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키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스키모는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단어로, 과거에는 북극 지역에 거주하는 여러 민족을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에스키모'라는 명칭은 일부 민족에게 모욕적인 표현으로 여겨지면서, 캐나다와 그린란드에서는 '이누이트' 또는 특정 지역 사회에 특정한 용어로 대체되었다. 에스키모는 유전적 증거를 통해 북동아시아에서 유입된 인구의 후손으로, 이누이트와 유픽으로 크게 구분된다. 이누이트는 알래스카, 캐나다, 그린란드 등 북극 해안 지역에 거주하며, 유픽은 알래스카 서부 해안과 러시아 극동 지역에 분포한다. 전통적으로 해양 포유류 사냥에 의존하며, 독특한 문화를 유지해 왔으나, 현대 사회로의 변화와 함께 생활 방식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스키모 - 알류트족
알류트족은 알류샨 열도, 슈마긴 제도, 알래스카 반도의 극서부 지역에 거주하며 '우낭안' 또는 '우낭아스'라고 불리는 원주민으로, 해양 사냥 기술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켜왔으나 외부 세력과의 접촉으로 고난을 겪었고 현재는 고유 언어와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에스키모 - 유픽족
알래스카와 러시아 극동 지역에 거주하며 "진짜 사람들"을 의미하는 유픽족은 전통적인 어로 및 수렵 생활을 유지하며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보존하는 알래스카의 가장 큰 원주민 집단 중 하나이다. - 덴마크의 민족 - 데인인
데인인은 6세기 문헌에 처음 등장한 스칸디나비아 민족으로, 덴마크, 스웨덴 남부, 북독일 일부 지역에 거주하며 세력을 키웠고, 바이킹 시대에는 해상 활동을 통해 여러 지역에 진출하여 정착지를 건설했으며, 노르드 신앙을 숭배하다 10세기경 기독교를 수용했다. - 덴마크의 민족 - 독일인
독일인은 게르만족에서 유래하여 독일 국적을 가지거나 독일 민족으로 간주되는 사람들을 지칭하며, 독일어, 다양한 하위 민족과 문화를 사용하고, 고대 게르만족부터 분단과 통일을 겪으며 문화적 다양성을 갖는다. - 캐나다의 민족 - 이누이트
이누이트는 북극 지역에 거주하며 수렵과 어업을 통해 생활하고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지닌 민족으로, 현대 사회에서 자치권 확보를 위해 노력한다. - 캐나다의 민족 - 타지크인
타지크인은 중앙아시아에 주로 거주하며 페르시아어 계통의 언어를 사용하는 이란계 민족으로, 타지키스탄의 주된 민족이며 아프가니스탄과 우즈베키스탄에도 거주하고, 역사적으로 소그드인과 박트리아인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에스키모 | |
---|---|
개요 | |
명칭 | 에스키모 |
관련 민족 | 알류트족 |
인구 | |
추정 인구 | 194,447명 (2024년 10월 기준) |
거주 지역 | 러시아 추코트카 자치구 사하 공화국 미국 알래스카주 캐나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 노스웨스트 준주 누나부트 준주 퀘벡주 유콘 준주(이전) 그린란드 |
언어 | |
주요 언어 | 에스키모알류트어족: |
종교 |
2. 어원
‘에스키모’라는 낱말은 아마도 프랑스어 ‘Esquimaux’에서 왔을 것으로 여겨진다. 많은 사람들이 이 낱말이 크리어로 ‘날고기를 먹는 사람들’을 뜻하는 것으로 잘못 알고 있다. 어떤 사람은 크리 지방 사람들이 날고기를 먹는 에스키모족을 보고 이를 경멸하여 붙인 이름으로 알고 있을 정도이다. 이러한 민간 어원설 때문에 많은 이누이트들이 '에스키모'라고 불리는 것을 모욕으로 여긴다.[125] 하지만 문헌학자들에 의해서 위의 어원설은 거짓임이 밝혀졌다.
유전적 증거에 따르면 아메리카 대륙 원주민은 북동아시아에서 유입된 인구이다. 대부분의 아메리카 원주민은 고인디언으로 불리는 초기 이주민의 후손이지만, 나-데네족과 에스키모는 나중에 아메리카로 이주한 별개 인구의 혼합을 보인다. 이들은 극동 북부의 축치족 등과 가깝고, 아메리카 원주민과는 유전적으로 멀다. 현대 에스키모알류트어족 화자 집단은 이 후기 조상의 혈통이 게놈의 거의 절반을 차지한다.[68]
에스키모는 단일 민족이 아니라, 크게 이누이트 (동부 집단)와 유픽 (서부 집단)으로 나뉜다. 그린란드에 사는 사람들은 학술적으로는 이누이트이지만, 현지에서는 칼라릿이라고 불린다.
몇몇 알곤킨 어족의 언어가 이누이트를 ‘날고기를 먹는 사람들’이란 뜻이거나 그 뜻을 가진 말과 비슷한 발음으로 부른다. 평원 오지브와(Plains Ojibwe)어로 에스키모를 Ashkimo라 부르는데, ashkin은 ‘날 것’, amo는 ‘먹다’라는 뜻이다. 하지만, 프랑스어 문헌에서 ‘에스키모’라는 낱말이 등장했을 무렵에 평원 오지브와족과 유럽인의 접촉이 없었고, 오지브와족이 이누이트와 많이 접촉하기 시작한 것조차 식민지 시대 이후이다. 결국 오지브와족이 프랑스어 ‘Esquimaux’를 차용어로 쓰게 되었다는 가능성밖에 없지만, 오지브와족이 듣기에 프랑스어 ‘Esquimaux’는 ‘날고기를 먹는 사람들’이라는 뜻의 낱말과 소리가 전혀 다르다. 게다가 크리족들도 전통적으로 날고기를 먹어 왔기 때문에 이누이트를 경멸하여 이름을 붙였다는 설은 믿기 어렵다.
‘Esquimaux’라는 말이 처음 쓰일 당시 프랑스 상인들에게 알려진 언어인, 크리어의 방언 몬타녜(Montagnais)어의 ‘날고기를 먹는 사람들’이라는 뜻의 어휘 중에서 에스키모와 소리가 유사한 것은 없다. 에스키모의 어원과 관련하여 몇 년간 여러 설이 논의되어 왔는데, 그 중에는 Montagnais어로 눈신발(snowshoes)의 끈을 묶는 방법을 나타내었다는 설과 ‘외국어를 하는 사람’이라는 뜻이었다는 설이 있다. 하지만 Montagnais어로 미크맥(Mi'kmaq)족을 부르는 말이 ‘에스키모’와 소리가 아주 유사하다는 점 때문에 많은 학자들이 그것이 이 낱말의 어원일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지었다.[126]
오늘날 알래스카주에서는 ‘에스키모’라는 말을 극지방 사람들을 일반적으로 부르는 말로 쓰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알래스카에서 사는 유픽족은 ‘유픽’으로 불리고 ‘에스키모’라고 불리는 것을 거부하진 않지만, ‘이누이트’라고 불리는 것은 차별로 받아들인다.
