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포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포터는 17-18세기 영국의 성공회 성직자이자 학자였다. 요크셔 웨이크필드 출신으로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수학했으며, 고전 연구와 저술 활동을 통해 명성을 얻었다. 앤 여왕의 국왕 전속 사제, 옥스퍼드 주교를 거쳐 1737년 캔터베리 대주교가 되었으며, 고교회 입장을 대변했다. 그는 뱅고어 논쟁에 참여하고 존 웨슬리를 서임했으며, 1747년 사망 후 저서가 출판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옥스퍼드 대학교 링컨 칼리지 교수 - 하워드 플로리
하워드 플로리는 페니실린의 의학적 효능을 밝히고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여 수많은 생명을 구했으며, 알렉산더 플레밍, 어니스트 보리스 체인과 함께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하고 왕립학회 회장,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교 총장 등을 역임한 오스트레일리아의 병리학자이자 약리학자이다. - 옥스퍼드 대학교 링컨 칼리지 교수 - 존 웨슬리
존 웨슬리는 영국 성공회 사제이자 감리교 운동의 창시자로서, 순회 설교와 속회 조직, 평신도 설교자 임명을 통해 감리교 운동을 확산시키고, 아르미니우스주의를 옹호하며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강조하며 사회 개혁에 힘썼으며, 그의 신학 사상은 여러 교파에 영향을 미쳤다. - 1747년 사망 - 나디르 샤
18세기 중반 이란을 통치한 아프샤르 왕조의 창시자 나디르 샤는 뛰어난 군사적 능력으로 권력을 장악, 이란을 재통일하고 영토를 확장했으나, 폭정으로 암살당해 아프샤르 왕조는 붕괴되었고, 군사적 천재성이 돋보이나 잔혹한 폭군으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 1747년 사망 - 조나단 디킨슨
조나단 디킨슨은 미국의 목사이자 교육자로서, 프린스턴 대학교의 초대 총장을 역임하며 엘리자베스타운 회중 교회 목사로 활동, 장로교 내 "뉴 사이드" 운동을 이끌고 대각성 운동 시기에 경험적이고 역동적인 종교를 추구했으며, 뉴욕 시노드 초대 의장으로서 중부 식민지를 위한 새로운 대학 설립을 주도하여 프린스턴 대학교의 기틀을 마련했다. - 1674년 출생 - 아이작 와츠
아이작 와츠는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중반까지 활동한 영국의 장로교 신학자이자 시인, 찬송가 작곡가로서, 비국교도 아카데미에서 교육받고 런던 마크 레인 회중 예배당 목사로 봉직하며 600편 이상의 찬송가를 작곡하여 영국 찬송가 역사에 혁신적인 기여를 했고, 그의 작품들은 신학, 교육, 문학 분야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 1674년 출생 - 필리프 2세 도를레앙 공작
필리프 2세 도를레앙 공작은 루이 14세의 조카이자 오를레앙 공 필리프 1세의 아들로, 루이 15세의 섭정으로서 프랑스를 통치하며 재정, 외교, 문화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지만 경제적, 정치적 도전에 직면했다.
존 포터 | |
---|---|
기본 정보 | |
![]() | |
직함 | 캔터베리 대주교 |
재임 기간 | 1737년 – 1747년 |
이전 직책 | 옥스퍼드 주교 (1715년–1737년) |
후임자 | 토머스 헤링 |
출생 | 1674년경, 잉글랜드, 요크셔, 웨이크필드 |
사망 | 1747년 10월 10일, 잉글랜드, 런던, 램버스 |
매장지 | 크로이든 민스터 |
국적 | 잉글랜드 |
종교 | 성공회 |
부모 | 토머스 포터 |
배우자 | 엘리자베스 베너 |
모교 | 옥스퍼드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 |
경력 | |
주교 서임 | 1715년 5월 15일 |
서임자 | 조너선 트렐로니 |
2. 생애
존 포터는 요크셔 웨이크필드의 린넨 상인의 아들로 태어나, 14세에 옥스퍼드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에 입학하며 학자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젊은 시절부터 고전 문헌 연구에 두각을 나타내 여러 주석서와 중요한 저술을 남겼다.
학문 활동과 더불어 잉글랜드 성공회 내에서 여러 중요한 직책을 역임했다. 토머스 테니슨 대주교의 채플린, 앤 여왕의 국왕 전속 사제, 옥스퍼드 대학교 신학 레지우스 교수 등을 거쳐 1715년 옥스퍼드 주교가 되었다. 1709년에는 세인트 폴 대성당에서 엘리자베스 베너와 결혼했다.[1] 정치적으로는 휘그당이었으나 신학적으로는 고교회 입장을 견지했으며, 이는 벤자민 호들리 주교와의 논쟁 등에서 드러났다.
1737년, 윌리엄 웨이크의 뒤를 이어 캔터베리 대주교로 임명되어 잉글랜드 성공회의 최고위 성직자가 되었다. 대주교로서 고교회 입장을 대변했으나, 당대의 알렉산더 포프와 같은 인물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
1747년 10월 10일에 사망했으며, 서리의 크로이던 민스터에 안장되었다. 그의 신학 저작들은 사후에 정리되어 출판되었다.
