Life in North-east India
1980
[11]
간행물
Turkish Studies Association Bulletin
1982
[12]
논문
Ethnic Composition and Origin of Altaians
1969
[13]
서적
Effects of the growth of human activities on the Taï forest of the south-west of the Ivory coast
http://unesco.org/im[...]
UNESCO
2017-12
[14]
논문
On the Question of the Eskimo kinship system
1967
[15]
논문
From One to Seven: Numerical Symbolism in Khanty Culture
[16]
논문
The very highly connected nodes in the Ob-Ugrian networks
https://www.sgr.fi/s[...]
2009
[17]
웹사이트
Les pratiques linguistiques des enfants de familles francophones vivant à l'extérieur du Québec
https://www150.statc[...]
2015-12-17
[18]
서적
The Fish People - Linguistic Exogamy and Tukanoan Identity in Northwest Amazon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