'에스키모'라는 단어의 어원적 기원에 대해 다양한 이론이 제기되어 왔다.[21][22][23][24][25][26] 스미소니언 언어학자 아이브스 고다르에 따르면, 어원적으로 이 단어는 '설피를 묶는 사람'을 의미하는 이누-아이문(몬타네) 단어 ayas̆kimewmoe[57][27][28]에서 유래했으며, '허스키' (개의 품종)와 관련이 있다. assime·wmoe는 이누어에서 '그녀는 설피를 묶는다'를 의미하며, 이누어 화자들은 '에스키모'와 유사한 단어를 사용하여 이웃 미크마크족을 지칭한다.[29][30] 이러한 해석은 최근의 학술 자료에서도 일반적으로 확인된다.[31]
1978년, 이누-아이문(몬타네)을 구사하는 퀘벡 인류학자 호세 마이요는 '에스키모'가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의미한다고 주장하는 논문을 발표했다.[32][33] 동부 지역에서 이누 (몬타네)를 만난 프랑스 상인들은 서부 지역 사람들에 대한 그들의 단어를 차용하여 음역으로 Esquimau프랑스어 또는 Esquimaux프랑스어로 표기했다.[60]
일부 사람들은 '에스키모'가 모욕적이라고 여기는데, 이는 대서양 연안의 사람들에게 흔한 알곤킨어족에서 '날고기를 먹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널리 인식되기 때문이다.[33][34][35][27][36][37] 익명의 크리족 화자는 에스키모로 변질된 원래 단어가 askamiciwcr(‘그는 그것을 날것으로 먹는다’는 뜻)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누이트는 일부 크리어 텍스트에서 askipiwcr(‘날것을 먹는다’는 뜻)로 언급된다.[36][37][38][39][3][40]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용어는 많은 이누이트와 유픽에게 여전히 경멸적인 의미를 지닌다.[27][36][41][42]
프랑스어 단어 Esquimaux프랑스어의 최초 인쇄물 중 하나는 새뮤얼 헌의 "1769년, 1770년, 1771년, 1772년에 허드슨 만의 프린스 오브 웨일스 요새에서 북극해까지의 여정"에서 비롯되었으며, 이 책은 1795년에 처음 출판되었다.[43]
3. 역사
에스키모보다 먼저 이 지역에 살았던 고에스키모는 현대 북극 인구와는 구별되지만, 이들 역시 극동 북부의 인구 집단에서 파생되었다.[71] 이 고대인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신석기 시대 이전(약 5,000 ~ 10,000년 전) 시대에 축치해를 건너 북미로 이주한 것으로 추정된다.[69] 알류트족의 조상은 10,000년 전 알류트 열도에 거주했다고 여겨진다.[70]
명확히 확인된 고에스키모 문화 중 가장 이른 것은 5,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71] 고에스키모 민족은 북극 소도구 전통 문화와 연관된 집단으로서 알래스카에서 발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의 조상은 아마 3,000~5,000년 전 알래스카로 이주했을 것이다.[73]
알래스카의 유픽 언어와 문화는 알래스카에서 발전한 원주민의 선도싯 문화(Pre-Dorset)를 시작으로 진화했을 것이다. 적어도 4,000년 전 알류트족의 우낭간 문화가 뚜렷해졌다. 이것들은 일반적으로 에스키모 문화로 간주되지 않으나 오늘날의 이누이트족과 알류트족의 조상인 도싯족이 알류트 제도에서 유래했을 가능성도 있다.[69][71]
약 1,500~2,000년 전 알래스카 북서부에서 2가지 변이가 명확히 발전했다. 이누이트어 화자 집단이 또렷해지고 수 세기에 걸쳐 알래스카 북부, 캐나다, 그린란드까지 이주했으며, 툴레인(비르니크 문화에서 강한 영향을 받음)의 문화가 에스키모인 거주지 전역으로 빠르게 확산되었는데 전부가 동화된 것은 아니었다.[74]
4. 민족
구분 주요 거주 지역 언어 비고 이누이트 알래스카 북부, 캐나다, 그린란드 이누이트어 동부 집단, 그린란드에서는 칼라릿으로 불림 유픽 알래스카 중부 이서, 러시아 극동 유픽어 서부 집단
에스키모의 총 인구는 약 9만 명이며, 지역별 인구는 다음과 같다.
에스키모는 주로 몽골로이드이지만, ANE 계통(코카소이드)으로부터 유전적 부동을 겪었다. 이는 다른 아메리카 원주민과 마찬가지이지만, 에스키모는 몽골로이드 유전자 비율이 더 높다. 에스키모에게서 고빈도로 나타나는 유전자는 하플로그룹 Q (Y염색체)이며[120], 이는 아메리카 원주민에서 널리 나타나는 계통이다.
4. 1. 이누이트
이누이트는 미국 알래스카의 북극해와 북부 베링 해 해안, 캐나다의 노스웨스트 준주, 누나부트, 퀘벡, 래브라도, 그리고 그린란드 (덴마크와 관련)의 북극 해안에 거주한다. 비교적 최근까지 이 지역 전체에 걸쳐 놀라운 문화적 동질성이 존재했으며, 전통적으로 음식, 해양 포유류, 육상 동물을 식량, 난방, 조명, 의류, 도구에 의존했다. 그들의 식량원은 주로 물개, 고래, 고래 기름, 바다코끼리, 물고기였으며, 이들은 얼음 위에서 작살을 사용하여 사냥했다.[57] 의복은 낮은 온도에 적응하기 위해 늑대 가죽과 순록 가죽으로 만든 로브로 구성되었다.[82] 그들은 독특한 이누이트 문화를 유지한다.
"에스키모"라는 용어는 이누이트와 유픽, 그리고 다른 원주민이나 알래스카 원주민, 시베리아 민족을 포괄하는 데 사용된다.[57][41][44] 21세기에는 북미에서의 사용이 감소했다.[27][42] 유픽과 이누이트 사이에는 언어적, 민족적, 문화적 차이가 존재한다.
캐나다와 그린란드, 그리고 어느 정도는 알래스카에서도 "에스키모"라는 용어는 주로 불쾌감을 주는 것으로 여겨져 "이누이트"[27][38][39][45] 또는 특정 그룹이나 지역 사회에 특정한 용어로 광범위하게 대체되었다.[27][46][47][48] 이로 인해 일부 비원주민들이 이누이트가 아닌 유픽에게도 "이누이트"라는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고 믿는 경향이 나타났다.[27]
그린란드 이누이트는 일반적으로 자신을 그린란드인(Kalaallitkl 또는 )이라고 부르며, 그린란드어와 덴마크어를 사용한다.[27][49] 그린란드 이누이트는 세 그룹으로 나뉜다.
