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존 오언 (신학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오언(1616-1683)은 웨일스 혈통의 잉글랜드 청교도 신학자이다.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수학하고, 잉글랜드 내전 시기에는 의회파를 지지하며 신학 저술과 목회 활동을 펼쳤다. 그는 옥스퍼드 대학교 부총장, 크롬웰 경의 국목 등을 역임했으며, 아르미니우스주의, 소시니안주의, 로마 가톨릭주의에 반대하는 신학을 전개했다. 또한, 성령론, 칭의론, 관계적 신학 등 다양한 신학 분야에서 깊이 있는 저술을 남겼으며, 청교도 신학의 정점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저술은 오늘날까지도 널리 읽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옥스퍼드셔주 출신 - 프랜시스 오코너
    프랜시스 오코너는 잉글랜드 출신 오스트레일리아 배우이자 영화 감독으로, 《러브 앤 아더 캐터스트로피스》로 데뷔 후 다양한 작품에서 연기력을 인정받았으며, 《에밀리》를 통해 감독으로 데뷔하여 골든 글로브상 후보에 오르는 등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 옥스퍼드셔주 출신 - 앤서니 도드 맨틀
    앤서니 도드 맨틀은 《슬럼독 밀리어네어》로 아카데미 촬영상과 영국 아카데미 촬영상을 수상하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영국의 촬영 감독으로, 도그마 95 영화와 《왈란데르》 촬영을 통해 이름을 알렸고 디지털 영화 촬영의 선구자로서 영화계에 큰 영향을 미치며 사회 문제에 대한 메시지를 담은 작품에도 참여하고 있다.
  • 잉글랜드의 신학자 - 제러미 테일러
    제러미 테일러는 17세기 영국의 성공회 성직자이자 작가로, 잉글랜드 내전 시기 왕당파를 지지하고 저술 활동을 하며 경건 서적과 윤리 지침서를 저술했으며, 왕정복고 후 아일랜드의 주교로 임명되었다.
  • 잉글랜드의 신학자 - 리처드 스윈번
    리처드 스윈번은 영국의 철학자이자 기독교 변증가이며,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기독교 종교 철학 교수로 재직하며 신의 존재, 개인 정체성, 인식적 정당화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저술하고 데카르트 이원론과 자유 의지를 옹호한다.
  • 1616년 출생 - 나베시마 나오즈미
    나베시마 나오즈미는 사가번주 나베시마 가츠시게의 아들이자 렌케번의 초대 번주로, 시마바라의 난에 참전한 후 은거하여 가독을 양도했으며, 그의 가계는 유력 가문과의 혼인을 통해 나베시마 가문의 정치적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 1616년 출생 - 동무제
    동무제는 남명의 제4대 황제로 소무제 주율새의 뒤를 이었으나, 짧은 재위 기간 동안 남명은 권력 투쟁과 청나라의 압박으로 혼란을 겪었으며 비정통 황제로 분류된다.
존 오언 (신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존 오언
시대17세기
직업신학자
목사
대학교 행정가
국적잉글랜드
출생일1616년
출생지스타드햄프턴, 옥스퍼드셔, 잉글랜드
사망일1683년 8월
사망지일링, 미들섹스, 잉글랜드
배우자메리 루크
자녀알려진 바 없음
신학적 관점
종교적 전통 및 운동비국교도
청교도
개혁 신학
주요 관심사알려진 바 없음
주요 사상삼위일체 각 위격에 대한 개별적이고 구별되는 예배 (저서, "하나님과의 교제"에서 발견)
그리스도의 속죄의 범위와 목적에 대한 그의 논쟁의 여지가 없는 연구 (저서, "그리스도의 죽음 안에서의 죽음의 죽음")
주요 저서하나님과의 교제
죄 죽이기
복음의 신성한 능력
그리스도의 죽음 안에서의 죽음의 죽음