2. 1. 학자로서의 경력
그는 요크셔 웨이크필드 출신으로, 14세에 옥스퍼드 대학교의 유니버시티 칼리지에 입학했다. 1693년에는 플루타르코스의 ''De audiendis poetis''와 바실리우스의 ''Oratio ad juvenes''에 대한 주석을 출판하며 학문적 활동을 시작했다. 1694년에는 링컨 칼리지, 옥스퍼드의 펠로우로 선출되었다.그의 주요 학문적 업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저술 및 활동 | 비고 |
---|---|---|
1697 | 리코프론 판 출판 | |
1697–1698 | Archaeologia graeca (2권) 출판 | 고대 그리스 연구의 중요 저작으로, 윌리엄 스미스 박사의 사전이 나오기 전까지 중요한 참고 자료였다. |
1702 | 리코프론 재판 출판 | 그라에비우스에게 헌정되었으며, 이후 Antiquities는 라틴어로 번역되어 그로노비우스의 Thesaurus에 실렸다. |
1707 | 교회 정부에 관한 담론 출판 | 이 저술을 통해 이후 뱅고어의 주교인 벤자민 호들리와의 신학적 논쟁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
1715 |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 판 출판 |
학문 활동 외에도 여러 직책을 역임했다. 1704년에는 테니슨 대주교의 채플린이 되었고, 곧이어 앤 여왕의 국왕 전속 사제로 임명되었다. 1708년부터는 신학 레지우스 교수이자 옥스퍼드 크라이스트 처치 대성당의 캐논으로 활동했다. 1709년 세인트 폴 대성당에서 엘리자베스 베너와 결혼했다.[1] 휘그당 지지자였음에도 고교회 신자로서 벤자민 호들리와 논쟁하며 자신의 신학적 입장을 분명히 했다. 포터 주교는 또한 1725년 9월에 존 웨슬리를 잉글랜드 성공회의 부제로, 1728년에는 사제로 서임했다.
1747년 사망 후, 그의 설교, 훈시, 신학 강의 및 ''교회 정부에 관한 담론'' 등을 모은 ''신학 작품'' 3권이 출판되었다.
2. 2. 종교 활동
1704년 토머스 테니슨 대주교의 채플린이 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앤 여왕의 국왕 전속 사제로 임명되었다. 1708년부터는 옥스퍼드 대학교의 신학 레지우스 교수이자 옥스퍼드 크라이스트 처치 대성당의 캐논으로 활동했다. 1709년에는 세인트 폴 대성당에서 엘리자베스 베너와 결혼했다.[1]1715년 옥스퍼드 주교로 임명되었다. 그는 1707년에 ''교회 정부에 관한 담론''을 출판했으며, 뱅고어의 주교였던 벤자민 호들리와의 신학적 논쟁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포터는 정치적으로는 휘그당이었지만, 신학적으로는 고교회 입장을 지지하며 호들리의 견해에 반대했다. 또한, 옥스퍼드 주교 시절인 1725년 9월에는 존 웨슬리를 잉글랜드 성공회의 부제로, 1728년에는 사제로 서임했다.
1737년 1월, 윌리엄 웨이크의 뒤를 이어 예상치 못하게 캔터베리 대주교로 임명되었다. 대주교로서 그는 고교회의 입장을 계속해서 대변했지만, 영국 성직자 회의를 복원하려는 노력에서는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러한 그의 모습은 알렉산더 포프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는데, 포프는 1743년 판 ''둔치아드''(2권, 323)에서 포터를 언급하며 공격했다.
포터는 1747년 10월 10일에 사망했으며, 그의 시신은 서리의 크로이던 민스터에 안장되었다. 사후 그의 설교, 훈시, 신학 강의, 그리고 ''교회 정부에 관한 담론''을 모은 ''신학 작품''이 세 권으로 출판되었다.
2. 3. 뱅고어 논쟁
존 포터는 1707년 ''교회 정부에 관한 담론''을 출판하며 뱅고어의 주교였던 벤자민 호들리와의 논쟁에서 주목받았다. 포터는 정치적으로 휘그당에 속했지만, 신학적으로는 고교회의 입장을 지지하며 호들리의 주장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2. 4. 존 웨슬리 서임
존 포터는 1715년 옥스퍼드 주교로 임명되었다. 그는 정치적으로는 휘그당에 속했지만, 종교적으로는 고교회 입장을 견지했으며, 벤자민 호들리 뱅고어 주교와의 신학 논쟁에서 자신의 입장을 분명히 드러냈다. 옥스퍼드 주교로 재직하던 중, 포터는 훗날 감리회 운동의 창시자가 되는 존 웨슬리를 잉글랜드 성공회의 성직자로 서임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1725년 9월에 웨슬리를 부제로 서임했으며, 3년 뒤인 1728년에는 사제로 서임했다.[1]2. 5. 사망
포터는 1747년 10월 10일에 사망했다. 그의 사후, 설교, 훈시, 신학 강의 및 ''교회 정부에 관한 담론''으로 구성된 그의 ''신학 작품''이 세 권으로 출판되었다. 그는 서리 크로이던 민스터에 묻혔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