"에스키모"라는 단어는 캐나다에서 인종적으로 민감한 용어이다.[50][51] 캐나다 중부 북극에서는 Inuinnaqik가 선호되는 용어이고,[52] 캐나다 동부 북극에서는 Inuitiu가 선호되는 용어이다. 언어는 종종 ''이누크티투트''라고 불리지만, 다른 지역 명칭도 사용된다.
제25조[53] 캐나다 권리 및 자유 헌장과 1982년 헌법 1982년 캐나다 헌법의 제35조[54]는 이누이트를 캐나다의 원주민의 독특한 그룹으로 인정했다. "이누이트"는 캐나다와 그린란드의 모든 에스키모 민족에게 적용될 수 있지만, 알래스카와 시베리아에서는 그렇지 않다. 알래스카에서는 이누이트인 이누피아트 (단수형: 이누피아크)와 그렇지 않은 유픽을 모두 포함하기 때문에 "에스키모"라는 용어가 여전히 사용된다.[27]
1977년, 이누이트 순환 회의(ICC)는 알래스카 배로우(현재의 우트키아빅, 알래스카)에서 열린 회의에서, 지역별로 적절한 용어에 대한 관점과 관계없이 순환 북극 원주민 전체를 지칭하는 용어로 공식적으로 ''이누이트''를 채택했다. 그들은 ''에스키모''라는 단어를 ''이누이트''로 대체하기로 투표했다.[59] 당시에도 이러한 명칭이 모든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지지는 않았다.[27][60] 결과적으로, 캐나다 정부는 ''에스키모''라는 용어를 Inuitiu(Inukiu 단수형)으로 대체했다.
ICC 헌장은 ''이누이트''를 "이누피아트, 유픽(알래스카), 이누이트, 이누비알루이트(캐나다), 칼라알리트(그린란드) 및 유픽(러시아)"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61] ICC가 1977년에 ''이누이트''라는 용어를 채택하기로 결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는 모든 유픽족, 심지어 대부분의 유픽족에게도 받아들여지지 않았다.[59]
2010년, ICC는 과학자들에게 ''에스키모'' 또는 ''고(古) 에스키모'' 대신 ''이누이트'' 및 ''고(古) 이누이트''를 사용해 달라고 간청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62]
캐나다 이누이트는 주로 그들의 전통적인 고향인 이누이트 누나탕앗(문자 그대로 "이누이트 사람들의 땅, 물, 얼음")에 살고 있지만, 일부는 캐나다 남부 지역에 거주한다. 이누이트 누나탕앗은 서쪽의 유콘-알래스카 국경에서 북극을 가로질러 래브라도 북부에 이르기까지 펼쳐져 있다.
이누비알루이트는 이누비알루이트 정착 지역, 즉 유콘과 노스웨스트 준주의 북부 지역에 살고 있으며, 이 지역은 아문센 만과 누나부트 경계까지 뻗어 있으며 서부 캐나다 북극 제도를 포함한다. 이 땅은 1984년 이누비알루이트 최종 협정에 의해 경계가 정해졌다.
대다수의 이누이트는 누나부트 (캐나다의 준주), 누나빅 (퀘벡 북부)과 누나치아부트 (래브라도의 이누이트 정착 지역)에 거주한다.
이누피아는 알래스카의 노스웨스트 아틱과 노스 슬로프 자치구, 그리고 베링 해협 지역, 즉 세워드 반도에 거주하는 이누이트이다.[86] 우트키아그빅, 미국 최북단 도시로, 북극권 위에 있으며 이누피아 지역에 속한다. 그들의 언어는 이누피아크어로 알려져 있다.[87] 현재 그들의 공동체는 ''이누피아 누나나트'' (이누피아 땅)에 걸쳐 34개의 마을을 포함하며, 여기에는 북극 슬로프 지역 법인과 관련된 노스 슬로프 자치구의 7개 알래스카 마을, 노스웨스트 아틱 자치구의 11개 마을, 그리고 베링 해협 지역 법인과 관련된 16개 마을이 있다.[88]
4. 2. 유픽
유픽족은 서부 알래스카 해안, 특히 유콘강-쿠스코윔강 삼각주와 쿠스코윔강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을 따라, 남부 알래스카 (알루티크) 및 러시아 극동의 축치반도 동부 해안과 서부 알래스카의 세인트로렌스섬에 거주하는 원주민이다.[89] 유픽족의 경제는 전통적으로 특히 물개, 바다코끼리, 고래와 같은 해양 포유류의 수확에 의해 강력하게 지배되어 왔다.[90]
알래스카 베델 지역의 유픽어와 비교적 가깝지만 별개의 언어로 간주되며, 두 개의 주요 방언이 있다. 하나는 알래스카 반도와 코디액 섬에서 사용되는 코니악 방언이며, 다른 하나는 케나이 반도 남부와 프린스 윌리엄 사운드에서 사용되는 추가치 방언이다. 셀도비아 근처 케나이 반도 남부에 위치한 난왈렉 주민들은 자신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수그피악이라고 부른다. 그들은 베델에서 유픽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말을 이해할 수 있다. 약 3,000명의 인구 중 수백 명이 이 언어를 사용하며, 알루티익 공동체는 언어 부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어포스트로피가 붙은 ''유픽''(Yup'ik)은 서부 알래스카와 남부 노턴 사운드에서 브리스톨 만 북쪽, 유콘-쿠스코윔 델타, 넬슨 섬에 거주하는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 화자를 지칭한다. ''유픽'' 이름에 어포스트로피를 사용하는 것은 ''p'' 소리를 길게 발음하는 것을 나타내는 표기 관례이지만, 다른 유픽어에서도 동일하게 발음된다. 모든 알래스카 원주민 언어 중에서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는 화자가 가장 많으며, 전체 유픽 인구 21,000명 중 약 10,000명이 여전히 이 언어를 사용한다.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의 5가지 방언에는 일반 중앙 유픽어, 에게긱 방언, 노턴 사운드 방언, 후퍼 베이-체바크 방언, 누니바크 방언이 있다. 후자의 두 방언에서는 언어와 사람 모두를 ''쿠픽''(Cup'ik)이라고 부른다.[92]
러시아 극동의 축치 반도에 있는 베링해 연안[77]과 알래스카 세인트로렌스 섬의 갬벨과 사봉가 마을에 거주한다.[93] 축치 반도와 세인트로렌스 섬에서 사용되는 중앙 시베리아 유픽은 거의 동일하다. 알래스카에 거주하는 총 1,100명의 시베리아 유픽인 중 약 1,050명이 이 언어를 사용한다. 세인트로렌스 섬의 대부분 아이들에게는 모국어이다. 시베리아에서는 총 900명의 시베리아 유픽인 중 약 300명이 여전히 이 언어를 배우고 공부하고 있지만, 더 이상 아이들이 모국어로 배우지는 않는다.[93]
400명 중 약 70명이 여전히 나우칸어를 사용한다. 시베리아 축치 자치구의 축치 반도에서 기원했다.[77] 나우칸어 사용 인구가 비교적 적음에도 불구하고, 이 언어에 대한 기록은 173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나우칸어는 시베리아에서만 사용되지만, 시베리아 유픽 에스키모어와 중앙 유픽 에스키모어라는 두 개의 알래스카 언어 사이의 중간 언어 역할을 한다.[79]
과거 시베리아 유픽어를 사용하던 일부 화자들은 언어 전환을 겪기 전 에스키모어 변종을 사용했다. 이전에 시레니크 에스키모어를 사용하던 사람들은 시레니키, 임투크 및 시레니키에서 츄크치 반도 남동쪽 해안을 따라 서쪽으로 뻗어있는 몇몇 작은 마을에 거주했다.[94] 그들은 시베리아 유픽인 및 츄크치족과 함께 이웃하여 살았다.