2. 생애

존 오언은 웨일스 혈통으로 옥스퍼드셔 스태드햄턴에서 태어나 옥스퍼드 퀸스 칼리지에서 교육받았다(B.A. 1632, M.A. 1635). 청교도 집안에서 성장한 그는 1637년 윌리엄 로드의 새로운 규정에 의해 옥스퍼드에서 쫓겨났고, 로버트 도머 경과 러브레이스 경 가족의 채플린이자 가정교사가 되었다. 잉글랜드 내전이 발발하자 의회를 지지하여 직위와 왕당파 삼촌의 재산을 상속받을 기회를 잃었다. 차터하우스 야드에서 종교 문제로 고통받던 중, 에드먼드 캘러미 더 엘더의 설교를 들으려다 우연히 세인트 메리 올더먼버리 교회에서 낯선 사람의 설교를 듣고 의심을 해소했다.

오언의 첫 출판물인 ''아르미니우스주의의 전시''(1642)는 칼뱅주의를 옹호하는 내용으로, 종교 위원회에 헌정되어 에식스 포드햄 교구를 얻게 해주었다. 1646년까지 포드햄에서 교구 사역에 몰두하며 ''목사의 의무''와 ''구별되는 사람들''만을 저술했다. 1646년 기존 교구 목사가 사망하면서 후임자 임명권이 후원자에게 넘어갔고, 후원자는 다른 사람에게 임명권을 넘겼다.

1644년 오언은 메리 루크(1675년 사망)와 결혼하여 11명의 자녀를 두었지만, 10명이 유아기에 사망했다. 한 딸은 성인이 되어 결혼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결핵으로 사망했다. 첫 부인 사망 18개월 후, 스태드햄턴의 지주 가문 출신인 토머스 도일리의 부유한 미망인 도로시 도일리와 결혼했다.

존 밀턴처럼, 오언은 "새로운 장로"와 "오래된 사제" 사이에 선택의 여지가 거의 없다고 생각했다.[4] 플랑드르 상인들이 유입된 에식스 코그셜에서 목사가 된 그는 회중주의 원칙을 채택했지만, 신학적 입장은 변하지 않았다. 1647년 아르미니우스주의에 반대하는 ''그리스도의 죽음 안에서의 죽음''을 출판하여 리처드 벡스터와 오랜 논쟁을 벌였다.[4] 페어팩스가 컬체스터를 포위하는 동안 그와 친분을 맺었고, 종교적 박해에 반대하여 군중에게 연설했다. 찰스 1세 처형 다음 날 의회에서 설교했으나, 사건을 직접 언급하지 않고 임무를 완수했다.[4] 1649년 4월 29일 설교는 고위층의 종교적 진실성을 호소하여 의회의 감사와 올리버 크롬웰의 우정을 얻었다. 크롬웰은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 행정 정비를 위해 오언을 아일랜드로 데려갔고, 오언은 아일랜드의 종교적 필요를 위해 하원에 간청했다. 1650년 크롬웰의 스코틀랜드 원정에 동행했다.[4]

1651년 3월, 크롬웰은 옥스퍼드 대학교 총장으로서 옥스퍼드 크라이스트 처치 대성당 교구장으로 임명했고,[4][5] 1652년 9월 옥스퍼드 대학교 부총장으로 임명했다;[6] 두 직책 모두 장로교 신자 에드워드 레이놀즈의 뒤를 이었다. 8년간 옥스퍼드에서 엄격한 규율을 지켰지만, 존 로크가 증언했듯이 교육의 아리스토텔레스 전통은 변하지 않았다. 필립 나이와 윌리엄 릴리를 폭로하고, 퀘이커 여성들을 채찍질하도록 선고했지만, 통치는 관용적이지 않았다.[4] 성공회 예배가 거행되었고, 크라이스트 처치에 성공회 사제가 남아 있었다. 자유로운 탐구 정신을 장려하지 않았지만, 옥스퍼드의 청교도주의는 교육과 문화를 "칼빈주의 신학의 납 틀"에 억지로 집어넣으려는 시도는 아니었다. 오언은 구약보다 신약에 더 관심이 많았다.