1895년 이전에 임투크는 시레니크 에스키모인과 웅가지그미트(Ungazigmit)[95](후자는 시베리아 유픽에 속함)의 혼합된 인구가 있는 정착지였다. 시레니크 에스키모 문화는 츄크치 문화의 영향을 받았으며, 그 언어는 츄크치어의 영향을 보여준다.[96] 민담 모티브 역시 츄크치 문화의 영향을 보여준다.[97]
이 (이미 소멸된) 에스키모어의 위와 같은 특이점은 가장 가까운 언어 친족과도 상호 이해가 불가능할 정도였다.[98] 과거 시레니크 에스키모인들은 시베리아 유픽인과 의사 소통하기 위해 관련 없는 츄크치어를 링구아 프랑카로 사용해야 했다.[96]
많은 단어는 시베리아 유픽어와 완전히 다른 어근에서 파생되었지만,[99] 문법조차 에스키모어뿐만 아니라 알류트어와 비교해서도 몇 가지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이중수는 시레니크 에스키모어에서는 존재하지 않지만, 대부분의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은 시베리아 유픽어 친족을 포함하여 이중수를 가지고 있다.[100][101]
이러한 다양성의 기원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이 언어의 특이성은 다른 에스키모 집단과의 오랜 격리,[102][103] 그리고 수 세기 동안 관련 없는 언어 사용자와의 접촉만이 있었다는 결과일 수 있다. 츄크치어의 영향이 뚜렷하다.[96]
이러한 모든 요인으로 인해 시레니크 에스키모어의 분류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104] 시레니크어는 때때로 에스키모어의 세 번째 분파로 간주되기도 한다(적어도 그 가능성이 언급된다).[104][105][106] 때로는 유픽 분파에 속하는 그룹으로 여겨지기도 한다.[107][108]
5. 언어
thumb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은 알류트어 (우낭안) 분파와 에스키모 분파로 나뉜다.[75] 에스키모 하위어족은 이누이트어와 유픽어 하위 그룹으로 구성된다.[76] 시레니크스키어는 때때로 에스키모어족의 세 번째 분파로 간주되지만, 다른 자료에서는 유픽 분파에 속하는 그룹으로 간주한다.[76][77]
이누이트어는 방언 연속체를 이루며, 알래스카의 우날라클리트와 노턴 사운드에서 시작하여 알래스카 북부와 캐나다를 거쳐 그린란드 동부까지 이어진다. 서부(이누피아크어)에서 동부 방언으로 갈수록 유픽 관련 특징이 사라지고, 자음 동화가 증가하며, 어휘 변화가 나타난다. 인접한 두 이누이트어 방언 화자는 서로 이해할 수 있지만, 멀리 떨어진 방언 화자는 서로 이해하기 어렵다.[77] 동 그린란드어는 독특한 형태의 의례적 이름 회피로 인해 상당한 단어 교체가 있었다.[76][77]
그린란드 이누이트는 칼라알리트어를 사용하는 서 그린란드의 칼라알리트[49], 투누 (동 그린란드)의 투누미트 오라시앗("동 그린란드어")를 사용하는 투누미트, 북 그린란드의 이누크툰을 사용하는 이누그후이트로 나뉜다.
유픽어는 음운론적, 형태론적 및 어휘적 차이를 가진 별개의 언어이며, 알루티크어 (수그피악어),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 노우칸어 (노우칸스키어), 시베리아 유픽어를 포함한다. 이들은 제한적인 상호 이해도를 보인다.[76] 알루티크어와 중앙 유픽어는 상당한 방언 다양성을 가지고 있다. 유픽어와 이누이트어의 문법 구조는 유사하지만, 음운론적으로 뚜렷한 차이가 있다. 이누이트어와 유픽어 중 어느 하나 사이의 어휘 차이는 유픽어 간의 차이보다 크다.[77]
노우칸어는 시베리아에서만 사용되지만, 시베리아 유픽 에스키모어와 중앙 유픽 에스키모어의 두 알래스카 언어 사이의 중간 역할을 한다.[79]
시레니크스키어는 에스키모어의 한 분파였으나 현재는 소멸되었다. 이 언어는 츄크치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다른 에스키모어와 상호 이해가 불가능했다.[96][98] 시레니크 에스키모인들은 시베리아 유픽인과 의사 소통하기 위해 츄크치어를 링구아 프랑카로 사용해야 했다.[96] 문법적으로도 이중수가 존재하지 않는 등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의 다른 언어들과 다른 특징을 보인다.[100][101]
에스키모-알류트어족에 대한 개요는 다음과 같다.
어족 | 어파 | 언어 | 사용자 수 (명) |
---|---|---|---|
에스키모-알류트어족 | 알류트어 | 서부-중앙 방언 | 60~80 |
동부 방언 | 400 | ||
에스키모어 | 유픽어 |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 | 10,000 |
알루티크어 (태평양 연안 유픽어) | 400 | ||
중앙 시베리아 유픽어 (유이트어) | 1,400 | ||
노우칸어 | 700 | ||
이누이트어 | 이누피아크어 (알래스카 북부) | 3,500 | |
이누비알루크툰어 (캐나다 서부) | 765 | ||
이누크티투트어 (캐나다 동부) | 30,000 | ||
칼랄리수트어 (그린란드어) | 47,000 | ||
시레니크 에스키모어 | (소멸) |
미국의 언어학자 레노어 그레노블은 언어 분파와 관련하여 "에스키모어" 대신 '이누이트-유픽'을 사용했다.[66]
에스키모-알류트어족 화자들이 눈을 나타내는 단어를 유난히 많이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언어학적 논쟁이 오랫동안 있어 왔다. 현대의 일반적인 합의는 여러 에스키모 언어에서 실제로 50개 이상의 눈을 나타내는 단어가 동시에 사용되고 있거나 사용된 적이 있다는 것이다.[80]
6. 생활과 문화
에스키모는 눈이나 얼음으로 지은 이글루에서 살고, 물고기나 해수를 잡아 생계를 유지하며, 카약이나 개썰매를 타고 다니는 모습으로 알려져 왔다. 이글루는 이동할 때 임시 거처로 사용되며, 정착 생활을 위한 집은 아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도시에 정착하는 에스키모인들이 늘면서, 이러한 전통적인 이동 생활은 점차 사라지고 있다.