1660년 3월, 장로교 득세로 크라이스트 처치 교구장직에서 물러나고 에드워드 레이놀즈가 복귀했다. 오언은 스타드햄으로 은퇴하여 저술 활동을 했다. 뛰어난 지적 능력으로 존경받았고, 다른 비국교도들에게 허용되지 않던 면책 특권을 누렸다. 1683년, 라이 하우스 음모 연루 혐의를 받았으나, 신장 결석과 천식으로 고통받다가 이얼링에서 사망하여 번힐 필즈에 묻혔다.[1]

2. 1. 초기 생애 (1616-1646)

존 오언은 웨일스 혈통으로 옥스퍼드셔 스태드햄턴에서 태어나 옥스퍼드 퀸스 칼리지에서 교육받았다. (B.A. 1632, M.A. 1635). 당시 이 칼리지는 형이상학으로 유명했다. 청교도 집안에서 성장한 오언은 1637년 윌리엄 로드의 새로운 규정에 의해 옥스퍼드에서 쫓겨났고, 로버트 도머 경의 가족과 러브레이스 경 가족의 채플린이자 가정교사가 되었다. 잉글랜드 내전이 발발하자 그는 의회를 지지했고, 그 결과 직위와 그의 왕당파 삼촌의 재산을 물려받을 기회를 모두 잃었다. 그는 한동안 종교적 문제로 고통받으며 차터하우스 야드에서 살았다. 그의 의심은 에드먼드 캘러미 더 엘더의 설교를 들으려 갔다가 우연히 듣게 된 세인트 메리 올더먼버리 교회의 낯선 사람의 설교를 통해 사라졌다. 오언의 첫 번째 출판물인 ''아르미니우스주의의 전시''(1642)는 칼뱅주의를 옹호하는 열정적인 내용이었다. 이 책은 종교 위원회에 헌정되었으며, 그에게 에식스 포드햄 교구를 얻게 해주었는데, 그곳에서는 "불명예스러운 목사"가 추방된 상태였다. 오언은 1646년까지 포드햄에서 교구 사역에 몰두했다. 1646년에는 기존 교구 목사가 사망하면서 후임자 임명권이 후원자에게 넘어갔고, 그 후원자는 다른 사람에게 임명권을 넘겼다.

1644년 오언은 메리 루크(1675년 사망)와 결혼했다. 이 부부는 11명의 자녀를 두었지만, 그 중 10명이 유아기에 사망했다. 한 딸은 성인이 되어 결혼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결핵으로 사망했다. 첫 번째 부인의 사망 18개월 후 그는 스태드햄턴의 지주 가문 출신인 토머스 도일리의 부유한 미망인 도로시 도일리와 결혼했다.

2. 2. 코그셜 시기 (1646-1651)

존 밀턴처럼, 오언은 "새로운 장로"와 "오래된 사제" 사이에 선택의 여지가 거의 없다고 생각했다.[4] 그는 많은 플랑드르 상인들이 유입된 에식스의 코그셜에서 목사가 되었다. 그의 회중주의 원칙 채택은 그의 신학적 입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1647년에 그는 아르미니우스주의에 반대하는 ''그리스도의 죽음 안에서의 죽음''을 출판하여 리처드 벡스터와 오랜 논쟁을 벌이게 되었다.[4] 그는 페어팩스가 컬체스터를 포위하는 동안 그와 친분을 맺었고, 그곳에서 종교적 박해에 반대하여 군중에게 연설했다.[4] 그는 찰스 1세 국왕 처형 다음 날 의회에서 설교하도록 선택되었으며, 그 사건을 직접 언급하지 않고도 자신의 임무를 완수하는 데 성공했다.[4]

1649년 4월 29일에 행해진 또 다른 설교는 고위층의 종교적 진실성을 호소하는 내용이었는데, 이는 의회의 감사뿐만 아니라 올리버 크롬웰과의 우정을 얻는 데 성공했다. 크롬웰은 오언을 자신의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의 행정을 정비하기 위해 아일랜드로 데려갔다. 그는 몇 년 전 웨일스의 종교적 필요를 호소했던 것처럼, 아일랜드의 종교적 필요를 위해 하원에 간청했다. 1650년에 그는 크롬웰의 스코틀랜드 원정에 동행했다.[4]

2. 3. 옥스퍼드 시기 (1651-1660)

존 오언은 학문과 저술 활동 외에도 국정에 활발히 참여했다. 1651년 10월 24일, 우스터 전투 이후 국회에서 감사 설교를 했다. 1652년에는 아일랜드개신교 상황을 검토하는 위원회에 참여했고, 1653년 10월에는 올리버 크롬웰이 교회 연합에 대한 자문을 구하기 위해 소집한 목사 중 한 명이었다. 1653년 12월,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654년 제1차 호국경 의회에서 옥스퍼드 대학교를 대표하는 국회의원으로 잠시 활동했으며, 리처드 백스터와 함께 정부 칙령에 명시된 관용에 필요한 "기본"을 정하는 위원회에 참여했다. 같은 해, 스코틀랜드 교회 문제 위원회 의장을 맡았다. 또한 심사관 중 한 명으로 활동하며 온건하고 친절한 태도를 보였다. 1655년 윌트셔에서 왕당파의 봉기가 일어나자 부총장으로서 신속하고 과감하게 대처했다.

그러나 오언은 올리버 크롬웰을 맹목적으로 지지하지는 않았다. 데스보로와 프라이드의 요청에 따라 크롬웰의 왕위 계승에 반대하는 청원서를 작성했다. 리처드 크롬웰이 총장직을 계승하자, 오언은 부총장직을 잃었다. 1658년, 사보이 선언 (회중교회 정치의 교리적 기준으로서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에 기초) 작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2. 4. 은퇴와 비국교도 시기 (1660-1683)

존 오언은 1660년 3월, 장로교가 득세하면서 크라이스트 처치 교구장직에서 물러나고 에드워드 레이놀즈가 그 자리에 복귀했다. 오언은 스타드햄으로 은퇴하여 신학 및 논쟁적인 저술 활동을 했다. 특히, ''Theologoumena Pantodapa''라는 방대한 저서를 통해 신학의 발전과 진전을 다루었다. 그는 뛰어난 지적 능력으로 많은 존경을 받았으며, 다른 비국교도들에게는 허용되지 않았던 면책 특권을 누렸다.

1661년, 존 빈센트 케인이 쓴 ''Fiat Lux''가 출판되었는데, 이 책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단일성과 아름다움을 개신교 종파의 혼란 및 다원성과 대조시켰다. 클래런던의 요청으로 오언은 1662년에 ''Animadversions''를 통해 이에 반박했고, 큰 성공을 거두었다. 국교에 동의하면 높은 지위를 제안받았으나, 잉글랜드 국교회와 교리적으로 동의하지 않는 모든 사람들에게 자유를 요구하여 협상은 결렬되었다.

1663년,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의 회중교회로부터 목사 초청을 받았으나 거절했다. 비밀 집회법 1664와 5마일 법으로 인해 런던으로 이주했고, 1666년 런던 대화재 이후에는 다른 비국교도 목사들과 함께 공공 예배를 위한 방을 마련하고, 주로 옛 코먼웰스 장교들로 구성된 회중을 모았다.[1] 이 회중은 존 데스보로, 제임스 베리 (소장), 찰스 플릿우드, 브리짓 벤디시, 존 하르토프 경과 그의 아내 엘리자베스, 메리 아브니, 존 하버샴 남작 등 구성원의 지위와 가치로 구별되었다.[1]

1667년, ''교리 문답''을 출판하여 리처드 백스터와 연합을 논의했으나 결렬되었다. 1668년에는 히브리서 주석의 첫 부분, ''시편 130편에 대한 실용적인 해설'', ''내주하는 죄''에 관한 책을 출판했다.[1]

1669년, 뉴잉글랜드 회중교회에 항의 서한을 보냈고, 새뮤얼 파커와 논쟁을 벌였다. 1670년, 비밀 집회법이 부활되자 상원에 항의하는 논문을 제출했다. 같은 해 또는 다음 해에 하버드 대학교와 네덜란드 대학교로부터 총장 초청을 받았으나 거절했다.[1]