에스키모는 손님을 대접하기 위해 자신의 아내를 제공하는 관습이 있었다.[113] 이 때 손님은 제공받은 아내를 거절할 수 없었는데, 이는 남성 간의 절교나 여성에 대한 모욕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114] 하룻밤의 관계를 넘어 연애 감정이 생겨 도주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 경우 남성들 간의 극단적인 적대 관계를 피하기 위해 위자료를 지불하고 의형제를 맺는 관례가 있었다.[115] 이러한 관습은 외부인들에게 기이하게 여겨져 소설의 소재로 다루어지기도 했다.[116][117] 현재는 대부분 기독교를 믿으며, 이러한 관습은 사라졌다.
6. 1. 전통 생활 방식
이누이트는 미국 알래스카의 북극해와 북부 베링 해 해안, 캐나다의 노스웨스트 준주, 누나부트, 퀘벡, 래브라도, 그리고 그린란드(덴마크와 관련)의 북극 해안에 거주한다. 비교적 최근까지 이 지역 전체에 걸쳐 놀라운 문화적 동질성이 존재했으며, 전통적으로 음식, 해양 포유류, 육상 동물을 식량, 난방, 조명, 의류, 도구에 의존했다. 그들의 식량원은 주로 물개, 고래, 고래 기름, 바다코끼리, 물고기였으며, 이들은 얼음 위에서 작살을 사용하여 사냥했다.[57] 의복은 낮은 온도에 적응하기 위해 늑대 가죽과 순록 가죽으로 만든 로브로 구성되었다.[82] 그들은 독특한 이누이트 문화를 유지한다.유픽족은 서부 알래스카 해안을 따라, 특히 유콘강-쿠스코윔강 삼각주와 쿠스코윔강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을 따라, 남부 알래스카 (알루티크) 및 러시아 극동의 축치반도 동부 해안과 서부 알래스카의 세인트로렌스섬에 거주하는 원주민 또는 토착 민족이다.[89] 유픽족의 경제는 전통적으로 특히 물개, 바다코끼리, 고래와 같은 해양 포유류의 수확에 의해 강력하게 지배되어 왔다.[90]
눈이나 얼음으로 지은 이글루 등에 거주하며, 물고기나 해수를 잡아 생계를 유지하며, 카약이나 개썰매로 이동 생활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에스키모의 생활로 여겨져 왔으며, 현재에도 정주하지 않고 이동 생활을 하는 사람도 있다. 이글루는 이동할 때 사용하는 것이며, 정주를 위한 주거는 아니다.
그러나 근년에는 정주하여 도시부에 사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으며, 에스키모의 이동 생활은 과거의 것이 되어가고 있다.
6. 2. 현대 생활 방식
이누이트는 미국 알래스카의 북극해와 북부 베링 해 해안, 캐나다의 노스웨스트 준주, 누나부트, 퀘벡, 래브라도, 그리고 그린란드 (덴마크와 관련)의 북극 해안에 거주한다. 비교적 최근까지 이 지역 전체에 걸쳐 놀라운 문화적 동질성이 존재했으며, 전통적으로 음식, 해양 포유류, 육상 동물을 식량, 난방, 조명, 의류, 도구에 의존했다. 그들의 식량원은 주로 물개, 고래, 고래 기름, 바다코끼리, 물고기였으며, 이들은 얼음 위에서 작살을 사용하여 사냥했다.[57] 의복은 낮은 온도에 적응하기 위해 늑대 가죽과 순록 가죽으로 만든 로브로 구성되었다.[82] 그들은 독특한 이누이트 문화를 유지한다.유픽족은 서부 알래스카 해안을 따라, 특히 유콘강-쿠스코윔강 삼각주와 쿠스코윔강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을 따라, 남부 알래스카 (알루티크) 및 러시아 극동의 축치반도 동부 해안과 서부 알래스카의 세인트로렌스섬에 거주하는 원주민 또는 토착 민족이다.[89] 유픽족의 경제는 전통적으로 특히 물개, 바다코끼리, 고래와 같은 해양 포유류의 수확에 의해 강력하게 지배되어 왔다.[90]
눈이나 얼음으로 지은 이글루 등에 거주하며, 물고기나 해수를 잡아 생계를 유지하며, 카약이나 개썰매로 이동 생활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에스키모의 생활로 여겨져 왔으며, 현재에도 정주하지 않고 이동 생활을 하는 사람도 있다. 이글루는 이동할 때 사용하는 것이며, 정주를 위한 주거는 아니다.
그러나 근년에는 정주하여 도시부에 사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으며, 에스키모의 이동 생활은 과거의 것이 되어가고 있다.
6. 3. 식생활
전통적인 에스키모의 식생활은 사냥으로 얻은 생고기가 중심이었다. 어업을 중심으로 하는 에스키모는 바다표범, 고래 등을, 육지에서 사냥을 하는 에스키모는 순록 등을 사냥감으로 삼았다. 생고기 외에는 툰드라 원야에 자생하는 월귤 열매 등을 먹기도 했다. 하지만 기후상 농업은 부적합하여 곡류를 먹는 일은 없었다. 구석기 시대 식단을 오래된 식문화로 하고 있다.[81]
미국의 에스키모는 현재 미국의 식문화가 유입되어 전통적인 식문화가 쇠퇴하고 있다. 이 결과, 전통적인 생고기나 가열을 거의 하지 않는 요리법에서 얻을 수 있었던 비타민류 등의 영양 성분이 부족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태양 광선이 약한 북극권에서는 북유럽에 사는 코카서스 인종처럼 피부의 멜라닌 색소가 옅은 인종이 태양 광선을 많이 피부 밑으로 받아들여 비타민 D 등을 체내에서 만들어냈지만, 몽골로이드인 에스키모는 색소가 짙어 태양 광선의 피부 밑 흡수량이 부족하다. 그렇기 때문에 사냥한 동물의 생고기나 내장을 먹을 필요가 있었다.[81] 현재는 의사나 영양사의 조언에 따라 부족한 비타민류를 영양 보충제로 얻고 있다.