1672년, 잉글랜드의 찰스 2세가 관용 선언을 발표하자 감사 연설문을 작성했다. 독립교회와 장로교가 공동으로 개최한 주간 강연의 첫 번째 설교자 중 한 명이었다. 1674년, 잉글랜드의 찰스 2세와 잉글랜드의 제임스 2세로부터 이단자들에 대한 호의를 확신받았고, 찰스 2세로부터 1000guineas를 받아 가혹한 법률에 시달리는 사람들을 구제했으며, 존 번연을 석방할 수 있었다. 같은 해, 윌리엄 셜록과 논쟁을 벌였다.[1]

1676년, 『배교에 관하여』, 1677년-1678년, 『성령에 관하여』, 1677년, 『칭의 교리』를 저술했다. 1680년, 에드워드 스틸링플리트와 분열 혐의를 두고 논쟁했다. 리처드 백스터와 하우도 이 논쟁에 참여했다.[1]

오언은 1683년, 라이 하우스 음모에 연루되었다는 혐의를 받았으나, 신장 결석과 천식으로 고통받다가 이얼링에서 사망하여 번힐 필즈에 묻혔다.[1]

3. 신학

존 오언의 신학은 크게 세 가지 특징을 갖는다. 첫째, 아르미니우스주의, 소시니안주의, 로마가톨릭주의에 대항하는 변증학적 성격을 띠었다. 둘째, 성령의 사역을 실제 삶에 적용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셋째, 어렵고 까다로운 문제에 대한 대담한 접근과 해결을 시도하는 논증 방식을 사용했다.[4]

그는 장로교에서 독립파 또는 회중주의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존 밀턴처럼 "새로운 장로"와 "오래된 사제" 사이에 선택의 여지가 거의 없다고 생각했다.[4] 1647년에는 아르미니우스주의에 반대하는 ''그리스도의 죽음 안에서의 죽음''을 저술하여 리처드 벡스터와 오랜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4]

올리버 크롬웰과의 우정으로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의 행정 정비를 위해 아일랜드로 파견되었고, 아일랜드의 종교적 필요를 위해 하원에 간청했다. 1651년 3월, 옥스퍼드 대학교 총장이었던 크롬웰은 오언에게 옥스퍼드 크라이스트 처치 대성당의 교구장직을 주었으며,[4][5] 1652년 9월에는 옥스퍼드 대학교의 부총장으로 임명되었다.[6]

옥스퍼드 재직 시절, 오언은 ''Justitia Divina''(1653, 신적 정의), ''Communion with God''(1657, 하나님과의 교제), ''Doctrine of the Saints' Perseverance''(1654, 성도의 견인 교리), ''Vindiciae Evangelicae''(1655, 복음주의 변증), ''On the Mortification of Sin in Believers''(1656, 신자 안에 있는 죄 죽이기), ''Schism''(1657, 분열), ''Of Temptation''(1658, 유혹에 관하여) 등 다양한 저술을 남겼다.[4]

3. 1. 신학 일반

존 오언의 신학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첫째, 변증학적인 성격을 지닌다. 아르미니우스주의, 소시니안주의, 로마가톨릭주의에 대항하여 교리적으로 집대성하였다.[4]

둘째, 실제 삶에 적용할 수 있는 성령의 사역에 대한 심도 있는 글을 남겼다.