그린란드의 에스키모는 바닷새의 발효물인 키비악을 먹는 습관이 있다. 유산균에 의한 발효로 미량의 비타민 C가 생성된다. 극지에서는 술을 포함한 발효 식품은 에스키모에게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설은 잘못된 것으로 밝혀졌다.[81]
북극곰이나 시베리안 허스키 등 극지에 사는 동물의 간에는 온난한 지역의 동물에 비해 매우 많은 비타민 A가 함유되어 있다. 일반적인 인간이 섭취하면 비타민 A 과다증을 일으켜 최악의 경우 사망할 수 있다. 한편, 극지에서의 식생활에 순응하고 있는 이누이트의 신체에는 고농도의 비타민 A를 대사하는 능력이 있다.[110]
최근에는 지구 온난화로 인해 얼음 위를 이동하면 얼음이 갈라질 위험이 있어, 전통적인 생활을 하는 사람들도 사냥감을 바다표범이나 흰고래 등에서 내륙의 카리부로 바꾸게 되었다. 이로 인해 현재의 에스키모 사회는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살게 되었다.[111]
6. 4. 사회 문제
2015년 학술지 ''북극''에 실린 논평에서 캐나다 고고학자 맥스 프라이슨은 동료 북극 고고학자들이 ICC를 따라 "고(古) 이누이트" 대신 "고(古) 에스키모"라는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63] 2016년, 리사 호지츠와 ''Arctic'' 편집자 패트리샤 웰스는 다음과 같이 적었다. "캐나다 상황에서 '에스키모'를 포함하는 용어를 계속 사용하는 것은 우리의 호스트이자 점점 더 연구 파트너가 되어가는 이누이트 및 이누비알루이트 공동체와 고고학자 간의 관계에 잠재적으로 해로울 수 있다."[64]호지츠와 웰스는 가능하면 더 구체적인 용어(예: 도셋과 그로스워터)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으며, 프라이슨과 마찬가지로 "신(新) 에스키모"를 대체하기 위해 "이누이트 전통"을 사용하는 것에 동의했지만, "고(古) 에스키모"의 대체는 여전히 열린 문제이며, "고(古) 이누이트", "북극 소형 도구 전통" 및 "선(先) 이누이트"뿐만 아니라 Tuniit|투니트iu, Sivullirmiut|시불리르미우트iu와 같은 이누크티투트 차용어들을 대안으로 논의했다.[64]
2020년, 케이틀린 브레이머-헤이즈와 동료들은 ''인류학 고고학 저널''에서 ICC 결의안을 인용하며 "신(新) 에스키모"와 "고(古) 에스키모"라는 용어를 대체할 "분명한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했지만, 특히 알래스카 상황에서 합의점을 찾는 것은 어렵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알래스카 원주민들은 스스로를 지칭하기 위해 '이누이트'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으며, 이 용어는 법적으로 알래스카의 이뉴피아와 유픽에게만 적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캐나다에서 사용되는 "고(古) 이누이트"와 "조상 이누이트"와 같은 용어는 받아들여질 수 없다는 것이다.[65]
미국 언어학자 레노어 그레노블 또한 ICC 결의안을 명시적으로 따르며 언어 분파와 관련하여 "에스키모" 대신 "이누이트-유픽"을 사용했다.[66][67]
원래 에스키모는 근대적이고 규모가 큰 양조 기술을 가지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에게는 음주에 탐닉하는 습관이 없었다. 그러나 백인이 술과 교환하여 고가의 모피를 싸게 얻는 목적으로 에스키모에게 양조한 독한 술의 맛을 알게 하자, 백인들이 들여온 술을 과음하여 문제를 일으키는 자나 알코올 의존증이 되는 자가 많이 나왔다. 그 대책으로 캐나다에서는 이누이트(에스키모)가 사는 몇몇 마을에서는 알코올류 구매에 포인트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알코올 구매권이 없어지면 아무리 현금이 있어도 가게는 손님에게 알코올류를 팔지 않는다. 이 제도의 도입으로 과도한 음주로 문제를 일으키는 자가 상당히 줄었다고 한다. 이 포인트는 맥주 1캔 1포인트, 와인 1병 5포인트, 위스키 1병 10포인트 등 알코올 도수에 맞춰 증가하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 품목 | 포인트 |
| -------- | ------ |
| 맥주 1캔 | 1 |
| 와인 1병 | 5 |
| 위스키 1병| 10 |
또한, 과거에는 식량 확보가 불안정하고 극도로 제한된 식량으로 극한의 생활을 영위했기 때문에 생산 노동에 종사할 수 없는 노인이나 병자를 유기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졌다. 에스키모는 혹독한 기후의 한랭지에 거주했으며, 과거에는 항상 식량 부족 상태에 있었다. 따라서 적은 식량을 생산 재생 인구에게만 배분하고, 노인을 버리는 습관이 있었다. 다만 이것은 강제되는 것이 아니라 노인은 어떤 연령이 되면 스스로의 의사로 가족을 떠나 죽음의 여정에 올랐다.[112] 효도를 최고의 도덕으로 여기는 동양적인 유교 문화에서 보면 최대한의 악행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습관도, 그 혹독한 생활 환경에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 현재는 인권상 및 도의상의 문제로 노인 유기의 습관은 금지되어 있으며, 행해지지 않는다.
이누이트는 자신들이 살아가는 생태계의 천연 자원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것을 피하기 위한 방안으로 스스로 인구 구성을 관리해 왔다. 그들의 사회에서는 인구 구성에서 장애인, 쌍둥이, 여성의 비율이 다른 사회에 비해 극단적으로 낮았다.[118] 이누이트는 태어나는 여아의 4할을 간(間)했다.[119]
6. 5. 종교
현재 에스키모인은 거의 모두 기독교 신자이다. 전통적으로 에스키모인은 샤머니즘을 믿었지만, 1920년대부터 1930년대에 걸쳐 개종이 이루어졌다. 개종 원인으로는 기독교 선교사들이 샤먼의 의술이 허황됨을 폭로하고 서양 의학으로 병자를 치료하여 사람들의 신뢰를 얻었다는 설과, 특별한 이유 없이 기독교가 단순한 패션처럼 받아들여졌다는 설이 유력하다. 다만, 현재도 샤머니즘을 믿는 사람들도 존재한다. 또한, 에스키모 기독교인들은 단결하지 못하고 종파에 따라 대립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국제 관계 및 환경 문제
1977년, 이누이트 순환 회의(ICC)는 알래스카 배로우에서 열린 회의에서 순환 북극 원주민 전체를 지칭하는 용어로 ''이누이트''를 공식 채택했다. 이들은 ''에스키모''라는 단어를 ''이누이트''로 대체하기로 투표했다.[59] ICC 헌장은 ''이누이트''를 "이누피아트, 유픽(알래스카), 이누이트, 이누비알루이트(캐나다), 칼라알리트(그린란드) 및 유픽(러시아)"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61] 그러나 이 결정은 모든 유픽족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59] 2010년, ICC는 과학자들에게 ''에스키모'' 또는 ''고(古) 에스키모'' 대신 ''이누이트'' 및 ''고(古) 이누이트''를 사용해 달라고 요청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62]
에스키모는 국제 포경 위원회(IWC)로부터 원주민 생존 포경 쿼터를 인정받고 있다. 시베리아 에스키모 거주 지역은 식량 사정이 좋지 않아 포경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선진국에서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포획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환경 보호 단체로부터 포경 자체에 대한 비판도 있다.