셋째, 어렵고 까다로운 문제에 대담하게 접근하여 해결하려는 논증 방식을 취했다.[4]

존 오언의 정당화 신학은 네덜란드 목사 알렉산더 컴리가 네덜란드 신율주의자들을 반박하는 데 사용되었다. 오언과 컴리는 하나님께서 죄인에게 믿음을 주시기 전에 그리스도의 공로를 보신다는 점을 강조했다. 죄인이 구원을 위해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의 선물을 받는 것은 바로 그리스도의 공로 때문이다. 컴리에게 오언은 자신의 믿음에 의한 정당화 신학에 잘 사용할 수 있는 신학적 권위자였다.[4]

3. 2. 성령론

오언은 성령론 중 중생에 관한 교리에서 중생의 준비는 말씀을 듣는 자세에서 비롯됨을 강조하였다. 성령의 사역은 말씀을 듣는 자가 중생의 사역인 회심을 체험해야 하는데, 이 과정은 반드시 은혜의 수단인 설교와 기도를 통해야만 한다. 이러한 입장은 청교도의 설교 중심의 예배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17]

오언의 성령론은 약 70년 후 미국의 청교도 신학자 조나단 에드워즈의 신앙감정론이 나오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17]

3. 3. 칭의론

존 오언은 바울의 칭의 선언을 강조하였다. 언약신학(페더럴 신학)에 따르면, 아담의 죄가 모든 인류에게 전가되어 죄책과 그 결과인 죽음에 이르게 된다. 반면, 그리스도의 의는 선택된 자에게 전가된다.[18]

오언의 칭의론은 알렉산더 컴리를 비롯한 네덜란드 신학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컴리는 오언과 마찬가지로 하나님께서 죄인에게 믿음을 주시기 전에 그리스도의 공로를 보신다고 강조하였다. 죄인이 구원을 위해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은 그리스도의 공로 덕분에 주어지는 선물이라는 것이다.

3. 4. 관계적 신학

칼 트루먼은 존 오언의 신학을 관계적이라고 표현하였다. 즉, 하나님에 대한 지식은 하나님께서 자신을 인간에게 드러내신 것으로 보았다는 것이다.[19]

3. 5. 내주하는 죄 (Indwelling Sin)

존 오언은 “내주하는 죄”(Indwelling Sin)에 대한 에세이를 다음과 같이 시작했다.

우리가 다루자 하는 것은 [신자 안에] 내주(內住)하는 죄의 잔재, 곧 사람들이 하나님께로 회심한 후 남은 것, 그리고 그 능력과 효능 및 효과이다. 이것은 로마서 7장에서 명시되고 보여진 사도 바울의 큰 뜻이기도 하다.|우리가 다루자 하는 것은 [신자 안에] 내주(內住)하는 죄의 잔재, 곧 사람들이 하나님께로 회심한 후 남은 것, 그리고 그 능력과 효능 및 효과이다. 이것은 로마서 7장에서 명시되고 보여진 사도 바울의 큰 뜻이기도 하다.영어[20][21]

4. 사보이 신앙고백

존 오언은 회중 교회 정치 제도를 지지했으며, 영국 의회에서 결의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변형시킨 사보이 신앙고백 작성에 참여했다. 1658년에 열린 독립교회 회의에서 오언은 이 신앙고백 작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4]

5. 영성과 평가

많은 이들이 존 오언을 '최후의 청교도 신학자'이자 종교개혁 이후 가장 심오한 신학 저서를 많이 낸 저술가로 평가한다. 그는 신학자, 목회자, 설교자, 옥스퍼드 대학교 부총장 등으로 알려져 있다. 찰스 해돈 스펄전은 그를 '청교도 중의 황태자'라고 불렀고, 제임스 패커장 칼뱅과 가장 비슷한 인물로 평가했다.[14]

그의 만년 주요 저서로는 『배교에 관하여』(1676), 『성령에 관하여』(1677–78), 『칭의 교리』(1677)가 있다. 1680년 에드워드 스틸링플리트가 "분열의 해악"에 대한 설교를 하자, 오언은 『간략한 옹호』에서 분열 혐의로부터 비국교도를 변호했다. 리처드 백스터와 하우 또한 스틸링플리트에게 응답했고, 스틸링플리트는 『분열의 불합리성』으로 답했다. 오언은 다시 이에 답했고, 이후 이 논쟁은 다른 이들에게 맡겼다. 그는 죽을 때까지 저술에 몰두했으며, 신장 결석과 천식으로 인한 고통, 라이 하우스 음모 연루 혐의로 방해를 받았다. 그는 1683년 번힐 필즈에 묻혔다.

5. 1. 청교도 신학자로서의 평가

청교도 시대의 신학과 신앙을 연구하는 많은 사람들은 존 오언을 '최후의 청교도 신학자'이자 종교개혁 이후 가장 심오한 신학 저서를 방대하게 내놓은 저술가로 평가한다. 그는 신학자일 뿐만 아니라 신실한 목회자, 은사를 받은 대 설교자, 옥스퍼드 그리스도교회의 감독, 옥스퍼드대학교의 부총장, 크롬웰 경의 국목, 한 세대에 걸쳐 가장 많은 신학적 저작을 낸 저자, 어디서나 그리스도의 향기를 풍긴 인격자로 알려져 있다. 영국의 위대한 설교자 찰스 해돈 스펄전은 존 오언을 '청교도 중의 황태자'(the prince of divines)라고 높이 평가하였다. 제임스 패커는 존 오언을 청교도 중 가장 장 칼뱅과 비슷한 인물로 평가하였다.[14] 아브라함 카이퍼는 오언의 성령론과 비교하거나 능가할 책은 없다고 말하였다.

5. 2. 영적 유산

존 오언은 청교도 시대의 신학과 신앙을 연구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최후의 청교도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 이후 가장 심오한 신학 저서를 방대하게 내놓은 저술가로 평가받는다.[14] 그는 신학자일 뿐만 아니라 목회자, 설교자, 옥스퍼드 대학교 부총장, 올리버 크롬웰의 국목(國牧)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어디에서나 그리스도의 향기를 풍기는 인격자로 존경받았다.[14]

찰스 해돈 스펄전은 존 오언을 '청교도 중의 황태자'라고 높이 평가했으며,[14] 제임스 패커청교도 중에서 장 칼뱅과 가장 비슷한 인물로 평가했다.[14] 아브라함 카이퍼는 오언의 성령론과 비교하거나 능가할 책은 없다고 말했다.

존 오언의 신학 사상과 실천은 한국 개신교, 특히 개혁주의 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6. 저작


  • The Works of John Owen영어 (2000). CD-ROM에서 Ages Software에서 출판. 『성경의 히브리어 및 헬라어 본문의 완전성과 순수성에 관하여; 9권에 수록된 "Biblia Polyglotta"의 서문과 부록에 대한 고찰, 존 오언의 작품집』, 편집: 굴드, 윌리엄 H, & 퀵, 찰스 W., 필라델피아, PA: 레이튼 출판, (1865)
  • Banner of Truth Trust에서 16권으로 묶인 전집.
  • Banner of Truth Trust에서 7권으로 묶인 히브리서 주석.
  • 『하나님과의 교제』, Christian Heritage.
  • 『죄의 극복』, Christian Heritage Publishers.
  • 『성경 신학: 아담부터 그리스도까지의 신학 역사 또는 신학적 진리의 본질, 기원, 발전 및 연구, 6권』, Soli Deo Gloria Ministries.
  • 『죄와 유혹: 개인의 경건에 대한 도전』. 제임스 M. 휴스턴이 오언의 두 작품을 현대 독자를 위해 요약.
  • 『그리스도의 영광: 그분의 직분과 그분의 은혜』.
  • 『유혹에 대한 존 오언 - 유혹의 본질과 힘, 유혹에 빠지는 위험과 위험을 예방하는 방법』, Diggory Press.
  • 『그리스도의 죽음 안에서 죽음의 죽음』, Diggory Press.
  • 『복음의 신적 능력』, Diggory Press.
  • 『신적 정의에 대한 논문』, Diggory Press.
  • 『하나님의 택함 받은 자의 믿음에 대한 복음적 근거와 증거』, Diggory Press.
  • 『성령에 대한 존 오언 - 성령과 중생』(『Pneumatologia』 3권), Diggory Press.
  • 『성령에 대한 존 오언 - 위로자로서의 성령』(『Pneumatologia』 8권), Diggory Press.
  • 『성령에 대한 존 오언 - 성령과 기도』(『Pneumatologia』 7권), Diggory Press.
  • 『성령에 대한 존 오언 - 영적 은사』(『Pneumatologia』 9권), Diggory Press.
  • 『존 오언 박사의 옥스퍼드 연설집』. 편집: 피터 툰. 번역: [라틴어에서] 존 글루커 감독. Callington (Cornwall): Gospel Communication. 1971. [https://web.archive.org/web/20080112124638/http://www.anglicanbooksrevitalized.us/Peter_Toons_Books_Online/History/oxfordorations.htm 온라인 판].
  • 『삼위일체 교리의 간략한 선언과 옹호, 또한 그리스도의 인격과 만족에 관하여』(1699) - 특히 존 비들의 가르침에 반대하는 소시니주의의 반박.