참조
[1]
서적
The American Heritage Guide to Contemporary Usage and Style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2005
[2]
서적
Language, Politics, and Social Interaction in an Inuit Community
https://books.google[...]
De Gruyter
2021-11-05
[3]
웹사이트
Words First An Evolving Terminology Relating to Aboriginal Peoples in Canada Communications Branch Indian and Northern Affairs Canada October 2002
http://www.publicati[...]
2020-06-08
[4]
웹사이트
Inuit
https://www.bac-lac.[...]
Library and Archives Canada
2013-10-15
[5]
웹사이트
The Little-Known History of How the Canadian Government Made Inuit Wear 'Eskimo Tags'
https://www.vice.com[...]
2015-12-16
[6]
뉴스
Obama signs measure to get rid of the word 'Eskimo' in federal laws
https://www.adn.com/[...]
2020-07-14
[7]
웹사이트
H.R.4238 – 114th Congress (2015–2016): To amend the Department of Energy Organization Act and the Local Public Works Capital Development and Investment Act of 1976 to modernize terms relating to minorities.
https://www.congress[...]
2020-07-14
[8]
간행물
Indian Entities Recognized by and Eligible To Receive Services From the United States Bureau of Indian Affairs
https://www.federalr[...]
2020-01-30
[9]
웹사이트
Aboriginal rights and freedoms not affected by Charter
https://laws-lois.ju[...]
Department of Justice (Canada)
2021-06-30
[10]
웹사이트
Rights of the Aboriginal Peoples of Canada
https://laws-lois.ju[...]
Department of Justice (Canada)
2021-06-30
[11]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www.bia.gov/[...]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Interior, Bureau of Indian Affairs
[12]
웹사이트
Race Relations In The USA and Diversity News
https://www.usaonrac[...]
[13]
웹사이트
Ancient DNA Sheds New Light on Arctic's Earliest People
https://www.national[...]
2014-08-28
[14]
웹사이트
Eskimos
https://www.factmons[...]
[15]
웹사이트
Indigenous peoples – 2021 Census promotional material
https://www.statcan.[...]
Statistics Canada
2024-07-20
[16]
웹사이트
Greenland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1-04-03
[17]
웹사이트
The American Indian and Alaska Native Population: 2010
https://www.census.g[...]
[18]
웹사이트
Всероссийск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2020 года
https://rosstat.gov.[...]
null
2023-07-17
[19]
Statistics Denmark
People born in Greenland and living in Denmark 1. January by time
https://www.statisti[...]
[20]
웹사이트
Inuit Circumpolar Council – United Voice of the Arctic
https://www.inuitcir[...]
[21]
서적
Language, Politics, and Social Interaction in an Inuit Community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3-06-10
[22]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Difficult Word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23]
서적
Colour-coded: A Legal History of Racism in Canada, 1900-195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9-01-01
[24]
서적
White Lies about the Inui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8-01-01
[25]
서적
Nunavut Generations: Change and Continuity in Canadian Inuit Communities
https://books.google[...]
Waveland Press
2021-11-05
[26]
서적
Language of the Inuit: Syntax, Semantics, and Society in the Arctic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Press
2010
[27]
웹사이트
Inuit or Eskimo: Which name to use?
https://uaf.edu/anlc[...]
Alaska Native Language Center, University of Alaska Fairbanks
2022-12-03
[28]
서적
Handbook of North American Indians: Volume 5 Arctic
Smithsonian Institution
[29]
서적
Handbook of North American Indians: Volume 5 Arctic
Smithsonian Institution
[30]
서적
American Indian Languages: The Historical Linguistics of Native America
Oxford University Press
[31]
서적
Las Lenguas De Las Americas - the Languages of the Americas
Logos Verlag Berlin
2022-05-10
[32]
간행물
L'étymologie de «Esquimau» revue et corrigée
[33]
웹사이트
Cree Mailing List Digest November 1997
http://www.nisto.com[...]
2012-06-13
[34]
간행물
L'etymologie de "esquimau" revue et corrigée
[35]
서적
Handbook of North American Indians
Smithsonian Institution
[36]
웹사이트
Setting the Record Straight About Native Languages: What Does "Eskimo" Mean In Cree?
http://www.native-la[...]
Native-languages.org
2012-06-13
[37]
웹사이트
Eskimo
http://www.bartleby.[...]
Bartleby
2008-01-13
[38]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Inuit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04-07-27
[39]
웹사이트
Ostgroenland-Hilfe Project
http://www.ostgroenl[...]
Ostgroenland-hilfe.de
2012-06-13
[40]
사전
Eskimo
https://www.lexico.c[...]
2020-12-19
[41]
뉴스
Why You Probably Shouldn't Say 'Eskimo'
https://www.npr.org/[...]
2016-04-24
[42]
뉴스
Expert says 'meat-eater' name Eskimo an offensive term placed on Inuit
https://globalnews.c[...]
2015-11-27
[43]
서적
The Project Gutenberg eBook of A Journey from Prince of Wales's Fort in Hudson's Bay to the Northern Ocean, by Samuel Hearne.
http://www.gutenberg[...]
[44]
웹사이트
Eskimo: Websters Dictionary
https://www.merriam-[...]
2021-04-01
[45]
문서
Usage note
https://ahdictionary[...]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2000
[46]
서적
Pocket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7]
서적
English – One Tongue, Many Voices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48]
웹사이트
Obama signs measure to get rid of the word 'Eskimo' in federal laws
https://www.adn.com/[...]
2016-05-24
[49]
웹사이트
Inuktitut, Greenlandic
http://www.ethnologu[...]
Ethnologue
2012-08-06
[50]
뉴스
Eskimo Pie owner to change ice cream's name, acknowledging derogatory term
https://www.cbc.ca/n[...]
CBC News
2020-09-25
[51]
뉴스
Edmonton CFL team heeds sponsors' calls, accelerates review of potential name change
https://www.cbc.ca/s[...]