참조

[1] 웹사이트 10 Things You Should Know about John Owen https://www.crossway[...] 2024-02-25
[2] 웹사이트 'A poore under-rower': The life and ministry of John Owen https://equip.sbts.e[...] 2024-02-25
[3] 서적 John Owen--The Man and His Theology Evangelical Press 2002
[4] 서적 A History of the County of Oxford: Volume 3: The University of Oxford http://www.british-h[...] Victoria County History 2011-07-28
[5] 서적 Fasti Ecclesiae Anglicanae 1541–1857: volume 8: Bristol, Gloucester, Oxford and Peterborough dioceses http://www.british-h[...] Institute of Historical Research 2011-07-28
[6] 웹사이트 Previous Vice-Chancellors http://www.admin.ox.[...] University of Oxford 2011-07-18
[7] 서적 Memorable Women of the Puritan Times https://archive.org/[...] Blackie and son 2016-03-29
[8] 서적 Bunyan Characters, First Series Oliphant, Anderson and Ferrier 1895
[9] 간행물 The Eternal Generation of the Son: Maintaining Orthodoxy in Trinitarian Theology 2012
[1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kyobobook.co.[...] 2017-07-03
[11] 서적 A quest for godliness : the Puritan vision of the Christian life https://www.worldcat[...] Crossway Books 1990
[12] 서적 A quest for godliness : the Puritan vision of the Christian life https://www.worldcat[...] Crossway Books 1990
[13] 서적 청교도 열전 = Biographies of puritans http://worldcat.org/[...] 2009
[14] 서적 A quest for godliness : the Puritan vision of the Christian life https://www.worldcat[...] Crossway Books 1990
[15] 웹인용 존 오언의 『소요리, 대요리 문답』을 어떻게 읽어야 할까? http://www.bonhd.net[...] 2020-06-12
[16] 서적 <청교도 신앙 그기원과 계승자들>. https://www.worldcat[...] 2002
[17] 웹인용 존 오언과 빌리 그래함의 성령론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https://www.christia[...] 2020-02-25
[18] 서적 A Puritan theology : doctrine for life https://www.worldcat[...]
[19] 서적 Recovering the Reformed confession : our theology, piety, and practice https://www.worldcat[...] 2008
[20] 웹인용 1. Indwelling Sin and Romans 7:21 (내제된 죄와 로마서 7장 21절) https://bible.org/se[...] 2024-02-23
[21] 웹인용 신자 안에 내재하는 죄의 잔재의 습성과 힘과 간사함과 유병률 (1장) https://ccel.org/cce[...]
[22] 서적 청교도 열전 = Biographies of puritans http://worldcat.org/[...] 2009
[23] 웹인용 존오언의 성령론 세미나 https://www.youtube.[...] 2020-02-25
[24] 웹인용 죤 오언 개혁주의 성령론 [갓피플몰] https://mall.godpeop[...] 2020-02-25
[25] 서적 죄 죽임 https://www.worldcat[...] 2009
[26] 서적 <청교도 신앙>. https://www.worldcat[...] 2002
[27] 웹인용 "[스크랩] 우리나라에 번역된 존 오언의 저서 목록" http://blog.daum.net[...] 2020-06-12
[28] 서적 Among God's giants : aspects of Puritan Christianity https://www.worldcat[...] Kingsway Publications 199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