CBC News
2020-09-25
[52]
서적
Inuinnaqtun-English Dictionary
Kitikmeot Heritage Society
[53]
웹사이트
Canadian Charter of Rights and Freedoms
http://laws-lois.jus[...]
2012-08-30
[54]
웹사이트
Rights of the Aboriginal Peoples of Canada
http://laws-lois.jus[...]
2012-08-30
[55]
웹사이트
Native American populations descend from three key migrations
https://www.ucl.ac.u[...]
University College London
2018-12-12
[5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Inuit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3
[57]
백과사전
Inuit | Definition, History, Culture,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4-28
[58]
서적
Language, memory and landscape: Experiences from the boreal forest to the tundra
University of Calgary Press
[59]
서적
Films on Ice: Cinemas of the Arctic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21-11-05
[60]
웹사이트
Eskimo, Inuit, and Inupiaq: Do these terms mean the same thing?
https://www.alaskan-[...]
[61]
웹사이트
ICC Charter
https://www.inuitcir[...]
Inuit Circumpolar Council
2021-04-03
[62]
Resolution 2010-01
On the use of the term Inuit in scientific and other circles
https://www.inuitcir[...]
2010
[63]
학술지
On the Naming of Arctic Archaeological Traditions: The Case for Paleo-Inuit
2015
[64]
학술지
Priscilla Renouf Remembered: An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with a Note on Renaming the Palaeoeskimo Tradition
2016
[65]
학술지
Studying pre-colonial gendered use of space in the Arctic: Spatial analysis of ceramics in Northwestern Alaska
2020
[66]
서적
The Journeys of Besieged Languages
Cambridge Scholars
2016
[67]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Language Revitalization
Routledge
2018
[68]
학술지
Reconstructing Native American Population History
[69]
학술지
Paleo-Eskimo genetic legacy across North America
2017-10-13
[70]
학술지
The roles and impacts of human hunter-gatherers in North Pacific marine food webs
[71]
논문
The genetic prehistory of the New World Arctic
2014-08-29
[72]
웹사이트
"- Saqqaq culture chronology"
https://natmus.dk/or[...]
National Museum of Denmark
2011-04-19
[73]
서적
"Archaeology in America: An Encyclopedia [4 volumes]: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21-11-07
[74]
서적
Genetic Linguistics: Essays on Theory and Metho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1-11-05
[75]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Languag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1-11-07
[76]
서적
Comparative Eskimo Dictionary with Aleut Cognates
https://www.alaska.e[...]
Alaska Native Language Center, University of Alaska Fairbanks
[77]
웹사이트
Comparative Yupik and Inuit
https://www.uaf.edu/[...]
Alaska Native Language Center, University of Alaska Fairbanks
2021-04-03
[78]
웹사이트
thumb
http://www.livingdic[...]
2007-11-25
[79]
논문
History of the Naukan Yupik Eskimo dictionary with implications for a future Siberian Yupik dictionary
2006-11-13
[80]
웹사이트
Are There Really 50 Eskimo Words for Snow?
https://www.treehugg[...]
[81]
논문
Central Eskimo Systems of Food Sharing
[82]
서적
The Eskimo about Bering Strait
U.S. G.P.O.
1899
[83]
웹사이트
Inuit Nunangat
https://indigenouspe[...]
Canadian Geographic
2021-04-03
[84]
웹사이트
Map of Inuit Nunangat
https://www.itk.ca/i[...]
Inuit Tapiriit Kanatami
2021-04-03
[85]
웹사이트
Inuvialuit Final Agreement
https://irc.inuvialu[...]
Inuvialuit Regional Corporation
2021-04-02
[86]
간행물
IC_Lateral2
https://csalateral.o[...]
[87]
웹사이트
Inupiatun
https://www.alaskana[...]
Alaska Humanities Forum
2021-05-08
[88]
웹사이트
Inupiaq (Inupiat)—Alaska Native Cultural Profile.
http://www.nnlm.nlm.[...]
[89]
웹사이트
Facts for Kids: Yup'ik People (Yupik)
http://www.bigorrin.[...]
2020-06-20
[90]
문서
Yupik
[91]
웹사이트
Language Loss & Revitalization
https://alutiiqmuseu[...]
2018-06-12
[92]
웹사이트
Central Alaskan Yup'ik
https://uaf.edu/anlc[...]
Alaska Native Language Center, University of Alaska Fairbanks.
2021-04-03
[93]
웹사이트
Siberian Yupik
https://uaf.edu/anlc[...]
Alaska Native Language Center, University of Alaska Fairbanks
2021-04-03
[94]
문서
Vakhtin 1998
[95]
문서
Menovshchikov 1964
[96]
문서
Menovshchikov 1990
[97]
문서
Menovshchikov 1964
[98]
문서
Menovshchikov 1964
[99]
문서
Menovshchikov 1964
[100]
문서
Menovshchikov 1964
[101]
문서
Menovshchikov 1964
[102]
문서
Menovshchikov 1962
[103]
문서
Menovshchikov 1964
[104]
문서
Vakhtin 1998
[105]
웹사이트
Linguist List's description about Nikolai Vakhtin
[106]
웹사이트
Yazyki eskimosov
http://www.icc.hotbo[...]
Inuit Circumpolar Council
[107]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Eskimo–Aleut
https://www.ethnolog[...]
Ethnologue.com
2012-06-13
[108]
간행물
Kaplan 1990
http://unesdoc.unesc[...]
[109]
서적
Grave injustice: the American Indian Repatriation Movement and NAGPRA
2002
[110]
서적
モツの歴史
原書房
2015
[111]
뉴스
南下するホッキョクグマ急増、温暖化で北極圏に異変 カナダ
http://www.afpbb.com[...]
2014-12-22
[112]
웹사이트
Eskimos - Old Age
http://www.theinitia[...]
Cloud 9 Screen Entertainment Group.
2018-12-29
[113]
서적
アラスカ・エスキモー
社会思想社
1972
[114]
웹사이트
hole brother
https://www.urbandic[...]
[115]
논문
人間社会と精神の起源
2003
[116]
서적
世界の頂点
[117]
서적
アラスカ物語
[118]
서적
A Green History of the World
1991
[119]
서적
Pointing掲書
[120]
논문
High-Resolution SNPs and Microsatellite Haplotypes Point to a Single, Recent Entry of Native American Y Chromosomes into the Americas
2004
[121]
웹사이트
www.khb-tv.co.jp/alaska/esukimo.html
http://www.khb-tv.co[...]
KHB東日本放送
2018-12-29
[122]
논문
民族呼称とイメージ―「イヌイト」の創成とイメージ操作
1998-09
[123]
서적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Fourth E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2000
[124]
웹사이트
"Eskimo" vs. "Inuit"
[125]
서적
Life Among the Qallunaat
[126]
논문
L'étymologie de «Esquimau» revue et corrigée Études
197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